KR20090079500A -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 Google Patents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500A
KR20090079500A KR1020080005526A KR20080005526A KR20090079500A KR 20090079500 A KR20090079500 A KR 20090079500A KR 1020080005526 A KR1020080005526 A KR 1020080005526A KR 20080005526 A KR20080005526 A KR 20080005526A KR 20090079500 A KR20090079500 A KR 2009007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rotating member
memo board
chai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0922B1 (ko
Inventor
황대순
Original Assignee
황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순 filed Critical 황대순
Priority to KR1020080005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9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6Chairs or seats detachably mounted on stadium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C11/005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multiple separate s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람석 의자의 팔걸이 측판과 결합되는 메모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팔걸이 측판의 전방에는 수납된 메모판을 전방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상부에는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메모판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메모판과 결합된 회전부재는 메모판결합부재와 수평축으로 결합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팔걸이 측판 내부의 수납함에 놓여 있다가, 메모판을 사용할 때에는 팔걸이 측판의 전방의 개구부를 통해 메모판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메모판, 회전부재, 수납함, 팔걸이 측판

Description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The memo board which is in the gallery chair}
본 발명은 관람석 의자의 팔걸이 측판과 결합되는 메모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팔걸이 측판의 전방에는 수납된 메모판을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팔걸이 측판 내부의 수납함에 놓여 있다가, 메모판을 사용할 때에는 팔걸이 측판의 전방의 개구부를 통해 메모판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강당 등에 설치되는 관람석 의자는 다수개의 관람석 의자를 종과 횡으로 배열 설치되고, 이때 메모판은 관람석 의자 전방에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기존 의자에 고정된 메모판은 참석자가 이동할 때 돌출된 메모판에 의해 통행에 큰 불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관람석 의자의 측면 팔걸이 내부에 메모판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상태에서 참석자가 필요시에만 메모판을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되어있어, 참석자가 이동할 때 통행에 큰 불편이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대부분의 메모판이 팔걸이 측판 상부로 수납된 상태에서 참석자가 필요시 팔걸이 받침대를 개방한 다음 메모판을 인출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수납함에서 메모판을 인출할 때에도 메모판에 특별한 손잡이가 없어 쉽게 메모판을 인출할 수 없으며, 팔걸이 측판의 길이가 공업규격에 한정되어 있고 이 길이에 비례하여 메모판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현제의 메모판을 인출하여 사용할 때에는 부피가 매우 작아 메모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팔걸이 측판 내부에 수납된 메모판을 팔걸이 측판 전방의 개구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팔걸이 측판에 있는 받침대를 개방할 필요가 없으며, 메모판이 개구부 보다 돌출되어 있어 메모판의 인출이 용이하고, 팔걸이 측판의 상부의 길이보다 개구부의 세로의 길이가 크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메모판의 크기가 제작됨으로써, 메모판의 사용용도를 떠나 책상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메모판의 출입을 팔걸이 측판의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메모판을 쉽게 인출 할 수 있으며, 특히 팔걸이 측판과 동일한 크기로 메모판을 설치할 수 있어, 기존의 메모판의 크기가 매우 큰 메모판으로 사용자가 메도대 이외에 책상으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은 의자팔걸이 측판 내부에 메모판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과, 팔걸이 측판 전방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상측 단부에는 회전부재 결합홈과, 상기 회전부재 결합홈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회전부재 탄성편과 타측에는 수평받침편과, 상기 회전부재 결합홈에 배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는 메모판 결합부재와, 상기 메모판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메모판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이 팔걸이 측판 내부의 수납함에 메모판이 수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팔걸이 측판 내부의 수납함에 메모판이 수납된 상태의 사 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힌진부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힌진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메모판의 작용상태도로서, (a)는 메모판이 수납된 상태이고, (b)는 메모판이 직각으로 인출된 상태이며, (c)는 메모판이 90° 각도로 인출된 상태이고, (d)는 메모판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석 의자(10)의 팔걸이 측판(20)의 내부에는 메모판(3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21)이 형성되어 있고, 팔걸이 측판(20) 팔걸이 측판(20) 전방의 세로방향으로는 상기 메모판(30)이 출입이 용이하도록 개구부(22)가 형성 되어있다.
상기 개구부(22)의 상측 단부에는 회전부재 탄성편(23)과 메모판받침편(24)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회전부재 탄성편(23)과 수평받침편(24) 사이에는 후술하는 회전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 결합홈(25)이 형성 되어있다.
상기 회전부재 탄성편(23)에는 볼(B)과 스프링(S) 및 볼트(V)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상, 하부 탄성구멍(23a)(23b)이 형성되고, 상기 상, 하부 탄성구멍(23a)(23b) 사이에는 회전축(35)이 나사결합 하는 회전축나사홈(23c)이 형성되며, 상기 메모판받침편(24)에는 상기 회전축(25)이 조립되는 회전축힌지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 결합홈(25)이 조립되는 회전부재(40)에는 회전축힌지공(41)이 관통되고, 회전축힌지공(41)을 중심으로 상. 하부에는 상기 상, 하부 탄성구멍(23a)(23b)에 조립된 볼(B)의 구면과 접촉되는 상, 하볼요홈(42a)(42b)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부재(40)의 하부 양측날개편(43)에는 볼요홈(43a)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수평축(26)이 관통하는 수평힌지공(4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모판(30) 상측 단부에는 메모판 결합부재(50)가 결합된 것으로서, 이 메모판 결합부재(50)에는 상기 회전부재(40)의 양측날개편(43)이 조립되는 날개결합홈(51)이 형성되고, 메모판 양측면부에는 볼(V')과 스프링(S') 및 볼트(B')가 조립되는 수평탄성구멍(52)이 형성하며, 상기 수평탄성구멍(52)에 조립된 볼(V') 구면은 상기 회전부재(40)의 볼요홈(43a)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탄성구멍(52)과 이격된 하부에는 상기 수평축(26)이 관통하는 수평힌지공(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람석 의자(10)에 관람자가 의자에 착석한 후 메모판(3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팔걸이 측판(20)보다 돌출된 메모판(30)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모판(30)은 개구부(22)보다 돌출되어 있어 메모판(30)을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5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판(30)은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 하 탄성구멍(23a)(23b)에 결합된 볼(B) 구면은 회전부재(40)의 상, 하부 볼요홈(42a)(42b)에 있다가 회전부재(40)의 물리적 힘에 의해 회전하면서 볼(B) 구면은 볼요홈(42a)(42b)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부재(40)의 평면 마찰에 의해 볼(B)은 스프링(S)을 이기고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그러나, 볼(B)은 스프링(S)의 탄성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회전부재(40)의 평면과 지속적으로 마찰을 발생하면서 회전부재(40)의 회동을 탄력적으로 제동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볼(B)의 마찰이 발생하지 않으면 메모판(30)의 중량에 의해 회전부재(40)는 자유롭게 회동하여 메모판(30)을 사용하는 관람자가 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메모판(30)을 수납함(21)에서 180° 인출한 다음 메모판(30)을 수평으로 접히게 되면 메모판(30)하부와 메모판받침편(24)이 닿게 된다. 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축(26)을 중심으로 메모판결합부재(5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평탄성구멍(52)에 조조립된 볼(B') 구면은 회전부재의 볼요홈(43a)에 있다가, 메모판결합부재(50)의 물리적 힘 에 의해 볼요홈(43a)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부재(40)의 평면 마찰에 의해 볼(B‘)은 스프링(S')을 이기고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그러나 볼(B')은 스프링(S')의 탄성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회전부재(40)의 평면과 지속적으로 마찰을 발생하면서 회전부재(40)의 회동을 탄력적으로 제동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팔걸이 측판 내부의 수납함에 메모판이 수납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팔걸이 측판 내부의 수납함에 메모판이 수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힌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힌지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메모판의 작용상태로서,
(a)는 메모판이 수납된 상태이고,
(b)는 메모판이 직각으로 인출된 상태이며,
(c)는 메모판이 180°각도로 인출된 상태이고,
(d)는 메모판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관람석 의자 20: 팔걸이 측판
21: 수납함 22: 개구부
23: 회전부재 탄성편 23a, 23b: 상, 하부 탄성구멍
23c: 회전축 나사홈 24: 메모대 받침편
24': 회전축공 25: 회전부재 결합홈
26: 회전축 27: 수평축
30: 매모판 40: 회전부재
41: 회전축공 42a, 42b: 상, 하볼요홈
43: 양측날개편 43a: 볼요홈
43b: 수평축공 50: 메모판 결합부재
51: 날개결합홈 52: 수평탄성공
53: 수평힌지공

Claims (5)

  1. 의자의 팔걸이 측판(20) 내부에는 메모판(3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21)이 형성된 관람석 의자(10)에 설치되는 메모판(30)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측판(20) 전방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22)와,
    상기 개구부(22) 상측 단부에는 회전부재 결합홈(25)과,
    상기 회전부재 결합홈(25)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회전부재 탄성편(23)과 타측에는 메모판받침편(24)과,
    상기 회전부재 결합홈(25)에 배치되는 회전부재(40)와,
    상기 회전부재(40)와 결합되는 메모판 결합부재(50)와,
    상기 메모판 결합부재(50)와 결합되는 메모판(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탄성편(23)에는 볼(B)과 스프링(S) 및 볼트(V)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상, 하부탄성구멍(23a)(23b)과,
    상기 상, 하부탄성구멍(23a)(23b) 사이에는 회전축(26)이 결합되는 회전축나사구멍(23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0)에는 상기 상, 하부 탄성구멍(23a)(23b)에 배치된 볼(B)과 접촉되는 상, 하부볼요홈(42a)(42b)과,
    상기 상, 하부볼요홈(42a)(42b) 사이에 형성된 회전축공(41)과,
    상기 회전부재(40) 측면에 형성된 수평축힌지공(43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판받침편(24)에는 상기 회전축(26)이 결합되는 회전축공(24')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판 결합부재(50)에는 볼(B')과 스프링(S') 및 볼트(V')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수평탄성공(52)과,
    상기 수평탄성공(52) 하부에는 수평축(27)이 결합되는 수평축힌지공(53)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KR1020080005526A 2008-01-18 2008-01-18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KR101010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26A KR101010922B1 (ko) 2008-01-18 2008-01-18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26A KR101010922B1 (ko) 2008-01-18 2008-01-18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500A true KR20090079500A (ko) 2009-07-22
KR101010922B1 KR101010922B1 (ko) 2011-01-28

Family

ID=4129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526A KR101010922B1 (ko) 2008-01-18 2008-01-18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9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391B1 (ko) * 2011-11-02 2012-04-05 황대순 관람석의자용 메모대
KR101393666B1 (ko) * 2012-02-03 2014-05-13 주식회사 동광이엔씨 대형 메모판 매립형 관람용 절첩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210B1 (ko) * 2017-11-25 2018-11-05 주식회사 명신인퍼스 연결식 의자용 메모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3994B2 (ja) * 1996-05-13 1998-08-06 コクヨ株式会社 メモ台支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391B1 (ko) * 2011-11-02 2012-04-05 황대순 관람석의자용 메모대
KR101393666B1 (ko) * 2012-02-03 2014-05-13 주식회사 동광이엔씨 대형 메모판 매립형 관람용 절첩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922B1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105B2 (ja) 携帯用電子・電気機器のアクセサリー
KR20090079500A (ko) 관람석 의자에 설치되는 메모판
KR20130003288U (ko) 모니터받침대
KR200463584Y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GB2450941A (en) Cable Management arm connection system
KR101061406B1 (ko) 관람석 의자의 측면에 설치되는 메모판
US6978905B2 (en) Supporting frame with a casing
KR100917129B1 (ko) 컴퓨터용 책상
KR101801467B1 (ko)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KR101009287B1 (ko) 연결식 의자의 다리 프레임에 수납되는 메모대 장치
CN209106477U (zh) 一种多功能办公桌
KR200275780Y1 (ko) 컴퓨터 사용기구 조작용 의자
CN207301864U (zh) 一种插接铰链装置及终端设备铰链支撑架
JP2017107444A (ja) 拡張ユニット及び電子デバイスシステム
KR200437081Y1 (ko) 책상 겸용 벽걸이 액자
CN211624715U (zh) 一种电子信息工程实验室计算机固定支架
CN109240425A (zh) 升降式计算机
KR20080102883A (ko) 체결의 안정성과 용이성이 보장되는 컴퓨터 장착용 다목적물품수납함
CN217329321U (zh) 一种智能会议记录用的外置阅览设备
CN204889376U (zh) 一种再生材料易拉宝
CN211132919U (zh) 一种壁乓球桌
KR20120134343A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CN215072527U (zh) 一种折叠手机支架
CN211323527U (zh) 一种便携式小型讲台
CN215488547U (zh) 一种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