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9176A -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 Google Patents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9176A
KR20090079176A KR1020090003509A KR20090003509A KR20090079176A KR 20090079176 A KR20090079176 A KR 20090079176A KR 1020090003509 A KR1020090003509 A KR 1020090003509A KR 20090003509 A KR20090003509 A KR 20090003509A KR 20090079176 A KR20090079176 A KR 20090079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group
terminal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570B1 (ko
Inventor
예충일
송영석
이승준
곽병재
김지형
권동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09/00024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91208A2/ko
Priority to US12/811,785 priority patent/US8805283B2/en
Publication of KR2009007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셀 간 간섭 완화 방법에서, 복수의 단말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한다. 기지국이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단말에는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 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이 복수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속한 제2 단말에는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간섭 완화, 네트워크 MIMO, FFR, 협력

Description

셀 간 간섭 완화 방법{METHOD OF MITIGATING INTER-CELL INTERFERENCE}
본 발명은 셀 간 간섭 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N개의 셀로 이루어지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k개의 채널이 할당되는 경우, 주파수 재사용 인자(frequency reuse factor, FRF)는 (k/N)으로 정의될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은 셀 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 구성 시 인접 셀들에게 동일 주파수를 할당하지 않는 형태(주로 FRF < 1/7)에서 인접 셀들에게도 동일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FRF=1)로 변하고 있다. 또한 셀 간의 간섭 완화 알고리즘은 수신기 측에 구현되는 방식에서 송신기 측에 구현되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방식 또는 네트워크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FFR 방식은 큰 FRF 값을 얻어 스펙트럼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하드 FFR(hard FFR)과 소프트 FFR(soft FFR)의 2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하드 FFR 방식은 네트워크 차원에서 셀 간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하여 인접 셀들이 셀 경계 지역에서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방식이다. 특히,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OFDMA) 시스템에서는 인접 셀들이 협력으로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동일한 부반송파들을 할당하지 않는다. 소프트 FFR 방식은 하드 FFR 방식과 달리 특정 부반송파들의 사용을 허용하지만, 인접 셀들의 협력으로 간섭 완화가 되도록 특정 부반송파들의 송출 전력을 조절하여 네트워크 차원에서 셀 간의 간섭을 완화하는 방식이다.
네트워크 MIMO 방식은 인접 셀들의 기지국들이 구비하고 있는 안테나들이 서로 협력적으로 MIMO 송수신을 함으로써 셀 간의 간섭 완화 또는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FFR 방식 및 네트워크 MIMO 방식이 셀룰러 시스템에 도입되려면 네트워크 차원의 협력 방법, 필요한 측정, 절차 등이 정의되어야 하지만, 아직 이들 방식은 서로 독립적으로 개념적 수준에서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FFR 방식 및 네트워크 MIMO 방식을 협력적으로 사용하여 셀 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셀 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복수의 단말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 없이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단말에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속한 제2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에서 셀 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제1 그룹에 속하는 경우, 인접 기지국의 협력 없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제2 그룹에 속하는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의 협력에 의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셀 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복수의 단말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단말에 네트워크 MIMO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속한 단말에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한 MIMO 방식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위치와 SINR에 따라 기지국 간의 협력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지국 간의 협력 없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셀 경계에서의 셀 간 간섭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위치에 따라 네트워크 MIMO 방식, FFR 방식 등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셀 경계에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이동 멀티홉 중계 기지국[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간 간섭 완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 간 간섭 완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단말(110)은 기지국(120)으로 피드백할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12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와 선호 빔의 정보를 포함하며, 또한 간섭 셀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 셀은 단말(110)의 서빙(serving) 셀에 간섭을 미치는 셀이면서 단말(110)이 인식 가능한 셀을 의미하며, 간섭 셀의 정보는 간섭 셀의 인덱스 및/또는 간섭 셀의 간섭 빔 인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호 빔은 서빙 셀의 기지국, 즉 서빙 기지국(120)이 송출할 수 있는 복수의 빔 중에서 단말(110)이 가장 선호하는 빔을 의미한다.
기지국(120)은 단말(110)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인접 기지국(예를 들면 121-124)과 협력하여 전송 방식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기지국(120)은 단말(110)이 SINR 및 간섭 셀을 측정할 수 있도록 셀 구분이 가능한 앰블(amble)(앞으로 "앰블 1"이라 함)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20)은 송신 안테나 별로 단말(110)이 채널을 추정할 수 있도록 다른 앰블(앞으로 "앰블 2"라 함)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20)은 앰블 1 및 앰블 2를 인접 셀의 단말도 수신할 수 있도록 큰 전력을 사용하여 앰블 1 및 앰블 2를 송출할 수 있다.
단말(110)은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앰블 2를 이용하여 송신 안테나별 채널을 추정한다. 단말(110)이 측정한 송신 안테나 별 채널 추정 결과(h)는 1×M의 복소 행렬(h∈C1×M, C는 복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여기서, M은 기지국(120)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임]. 단말(110)은 채널 추정 결과(h)를 이용하여 채널의 방향을 수학식 1처럼 계산하고, 채널의 방향 및 기지국(120)과 공유하고 있는 코드북(c n)을 이용하여 선호 빔 인덱스(m)를 결정한다. 코드북({c n∈CM×1|n=0,1,2,…,L-1})은 기지국(120)과 단말(110) 사이에 약속된 L개의 방향이 결정된 빔으로 이루어지며, L개의 빔 인덱스를 {0,1,2,…,L-1}이라 하면, 선호 빔 인덱스(m)는 수학식 2처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2777219-PAT00001
Figure 112009002777219-PAT00002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셀 간 간섭 완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서빙 기지국(120) 및 인접 기지국(121-124)이 앰블 1 및 앰블 2를 송출한다(S210, S220). 이와는 달리 기지국(120-124)이 앰블 1과 앰블 2를 합쳐 하나의 앰블로 송출할 수도 있다.
단말(110)은 서빙 기지국(120) 및 인접 셀의 기지국(121-124)으로부터 앰블 1 및 앰블 2를 각각 수신한다. 단말(110)은 앰블 1을 이용하여 SINR과 인접 셀 정보를 측정하고, 앰블 2를 이용하여 서빙 기지국(120)의 송출 빔 중에서 선호하는 빔을 측정한 후(S230), 이들 정보를 피드백 정보로서 서빙 기지국(120)에 보고한다(S240). 또한 단말(110)은 인접 셀(간섭 셀)이 송출하는 빔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큰 간섭으로 작용하는 빔의 빔 인덱스를 해당 간섭 셀의 셀 인덱스와 함께 서빙 기지국(120)으로 보고할 수도 있다.
기지국(120-124)들은 협력을 통해서 해당 셀의 단말이 보고한 피드백 정보를 공유하고(S250),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셀룰러 시스템의 각 기지국(120-124)은 각 단말의 위치, 단말 별 수신 SINR 등의 정보를 확인한다(S260). 이 경우 기지국은 백홀(backhaul) 통신으로 피드백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기지국(120-124)은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단말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S270), 무선 자원을 복수의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에 해당하는 자원을 할당하고 각 그룹에 대응하는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S280). 그리고 기지국(120)은 단말(110)이 속하는 그룹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290). 이 경우, 인접 기지국(121-124)이 기지국(120)과 협력하여 단말(11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S291).
예를 들면, 기지국(120)이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정보로부터 단 말(110)의 SINR이 높고, 단말(110)에 대한 간섭 셀이 존재하지 않으며, 단말(110)의 선호 빔 인덱스가 6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지국(120)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단말(110)이 기지국(120)의 6번 빔 영역에서 기지국(120)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20)이 단말(111)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정보로부터 단말(111)의 SINR이 낮고, 단말(111)에 대한 간섭 셀의 인덱스가 3[기지국(122)에 대응하는 셀의 인덱스]이고, 선호 빔 인덱스가 2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지국(120)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단말(111)이 기지국(120)의 3번 빔 영역에서 3번 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단말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단말을 3개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경우를 한 예로 설명하며, 3개의 그룹에 각각 할당된 무선 자원 할당 영역을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 2 및 3이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에서의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기지국(321-323)은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미약하게 받고 수신 SINR이 높은 단말(311a-313c)에는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을 할당한다. 이러한 단말(311a-313c)은 각 셀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에서 각 셀의 기지국(321-323)은 인접 셀의 기지국과 협력하지 않고(즉, 인접 셀의 기지국의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안테나만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기지국(321-323)은 FFR 방식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셀의 기지국(321-323)은 인접 셀에서 사용하는 스펙트럼(spectrum)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다중 사용자(multi user) MIMO(MU-MIMO) 방식 또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SM) 방식을 셀 별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FRF는 1보다 큰 값을 가진다. 이 경우, MU-MIMO 방식으로 부분(partial) 송신측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us information at transmitter side, CSIT) 기반의 MU-MIMO 방식, 선형 또는 비선형의 풀(full) CSIT 기반의 MU-MIMO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부분 CSIT 기반의 MU-MIMO 방식의 한 예로 코드북(codebook) 기반의 MU-MIMO 방식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인접 셀의 기지국(321-323)은 모두 동일한 스펙트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기지국(321-323)은 각각 MU-MIMO 방식으로 선호 빔 인덱스가 서로 다른 복수의 단말(311a-311c, 312a-312c, 313a-313c)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이 경우 FRF는 3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 영역 2에서의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지국(421-423)은,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이 강하며 수신 SINR이 낮고 서로 떨어져 있는 단말(411-413)들에 무선 자원 할당 영역 2를 할당한다. 이러한 단말(411-413)은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빔 간 간섭이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떨어져 있다. 이 경우 기지국(421-423)은 높은 SINR을 요구하는 MU-MIMO 방식 또는 SM 방식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강한 간섭 셀을 가진 단말(411-413)이 서빙 기지국(421-423)으로 선호 빔 인덱스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고, 이 피드백 정보를 기지국(421-423)이 협력을 통해서 공유하면, 각 기지국(421-423)은 약속된 빔 위치를 이용하여 인접 셀의 단말(411-413)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지국(421-423)은 인접 셀의 단말(411-413)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자신의 빔 인덱스를 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단말(411-413)이 서빙 셀의 선호 빔 인덱스와 함께 인접 셀의 간섭 빔 인덱스를 기지국(421-423)에 보고하는 경우에, 각 기지국(421-423)은 기지국 사이의 협력을 통해서 인접 셀의 단말(411-413)에 간섭으로 작용하는 자신의 빔 인덱스를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421-423)은 협력을 통하여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인접 셀의 빔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조절하며, 이에 따라 셀 경계 영역에서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421-423)은 네트워크 MIMO를 사용하여 단말(411-413)에게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MIMO로 협력 MIMO(collaborative MIMO or cooperative MIMO, Co-MIMO)가 있다. 다만, 네트워크 MIMO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 수신 성능은 개선되지만 망에서 서빙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에 동시에 데이터 페이로드가 전달되므로, 백홀 오버헤드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MIMO의 사용 여부는 환경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421, 423)은 단말(411)에 동시에 데이터 페이로드 1을, 기지국(422, 423)은 단말(412)에 동시에 데이터 페이로드 2를, 기지국(422, 421)은 단말(413)에 동시에 데이터 페이로드 3를, 동일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빔이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전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 기지국은 네 트워크 MIMO을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로, 두 기지국(421, 423) 중 하나가 단말(411)에 데이터 페이로드 1를, 두 기지국(422, 423) 중 하나가 단말(412)에 데이터 페이로드 2를, 두 기지국(422, 421) 중 하나가 단말(413)에 데이터 페이로드 3을 빔형성(beamforming)을 사용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네트워크 MIMO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두 기지국(421, 423)이 동일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단말(411)에 동시에 데이터 페이로드 1을 빔형성이 적용된 시공간 부호화(space time code, STC)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 영역 3에서의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기지국(521-523)은,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이 강하며 수신 SINR이 낮고 서로 뭉쳐 있는 단말(511-513)들에 무선 자원 할당 영역 3을 할당한다. 이러한 단말(511-513)은 셀 경계 영역에서 뭉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521-523)은 셀 간 간섭 완화를 위해서 네트워크 MIMO 방식과 FFR 방식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MIMO 방식은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경계 영역에서 뭉쳐 있는 단말들의 그룹이 있는 경우, 기지국(521-523)이 각각 한 그룹에 속한 하나의 단말(511)에 동일 주파수의 빔을 이용하여 동일 데이터 페이로드를 전송할 수 있다(네트워크 MIMO 방식). 이 경우 기지국(521-523)은 이 그룹에 속한 다른 단말(512, 513)에는 단 말(511)에 사용한 스펙트럼(주파수)을 사용하지 않는다(FFR 방식). 그러면 단말(511)은 네트워크 MIMO 방식에 의해 매크로 다이버시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백홀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네트워크 MIMO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521)은 빔을 이용하여 단말(511)에 데이터 페이로드를 제공하고, 기지국(522, 523)은 각각 단말(611)에 사용된 자원과 다른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512, 513)에 데이터 페이로드를 제공할 수 있다(FFR 방식).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 간의 협력을 통해서 단말을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각 그룹에 대응하는 자원 및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셀 간 간섭을 완화할 수 있다.
다음, 네트워크 MIMO 방식 및 STC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네트워크 MIMO 방식을 사용한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STC 방식을 사용한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각 기지국(610, 620)은 복수의 안테나(예를 들면, 4개의 안테나)(611-614, 621-624)를 포함한다.
한편, 기지국(610)이 단말(630)의 서빙 기지국이고, 두 기지국(610, 620)은 단말(630)의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단말(630)이 무선 자원 할당 영역 2에 해당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기지국(610)의 1번 빔이 단말(630)의 선호 빔이고 기지국(620)의 5번 빔이 단말(630)에게 강한 간섭으로 작용하는 빔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네트워크 MIMO 방식에 따라 두 기지국(610, 620)은 동일한 데이터(Si, Si+1)를 복수의 안테나(611-614, 621-624)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610)은 데이터(Si, Si+1)에 1번 빔의 빔형성 가중치([wbs1,a1,b1 wbs1,a2,b1 wbs1,a3,b1 wbs1,a4,b1]T)를 곱해서 이들을 해당하는 안테나(611-614)를 통해 단말(630)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620)은 데이터(Si, Si+1)에 5번 빔의 빔형성 가중치([wbs2,a1,b5 wbs2,a2,b5 wbs2,a3,b5 wbs2,a4,b5]T)을 곱해서 이들을 해당하는 안테나(621-624)를 통해 단말(6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두 기지국(610, 620)이 협력을 통하여 동일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동일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매크로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빔형성이 적용된 STC 방식에 따라 두 기지국(610, 620)은 시공간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수의 안테나(611-614, 621-624)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기지국(710)은 데이터(Si, -S* i+1)에 1번 빔의 빔형성 가중치([wbs1,a1,b1 wbs1,a2,b1 wbs1,a3,b1 wbs1,a4,b1]T)를 곱하고, 이들을 차례로 해당하는 안테나(611-614)를 통해 단말(630)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620)은 데이터(S* i, Si+1)에 5번 빔의 빔형성 가중치([wbs2,a1,b5 wbs2,a2,b5 wbs2,a3,b5 wbs2,a4,b5]T)을 곱하고, 이들을 차례로 해당하는 안테 나(621-624)를 통해 단말(6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두 기지국(610, 620)이 협력을 통하여 동일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동일 데이터를 단말(630)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시공간 부호화에 따른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에 대하여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고하면, 한 기지국(기지국 1)은 무선 자원을 시간적으로(즉, 심볼 인덱스 방향으로) 복수의 그룹, 예를 들면 3개의 그룹(811, 812, 813)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그룹(811, 812, 813)에 각각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 2 및 3을 할당한다. 도 8b를 참고하면, 다른 기지국(기지국 2)도 무선 자원을 시간적으로 복수의 그룹(821, 822, 823)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그룹(821, 822, 823)에 각각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 2 및 3을 할당한다.
도 9a를 참고하면, 기지국 1은 무선 자원을 주파수적으로(즉, 부반송파 인덱스 방향으로) 복수의 그룹, 예를 들면 3개의 그룹(911, 912, 913)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그룹(911, 912, 913)에 각각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 2 및 3을 할당한다. 기지국 2도 무선 자원을 주파수적으로 복수의 그룹(921, 922, 923)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그룹(921, 922, 923)에 각각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 2 및 3을 할당한다.
도 8a 내지 도 9b에서,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 및 2는 기지국 1 및 2가 같이 사용할 수 있지만, FFR 방식이 적용되는 무선 자원 할당 영역 3은 두 기지국 중 하나의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 1)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8a 및 도 8b에서는 무선 자원을 시간적으로 분배하고, 도 9a 및 도 9b에서는 무선 자원을 주파수 방향으로 분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시간 및 주파수의 2차원적으로 분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 간 간섭 완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자원 할당 영역 1, 2 및 3에서의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네트워크 MIMO 방식을 사용한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STC 방식을 사용한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1)

  1. 기지국에서 셀 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단말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 없이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제1 단말에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속한 제2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기지국과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인접 기지국이 전송하는 데이터와 동일한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하여 빔형성이 적용된 시공간 다중화(space time code, STC)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전송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속한 제3 단말에 제3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은 동일한 자원과 서로 다른 빔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이 빔형성(beamforming)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2 그룹에 속한 제3 단말에 제3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 없이 빔형성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제2 그룹에 속한 제4 단말에 제4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3 그룹에 속한 제3 단말에 제3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제1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제3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3 그룹에 속한 제4 단말에 상기 제1 자원과 다른 제2 자원을 사용하여 제4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자원을 시간 방향 및 주파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배하여 상기 복수의 그룹에 각각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단말을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인접 기지국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각 단말의 상기 피드백 정보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및 서빙 기지국의 복수의 빔 중 선호 빔의 정보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간섭 셀의 인덱스 및 간섭 셀의 간섭 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은 상기 제2 그룹보다 SINR이 높은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3. 단말에서 셀 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으로서,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제1 그룹에 속하는 경우, 인접 기지국의 협력 없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제2 그룹에 속하는 경우, 상기 서빙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의 협력에 의해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인접 기지국에서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자원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다른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자원과 동일한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자원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다른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 자원인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상기 서빙 기지국의 복수의 빔 중 선호 빔의 정보 및 간섭 셀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은 상기 제2 그룹보다 SINR이 높은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19. 기지국에서 셀 간 간섭을 완화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단말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1 그룹에 속한 단말에 네트워크 다중 입출력(multi-input multi-output, MIMO) 방식을 적용하지 않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2 그룹에 속한 단말에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한 MIMO 방식을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제3 그룹에 속한 단말에 인접 기지국과의 협력을 통한 MIMO 방식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방식을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을 상기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상기 기지국의 복수의 빔 중 선호 빔의 정보 및 간섭 셀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KR1020090003509A 2008-01-16 2009-01-15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KR10120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240 WO2009091208A2 (ko) 2008-01-16 2009-01-16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US12/811,785 US8805283B2 (en) 2008-01-16 2009-01-16 Inter-cell interference relie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712 2008-01-16
KR20080004712 2008-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176A true KR20090079176A (ko) 2009-07-21
KR101207570B1 KR101207570B1 (ko) 2012-12-03

Family

ID=4133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509A KR101207570B1 (ko) 2008-01-16 2009-01-15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05283B2 (ko)
KR (1) KR1012075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3860A1 (en) * 2010-07-06 2012-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interference and enhancing coverage
US8532647B2 (en) 2010-09-29 2013-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ownlink beamforming vectors in hierarchical cell communication system
WO2014081271A1 (en) * 2012-11-26 2014-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code for inter-base station coordinated communic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331764B2 (en) 2010-09-27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interference using a feed forward index in a hierarchical cell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14571A (ko) * 2014-01-29 2016-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49809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간섭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903009B2 (en) 2018-03-26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1783A1 (en) * 2008-09-04 2010-03-10 Alcatel Lucent Method for multi-antenna signal processing at an antenna element arrangement, corresponding transceiver and corresponding antenna element arrangement
KR101712380B1 (ko) * 2010-06-14 2017-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지적 간섭 제어 방법 및 장치
US9306638B2 (en) * 2011-08-25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Backhaul enhancements for cooperative multi-point (CoMP) operations
KR102120106B1 (ko) * 2011-10-13 202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3135332A (ja) * 2011-12-26 2013-07-08 Sharp Corp 基地局装置、許容重複数決定方法、許容重複数決定プログラム、移動局装置、許容重複数通知方法及び許容重複数通知プログラム
EP2918123B1 (en) * 2012-11-08 2023-03-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um access control for uniform multiple access points coverag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10320459B2 (en) * 2013-04-10 2019-06-11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through use of transmit beamforming
WO2016089122A1 (ko) * 2014-12-02 2016-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기반으로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211289B (zh) 2015-01-29 2022-03-01 索尼公司 装置和方法
US20160269087A1 (en) * 2015-03-12 2016-09-1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millimeter wave interference and scheduling
US11012882B2 (en) 2016-09-28 2021-05-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interference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8062833A1 (ko) * 2016-09-28 2018-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0896550A (zh) * 2018-09-12 2020-03-20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950849A (zh) 2019-03-21 2022-01-18 马维尔亚洲私人有限公司 具有多个接入点的协调多用户传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893A (ko) * 2004-06-07 2012-06-12 노오텔 네트웍스 리미티드 무선 접속망에서 핸드오프 및 핸드오프 선택
KR101023366B1 (ko) * 2004-10-27 201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포밍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428268B2 (en) 2004-12-07 2008-09-23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US9071344B2 (en) 2005-08-22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interference cancellation
US8738053B2 (en) * 2005-09-21 2014-05-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a threshold for semi-orthogonal user group selection in multiuser MIMO downlink transmission
CN1992554A (zh) 2005-12-29 2007-07-04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干扰消除的方法和设备
US7526036B2 (en) 2006-04-20 2009-04-2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cooperative base station multi-user mimo networks
KR20080037398A (ko) 2006-10-26 200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협력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59666B1 (ko) 2007-02-06 2014-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코드북 기반의 협력적빔포밍 장치 및 방법
KR20080080731A (ko) 2007-03-02 200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주파수 재사용을 위한장치 및 방법
US8849353B2 (en) * 2007-04-27 2014-09-30 Alcatel Lucent Method of grouping users to reduce interference in MIMO-based wireless network
WO2008140268A2 (en) 2007-05-16 2008-11-20 Posdata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llaborative mimo
KR100905279B1 (ko) 2007-05-16 2009-06-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협력 다중입출력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3860A1 (en) * 2010-07-06 2012-0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interference and enhancing coverage
US9008707B2 (en) 2010-07-06 2015-04-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interference and enhancing coverage
US9331764B2 (en) 2010-09-27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interference using a feed forward index in a hierarchical cell communication system
US8532647B2 (en) 2010-09-29 2013-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ownlink beamforming vectors in hierarchical cell communication system
WO2014081271A1 (en) * 2012-11-26 2014-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code for inter-base station coordinated communic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461786B2 (en) 2012-11-26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code for inter-base station coordinated communic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14571A (ko) * 2014-01-29 2016-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49809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간섭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903009B2 (en) 2018-03-26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570B1 (ko) 2012-12-03
US8805283B2 (en) 2014-08-12
US20100279619A1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70B1 (ko)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US104984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channel soun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Pateromichelakis et al. On the evolution of multi-cell scheduling in 3GPP LTE/LTE-A
US1000916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Lee et al.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LTE-advanced: deployment scenarios and operational challenges
KR101498048B1 (ko) 협력적 mimo를 사용하는 셀 경계 사용자를 위한 자원할당 방법
EP2413514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4143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ell cooperative transmission
JP540095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KR101728544B1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Bartoli et al. Beamforming for small cell deployment in LTE-advanced and beyond
WO2014104114A1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4672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KR101636418B1 (ko)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13516799A (ja) ダウンリンクマルチアンテナマルチ基地局干渉協調方法と基地局
KR201000463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공조 빔 형성 장치 및 방법
Khan et al. Downlink performance of cell edge using cooperative BS for multicell cellular network
KR101566212B1 (ko) CoMP 피드백 정보의 전송 방법
Apelfröjd et al. Design and measurement-based evaluations of coherent JT CoMP: a study of precoding, user grouping and resource allocation using predicted CSI
D'Amico et al. Adv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in ARTIST4G: Interference avoidance
Giese et al. Application of coordinated beam selection in heterogeneous LTE-advanced networks
Idrees et al. Throughput maximization in clustered cellular networks by using joint resource scheduling and fractional frequency reuse-aided coordinated multipoint
WO2009091208A2 (ko) 셀 간 간섭 완화 방법
KR20110081753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정보의 피드백 방법 및 장치
Bendlin et al. Two-phase scheduling and leakage-based precoding in wireless cellula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