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98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984A
KR20090078984A KR1020080004876A KR20080004876A KR20090078984A KR 20090078984 A KR20090078984 A KR 20090078984A KR 1020080004876 A KR1020080004876 A KR 1020080004876A KR 20080004876 A KR20080004876 A KR 20080004876A KR 20090078984 A KR20090078984 A KR 2009007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lothes
rotating member
controller
draw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주
최철진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984A/ko
Publication of KR2009007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4Drawers characterised by the front pan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4Drawer hand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워(drawer), 상기 드로워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운전을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드로워 전면에 설치되는 드로워손잡이, 그리고 상기 드로워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의 손잡이에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입 및 인출시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기 컨트롤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낮은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상측에서 용이하게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드로워, 손잡이, 컨트롤러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로워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 건조기 등의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기능 또는 건조 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냄새 및 정전기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기의 경우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 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의류 처리 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상기 의류처리장치들이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와 더불어, 사용자들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의류의 성질 및 상태에 따라 미세하고 다양한 처리과정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예를들어, 속옷, 운동화 등의 의류의 성질에 따라 별도의 처리가 요구되기도 하고, 구김제거, 살균처리 등 의류의 상태에 따른 별도의 처리가 요구되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들이 점차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량의 의류 건조를 위해서 대형화된 건조기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본체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이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패널(30)은 상기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30)을 조작함으로써 세탁이나 건조 등과 같은 의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소정 공간은 드로워(drawer) 형태로 이루어져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본체(10)를 지지함과 아울러 세제, 의류 등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와 같은 받침대(20)는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지 못하여 의류를 보관하는 기능으로만 사용될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상기 받침대(20)에 상기 의류를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더라도 이를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부를 구비해야 하나, 상기 받침대(20)의 전면이 협소하여 상기 조작부를 설치하기 위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에 조작부를 구비할 경우, 이를 인식하고 조작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 받침대의 드로워에 별도의 조작부를 구비하여 보조의류처리장치로 활용하되,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부의 표시내용을 인식하여 조작할 수 있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워(drawer); 상기 드로워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운전을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드로워 전방에 설치되는 드로워손잡이; 그리고 상기 드로워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로워에 수용된 의류의 처리운전을 의류의 처리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드로워손잡이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다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회전부재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내부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위치에 의해 상기 내부회로에 포함되는 저항의 값이 변하면서 다른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 손잡이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면 또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손잡이와 상기 회전부재가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의류처리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의 전면에는 수납된 의류에 대한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액정부는 상측에서 바라보기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로워의 손잡이에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입 및 인출시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기 컨트롤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드로워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손잡이 부분에 형성되는 바, 낮은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상측에서 용이하게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종래 의류처리장치 받침대 부분(20, 도 1 참조)을 본 발명에 따라 개량한 복합의류처리장치이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는 본체라 하고,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받침대에 해당하는 개량된 부분을 보조의류처리장치라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10)과 상기 캐비넷(110)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형성되는 드로워(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120)는 내부에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드로워(120)의 일측에는 구동부(미도시)가 설치되어 드로워에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운전을 수행한다. 한편, 드로워손잡이(130)는 드로워(120) 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드로워(120)를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50)는 상기 드로워손잡이(130)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운전을 제어한다.
상기 캐비넷(110)은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측에 설치되는 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비넷(110)은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넷(110)의 후방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장치(140)가 관통하는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120)는 상기 캐비넷(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넷(110) 의 전방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드로워(120)의 양측 및 상기 캐비넷(110)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딩 바 또는 홈이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드로워(120)가 인입 및 인출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120)의 내측에는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로워(120)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의류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100)의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예로, 상기 드로워(120)가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드로워(120)의 상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뚜껑을 통해 의류가 투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드로워(120) 내부에 별도로 드럼을 구비하여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드로워(120)의 일측에는 구동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의 구동부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 및 가열된 공기를 상기 의류로 공급하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상기 구동부는 수용되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장치 및 기타 의류의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120)를 용이하게 인입 및 인출 할 수 있도록, 드로워손잡이(130)가 상기 드로워(120)의 전방에는 형성된다. 상기 드로워손잡 이(13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드로워(120) 전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로워손잡이(130)는 상기 드로워(12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로워손잡이(130)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에 다리가 걸려 상해를 입거나 상기 드로워손잡이(130)가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120) 전면은 가운데 부분의 소정부위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드로워손잡이(130)가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에 걸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는 것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손잡이(130)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기둥 및 반원형 부재 등 여러가지 형상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구동부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히터 및 송풍팬 등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드로워(120) 수용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운전내용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5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의류처리장치(100)의 전면 또는 상면에 구비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의 하측에서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상기 컨트롤러를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의류처 리장치(100)의 전면 또한 바닥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무릎의 높이에 채 이르지 않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150)가 상기 전면에 설치되더라도 사용자가 표시된 메뉴 등을 식별하는 것이 어렵고 버튼 등을 조절하는 동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120)의 전면에 드로워 손잡이(130)가 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면,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에 의해 시야가 방해받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150)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는 더욱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100)의 컨트롤러(150)는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 상에 구비되는 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컨트롤러(150)가 상기 드로워(1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시야각을 확보하는 것 또한 더욱 용이하다.
도 3은 도 2에서 드로워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형막대형태의 드로워 손잡이(130)가 상기 드로워(12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 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 상에서 양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부재(1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에 버튼(152) 등을 구비하여 의류처리 운전을 제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만,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의 기능에 따라 선택가능한 모드가 다양한 경우 상기 드로워 손잡이에 다수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50)는 회전양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 할 수 있는 회전부재(1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151)는 상기 드로워(120)의 손잡이를 축으로 양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드로워손잡이(13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회전부재(1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을 각각 다른 내용으로 제어할 수는 선택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회전부재(151) 및 드로워손잡이(13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구동부의 제어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들이 표시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표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부재(151)를 이용하여 구동부의 열풍의 세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도 5 참조), 상기 회전부재(15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열풍의 풍량에 대한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51)와 인접하는 드로워손잡이(130)에는 상기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살표 등의 포인터가 표시가 구비되어,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상기 화살표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부재(151)의 회전시켜 구동부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100)가 수행하는 다수개의 메뉴를 한 부재에 컴팩트하게 표시되는 바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드로워(120)의 전면에는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 내용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액정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50)에 의해 선택되는 내용이 표시될 수도 있고, 열풍공급, 스 팀공급 등의 진행되는 운전의 종류 또는 예상시간, 드로워 내부의 온도 등의 운전 상황에 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액정부(160)를 통해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 내용 및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액정부(160)는 상기 드로워(120) 전면이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의 후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에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정부(160)는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보다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액정부(160)는 상측에서 바라보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120)를 인입한 후,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에 구비되는 컨트롤러(150)로 운전 내용을 설정한 후 상기 액정부(160)를 통해 운전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4는 도 3에서 드로워 손잡이 및 컨트롤러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는 상기 회전부재(151)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151)와 결합되는 결합부(1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부재(151)는 상기 결합부(131)에 의해 지지되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51)의 내주면 또는 상기 결합부(131)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부재(151)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135)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51)는 상기 베어링(135)에 의해 지지되면서 용이하게 회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가 소정 길이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151)와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부재(151)의 양단의 일부가 상기 드로워손잡이(130)에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부재(151) 내부로 상기 드로워 손잡이(130)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 이외에도 상기 회전부재(15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도 5 내지 6은 상기 컨트롤러(150)의 회전부재(151)가 회전에 의해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열풍공급 운전 또는 스팀공급 운전 등의 운전내용을 설정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운전내용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의 운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회전부재(151)가 회전됨에 따라 다른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재(151)의 회전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가 제어신호로서 기능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150)가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회전부재를 포함한 컨트롤러의 경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량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부 재(151)와 연결되는 엔코더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량에 따라 상이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방식의 구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트롤러(150)의 회전부재(151)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소정의 내부회로(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재(151)의 위치에 의해 상기 내부회로의 소정 저항값이 변하여 다른 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51)에 회전하는 회전량에 대응하여 연속적인 값으로 제어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변저항(171)을 포함하는 내부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부재(151)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가변저항(171)이 연속적으로 변하면서 상이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드로워(120)로 열풍을 송풍하는 팬의 회전속도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가변저항(171)을 이용할 경우 상기 회전부재(151)의 회전량에 따라 연속적으로 팬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51)에 의해 제어되는 내용이 상기 회전부재(151)의 소정 위치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대응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재(151)의 특정위치에서 상이한 저항값에 접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팬의 회전속도가 회전부재(151)의 특정위치에 따라 단계적으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151)의 소정 위치에 따라 상기 회로에 접지되는 저항의 값이 선택적으로 변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회전부재(151)의 회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의 저항값이 변하여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였 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언급한 구성 이외에도,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서로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상응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보조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드로워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드로워 손잡이 및 컨트롤러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도,
도 5는 상기 컨트롤러의 회전부재가 회전에 의해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상기 컨트롤러의 회전부재가 회전에 의해 다른 형태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Claims (11)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워(drawer);
    상기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드로워 전면에 설치되는 드로워손잡이; 그리고
    상기 드로워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드로워손잡이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회전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부의 운전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량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내부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회로에 포함되는 저항의 값이 변하면서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손잡이는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손잡이와 상기 회전부재가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하여 구동부의 운전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드로워손잡이와 상기 회전부재가 접하는 부분을 경계로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의 운전메뉴가 표시된 표시부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운전메뉴를 지정할 수 있는 포인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전면에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수행되는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부는 상측에서 바라보기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의류의 세탁 또는 건조를 처리하는 의류처리장치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에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로워(drawer);
    상기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드로워 전면에 설치되는 드로워손잡이; 그리고
    상기 드로워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로워에 수용된 의류의 처리운전을 의류의 처리운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80004876A 2008-01-16 2008-01-16 의류처리장치 KR20090078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876A KR20090078984A (ko) 2008-01-16 2008-01-16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876A KR20090078984A (ko) 2008-01-16 2008-01-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984A true KR20090078984A (ko) 2009-07-21

Family

ID=4133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876A KR20090078984A (ko) 2008-01-16 2008-01-1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9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0792A1 (de) * 2011-06-30 2013-0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Programmgesteuerte haushaltwaschmaschine
EP3206196A1 (en) * 2012-05-29 2017-08-16 CareFusion 303, Inc. Single-item-access drawer
CN107988740A (zh) * 2017-12-28 2018-05-04 河南金土商贸有限公司 一种智能高效布料烘干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0792A1 (de) * 2011-06-30 2013-01-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Programmgesteuerte haushaltwaschmaschine
EP3206196A1 (en) * 2012-05-29 2017-08-16 CareFusion 303, Inc. Single-item-access drawer
EP3757952A1 (en) * 2012-05-29 2020-12-30 CareFusion 303, Inc. Single-item-access drawer
CN107988740A (zh) * 2017-12-28 2018-05-04 河南金土商贸有限公司 一种智能高效布料烘干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657B2 (en) Input device of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830478B1 (ko) 보조건조기
KR102214660B1 (ko) 의류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2145039B1 (en)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tr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040134237A1 (en) Integrated laundry center
KR20110130089A (ko) 세탁장치
EP2135988A1 (en) Control panel of laundry machine
BRPI1003370A2 (pt) sistema de controle de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 suja
KR101362786B1 (ko) 건조기
KR20150019706A (ko) 세탁장치의 운전방법
US1119896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20090078984A (ko) 의류처리장치
KR100917827B1 (ko) 스팀 세탁장치
EP3004449A1 (en) Method for displaying wash cycle
AU2009201721B2 (en) Laundry machine
US10036115B2 (en) Method of displa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1175853A1 (en) Integrated laundry center
KR20060111259A (ko) 리프레쉬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101418019B1 (ko) 건조기
RU2413801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белья
JP2011056145A (ja) 洗濯機及び洗濯乾燥機
KR101418020B1 (ko) 건조기
KR20140140849A (ko) 세탁 행정 표시 방법
KR20130063859A (ko) 세탁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