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499A -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499A
KR20090076499A KR1020080002487A KR20080002487A KR20090076499A KR 20090076499 A KR20090076499 A KR 20090076499A KR 1020080002487 A KR1020080002487 A KR 1020080002487A KR 20080002487 A KR20080002487 A KR 20080002487A KR 20090076499 A KR20090076499 A KR 20090076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connector
housing
connect pin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7155B1 (ko
Inventor
황만연
이두연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08000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1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는 숫(male) 커넥터부, 및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암(female) 커넥터부로 이루어진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부는, 동축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촉하는 제1 커넥트핀; 상기 제1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며, 타측에 상기 암커넥터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이외의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1 몸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1 절연체; 일측이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일측을 둘러싸며 타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 및 상기 케이블 체결부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케이블체결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제 1커넥트핀과 결합하는 제2 커넥트핀; 상기 제2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이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2 절연체;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를 둘러싸 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2 몸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지 않으며,
상기 암 커넥터부를 수평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지지부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암 커넥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Connector being able to locking}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기기들 간에는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된다. 신호가 전송되는 유무선 통신기기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연결 방법으로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기기에는 안테나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테나에는 숫 커넥터부가 설치되고, 무선 통신기기에는 암 커넥터부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 이 때 안테나 회로로의/로부터의 신호 전송을 위한 동축 케이블은 숫 커넥터부에 연결되고, 무선 통신기기 내부 회로로의/로부터의 신호 전송을 위한 동축 케이블은 암 커넥터부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기기들이 연결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플러그와 통신기기들의 내부 회로, 또는 커넥터와 통신기기들의 내부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어야 한다. 즉 종래의 방법은, 커넥터가 내부 회로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동축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야 하므로, 무선 통신기기들의 소형화 추세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선 통신기기들의 내부회로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구현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종래의 딱딱한 성질의 인쇄회로기판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 FPCB)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 나아가 연성회로기판에 커넥터를 직접 연결시킴으로써 무선 통신기기들의 회로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커넥터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커넥터의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의 락킹(locking), 즉 체결이 단순하여지면서 견고하여질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암 커넥터부와 숫 커넥터부의 체결이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는 숫(maile) 커넥터부, 및 인쇄회로기판 에 장착되는 암(femaile) 커넥터부로 이루어진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부는, 동축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촉하는 제1 커넥트핀; 상기 제1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며, 타측에 상기 암커넥터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이외의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1 몸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1 절연체; 일측이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일측을 둘러싸며 타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 및 상기 케이블 체결부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케이블체결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제 1커넥트핀과 결합하는 제2 커넥트핀; 상기 제2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이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2 절연체;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2 몸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지 않으며,
상기 암 커넥터부를 수평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지지부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암 커넥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는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부분과 상기 제1 몸체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중공의 구조이며, 일측 끝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숫 커넥터부는,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끝단과 상기 걸림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암 커넥트부와 체결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에서 벗어나서 상기 돌기부가 벌어지므로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 옆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외주면이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내주면에 압박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링을 구 비하여, 상기 제2 몸체의 돌기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 커넥터부의 일측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암 커넥터부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어, 제2 유전체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는 숫(male) 커넥터부, 및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암(female) 커넥터부로 이루어진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부는, 동축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촉하는 제1 커넥트핀; 상기 제1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며, 타측에 상기 암커넥터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이외의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1 몸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1 절연체; 일측이 상기 제 1몸체의 상기 일측을 둘러싸며 타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 및 상기 케이블 체결부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케이블체결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제 1커넥트핀과 결합하는 제2 커넥트핀; 상기 제2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이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2 절연체;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는, 상부가 튀어나온 버섯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 커넥터부를 수직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암 커넥터의 하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에 형성된 안착홀에 안착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암 커넥터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접촉되는 부분을 납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는 숫(male) 커넥터부, 및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암(female) 커넥터부로 이루어진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부는, 동축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촉하는 제1 커넥트핀; 상기 제1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며, 타측에 상기 암커넥터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이외의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1 몸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1 절연체; 일측이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일측을 둘러 싸며 타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 및 상기 케이블 체결부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케이블체결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결합하는 제2 커넥트핀; 상기 제2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이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2 절연체;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부를 수직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지지부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홀들에 각각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는 암 커넥터부와 숫 커넥터부의 체결이 단순하면서도 견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숫 커넥터부를 암 커넥터부에서 떼어낼 때 많은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킬 때, 단순하면서도 견고한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는 숫(male) 커넥터부, 및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암(female) 커넥터부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의 숫 커넥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숫 커넥터부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숫 커넥터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숫 커넥터부(110)는 제1 커넥트핀(110), 제1 절연체(120), 제1 몸체(130), 제1 하우징(140), 케이블 체결부(16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트핀(110)은 동축케이블의 신호선(170)에 접촉한다. 제1 커넥트핀(110)의 상세한 구조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커넥트핀(110)은 동축케이블의 신호선이 접촉되는 부분에 홀(180)이 설치되어, 동축케이블의 신호선과 제1 커넥트핀(110)을 접촉시킬 때 홀(180)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홀(180)이 형성됨으로써, 동축케이블의 신호선과 제1 커넥트핀(1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되돌아가, 제1 절연체(120)는 제1 커넥트핀(110)과 제1 몸체(13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커넥트핀(110)과 제1 몸체(130)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제1 절연체(120)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양한 재료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몸체(130)는 제1 커넥트핀(110)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몸체(130)의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암커넥터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1 몸체(130)는 타측에 암커넥터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 이외의 암커넥터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우징(140)은 케이블 체결부(160)와 제1 몸체(130)를 둘러싸고, 케이블체결부(160)와의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1 하우징(140)은 제1 몸체(130)를 둘러싸는 케이블체결부(160)의 부분과 제1 몸체(130)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중공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140)은 일측 끝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를 구비한다.
제1 몸체(130)는 결합홈 옆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35)이 설치되어, 걸 림돌출부가 걸림턱(135)에 걸려 제1 하우징(140)이 밀리지 않도록 한다.
케이블 체결부(160)는 일측이 제1 몸체(130)의 일측을 둘러싸며 타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이 체결된다.
제1 몸체(130)의 일측 외주면이 케이블 체결부(160)의 내주면에 압박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숫 커넥터부(100)는, 케이블체결부(160)의 끝단과 걸림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150)을 더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의 암 커넥터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암 커넥터부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5의 암 커넥터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암 커넥터부(500)는 제2 커넥트핀(510), 제2 유전체(520), 제2 몸체(530), 제2 하우징(540) 및 복수개의 지지부들(550)을 포함한다.
제2 커넥트핀(510)은 일측이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접촉하고 타측이 제1 커넥트핀(110)과 결합한다.
제2 커넥트핀(510)의 상세한 구조는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커넥트핀(510)은 제1 커넥트핀(110)과 결합되는 부분에 길게 형성된 홈(580)이 형성된다. 홈(580)이 형성됨으로써, 제1 커넥트핀(110)이 제2 커넥트핀(510)에 결합될 때 용이하도록 한다.
다시 도 5 내지 도 7로 되돌아가, 제2 절연체(520)는 제2 커넥트핀(510)과 제2 몸체(530) 사이에 설치되어, 제2 커넥트핀(510)과 상기 제2 몸체(510)를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제2 절연체(520)는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다양한 재료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2 몸체(530)는 제2 커넥트핀(510)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몸체(530)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이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570)를 구비하여, 돌기부(570)가 제1 커넥터부(110)의 결합홈에 결합된다.
또한, 제2 몸체(530)는, 제2 몸체(53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링(590)을 구비한다. 링(590)은 제2 몸체(530)의 돌기부(57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하우징(540)은 제2 몸체(530)의 외부를 둘러싸며, 제1 하우징(140)의 끝단에 접촉하여 제1 하우징(140)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수개의 지지부들(550)은 제2 몸체(530)의 일측에 형성된다.
암 커넥터부와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한 모습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다.
도 12는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인쇄회로기판과 암 커넥터부를 결합한 모습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210)의 일 측면에는 제1 안착홈(1220)이 형성된다. 암 커넥터부(500)가 4개의 지지부들(550)을 구비하므로(도 7 참조), 4개의 제1 안착홈들(1220)이 형성된다.
암 커넥터부(500)를 수평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1210)의 측면에 결합시키면서, 지지부들(550)을 제1 안착홈들(1220)에 안착시킴으로써, 암 커넥터부(500)가 인쇄회로기판(1210)에 고정된다.
다시, 도 5 내지 도 7로 되돌아가, 암 커넥터부(500)의 일측면과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사이에 공간(560)이 형성되어, 암 커넥터부(500)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560)을 형성함으로써, 제2 절연체(520)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의 결합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를 결합한 형태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숫 커넥터부(100)의 타측이 암 커넥터부(500)로 삽입되어 결합한다. 암 커넥터부(500)의 타측 끝단에는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570)가 구비되고, 숫 커넥터부(100)의 타측에 암 커넥터부(500)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 이외의 암커넥터부(500)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우므로, 돌기부(570)가 결합홈에 결합되어, 숫 커넥터부(100)와 암 커넥터부(500)가 체결된다.
제1 하우징(140)의 끝단이 제2 하우징(240)과 제2 몸체(230)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제2 몸체(23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숫 커넥터부(100)와 상기 암 커넥터부(500)의 체결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유전체(120)와 제2 유전체(52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공간이 생기 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숫 커넥터부(100)와 암 커넥터부(500)를 결합시킬 때, 제1 유전체(120) 및 제2 유전체(52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 하우징(140)을 암 커넥터부(500)와 체결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 하우징(140)의 끝단이 제2 하우징(240)과 제2 몸체(230) 사이의 공간에서 벗어나서 돌기부(570)가 벌어지므로 숫 커넥터부(100)와 암 커넥터부(500)의 체결이 풀린다.
제2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락키이 가능한 커넥터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숫 커넥터부의 구조를 서로 동일하고,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의 결합 구조도 서로 동일하다.
다만, 암 커넥터부의 구조가 다른 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암 커넥터부의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의 암 커넥터부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암 커넥터부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암 커넥터부(1000)는 제2 커넥트핀(1010), 제2 유전체(1020), 제2 몸체(1030) 및 제2 하우징(1040)을 포함한다.
암 커넥터부(500)의 구성요소들 중 복수개의 지지부들(550)이 암 커넥터부(1000)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는다.
또한, 암 커넥터부(1000)는 상부가 튀어나온 버섯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암 커넥터부와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한 모습이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다.
도 15는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인쇄회로기판과 암 커넥터부를 결합한 모습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암 커넥터부(1000)를 수직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1510)에 결합시키면서 암 커넥터(1000)의 하부를 인쇄회로기판(15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안착홀에 안착시켜 고정시키고, 암 커넥터부(1000)와 인쇄회로기판(1510)이 접촉되는 부분(1520, 1530)을 납땜시킨다.
제3 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락키이 가능한 커넥터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숫 커넥터부의 구조를 서로 동일하고,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의 결합 구조도 서로 동일하다.
다만, 암 커넥터부의 구조가 다른 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암 커넥터부의 다 른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9는 인쇄회로기판과 암 커넥터부를 결합한 모습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0은 도 19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1810)의 중앙부에 5개의 홀들(1820)이 형성된다. 이 홀들은 숫 커넥터부(1900)의 지지부들을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홀들(1820)이 인쇄회로기판(18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들(1820)의 개수가 5개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암 커넥터부(1900)를 수직방향으로 인쇄회로기판(1810)에 결합시키면서 지지부들을 인쇄회로기판(1810)에 형성된 홀들(1820)에 각각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 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의 숫 커넥터부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숫 커넥터부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숫 커넥터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1 커넥트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의 암 커넥터부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암 커넥터부의 측면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암 커넥터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제2 커넥트핀의 사시도.
도 9는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를 결합한 형태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의 암 커넥터부의 측면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암 커넥터부의 정면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인쇄회로기판과 암 커넥터부를 결합한 모습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인쇄회로기판과 암 커넥터부를 결합한 모습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인쇄회로기판과 암 커넥터부를 결합한 모습의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측면도.

Claims (18)

  1.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는 숫(maile) 커넥터부, 및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암(femaile) 커넥터부로 이루어진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부는,
    동축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촉하는 제1 커넥트핀;
    상기 제1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며, 타측에 상기 암커넥터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이외의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1 몸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1 절연체;
    일측이 상기 제 1몸체의 상기 일측을 둘러싸며 타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 및
    상기 케이블 체결부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케이블체결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제 1커넥트핀과 결합하는 제2 커넥트핀;
    상기 제2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이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2 절연체;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2 몸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지 않으며,
    상기 암 커넥터부를 수평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지지부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암 커넥터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는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부분과 상기 제1 몸체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중공의 구조이며, 일측 끝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숫 커넥터부는,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끝단과 상기 걸림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암 커넥트부와 체결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에서 벗어나서 상기 돌기부가 벌어지므로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옆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락킹 가능한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외주면이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내주면에 압박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링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몸체의 돌기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부의 일측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암 커넥터부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어, 제2 유전체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7.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는 숫(maile) 커넥터부, 및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암(femaile) 커넥터부로 이루어진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부는,
    동축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촉하는 제1 커넥트핀;
    상기 제1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며, 타측에 상기 암커넥터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이외의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1 몸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1 절연체;
    일측이 상기 제 1몸체의 상기 일측을 둘러싸며 타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이 체결되는 케이블 체결부; 및
    상기 케이블 체결부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케이블체결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결합하는 제2 커넥트핀;
    상기 제2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이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2 절연체;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2 몸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지 않으며,
    상기 암 커넥터는, 상부가 튀어나온 버섯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 커넥터부를 수직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암 커넥터의 하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에 형성된 안착홀에 안착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암 커넥터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접촉되는 부분을 납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는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부분과 상기 제1 몸체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중공의 구조이며, 일측 끝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숫 커넥터부는,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끝단과 상기 걸림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암 커넥트부와 체결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에서 벗어나서 상기 돌기부가 벌어지므로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옆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락킹 가능한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외주면이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내주면에 압박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링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몸체의 돌기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부의 일측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암 커넥터부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어, 제2 유전체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13. 동축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는 숫(maile) 커넥터부, 및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암(femaile) 커넥터부로 이루어진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부는,
    동축케이블의 신호선에 접촉하는 제1 커넥트핀;
    상기 제1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동축케이블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어 결합하며, 타측에 상기 암커넥터부의 끝단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 이외의 상기 암커넥터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1 몸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커넥트핀과 상기 제1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1 절연체;
    일측이 상기 제 1몸체의 상기 일측을 둘러싸며 타측에 상기 동축케이블이 체 결되는 케이블 체결부; 및
    상기 케이블 체결부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고, 상기 케이블체결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있어 슬라이딩 가능한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부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선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제1 커넥트핀과 결합하는 제2 커넥트핀;
    상기 제2 커넥트핀을 둘러싸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지와 연결되며, 타측 끝단이 텐션을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제2 몸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커넥트핀과 상기 제2 몸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제2 절연체;
    상기 제2 몸체의 외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몸체의 측부에 복수개의 지지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2 몸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지 않으며,
    상기 암 커넥터부를 수직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시키면서 상기 지지부들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홀들에 각각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몸체를 둘러싸는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부분과 상기 제1 몸체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중공의 구조이며, 일측 끝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숫 커넥터부는,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끝단과 상기 걸림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암 커넥트부와 체결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이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공간에서 벗어나서 상기 돌기부가 벌어지므로 상기 숫 커넥터부와 상기 암 커넥터부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옆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하우징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락킹 가능한 커넥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일측 외주면이 상기 케이블체결부의 내주면에 압박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링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몸체의 돌기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부의 일측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암 커넥터부의 일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어, 제2 유전체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가능한 커넥터.
KR1020080002487A 2008-01-09 2008-01-09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KR100927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87A KR100927155B1 (ko) 2008-01-09 2008-01-09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87A KR100927155B1 (ko) 2008-01-09 2008-01-09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499A true KR20090076499A (ko) 2009-07-13
KR100927155B1 KR100927155B1 (ko) 2009-11-18

Family

ID=4133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487A KR100927155B1 (ko) 2008-01-09 2008-01-09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1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43B1 (ko) * 2011-05-12 2012-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전압 동축케이블 및 커넥터
KR200474785Y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및 커넥터 핀
KR102273250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WO2022010618A1 (en) * 2020-07-08 2022-01-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coaxial cabl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31965B1 (ko) * 2023-03-13 2023-05-15 주식회사 디팜스 동축케이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0305B (it) 1994-06-03 1997-04-29 Elettromedia Sas Connettore compatibile con linee di trasmissione audio, bilanciate e non.
US6139349A (en) * 1998-07-24 2000-10-31 Osram Sylvania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tactile feedback
KR200302281Y1 (ko) 2002-11-07 2003-01-29 주식회사 국제콘넥타 2단 구조의 내부 도전체를 갖는 고주파용 동축콘넥터
US7063565B2 (en) 2004-05-14 2006-06-2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oaxial cable connec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943B1 (ko) * 2011-05-12 2012-04-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전압 동축케이블 및 커넥터
US8568166B2 (en) 2011-05-12 2013-10-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igh-voltage coaxial cable and connector
KR200474785Y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및 커넥터 핀
WO2022010618A1 (en) * 2020-07-08 2022-01-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coaxial cabl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73250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531965B1 (ko) * 2023-03-13 2023-05-15 주식회사 디팜스 동축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155B1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181B1 (ko)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US20100159718A1 (en) Coaxial Connector
EP1289076B1 (en) Coaxi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US6431915B1 (en) RF cable connector assembly for preventing mis-mating
US7435102B2 (en) Inter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US8157572B2 (en) Modular interconnect apparatus
US9761972B2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and assembly having micro-via radial interconnect
KR100927155B1 (ko) 락킹이 가능한 커넥터
US1088665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ing the same
US7090508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KR101162659B1 (ko)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US6533610B1 (en) Low-profile RF connector assembly
US7011550B1 (en) Compound electrical connector
US8133072B2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coupling structure
JP2008041338A (ja) コネクタ
KR20060052127A (ko) 케이블 커넥터
US8398410B2 (en) Socket connector having carbon nanotube contact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metallic contacts for power transmission
US6817884B1 (en) Multi-I/O-port-41-channel connector
TWI580127B (zh) 電連接器組合
KR100905838B1 (ko) 튜너의 콘넥터
KR101207774B1 (ko) 체결이 용이한 커넥터
KR20150090655A (ko) 튜너 모듈
WO2009061099A2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KR20100044002A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