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173A -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173A
KR20090076173A KR1020080001943A KR20080001943A KR20090076173A KR 20090076173 A KR20090076173 A KR 20090076173A KR 1020080001943 A KR1020080001943 A KR 1020080001943A KR 20080001943 A KR20080001943 A KR 20080001943A KR 20090076173 A KR20090076173 A KR 2009007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gui
electronic devi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295B1 (ko
Inventor
신창범
정한철
권오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295B1/ko
Priority to US12/126,092 priority patent/US20090174653A1/en
Publication of KR2009007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295B1/ko
Priority to US15/198,935 priority patent/US997227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 통해 GUI로 제공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본 전자장치는, 외부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외부기기로 전달하고, 외부기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다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GUI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원하는 GUI-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DTV, 리모콘, GUI, GUI-아이템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 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Method for providing a part of screen displayed in display apparatus for GUI through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 메뉴나 앵커와 같은 GUI-아이템을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식에 의한 GUI는 이미 보편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마우스,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원하는 아이템으로 이동시키고, 입력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가 위치한 아이템이 지시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하지만,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원하는 아이템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번거로움은 대형화 된 TV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크고 아이템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증대된다.
또한, GUI-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의 일부분 영역 내에 밀집되어 있는 경우, 포인터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은 높은 섬세함을 요구하게 된다.
GUI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한 조작 방식을 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GUI-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GUI에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원하는 GUI-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다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외부기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는, 상기 외부기기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GUI-아이템들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포함된 GUI-아이템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화면의 일부분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동에 따라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동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화면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동의 방향과 상기 화면의 일부분이 가변되는 방향은, 일관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는 상기 외부기기와 상기 사용자 간의 거리 보다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GUI-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는, 방송수신장치이고,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원격제어장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UI 제공방법은, 전자장치에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기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상기 전자장치에 GUI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는, 상기 외부기기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GUI-아이템들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전달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달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포함된 GUI-아이템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GUI 제공방법은,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면의 일부분은,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이동에 따라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이동의 방향과 상기 화면의 일부분이 가변되는 방향은, 일관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전자장치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에 존재하는 GUI-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장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 표시되며,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중 각기 다른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변기기들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해당 주변기기로 전달하는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주변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자장치가 바라보고 있는 주변기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주변기기에 대한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다른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GUI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원하는 GUI-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 시스템은 방송수신장치의 일종인 DTV(100)와 사용자-입력장치의 일종인 리모콘(원격제어장치)(200)으로 구축된다.
DTV(100)는 방송매체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하여 사용자(U)에게 제공한다. 또한, DTV(100)는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하여 사용자(U)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a에서는 디스플레이(140)에 웹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였다.
리모콘(200)은 사용자(U)의 조작 내용을 DTV(100)로 전달하며, DTV(100)는 전달받은 사용자(U)의 조작 내용에 부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리모콘(200)에는 터치 스크린(24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1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240)에는 'DTV(100)의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으로 약칭한다.)이 표시된다.
리모콘(200)의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U)가 인식하는 크기는, DTV(100)의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U)가 인식하는 크기 보다 크다. 즉, 사용자의 눈에는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이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 보다 더 커 보인다.
이는, 1)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의 실제 크기가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의 실제 크기 보다 크거나, 2)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의 실제 크기가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의 실제 크기 보다 작지만, '사용자(U)와 리모콘(200) 간의 거리'가 '사용자(U)와 DTV(100) 간의 거리' 보다 가까운 이유에서 기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화살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리모콘(200)은 사용자(U)에 의해 공간상에서 이동가능하다. 리모콘(200)은 공간상에서 사용자(U)에 의해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리모콘(200)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사용자(U)에 의한 리모콘(200)의 이동은 디스플레이(140)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에는 사용자(U)에 의해 리모콘(200)이 디스플레이(140)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궤적을 그 리면서 좌-방향으로 이동된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이 좌-방향으로 이동된 후에도 터치 스크린(240)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이 표시되지만, 표시된 부분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리모콘(200)이 좌-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전에 표시되었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한 부분이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모콘(200)이 좌-방향으로 이동되면, 터치 스크린(240)에는 이전에 표시되었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에 대한 테두리를 좌-방향으로 이동시켰을때 테두리 내에 존재하는 부분이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리모콘(200)의 이동 방향과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이 가변되는 방향은 동일하다.
한편, 리모콘(200)이 이동되는 가상의 평면과 TV(100)의 디스플레이(140) 화면은 완전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가상의 평면 역시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자(U)에 의한 리모콘(200)의 이동이 디스플레이(140)의 화면과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U)에 의한 리모콘(200)의 이동은 디스플레이(140)의 화면과 불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불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에 의한 리모콘(200)의 이동은 디스플레이(140)의 화면과 수직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에는 사용자(U)에 의해 리모콘(200)이 가상의 평면 상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좌-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에도, 가상의 평면과 TV(100)의 디스플레이(140) 화면은 완전한 수직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가상의 평면 역시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사용자(U)에 의한 리모콘(200)의 이동은 디스플레이(140)의 화면과 불완전한 수직을 이루는 불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U)는 리모콘(200)을 들고 있는 팔을 고정시키고 손목만을 회전시켜 리모콘(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U)가 손목을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리모콘(200)은 가상의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b에는 사용자(U)에 의해 리모콘(200)이 가상의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좌-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사용자(U)의 손목 회전에 의해 리모콘(200)이 이동하는 가상의 반구면은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이 아닐 수도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이는, 사용자(U)의 손목 회전에 의한 리모콘(200)의 이동이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에서 궤적을 그 리면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U)에 의한 리모콘(200)의 이동은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이 아닌 다소 불완전한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DTV(100)와 리모콘(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100)와 리모콘(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은 이동 감지부(210), 리모콘 통신부(220), 리모콘 제어부(230), 터치 스크린(240) 및 버튼 입력부(250)을 구비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사용자(U)에 의한 리모콘(200)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후술할 리모콘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예를 들어, 2축 자이로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리모콘 통신부(220)는 DTV(100)와 RF 신호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버튼 입력부(250)에는 사용자(U)가 누름 조작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각종의 버튼들이 마련된다.
터치 스크린(240)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는 한편, 사용자(U)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도 기능한다.
리모콘 제어부(230)는 이동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통해 획득한 이동에 대한 정보(이동방향, 이동거리)를 리모콘 통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전달한다. 또한, 리모콘 제어부(230)는 버튼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 자(U)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를 리모콘 통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전달한다.
그리고, 리모콘 제어부(230)는 DTV(100)로부터 전달받은 화면을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한다.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되는 화면에는 GUI-아이템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U)는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된 GUI-아이템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리모콘 제어부(230)는 터치 스크린(240)을 통해 사용자(U)가 터치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리모콘 통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전달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100)는 방송 수신부(110), 방송 처리부(120), GUI 생성부(130), 디스플레이(140), 오디오 출력부(150), 인터넷 인터페이스(160), DTV 제어부(170) 및 DTV 통신부(18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방송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방송 처리부(120)는 영상 신호를 GUI 생성부(130)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50)로 각각 전달한다.
GUI 생성부(130)는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부가한다.
디스플레이(140)에는 GUI 생성부(130)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영상이 표시된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방송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인터넷 인터페이스(160)는 인터넷에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웹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수신한다.
DTV 제어부(170)는 인터넷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수신된 웹페이지를 가공한 후 GUI 생성부(130)로 전달하여,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도록 한다.
DTV 제어부(170)는 DTV 통신부(18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U)의 조작 내용(리모콘(200)의 이동 정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 터치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을 기초로 사용자(U)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U) 명령에 따라 D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방송수신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200)의 터치 스크린(240)을 통해 사용자(U)에게 GUI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1) 좌측에 도시된 단계들은 리모콘(2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며, 2) 우측에 도시된 단계들은 DTV(1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며, 3) 중앙에 도시된 문구들은 리모콘(200)과 DTV(100) 간에 송수신되는 메세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에 마련된 버튼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자(U)로부터 리모콘 화면표시 명령이 입력되면(S410-Y), 리모콘 제어부(170)는 리모콘 통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초기 화면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다(S415).
'리모콘 화면표시 명령'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200)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은 DTV(100)의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라고 전술한 바 있다.
초기 화면 요청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DTV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화면의 중앙부'(이하,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부'로 약칭)에 대한 데이터를 DTV 통신부(18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 전송한다(S420).
현재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화면이 HTML로 작성된 웹페이지인 경우, DTV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부에 대한 데이터를 HTML 형식으로 리모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리모콘 제어부(230)는 S420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화면을 터치 스크린(240)의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하며,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240)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부가 표시된다(S425).
한편, 이동 감지부(210)에서 리모콘(200)의 이동이 감지되면(S430-Y), 리모콘 제어부(230)는 리모콘 통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이동 정보를 전송한다(S435).
DTV 제어부(170)는 S435단계에서 수신한 이동 정보를 참조하여 리모콘(200)으로 전송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결정한다(S440). 이동 정보에는 리모콘(200)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S440단계에서 DTV 제어 부(170)가 리모콘(200)으로 전송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이동방향과 이동거리가 모두 고려된다.
도 5는 S440단계에서 리모콘(200)으로 전송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결정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40)의 중앙부에 위치한 테두리 내에 존재하는 화면이 S420단계에서 리모콘(200)으로 전송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부에 해당한다.
S435단계에서 수신한 이동 정보를 통해 리모콘(200)이 좌-방향으로 10cm 만큼 이동된 것으로 판명되면, S440단계에서 DTV 제어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40)의 좌측 부분에 위치한 테두리 내에 존재하는 화면을 리모콘(200)으로 전송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으로 결정한다.
한편, S435단계에서 수신한 이동 정보를 통해 리모콘(200)이 우상-방향으로 15cm 만큼 이동된 것으로 판명되면, S440단계에서 DTV 제어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40)의 우상 부분에 위치한 테두리 내에 존재하는 화면을 리모콘(200)으로 전송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으로 결정한다.
이후, DTV 제어부(170)는 S440단계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DTV 통신부(18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 전송한다(S445).
그러면, 리모콘 제어부(230)는 S445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화면을 터치 스크린(240)의 크기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하며,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240)에는 S440단계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이 표시된다(S450).
S45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되는 화면에는 GUI-아이템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된 "SEARCH" 및 그 위에 표시된 입력용 윈도우는 GUI-아이템에 해당한다. 사용자(U)는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된 GUI-아이템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355)에 표시된 GUI-아이템이 사용자(U)에 의해 터치되면(S455-Y), 리모콘 제어부(230)는 리모콘 통신부(220)를 통해 터치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460).
그러면, DTV 제어부(170)는 수신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어떤 GUI-아이템을 선택하였는지 파악하고, 파악된 GUI-아이템이 지시하는 기능을 실행한다(S465).
예를 들어, 터치된 GUI-아이템이 "SEARCH"인 경우, DTV 제어부(170)는 입력용 윈도우에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인터넷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터치된 GUI-아이템이 하이퍼텍스트 앵커인 경우, DTV 제어부(170)는 그 하이퍼텍스트 앵커에 링크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인터넷 인터페이스(160)에 연결된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웹서버에 요청하게 된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200)의 터치 스크린(240)을 통해 사용자(U)에게 GUI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리모콘 화면표시 명령은 리모콘(200)에 마련된 버튼 입력부(250)를 통해 사용자(U)가 입력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입력 방식은 이에 한 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모콘(200)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240)을 터치하는 방식이나, 리모콘(200)을 좌우로 흔드는 등의 제스쳐를 통한 방식에 의해 리모콘 화면표시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리모콘 화면표시 명령 입력시,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으로 현재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화면의 중앙부를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해당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초기 화면은 현재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화면의 중앙부가 아닌 다른 부분으로 구현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은 DTV(100)가 결정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 방식에 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스크린(240)에 표시할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200)이 결정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U)가 선택한 GUI-아이템이 어느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리모콘(200)이 수행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 방식에 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DTV(100)에 의해 사용자(U)가 선택한 GUI-아이템이 어느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1) 터치 스크린(240)은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 이로 대체될 수 있고, 2) 리모콘(200)은 모바일폰,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및 UMPC(Ultra Mobile PC)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3) DTV(100) 역시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500)와 리모콘(6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600)은 촬영부(610), 리모콘 통신부(620), 리모콘 제어부(630), 터치 스크린(640) 및 버튼 입력부(650)를 구비한다.
촬영부(610)는 DTV(500)의 '디스플레이(540)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촬영한다. 촬영부(610)의 촬영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에 대한 데이터는 후술할 리모콘 제어부(630)로 전달된다.
촬영부(610)는 리모콘(600)의 아래 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600)이 도 1a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게 되면, 촬영부(61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리모콘 통신부(620)는 DTV(500)와 RF 신호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버튼 입력부(650)에는 사용자(U)가 누름 조작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각종의 버튼들이 마련된다. 터치 스크린(640)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는 한편, 사용자(U)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도 기능한다.
리모콘 제어부(630)는 촬영부(610)에 의해 촬영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 통신부(620)를 통해 DTV(500)에 전달한다. 또한, 리모콘 제어부(630)는 버튼 입력부(650)를 통해 사용자(U)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를 리모콘 통신부(620)를 통해 DTV(500)에 전달한다.
그리고, 리모콘 제어부(630)는 DTV(500)로부터 전달받은 화면을 터치 스크린(640)에 표시한다. 터치 스크린(640)에 표시되는 화면에는 GUI-아이템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U)는 터치 스크린(640)에 표시된 GUI-아이템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리모콘 제어부(630)는 터치 스크린(640)을 통해 사용자(U)가 터치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리모콘 통신부(620)를 통해 DTV(500)에 전달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500)는 방송 수신부(510), 방송 처리부(520), GUI 생성부(530), 디스플레이(540), 오디오 출력부(550), 인터넷 인터페이스(560), DTV 제어부(570) 및 DTV 통신부(580)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방송 수신부(510), 방송 처리부(520), GUI 생성부(530), 디스플레이(540), 오디오 출력부(550) 인터넷 인터페이스(560) 및 DTV 통신부(5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방송 수신부(110), 방송 처리부(120), GUI 생성부(130), 디스플레이(140), 오디오 출력부(150) 인터넷 인터페이스(160) 및 DTV 통신부(1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체가능하기에,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TV 제어부(570)는 인터넷 인터페이스(560)를 통해 수신된 웹페이지를 가공한 후 GUI 생성부(530)로 전달하여,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540)에 표시되도록 한다.
DTV 제어부(570)는 DTV 통신부(580)를 통해 리모콘(60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U)의 조작 내용(리모콘(600)의 이동 정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 터치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을 기초로 사용자(U)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U) 명령에 따라 DTV(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방송수신 시스템에서 DTV(500)의 디스플레이(540)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600)의 터치 스크린(640)을 통해 사용자(U)에게 GUI로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1) 좌측에 도시된 단계들은 리모콘(6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며, 2) 우측에 도시된 단계들은 DTV(5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며, 3) 중앙에 도시된 문구들은 리모콘(600)과 DTV(500) 간에 송수신되는 메세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600)에 마련된 버튼 입력부(650)를 통해 사용자(U)로부터 리모콘 화면표시 명령이 입력되면(S710-Y), 리모콘 제어부(670)는 촬영을 개시하도록 촬영부(610)를 제어한다(S715).
사용자에 의해 촬영부(610)에 마련된 렌즈가 DTV(500)의 디스플레이(540)를 바라보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렌즈가 리모콘(600)의 아래 면(바닥)에 위치하고, 사용자(U)가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600)을 들고 있는 경우), 촬영부(6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촬영하게 된다.
'리모콘 화면표시 명령'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600)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640)에 표시하라는 사용자의 명령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화면 의 일부분'은 DTV(500)의 디스플레이(540)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라고 전술한 바 있다.
리모콘 제어부(670)는 촬영부(610)에 의해 촬영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터치 스크린(640)에 표시하는 한편(S720), 리모콘 통신부(620)를 통해 DTV(500)로 전달한다(S725).
그러면, DTV 제어부(570)는 S725단계에서 전달받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이 현재 디스플레이(540)에 표시된 화면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탐색한다(S730). S730단계는, DTV 제어부(570)는 'S725단계에서 전달받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과 '현재 디스플레이(540)에 표시된 화면'을 상호 비교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DTV 제어부(570)는 탐색된 부분에 존재하는 GUI-아이템들에 대한 위치들을 파악하고(S735), 파악된 GUI-아이템들에 대한 위치들의 정보를 DTV 통신부(580)를 통해 리모콘(600)으로 전달한다(S740).
이후, 터치 스크린(640)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S745-Y), 리모콘 제어부(630)는 티치된 지점에 GUI-아이템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750). 구체적으로, 리모콘 제어부(630)는 'S745단계에서 터치된 지점의 위치'가 'S740단계에서 전달받은 GUI-아이템들에 대한 위치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의해 S75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75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점에 GUI-아이템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750-Y), 리모콘 제어부(63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DTV(500)로 전송한다(S755). S755단계에서 전송되는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S745단계에서 터치된 지점에 위치하는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이다.
그러면, DTV 제어부(570)는 수신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어떤 GUI-아이템을 선택하였는지 파악하고, 파악된 GUI-아이템이 지시하는 기능을 실행한다(S760).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600)의 터치 스크린(640)을 통해 사용자(U)에게 GUI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다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리모콘 화면표시 명령은 리모콘(600)에 마련된 버튼 입력부(650)를 통해 사용자(U)가 입력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입력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방식도 가능함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부(610)의 아래 면(바닥)에 렌즈가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해당하며, 렌즈가 마련되는 위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리모콘(600)의 앞 면에 렌즈가 마련되는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600)을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시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640)에는 촬영부(610)에 의해 촬영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이 표시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S730단계에서 탐색된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DTV(500)가 리모콘(600)으로 전송하고, 리모콘(600)은 수신한 데이터에 상응하는 화면을 터치 스 크린(640)에 표시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640)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GUI-아이템이 어느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리모콘(600)이 수행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반드시 이 방식에 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DTV(600)에 의해 사용자(U)가 선택한 GUI-아이템이 어느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수행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1) 터치 스크린(640)은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로 대체될 수 있고, 2) 리모콘(600)은 모바일폰, PMP, 디지털 카메라 및 UMPC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3) DTV(500)도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체될 수 있음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시스템은 홈기기들인 에어콘(810), DVDR(DVD Reorder)(820), DTV(830), HTS(Home Theater System)(840) 및 PC(850)가 리모콘(900)과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홈기기들(810 내지 850) 각각에는 RFID 태그들(815 내지 855)이 마련되어 있다. RFID 태그들(815 내지 855)에는 자신이 속한 홈기기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DTV(830)에 마련된 RFID 태그(835)에는 DTV를 나타내는 ID가 수록되어 있다.
리모콘(900)의 앞면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 홈기기를 바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리모콘(900)은 바라보고 있는 홈기기에 마련되어 있는 RFID 태그를 읽어들여, 바라보고 있는 홈기기가 어느 것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리모콘(900)은 판단된 홈기기에 대한 메뉴화면을 사용자에게 GUI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도 8에 도시된 리모콘(9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9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900)은 리모콘 통신부(910), RFID 리더부(920), 리모콘 제어부(930), 터치 스크린(940), 버튼 입력부(950) 및 저장부(960)를 구비한다.
리모콘 통신부(910)는 홈기기들(810 내지 850)와 RF 신호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RFID 리더부(920)는 홈기기들(810 내지 850) 중 리모콘(900)의 앞면이 바라보고 있는 홈기기의 RFID 태그를 읽어들인다.
터치 스크린(940)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로 기능하는 한편, 사용자(U)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수단으로도 기능한다.
버튼 입력부(950)에는 사용자(U)가 누름 조작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각종의 버튼들이 마련된다.
저장부(940)에는 홈기기들(810 내지 850) 각각에 대한 메뉴들이 저장되어 있다.
리모콘 제어부(930)는 RFID 리더부(920)가 읽어들인 RFID 태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리모콘(900)이 어느 홈기기를 바라보도록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리모콘 제어부(930)는 판단된 홈기기에 대한 메뉴를 저장부(940)에서 읽어들인다. 이후, 리모콘 제어부(930)는 읽어들인 메뉴를 터치 스크린(94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GUI로 제공한다.
사용자(U)는 터치 스크린(940)에 표시된 메뉴화면에 나타나 있는 메뉴-아이템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940)에 표시된 메뉴-아이템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리모콘 제어부(930)는 리모콘 통신부(910)를 통해 터치된 메뉴-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해당 홈기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홈기기는 리모콘(900)으로부터 수신한 메뉴-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어떤 메뉴-아이템을 선택하였는지 파악하고, 파악된 메뉴-아이템이 지시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의 또 다른 이동 방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와 리모콘의 상세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송수신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GUI로 제공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40단계의 부연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TV와 리모콘의 상세 블럭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방송수신 시스템에서 DTV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리모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GUI로 제공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시스템에 대한 도면, 그리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모콘의 상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500 : DTV 140, 540 : 디스플레이
170, 570 : DTV 제어부 180, 580 : DTV 통신부
200, 600 : 리모콘 210 : 이동 감지부
220, 620 : 리모콘 통신부 230, 630 : 리모콘 제어부
240, 640 : 터치 스크린 610 : 촬영부

Claims (21)

  1. 디스플레이;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외부기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는, 상기 외부기기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GUI-아이템들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포함된 GUI-아이템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상기 화면의 일부분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동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동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화면의 일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이동의 방향과 상기 화면의 일부분이 가변되는 방향은, 일관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장치와 사용자 간의 거리는 상기 외부기기와 상기 사용자 간의 거리 보다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GUI-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방송수신장치이고,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원격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전자장치에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기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상기 전자장치에 GUI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는, 상기 외부기기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GUI-아이템들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전달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명령을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포함된 GUI-아이템들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GUI-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상기 화면의 일부분은,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이동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이동의 방향과 상기 화면의 일부분이 가변되는 방향은, 일관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7. 디스플레이;
    전자장치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에 존재하는 GUI-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이 표시되며,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화면의 일부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하는 크기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전자장치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중 각기 다른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주변기기들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해당 주변기기로 전달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상기 주변기기들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자장치가 바라보고 있는 주변기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주변기기에 대한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080001943A 2008-01-07 2008-01-07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KR10143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943A KR101434295B1 (ko) 2008-01-07 2008-01-07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12/126,092 US20090174653A1 (en) 2008-01-07 2008-05-23 Method for providing area of image displayed on display apparatus in gui form us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5/198,935 US9972279B2 (en) 2008-01-07 2016-06-30 Method for providing area of image displayed on display apparatus in GUI form us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943A KR101434295B1 (ko) 2008-01-07 2008-01-07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173A true KR20090076173A (ko) 2009-07-13
KR101434295B1 KR101434295B1 (ko) 2014-09-25

Family

ID=4084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943A KR101434295B1 (ko) 2008-01-07 2008-01-07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090174653A1 (ko)
KR (1) KR1014342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03A (ko) * 2010-10-06 2012-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에서의 ui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KR20140125174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491648B1 (ko) * 2012-12-28 2015-02-09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촬영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739966B2 (en) 2014-05-28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295B1 (ko) * 2008-01-07 2014-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9520743B2 (en) 2008-03-27 2016-12-13 Echostar Technologies L.L.C.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remote control electronics
US8082455B2 (en) * 2008-03-27 2011-12-2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ower state of remote control electronics
US8009054B2 (en) 2008-04-16 2011-08-3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low battery detection threshold of a remote control
US7907060B2 (en) * 2008-05-08 2011-03-1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placement of a battery in a remote control
US8239896B2 (en) * 2008-05-28 2012-08-0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Integration of control data into digital broadcast content for access to ancillary information
US20090303097A1 (en) * 2008-06-09 2009-12-1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ging an operational mode of a remote control
US8305249B2 (en) * 2008-07-18 2012-11-06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s
KR20100045188A (ko) * 2008-10-23 2010-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KR20100075009A (ko) 2008-12-24 201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장치
GB0823591D0 (en) * 2008-12-30 2009-01-28 Eldon Technology Ltd A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broadcast programming
US8134475B2 (en) * 2009-03-16 2012-03-13 Echostar Technologies L.L.C. Backlighting remote controls
TW201044216A (en) * 2009-06-05 2010-12-16 Prime View Int Co Ltd Wireless op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10183654A1 (en) * 2010-01-25 2011-07-28 Brian Lanier Concurrent Use of Multiple User Interface Devices
US8990702B2 (en) * 2010-09-30 2015-03-24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ed display
US9021354B2 (en) * 2010-04-09 2015-04-28 Apple Inc. Context sensitive remote device
DE102010035155A1 (de) * 2010-08-23 2012-02-23 Amedo Smart Tracking Solutions Gmbh Positionsbestimmung mittels RFID-Tags
US20130036442A1 (en) * 2011-08-05 2013-02-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selection of elements in video content
JP5987299B2 (ja) 2011-11-16 2016-09-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613227B1 (en) * 2012-01-06 2020-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175631A1 (ja) * 2012-05-25 2013-11-28 任天堂株式会社 操作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140168098A1 (en) * 2012-12-17 2014-06-1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EP2871634A1 (en) 2013-11-06 2015-05-13 Thomson Licensing Color improvement of selected part of an image
KR102194262B1 (ko) * 2013-12-02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GB2551056A (en) * 2015-03-03 2017-12-06 Purple Deck Media Inc A networked computer system for remote RFID device management and tracking
KR20180005377A (ko) * 2016-07-06 201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BR112020012440A8 (pt) * 2017-12-28 2023-03-07 Opentv Inc Sistema,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o, e, método
EP3557397A1 (de) * 2018-04-20 2019-10-23 Interactive Scape GmbH Steuer- und verarbeitungseinheit für einen berührungsempfindlichen bildschirm, system damit und verfahren zur verwendung
TWI736039B (zh) * 2019-11-26 2021-08-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擴充控制裝置及影像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6720A (ja) * 1990-01-22 1991-09-24 Fujitsu Ltd デジタイザによる座標入力方法
AU2902395A (en) * 1994-06-17 1996-01-1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sharing in a graphic user interface
KR0164089B1 (ko) * 1995-12-20 1998-12-01 양승택 무선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US7215376B2 (en) * 1997-10-06 2007-05-08 Silicon Image, Inc. Digital video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US6931661B2 (en) * 2000-10-19 2005-08-16 Motorola, Inc. Dynamic image provisioning
US6755533B2 (en) * 2001-11-29 2004-06-29 Palm, Inc. Moveable display device for three dimensional image creation
US6710754B2 (en) * 2001-11-29 2004-03-23 Palm, Inc. Moveable output device
KR20030052648A (ko) * 2001-12-21 200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데이터방송의 컨텐츠를네비게이션하는 방법
CN1268122C (zh) * 2002-07-23 2006-08-0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示方法及投影机
US20040041791A1 (en) * 2002-08-30 2004-03-04 Mr. Garrett Dunker Keyboard touchpad combination
JP4059802B2 (ja) * 2003-04-17 2008-03-12 株式会社サピエンス 画像表示方法
US20040263424A1 (en) * 2003-06-30 2004-12-30 Okuley James M. Display system and method
JP2006236073A (ja) * 2005-02-25 2006-09-07 Sony Corp 表示装置
US7460136B2 (en) * 2005-08-19 2008-12-02 Seiko Epson Corporation Efficient scaling of image data in graphics display systems
US7855714B2 (en) * 2006-09-01 2010-12-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20080150921A1 (en) * 2006-12-20 2008-06-26 Microsoft Corporation Supplementing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data set
KR101434295B1 (ko) * 2008-01-07 2014-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WO2013133478A1 (en) * 2012-03-04 2013-09-1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60370A (ko) * 2013-11-26 2015-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차량 전자 장치 및 휴대 단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03A (ko) * 2010-10-06 2012-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에서의 ui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러
KR101491648B1 (ko) * 2012-12-28 2015-02-09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촬영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5174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739966B2 (en) 2014-05-28 2020-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11188208B2 (en) 2014-05-28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11726645B2 (en) 2014-05-28 2023-08-15 Samsung Electronic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3807A1 (en) 2016-10-27
US9972279B2 (en) 2018-05-15
US20090174653A1 (en) 2009-07-09
KR101434295B1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29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면의 일부분을 전자장치를통해 gui로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11175726B2 (en) Gesture actions for interface elements
WO2022022495A1 (zh) 一种跨设备的对象拖拽方法及设备
JP6366309B2 (ja) ユーザ機器のオブジェクト運用方法及び装置
US10009849B2 (en) Mobile client device, oper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50077362A1 (en) Terminal with fingerprint reader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through fingerprint reader
US9338359B2 (en) Method of capturing an image in a device and the device thereof
US9268407B1 (en) Interface elements for managing gesture control
US20170277499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ark information related to image, and terminal therefor
KR102308201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42215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image area using image sensor location
CN111031398A (zh) 一种视频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2015007949A (ja)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87236B1 (ko) 프리뷰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9703577B2 (en)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using short run indicator on terminal device
US20160188021A1 (en) Method of receiving user input by detecting movement of user and apparatus therefor
US20170180634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9521940B (zh) 移动终端装置、操作方法和存储介质
CN109033473B (zh) 图片分享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58575A (zh) 终端执行处理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613053B (zh) 视频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732133B (zh) 消息处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207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20150121565A (ko)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91648B1 (ko) 촬영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