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927A - 자동전압조정기 - Google Patents

자동전압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927A
KR20090075927A KR1020080001577A KR20080001577A KR20090075927A KR 20090075927 A KR20090075927 A KR 20090075927A KR 1020080001577 A KR1020080001577 A KR 1020080001577A KR 20080001577 A KR20080001577 A KR 20080001577A KR 20090075927 A KR20090075927 A KR 20090075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voltage
switch unit
mai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985B1 (ko
Inventor
이명환
Original Assignee
이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환 filed Critical 이명환
Priority to KR102008000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9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1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tap transformers or tap changing inductor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전압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로이달 단권 변압기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 레벨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동전압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전압조정기는,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권선;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주여자권선;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복수의 부여자권선들;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주여자권선에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며,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호 직렬 연결되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 및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 상기 부여자권선 중 하나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상기 주여자권선 및 상기 부여자권선의 선택적 연결에 의해 생성되는 직렬 연결의 끝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입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 레벨이 출력되도록 정밀한 전압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절전 동작 및 전압 부스터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1 볼트 이하의 오차범위에서 입력 전압을 원하는 목표 전압으로 승압/감압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릴레이 스위칭 회로로 구성되고 반도체 스위칭 소자들을 배제함으로써, 상이한 계통 환경에 대해서도 적응적으로 동작가능하고 별도의 변경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출력 탭을 형성하거나, 많은 수의 보조 코일을 형성하지 않고, 더 넓은 범위에서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전압 조정폭에서는 어떠한 값으로도 정확히 출력할 수 있다.
자동전압조정기, 절전기, 토로이달 변압기

Description

자동전압조정기{AUTOMATIC VOLTAGE REGULATOR}
본 발명은 자동전압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로이달 단권 변압기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 레벨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자동전압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토로이달 변압기를 이용한 자동전압조정기는 다양한 변압기 권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어느 경우나, 출력 전압은 1,2차 코일의 권선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원하는 전압에 맞도록 코일을 감도록 하고, 혹은 여러 개의 출력 탭을 두어 다양한 전압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권 변압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권선(100)에 여자되는 여자권선(200)에 복수의 탭(a,b,c)을 두어 다양한 레벨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주권선(100)에 220V의 전압이 인가될 때, 주권선(100) 양단에 20V 전압이 인가되고, 여자권선(200)의 각각의 탭이 5V씩 감압하도록 설계되었다면, 제1 탭(a)으로부터 200V, 제2 탭(b)으로부터 205V, 제3 탭(c)으로부터는 210V의 전압을 출력단 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자동전압조정기는 편차가 큰 이산된 출력전압, 예컨대 전술한 예에서는 5V의 편차를 갖는 200V, 205V, 210V의 출력전압들에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밀한 전압조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이, 정밀성이 떨어지는 종래 자동전압조정기는 사용자에게 매우 큰 불편을 끼치고 있다. 정밀성이 떨어지는 자동전압조정기를 이용한 절전기의 경우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15층의 고층 아파트의 경우, 배전반이 지하에 있어 1층에는 약 235 볼트가 제공되지만 고층으로 갈수록 공급전압이 떨어져 15층에는 205 볼트 정도의 전압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은 205 볼트의 전압이 공급될 때 안정적으로 동작가능한데, 약 10 볼트를 다운시키는 절전기를 가구마다 설치하여 사용할 때 215 이하의 전압이 공급되는 가정에서는 부적절한 절전기의 사용으로 안정적인 전압의 하한인 205 볼트를 보장받을 수가 없다. 반면, 최고층에서는 오히려 안정적인 전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승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층 아파트의 경우, 수용가에 제공되는 계통 전압이 낮은 층과 높은 층 사이에 큰 편차가 있어, 절전을 위해 감압이 요구되는 층과 안정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승압을 요하는 층으로 나뉘게 되며, 그 넓은 편차를 모두 만족시키면서도 정밀하게 제어하지 못해 사용자들이 매우 불편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매우 정밀한 전압 레벨을 제공하여 적절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전압조정기를 제공한다.
한편, 종래 전력전자 계통에서의 자동전압조정기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주변압기, 여자변압기, 검출변압기, 고감도 실효치 검출 회로, 고속 A/D 변환회로, 트라이악 스위칭 회로 등 복잡한 여러 단계의 구성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고가의 실험장비 등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될 만큼 고가여서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있는 시장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장치들은 계통 전압의 주파수 및 레벨이 상이한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기 때문에, 전력 환경을 고려하여 제품 제작을 별도로 진행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력용 반도체 회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운영되어 전력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정밀한 전압 조정을 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자동전압조정기가 편차가 큰 이산의 출력전압 레벨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은, 2차 코일에 고정적으로 형성된 탭으로부터 출력전압을 출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기술적 한계는 토로이달 코어에 대한 권선 방식이 매우 제한적으로 운영되어 왔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현재, 토로이달 코어는 주권선을 감고, 거기에 일정 두께의 코일을 감으면서 입출력 탭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여자권선을 형성하고 있다. 만약, 토로이달 코어의 주권선과 여자권선 사이에 도통되지 않는 코일이 삽입되면, 운영시 중간에 삽입된 코일에 연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탭에서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여자권선과 이들을 여자시키는 주권 선만을 감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토로이달 코어의 권선방식을 개선하여 다양한 레벨의 유도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로이달 코어의 권선방식에 큰 제한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정밀한 출력 전압을 승압 및 감압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내용에 착안한 것으로서, 연속적인 전압 레벨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정밀한 전압 조정을 가능한 자동전압조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토로이달 변압기의 권선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다양한 전력환경에서 운용가능한 자동전압조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권선;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주여자권선;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복수의 부여자권선들;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주여자권선에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며,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호 직렬 연결되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 및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 상기 부여자권선 중 하나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상기 주여자권선 및 상기 부여자권선의 선택적 연결에 의해 생성되는 직렬 연결의 끝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입력단 중 하나 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로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부가 상기 직렬 연결의 끝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목표전압이 상기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부가 상기 직렬 연결의 끝단을 상기 기준전위에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른,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주권선;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고, 일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여자권선;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복수의 부여자권선들;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주여자권선에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며,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호 직렬 연결되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3 스위치부; 상기 제3 스위치부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 및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 상기 부여자권선 중 하나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제3 스위치부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며;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제3 스위치부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전압조정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표 전압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권선은 토로이달 코어에 권선되고, 상기 주여자권선은 상기 주권선을 감싸도록 권선되고, 상기 부여자권선은 상기 주여자권선을 감싸도록 권선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주권선은 토로이달 코어에 권선되고, 상기 주여자권선은 상기 주권선을 감싸도록 상기 토로이달 코어에 권선되고,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 중 일부는 상기 주여자권선과 상기 토로이달 코어를 분할하여 상기 주권선을 감싸도록 권선되고,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 중 나머지는 상기 주권선을 감싸고 있는 상기 주여자권선 및 상기 일부의 부여자권선을 감싸도록 권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 중 일부의 권선은 제2의 토로이달 코어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릴레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동전압조정기는,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4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입력전압의 레벨이 소정 허용범위 내의 전압차를 갖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출력단으로 바이패스 되도록 상기 제4 스위치부를 턴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권선;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주여자권선;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 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일단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상기 가변저항의 타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입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로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가변저항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목표전압이 상기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가변저항의 타단을 상기 기준전위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주권선;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고, 일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여자권선; 일단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며;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 레벨이 출력되도록 정밀한 전압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절전 동작 및 전압 부스터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1 볼트 이하의 오차범위에서 입력 전압을 원하는 목표 전압으로 승 압/감압하여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릴레이 스위칭 회로로 구성되고 반도체 스위칭 소자들을 배제함으로써, 상이한 계통 환경에 대해서도 적응적으로 동작가능하고 별도의 변경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출력 탭을 형성하거나, 많은 수의 보조 코일을 형성하지 않고, 더 넓은 범위에서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전압 조정폭에서는 어떠한 값으로도 정확히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AVR)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자동전압조정기는 주권선(1), 주여자권선(2), 제1 스위치부(3), 복수의 부여자권선(4a~4d), 제2 스위치부(5a~5d), 제3 스위치부(6), 제4 스위치부(7), 레벨측정부(8), 입력부(9), 가변저항(10) 및 제어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권선(1)은 그 일단이 전압을 입력받는 입력단(L1)의 일단 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출력단(L2)에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입력단(L1)에 계통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위로서 기준전위(N)에 대해 220[V]의 전압이 입력된다면, 주권선(1)의 양단에는 16[V]의 전위가 형성되도록 주권선(1)이 권선되어 있다.
주여자권선(2)은 주권선(1)에 여자되고, 일단(2a)은 출력단(L2) 및 기준전위(N)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여자권선(2)은 일단(2a)이 출력단(L2)에 연결될 때 220[V]의 입력전압에 대해 204[V]의 전위가 양단에 형성되도록 권선되어 있다. 즉, 주여자권선(2)의 일단(2a)이 출력단(L2)에 연결될 때 가극성의 단권변압기 구성과 동일해지도록, 주권선(1)과 주여자권선(2)의 권선 방향이 결정되어 있음을 주의한다.
제1 스위치부(3)는 주여자권선(2)의 일단(2a)을 출력단(L2) 또는 기준전위(N)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위칭 소자로 알려진 다양한 반도체 소자, 릴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전력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스위치부를 릴레이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복수의 부여자권선(4a~4d)은 주권선(1)에 여자되고, 제2 스위치부(5a~5d)의 스위칭 동작으로 선택적으로 주여자권선(2)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다. 부여자권선은 주여자권선(2)의 타단에 연결되는 단위로 구별하여 다수로 카운트 되었으며, 각각의 부여자권선은 주권선(1)에 여자되어 유도되는 유도전압이 일정 크기가 되도록 권선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부여자권선(4a~4d) 각각은 예컨대, 주여자권선(2)의 양단에 204[V]가 걸릴 때 2n-1[V](n=1,2,3,4)의 전위가 각각 유도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여자권선(4a~4d)은 제2 스위치부(5a~5d)에 1:1 대응하여 스위칭되며,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4a~4d)이 직렬로 연결될 때 부여자권선(4a~4d) 상호간에도 직렬 연결된다. 부여자권선(4a~4d)이 직렬 연결되지 않을 때 제2 스위치부(5a~5d)는 바이패스되도록 스위칭 조작된다. 부여자권선은 가산될 때 다양한 전압레벨을 표현할 수 있도록 권선되도록 조정이 가능하므로, 예컨대 2의 배수, 3의 배수에 대응하는 전압레벨, 및 이들에 부가하여 다양한 전압레벨을 만들 수 있도록 1[V] 또는 2[V]이 부가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부여자권선(4a~4d)은 유도전압의 크기를 기준으로 권선되지 않고, 권선수를 기준으로 구별하여 형성될 수 있음에 주의한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여자권선(4a~4p)이 2n-1×10m-1(여기에서, n은 1~4의 정수이고, m은 1 이상의 정수)에 따라, 1, 2, 4, 8, 10, 20, 40, 80, 100, 200, 400, 800, 1000, 2000, 4000, 8000[turns]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스위치부(5a~5p)의 선택적인 스위칭에 의해 1~16665[turns]을 선택적으로 주여자권선(2)의 타단(2b)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1~16665[turns]으로 형성할 수 있는 유도전압을 주여자권선(2)에 유도된 전압에 부가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1[turn] 단위까지 정밀하게 조정이 가능하므로, 그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도전압의 크기는 입력전압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일정 입력전압에 대해서는 정수로 표현되는 전압레벨에 대해서는 권선수를 대응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보상해야할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권선수를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되도록 하여 입력전압을 적정하게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부여자권선(4a~4d)은 스위칭되는 단위에 따라 카운트가 가능하며, 각각은 유도전압의 크기 혹은 권선수를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5a~5d)는 복수의 부여자권선(4a~4d)을 선택적으로 주여자권선(2)의 타단(2b)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각각의 부여자권선(4a~4d)에 대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4 단자 릴레이(5a~5d)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릴레이(5a~5d)는 부여자권선(4a~4d)을 절연하는 방식(이하, "바이스패스 모드"라 한다)과, 부여자권선(4a~4d)을 상기 주여자권선(2)의 타단(2b)에 연속적으로 직렬 연결하여 부여자권선(4a~4d)에 유도된 전압만큼 출력전압을 가산시키는 방식(이하, "가산 모드"라 한다)으로 스위칭 동작한다.
제3 스위치부(6)는 주여자권선(2)의 타단(2b) 또는 이에 직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4a~4d)의 말단(6a)을 입력단(L1) 및 기준전위(N)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주목할 것은, 제1 스위치부(3)와 제3 스위치부(6)가 연동하여 스위칭된다는 점이다. 즉, 제1 스위치부(3)가 주여자권선(2)의 일단(2a)을 기준전위(N)에 연결할 때, 제3 스위치부(6)는 주여자권선(2)의 타단(2b) 또는 이에 직렬 연결된 부여자권선의 말단(6a)을 입력단(L1)에 연결하고, 반면 제1 스위치부(3)가 주여자권선(2)의 일단(2a)을 출력단(L2)에 연결할 때, 제3 스위치부(6)는 주여자권선(2)의 타단(2b) 또는 이에 직렬 연결된 부여자권선(4a~4d)의 말단(6a)을 기준전위(N)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주권선(1)과 주여자권선(2)의 상대적 권선 방향이 변경되어 가극성이 감극성으로 혹은 감극성이 가극성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입력전압에 대한 승압 및 감압이 모두 가능하게 된다.
제4 스위치부(7)는 입력단(L1)을 출력단(L2)과 직접 연결하거나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전압을 변동하지 않고 출력하고자 할 때 입력전압을 바이패스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레벨측정부(8)는 입력단(L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두치 또는 실효값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입력부(9)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출력하고자 하는 목표전압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업다운 키와 같은 입력 스위치가 형성된 패널, 원격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장치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된다. 목표전압은 디폴트로 혹은 이전에 사용자가 입력하여 저장된 값이거나, 운전 중 새롭게 갱신되는 값일 수 있다.
가변저항(10)은 제2 스위치부(5d)의 끝단에 직렬 연결되어 있고, 외부 제어 신호에 의해 저항값이 변화한다.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가변저항(10) 양단에 걸리는 전위가 변화하게 되므로, 부여자권선(4a~4d) 및 주여자권선(2)의 유도전압에 더하여 전압 조정폭이 결정된다.
따라서, 가변저항(10)이 가질 수 있는 저항값의 범위에 따라, 출력 전압의 조정 정밀도 및 조정 범위를 유지하면서도 부여자권선(4a~4d)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2에서, 부여자권선(4a~4d)들 각각이 1,2,4,8[V]를 생성하도록 권선되면 이로부터 유도되는 유도전압은 최대 15[V]이지만, 가변저항(10)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강하로 출력단의 전압레벨이 더 변화될 수 있다.
만약, 제1 부여자권선(4a) 내지 제4 부여자권선(4d)이 모두 4[V] 크기의 유도전압을 생성할 수 있도록 권선되고, 가변저항(10)이 0~4[V] 범위의 전압강하를 일으키는 저항값의 범위로 선택된다면, 부여자권선 및 가변저항(10)에 의한 전압 변동폭은 0~20[V]으로 더욱 확대되는 반면, 가변저항(10)의 저항값이 연속적인 범위에서 제어되므로 출력전압이 이 전압 변동폭에서 연속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여자권선(4a) 내지 제4 부여자권선(4d) 각각이 4,8,12,24[V]가 유도되도록 권선되어 있고, 가변저항(10)이 0~4[V] 범위의 전압강하를 일으키는 저항값의 범위로 선택될 때, 얻어지는 전압 변동폭은 0~52[V]로 확대되는 반면, 출력 전압은 이 전압 변동폭에서 연속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도3과 같이 많은 수의 부여자권선(4a~4p)을 택하지 않더라도 가변저항(10) 및 적은 수의 부여자권선을 이용하여 넓은 전압 조정폭을 확보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다만,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과 이에 대응하는 발열을 해결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적절한 저항 범위를 선택하여 이를 감수하고 부여자권선의 코일 권선 및 탭 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1)는 레벨측정부(8)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크기와 목표전압을 비교하여, 입력전압의 크기가 목표전압이 되도록 제1~4 스위치부(3,5,6,7)를 스위칭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1)의 동작을 중심으로 도2에 개시된 자동전압조정기의 전반적인 운용에 대해 목표전압 및 입력전압의 크기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i) 목표전압과 입력전압이 일치하는 경우:
입력전압이 그대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11)는 제4 스위치부(7)를 턴온하여 입력전압이 그대로 주권선(1)을 바이패스하여 출력단(L2)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ii) 목표전압이 입력전압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11)는 입력전압을 감압하여 출력되도록 제1~4 스위치부(3,5,6,7)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는 제4 스위치부(7)를 턴오프하고, 주여자권선(2)의 일단(2a)이 출력단(L2)에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부(3)를 제어하며, 주여자권선(2)의 타단(2b) 또는 이에 직렬 연결된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의 말단(6a)이 기준전위(N)에 연결되도록 제3 스위치부(6)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1)는 레벨측정부(8)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과 목표전압간의 차를 보상하도록 제2 스위치부(5a~5d)의 릴레이들(5a~5d)을 선택적으로 가산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정밀한 전압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a) 4개의 부여자권선이 220[V] 입력시 2n-1[V](n=1,2,3,4)의 전위가 각각 유 도되도록 권선되어 있고, 입력전압이 220[V]이고 목표전압이 215[V]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가변저항(10)의 저항값을 0으로 조정한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스위치부(5a~5d)의 릴레이(5a~5d)가 모두 바이패스 모드로 설정된다면 주여자권선(2)에 의해 출력단(L2)의 전압은 204[V]가 되므로, 출력전압을 목표전압으로 맞추려면 부여자권선(4a~4d)을 선택적으로 가산 모드로 변환해야 한다.
215[V]는 다음과 같은 조합으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204[V] + 8[V]+ 2[V]+ 1[V] = 215[V]
따라서, 8[V], 2[V], 1[V]에 각각 대응하는 제4 부여자권선(4d), 제2 부여자권선(4b), 제1 부여자권선(4a)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어부(11)는 제4 릴레이(5d), 제2 릴레이(5b), 제1 릴레이(5a)를 가산 모드로 스위칭하고, 제3 릴레이(5c)는 바이패스 모드로 스위칭한다. 이에 의해, 215[V]의 목표전압에 맞도록 입력전압을 감압 출력하여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부여자권선의 선택적 조합에 의해 1, 2, 3, 4,..., 14, 15[V]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즉 15개의 옵션을 얻을 수 있고, 본 예에서 정수로 설정되는 204~219[V] 범위의 목표전압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정밀한 전압 조정이 가능하므로, 목표전압에 매우 근사한 전압을 얻는 것이 가능하며, 실제 이용되는 각국별 계통의 입력전압을 고려할 때, 입력전압이 변경되더라도, 목표전압을 기준하여 최대 1[V] 오차 범위 내에서 출력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b) 입력전압이 220[V]이고 목표전압이 215[V]로 동일한 조건에서, 4개의 부여자권선이 4,8,12,24[V](n=1,2,3,4)의 전위가 각각 유도되도록 권선되어 있고, 0~4[V]의 전압 강하가 가능한 가변저항(10)에 저항값을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출력전압을 목표전압으로 맞추려면 부여자권선(4a~4d)을 선택적으로 가산 모드로 변환해야 한다.
215[V]는 다음과 같은 조합으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204[V] + 8[V](제2 부여자권선)+ 3[V](가변저항) = 215[V]
따라서, 8[V]에 대응하는 제2 부여자권선(4b)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어부(11)는 제2 릴레이(5b)를 가산 모드로 스위칭하고, 제1, 제3, 제4 릴레이(5a,5c,5d)는 바이패스 모드로 스위칭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가변저항(10)의 저항값을 조정하여 3[V]의 전압 강하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215[V]의 목표전압에 맞도록 입력전압을 감압 출력하여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a) 경우와 비교할 때, 전압 조정폭이 0~52[V]로 더욱 커지지만, 조정 범위 내에서는 어떠한 크기로도 선택 가능하다. 특히, 전압 조정폭이 주권선(1)에 걸리는 전압을 커버하므로, 제4 스위치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iii) 목표전압이 입력전압보다 높은 경우:
입력전압을 목표전압으로 승압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1)는 입력전압이 승압되어 출력되도록 제1~4 스위치 부(3,5,6,7)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는 제4 스위치부(7)를 턴오프하고, 주여자권선(2)의 일단(2a)이 기준전위(N)에 연결되도록 제1 스위치부(3)를 제어하며, 주여자권선(2)의 타단(2b) 또는 이에 직렬 연결된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4a~4d)의 말단(6a)이 입력단(L1)에 연결되도록 제3 스위치부(6)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1)는 레벨측정부(8)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과 목표전압간의 차를 보상하도록 제2 스위치부(5a~5d)의 릴레이들(5a~5d)을 선택적으로 가산 모드로 전환하고, 가변저항(10)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정밀한 전압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a) 4개의 부여자권선(4a~4d)이 220[V] 입력시 2n-1[V](n=1,2,3,4)의 전위가 각각 유도되도록 권선되어 있고, 입력전압이 220[V]이고 목표전압이 234[V]인 경우, 즉 14[V]의 승압이 필요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가변저항(10)의 저항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1)는 14[V]의 전압이 주권선(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 16[V], 주여자권선(2)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 204[V]에 더해지도록 제2 스위치부(5a~5d)를 제어한다. 즉, 유도전압이 1[V]인 제1 부여자권선(4a)을 제외한 제2~4 부여자권선(4b~4d)을 가산 모드가 되도록 제2~4 릴레이(5b~5d)를 스위칭함으로써, 14[V]를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여자권선(4a~4p)이 2n-1×10m-1(여기 에서, n은 1~4의 정수이고, m은 1 이상의 정수)에 따라, 1, 2, ..., 4000, 8000[turns]으로 구성되는 경우, 14[V]에 대응하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밝혀진 권선수만큼이 직렬 연결되도록 선택적으로 제2 스위치부(5a~5p)가 스위칭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험적으로 유도전압과 권선수가 미리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출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고 이값을 피드백하여 적정한 권선수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직렬 연결되는 권선수를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b) 입력전압이 220[V]이고 목표전압이 234[V]로 동일한 조건에서, 4개의 부여자권선(4a~4d)이 220[V] 입력시 4,8,12,24[V]의 전위가 각각 유도되도록 권선되어 있고, 0~4[V]의 전압 강하가 가능한 가변저항(10)에 저항값을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부(11)는 주권선(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 16[V], 주여자권선(2)에 의해 유도되는 전압 204[V]에 더하여, 다음과 같이, 14[V]가 부여자권선(4a~4d)의 유도전압 및 가변저항(10)에 의해 더 생성되어야 한다:
234[V] = 16[V] + 204[V] + 12[V](제3 부여자권선) + 2[V](가변저항)
즉, 제어부(11)는 유도전압 12[V]를 생성하는 제3 부여자권선(4c)이 가산모드가 되도록 제3 릴레이(5c)를 스위칭하고, 나머지 릴레이(5a,5b,5d)는 바이패스 모드로 스위칭한다. 또한, 제어부(11)는 가변저항(10)에서 2[V]의 전압강하가 일어나도록 저항값을 조정하여, 최종적으로 14[V]가 더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a)의 경우와 비교해 볼 때, 전압 조정폭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0~52[V]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전압 조정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4 스위치부(7)를 대신하여 바이패스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예에서, 도2의 부여자권선(4a~4d)은 그 대응하는 유도전압을 가변저항을 통해 생성하도록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여자권선 및 그에 대응하는 스위치부를 생략하고, 가변적인 전압 조정폭을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저항(10)에 의할 때 소비 전력 및 발열이 문제가 될 소지가 있으므로, 작은 전압 조정폭을 가질 때 혹은 이와 같은 문제점이 크게 문제되지 않고, 다층의 코일 권선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때에 한정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전압조정기는 절전이 필요한 환경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환경이 열악한 환경에서 입력전압이 전기제품의 정격전압에 미치지 못할 때에도, 자동으로 입력전압을 승압하여 정격전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제1 스위치부(3) 및 제3 스위치부(6)의 스위칭에 의해 출력 전압의 승압 또는 감압을 선택할 수 있고, 제2 스위치부(5a~5d)의 스위칭 및 가변저항(10)의 저항값 조정에 의해 승압 및 감압의 폭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가변저항(10)이 비록 전력 소비 및 발열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으나, 전압 조정폭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부여자권선을 형성하는데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4에 개시된 자동전압조정기는 도2에 개시된 것과 매우 유사한 것을 육안으로 쉽게 비교,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2에 개시된 자동전압조정기와 공통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도5를 참조하여 이와 구별되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5를 참조하면, 주권선(1)은 입력단(L1) 및 출력단(L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 제5 스위치부(12a,12b)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주권선(1)의 일단(1a)은 입력단(L1) 및 출력단(L2) 중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1b) 또한 입력단(L1) 및 출력단(L2) 중 하나에 연결된다.
반면, 가변저항(10)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기준전위(N)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도2에서는 제1 및 제3 스위치부(6)가 출력단(L2)을 중심으로 주권선(1) 및 주여자권선(2)의 상대적 권선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5 스위치부(12a,12b)의 양단을 입력단(L1) 및 출력단(L2) 중 하나에 서로 교차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이를 대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권선(1)의 일단(1a)을 입력단(L1)에, 타단(1b)을 출력단(L2)에 연결하면, 출력단(L2)에서 바라본 주권선(1)과 주여자권선(2)의 권선 방향이 동일해져 입력전압이 감압되어 출력된다. 반면, 주권선(1)의 일단(1a)을 출력단(L2)에, 타단(1b)을 입력단(L1)에 연결하면, 출력단(L2)에서 바라본 주권선(1)과 주여자권선(2)의 권선 방향이 상이해져 입력전압이 승압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출력단(L2)에서 바라본 권선 방향들이 상대적으로 변경되어 승압 및 감압 중 하나가 발생하는 것은, 단권변압기의 입력단(L1)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이 출력단(L2)에 감압되어 나타나는 구성에서, 출력단(L2)에 입력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입력단(L1)에서 승압된 전압을 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 실시예는 승압 또는 감압을 선택하는 스위칭 방식을 변경한 것으로, 전압차를 보상하는 방식 및 그 크기를 결정하는 방식 등에서는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6a~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로이달 변압기의 권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6a를 참조하면, 도2, 도3, 도5의 주권선(1)을 토로이달 코어에 감는다.
도6b를 참조하면, 주권선(1)이 토로이달 코어에 감긴 상태에서 주여자권선(2)을 형성하도록 코일을 감는다.
도6c를 참조하면, 주여자권선(2) 위에 소정의 보조 전압이 형성되도록 각각에 대응하는 부여자권선(4a~4d)을 형성하도록 코일을 감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토로이달 변압기는 주권선(1) 위에 주여자권선(2)을 감으면서, 상이한 전압 레벨의 유도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탭을 빼도록 하였고, 그로 인하여 승압 및 감압의 정도가 고정 및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토로이달 변압기는 주여자권선(2) 위에 다시 부여자권선(4a~4d)을 형성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주여자권선(2)에 선택적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종래보다 훨씬 선택의 폭이 넓은 다양한 레벨의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만약 부여자권선(4a~4d)의 권선수가 많아져 코어의 단면적이 매우 커지게 되는 경우, 특정 부여자권선의 권선은 별도의 코어에 권선하여 상기 회로에 대입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부여자권선(4a~4d)은 주여자권선(2)이 감기지 않은 영역에도 형성할 수 있다. 즉, 주여자권선(2)을 권선할 때 토로이달 코어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도록 하고, 나머지 영역에 부여자권선(4a~4d) 중 일부를 감도록 한다. 그리고, 그 다음 외곽에 층을 구성하도록 나머지 부여자권선을 감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충분한 단면적을 확보하지 못할 때, 특정 부여자권선(4a~4d)은 별도의 코어에 권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지금까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1은 종래 단권 변압기에서 여자권선의 복수의 탭으로부터 복수의 전압 레벨을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AVR)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3은 1[turn]에 대응하는 전압 단위로 출력전압을 조정가능한 자동전압조정기(AVR)의 변형예;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부여자권선을 대신하여 가변저항을 이용한 자동전압조정기(AVR)의 변형예;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및
도6a,6b,6c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이용된 토로이달 변압기의 권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Claims (15)

  1.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권선;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주여자권선;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복수의 부여자권선들;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주여자권선에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며,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호 직렬 연결되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 및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 상기 부여자권선 중 하나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상기 주여자권선 및 상기 부여자권선의 선택적 연결에 의해 생성되는 직렬 연결의 끝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입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3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 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로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부가 상기 직렬 연결의 끝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목표전압이 상기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부가 상기 직렬 연결의 끝단을 상기 기준전위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3.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주권선;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고, 일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여자권선;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복수의 부여자권선들;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주여자권선에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며, 하나 이상의 부여자권선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호 직렬 연결되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3 스위치부;
    상기 제3 스위치부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 및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 상기 부여자권선 중 하나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3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제3 스위치부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며;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제3 스위치부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표 전압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권선은 토로이달 코어에 권선되고,
    상기 주여자권선은 상기 주권선을 감싸도록 권선되고,
    상기 부여자권선은 상기 주여자권선을 감싸도록 권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권선은 토로이달 코어에 권선되고,
    상기 주여자권선은 상기 주권선을 감싸도록 상기 토로이달 코어에 권선되고,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 중 일부는 상기 주여자권선과 상기 토로이달 코어를 분할하여 상기 주권선을 감싸도록 권선되고,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 중 나머지는 상기 주권선을 감싸고 있는 상기 주여자권선 및 상기 일부의 부여자권선을 감싸도록 권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 중 일부의 권선은 제2의 토로이달 코어에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여자권선의 여자에 의해 유도되는 보조 전압의 합은 상기 주권선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릴레이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11.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4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입력전압의 레벨이 소정 허용범위 내의 전압차를 갖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상기 출력단으로 바이패스 되도록 상기 제4 스위치부를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12.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입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권선;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는 주여자권선;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일단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상기 가변저항의 타단을 상기 기준전위 및 상기 입력단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기준전위로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가변저항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목표전압이 상기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여자권선의 일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가변저항의 타단을 상기 기준전위에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14. 입력단에 인가된 입력전압을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자동전압조정기에 있어서,
    주권선;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 및 상기 출력단 중 하나에 연결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주권선에 여자되고, 일단이 상기 출력단에 연결되는 주여자권선;
    일단이 상기 주여자권선의 타단에 직렬 연결되는 가변저항; 및
    상기 제1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의 스위칭 제어 및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 제어를 통해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입력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며;
    소정의 목표전압이 상기 레벨측정부에서 측정된 입력전압의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일단을 상기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가 상기 주권선의 타단을 상기 출력단에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목표전압과 상기 측정된 레벨간의 전압차를 보상하도록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KR1020080001577A 2008-01-07 2008-01-07 자동전압조정기 KR100929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577A KR100929985B1 (ko) 2008-01-07 2008-01-07 자동전압조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577A KR100929985B1 (ko) 2008-01-07 2008-01-07 자동전압조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927A true KR20090075927A (ko) 2009-07-13
KR100929985B1 KR100929985B1 (ko) 2009-12-07

Family

ID=4133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577A KR100929985B1 (ko) 2008-01-07 2008-01-07 자동전압조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48A1 (ko) * 2011-12-13 2013-06-20 Geum Jong-Gwan 자동 전압 조절 장치
KR102467245B1 (ko) * 2021-07-01 2022-11-16 주식회사 글로벌하이세스 전력절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0960B2 (ja) * 1999-08-31 2003-04-28 株式会社睦電気製作所 自動電圧制御装置
KR100607846B1 (ko) 2004-06-22 2006-08-08 (주)드림파워텍 무접점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잉여 전력 조절 절전 장치및 방법
KR20060117560A (ko) * 2005-05-11 2006-11-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압 변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48A1 (ko) * 2011-12-13 2013-06-20 Geum Jong-Gwan 자동 전압 조절 장치
KR102467245B1 (ko) * 2021-07-01 2022-11-16 주식회사 글로벌하이세스 전력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985B1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3149A1 (e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and toroidal transformer
US20040070359A1 (en)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influencing a mains supply and motor drive for said arrangement
WO201210950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etering voltage output for a voltage regulator using a microprocessor
KR101000321B1 (ko) 자동전압조정기
KR100929985B1 (ko) 자동전압조정기
KR100882543B1 (ko) 자동전압조정기 및 토로이달 변압기
AU2009243376B2 (e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KR101029157B1 (ko) 자동 전압 조절 장치
KR20130066923A (ko) 자동 전압 조절 장치
KR100650608B1 (ko) 대용량 자동전압 전력 제어 장치
KR101453647B1 (ko) 출력 전압 조정기
KR101341086B1 (ko) 출력전압 조절이 가능한 전압 자동 조정기
KR101883326B1 (ko) 유도전압 제어를 이용한 절전형 전압 조정기
KR101048659B1 (ko) 자동전압조정기
RU74748U1 (ru) Высокоточный электронный регулятор напряжения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JP5891429B2 (ja) 電源装置
JPH09191574A (ja) 節電装置
KR20100076437A (ko) 자동전압조정기
KR200430388Y1 (ko) 복권변압기 특성을 이용한 전력조절장치
JP2022122138A (ja) 電圧調整器および電圧調整方法
KR20130068297A (ko) 자동전압조정기
JPH07121251A (ja) 電圧調整器
KR980010686A (ko) 자동 전압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KR20180016099A (ko) 리니어 전력제어장치
JP2004229444A (ja) 自動電圧調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