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572A -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 Google Patents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572A
KR20090075572A KR1020080001478A KR20080001478A KR20090075572A KR 20090075572 A KR20090075572 A KR 20090075572A KR 1020080001478 A KR1020080001478 A KR 1020080001478A KR 20080001478 A KR20080001478 A KR 20080001478A KR 20090075572 A KR20090075572 A KR 20090075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container
pad
un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4416B1 (ko
Inventor
선준호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08000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4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129Wrapper locking means
    • B65D2571/00135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가 개시된다. 상기 결속용패드는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천공된 결속홈이 형성되는 결속유닛,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결속 유닛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 유닛이 일방향으로 접히도록 마킹되어 있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는 면 형상의 커버유닛, 상기 커버 유닛과 연결되며, 결속홈이 형성된 결속 유닛 및 일방향으로 접히도록 마킹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결속용 패드,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속홈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용기가 상기 결속용 패드에 의해 적층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용기를 결속하기 위하여 용기에 대응되도록 전문적으로 생산된 결속용 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좀 더 효율적이고 견고한 용기간의 결속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속용 패드, 일회용 용기, 폴리프로필렌

Description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PAD FOR BINDING AND CONTAINER BUND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 형상으로 형성된 결속용 패드의 커버 유닛을 용기에 접합도록 하고 상기 커버 유닛에서 연장 형성된 결속 유닛을 상기 용기 방향으로 접은 후에 상기 결속유닛에 형성된 결속홈에 상기 용기에서 연장 형성된 결합돌기를 삽입 결합하여 복수 개의 용기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에 관한 것이다.
고도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식생활의 변형에 따라 일회용 용기에 담기 음식물들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에 할인마트나 슈퍼마켓에서 이러한 일회용 용기에 담긴 음식물들이 판매되고 있다.
상술한 일회용 용기는 여러가지 형태로 생산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대표적으로 그릇형상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덮는 뚜껑부로 구성되고, 상기 뚜껑부에는 제품에 대한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상품 정보를 인쇄하여 표시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일회용 용기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제품 선호도를 보다 증진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용기에 또 다른 용기를 한묶음으로 포장하여 판매되고 있다. 또한, 제품의 판매증진을 위하여 일회용 용기에 담긴 물품들은 소위 번들상품이라고 통칭되는 묶음 상품으로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데, 그릇형상의 일회용 용기에 수용된 즉석 음식 제품을 판매하면서, 상기 일회용 용기를 적층하여 2개 이상의 물품을 서로 결합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이 때, 종래에는 상기 일회용 용기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용 기구로,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투명한 재질의 스카치 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 일회용 용기를 결속하거나, 수축필름을 실링하여 결속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일회용 랩을 사용하여 상기 일회용 용기들을 서로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결속용 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로, 복수 개의 용기를 결속하기 위하여 전문적으로 생산된 결속용 기구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용기에 맞지 않는 결속용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견고한 결속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결속된 용기를 분리하는 데 있어, 상기 결속용 용기를 제거하는 경우에 상기 용기를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용기를 스카치 테이프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스카치 테이프의 접착제 성분에 의해 상기 용기 외면에 제시된 제품에 대한 설명, 광고 등이 제거되거나 일부가 찢어져 위생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네 번째로, 종래의 결속용 기구를 사용하여 용기를 결속하는 경우에는 결속을 완료하기 위하여 칼이나 가위를 사용하여 마무리를 해야만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 개의 용기를 결속하기 위하여 전문적으로 생산된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간에 견고한 결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용기의 크기 및 형상에 적합한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속된 용기를 분리하기가 용이하고, 결속을 해제한 경우에도 보관하기가 용이한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속을 마무리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결속을 완료할 수 있는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용 패드는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천공된 결속홈이 형성되는 결속유닛,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결속 유닛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 유닛이 일방향으로 접히도록 마킹되어 있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속용 패드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결속유닛을 연결하는 연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장 유닛은 실질적으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일정 이상의 인장력을 가하면 상기 인장력이 작용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홈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나,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단변이 외부로 돌출된 반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일 장변에서 상기 결속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락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유닛의 중앙 인접 부위에 핸들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중앙 부위를 상부로 인출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용 패드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곡부 인근에 상기 절곡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절곡부와 평행한 방향를 따라 선형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결합부의 양 끝단에는 결합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부재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유닛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된 두 겹의 봉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봉투 형상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는 면 형상의 커버유닛, 상기 커버 유닛과 연결되며, 결속홈이 형성된 결속 유닛 및 일방향으로 접히도록 마킹된 절곡부를 구 비하는 결속용 패드,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속홈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용기가 상기 결속용 패드에 의해 적층되어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용기는 그릇 형상의 하부 수용체 및 상기 하부 수용체를 덮는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수용체의 상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 유닛을 형성하는 면의 넓이는 상기 밀봉부의 넓이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속용 패드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곡부 인근에 상기 절곡부를 따라 상기 절곡부의 일부가 선형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용기 중 최 상부의 상기 용기에 구비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결속용 패드는 상기 결속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을 연결하는 연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연장 유닛은 실질적으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일정 이상의 인장력을 가하면 상기 인장력이 작용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연장유닛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복수 개의 보조 결속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보조 결속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용기를 결속하기 위하여 전문적으로 생산된 결속용 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에 따라 좀 더 효율적인 용기간의 결속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 부분만을 변경하여 제조 후 사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용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효율적이고 견고한 결속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연장 유닛을 구비하여 용기의 개수 또는 높이에 관계없이 복수 개의 용기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복수 개의 보조 결속홈을 구비하여 용기마다 고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견고한 결속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결속홈과 결합돌기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결속을 마무리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치 않은 이점이있고, 이에 따라 환경 오염과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체 형성된 핸들부를 구비하여 파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락킹 돌기를 구비하여 결속된 상태에서 용기가 의도와 관계없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 유닛 내부에 광고, 제품 설명 또는 기타 안내 문구가 표시된 인쇄물을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인쇄물이 상기 커버유닛으로부 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의 전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용 패드는 커버유닛(100), 결속유닛(200) 및 절곡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유닛(100)는 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원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속유닛(200)은 상기 커버유닛(100)의 양측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천공된 결속홈(210)이 형성된다. 다만, 상기 결속홈(210)은 상기 커버유닛(100)에서 상대적으로 먼, 상기 결속유닛(200)의 자유단 부위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결속홈(21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단변이 외부로 돌출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속용 패드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후술되는 용기에 따라 그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절곡부(300)는 상기 커버유닛(100)와 상기 결속유닛(200)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 유닛(200)이 일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마킹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결속용 패드는 전체적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투명한 재질의 폴리프로필렌(PP)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강성을 지니되, 투명한 재질이면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100) 및 상기 결속유닛(200)의 두께는 0.2 mm 내지 1mm로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0.4mm의 두께로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결속용 패드는 전체적으로 0.4mm의 두께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속용 패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를 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용 패드에 구비된 상기 절곡부(300)를 중심으로 상기 결속유닛(200)을 일방향(A)으로 접어 후술하는 용기의 결합돌기(32, 도 7참조)를 상기 결합홀(210)에 삽입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절곡부(300)는 직선 형상으로 상기 커버유닛(100)의 일측에 일정 깊이가 압착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점선 형상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절곡부(3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결속유닛(200)이 일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용기의 높이 또는 개수에 따라 상기 결속유닛(200)의 길이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을 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변형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용 패드는 커버유닛(100), 결속유닛(200), 절곡부(300) 및 연장유닛(250)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 유닛(250)은 상기 절곡부(300)와 상기 결속유닛(200)을 연결하되, 실질적으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 설정된 일정 이상의 인장력을 가하면, 상기 인장력이 작용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연장 유닛(250)은 상기 결속홈을 후술하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결속홈(210)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 유닛(250)을 주름 형상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연장 유닛(250)을 복수개의 밴드 형상으로 구비하고, 상기 커버유닛(100) 및 상기 결속 유닛(200)에 상기 연장 유닛(250)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연장 유닛(250)의 개수를 달리함에 따라, 상기 결속홈(210)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결속홈(210)은 견고한 결속을 위하여 그 형상을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4를 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 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에 형성된 결속홈을 변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홈(210)은 락킹돌기(211)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돌기(211)는 상기 결속홈(210)의 상술한 직사각형 형상의 하부 장변에서 상기 결속홈(210)의 내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대, 상기 락킹 돌기(211)는 나란히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상기 결속홈(210)에 삽입된 후술하는 결합돌기(32, 도 7참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킹돌기(211)를 볼록하게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결속홈(210)의 하변에서 양 끝단 부위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결속홈(210)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부위가 하부로 형성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상기 락킹 돌기(211)의 상부측 자유단을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락킹 돌기(211)는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결속홈(2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결속 유닛(200)을 천공하여 형성되므로, 상기 천공하는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후술하는 용기는 적층된 형태로 상기 결속용 패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복수 개의 상기 용기 중 상기 결속용 패드의 상기 커버유닛(100)에 접하는 상기 용기 또한 상기 결속용 패드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5를 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1변형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용 패드는 커버유닛(100), 결속유닛(200), 절곡부(300), 연장유닛(250) 및 결합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절곡부(300)에 인접하여 상기 절곡부(30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절곡부(300)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천공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결속용 패드와 접하는 용기에 구비된 후술하는 결합돌기(32)가 삽입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설명은 도 7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40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결속용 패드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용기가 모두 상기 결속용 패드에 결합되므로, 상대적으로 좀 더 견고하게 상기 용기들을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400)는 결합고정부재(4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 고정 부재(410)는 상기 결합부(400)의 양 끝단 부위에 형성되고,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중심부가 천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부(400)에 상기 결합돌기(32, 도 7참조)가 상기 결합부(400)에 용이하게 삽입 결합되록 하고, 이 경우에,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커버유닛(100)와 동일 평면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결속 유닛(200)이 일 방향으로 꺾 여진 이후에도 이를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결속 유닛(200)이 상기 절곡부(300)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접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상기 결속용 패드에 의해 결속된 상기 용기들을 운반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별도의 봉투를 이용하게 되나, 이러한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6을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2변형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용 패드는 커버유닛(100), 결속유닛(200), 절곡부(300), 결합부(400) 및 핸들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150)는 상기 커버유닛(100)의 상면 중앙 인접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150)는 연장주름(151)을 형성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핸들부(150)는 상기 커버유닛(100)의 상면에 일정 길이의 평행한 직선으로 천공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장 주름(151)은 상기 핸들부(150)의 양측단 인접부위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핸들부(150)는 초기 상태에는 상기 커버유닛(100)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나, 상기 핸들부(150)를 상기 커버유닛(100)의 상부 방향(B)으로 인출하면, 상기 연장 주름(151)이 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핸들부(150)는 점선으로 표시 된 C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핸들부(150)와 상기 커버유닛(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사용자가 손을 집어 넣어 파지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용 패드에 의해 결속된 복수 개의 용기를 상기 핸들부(150)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부(150)를 상기 커버 유닛(10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 유닛(100)을 제조 후에 결합하여 상부로 인출함으로써 파지가 가능한 형태이면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상기 커버유닛(100)는 투명한 재질의 폴리프로필렌이 두 겹으로 겹쳐져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100)의 일측이 개방되어 전체적으로 봉투 형상(101)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100)에 형성된 봉투 형상 내부에 필요에 따라 평면 형상의 종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봉투 형상(101) 내부에 광고, 제품 설명 또는 기타 안내 문구가 표시된 인쇄물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속용 패드의 외부에 별도의 부착 라벨을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커버유닛(100)에 삽입된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또한, 상기 인쇄물이 상기 커버유닛(10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도 7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는 결속용 패드(10), 복수 개의 용기(30) 및 결합돌기(32)를 포함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3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하부 수용체(31) 및 밀봉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수용체(31)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밀봉부(33)는 상기 하부 수용체(31)의 상부에서 상기 그릇 형상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용체(31)를 밀봉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돌기(32)는 상기 용기(30)의 상부에 형성되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좀 더 상세히는 상기 하부 수용체(31)의 상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32)를 별도로 형성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일반적인 일회용 용기의 경우, 용기의 상부에 음식물의 흘림을 방지하거나, 용기에 내용물을 담기 전에 포개어 적층되도록 상기 용기 상부의 외부 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연장 부위가 형성되고, 이러한 연장 부위를 상기 결합돌기(32)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용기(30)를 적층하여 배치하고, 최 상부의 상기 용기(30)에 구비된 밀봉부(33)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 유닛(100)을 밀착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 유닛(100)을 형성하는 면의 넓이는 상기 밀봉부(33)의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유닛(100)의 형상은 상기 밀봉부(3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30)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100)부분만을 변경하여 제조 후 사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용기(30)의 종류에 관계없이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효율적인 결속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음, 상기 결속용 패드(10)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400)에 상기 최 상부의 상기 용기(30)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32)를 삽입한다.
다음, 상기 절곡부(300)를 중심으로 상기 결속 유닛(200)을 상기 적층된 용기 방향(C)으로 접는다.
다음, 상기 결속 유닛(200)에 구비된 상기 결속홈(210)에 상기 용기 중 하부에 배치된 상기 결합돌기(32)를 삽입 결함함으로서 상기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의 작동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용 패드(1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상기 용기(30)를 서로 결속한 경우에 상기 결합돌기(32)가 상기 결속홈(210) 또는 상기 결합부(400)에 단 순히 삽입 결합되므로, 필요없는 부분을 칼로 잘라내는 등의 결속을 마무리하는 작업을 위하여 별도의 도구를 필요치 않게 되므로, 환경 오염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용 패드는 상기 용기의 개수 또는 크기에 따라 상기 결속유닛(200)의 길이가 변경되어야 하고,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9를 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는 결속용 패드(10), 복수 개의 용기(30) 및 결합돌기(32)를 포함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속용 패드(10)는 상기 결속유닛(200)과 상기 커버유닛(100)을 연결하는 연장 유닛(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유닛(250)은 실질적으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 유닛(250)은 복수개가 적층된 형태로 배치된 상기 용기(30)에 구비된 상기 결합돌기(3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용기(30)의 높이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상기 결속 유닛(200)에 형성된 상기 결속홈(2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용기(30)의 개수보다 2개가 적은 상기 보조결속홈(211)을 형성한다.
즉, 복수 개의 상기 용기(30)를 적층한 경우에, 각각의 상기 용기마다 상기 보조결속홈(211)에 각각의 상기 결합돌기(32)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결속용 패 드(10)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용기(30)가 견고히 결속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결속홈(211)을 상기 용기(3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30)의 개수보다 2개 적게 형성되는 것을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용기(30)의 개수는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한데 비해, 상기 결속용 패드(10)는 제작 단계에서 상기 보조 결속홈(211)을 천공하여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 보조 결속홈(211)을 복수 개 형성하고, 상기 연장 유닛(250)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돌기(32)가 상기 보조 결속홈(211)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결속홈(211)의 위치 또한 일정한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연장 유닛(25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용기(30)를 상기 결속용 패드(10)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상기 각 용기(30)를 서로 결속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기(30) 대신 상기 용기(30)를 각각 포장하고, 상기 포장된 용기(30)의 포장지에 상기 결합돌기(32)와 유사한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결속용 패드(10)로 복수 개의 상기 포장된 용기(30)들을 결속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변형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에 형성된 결속홈을 변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1변형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2변형 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용기 31:하부 수용체
32:결합돌기 33:밀봉부
100:커버유닛 150:핸들부
151:연장주름 200:결속유닛
210:결속홈 211:락킹돌기
211:보조결속홈 250:연장유닛
300:절곡부 400:결합부
410:결합고정부재

Claims (16)

  1.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천공된 결속홈이 형성되는 결속유닛;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결속 유닛의 연결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결속 유닛이 일방향으로 접히도록 마킹되어 있는 절곡부;
    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속용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결속유닛을 연결하는 연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유닛은 실질적으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일정 이상의 인장력을 가하면 상기 인장력이 작용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나, 상기 직사각 형 형상의 단변이 외부로 돌출된 반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일 장변에서 상기 결속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락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의 중앙 인접 부위에 핸들부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중앙 부위를 상부로 인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7.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곡부 인근에 상기 절곡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절곡부와 평행한 방향를 따라 선형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양 끝단에는 결합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고정부재는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된 두 겹의 봉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봉투 형상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 및 상기 결속유닛의 두께는 0.1밀리미터 내지 1밀리미터 이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
  11. 면 형상의 커버유닛, 상기 커버 유닛과 연결되며, 결속홈이 형성된 결속 유닛 및 상기 결속유닛이 일방향으로 접히도록 마킹된 절곡부를 구비하는 결속용 패드;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복수의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속홈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용기가 상기결속용 패드에 의해 적층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그릇 형상의 하부 수용체; 및
    상기 하부 수용체를 덮는 밀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수용체의 상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을 형성하는 형상 및 면의 넓이는 상기 밀봉부의 형상 및 넓이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패드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절곡부 인근에 상기 절곡부를 따라 상기 절곡부의 일부가 선형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용기 중 최 상부의 상기 용기에 구비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용 패드는 상기 결속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을 연결하는 연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유닛은 실질적으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일 정 이상의 인장력을 가하면 상기 인장력이 작용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유닛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복수 개의 보조 결속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보조 결속홈에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용 패드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KR1020080001478A 2008-01-04 2008-01-04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KR10092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478A KR100924416B1 (ko) 2008-01-04 2008-01-04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478A KR100924416B1 (ko) 2008-01-04 2008-01-04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572A true KR20090075572A (ko) 2009-07-08
KR100924416B1 KR100924416B1 (ko) 2009-10-29

Family

ID=4133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478A KR100924416B1 (ko) 2008-01-04 2008-01-04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6116A1 (en) * 2017-08-30 2019-03-0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OVER FOR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591Y1 (ko) * 2003-10-11 2004-01-24 박기철 즉석식품류의 용기 외부 포장대
KR200411694Y1 (ko) * 2005-10-22 2006-03-20 박준규 냄비포장용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6116A1 (en) * 2017-08-30 2019-03-0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OVER FOR CONTAINER
US11383896B2 (en) 2017-08-30 2022-07-1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over for a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416B1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3150B2 (ja) 噛み合い仕切板を有するカートン
US8141707B2 (en) Reconfigurable package for confectionery products
US7971717B2 (en) Packaging for hygiene products
KR20200106806A (ko) 행사용 페트 음료병 홀더
EP2694398B1 (en) Dispenser, blank, method
KR101540619B1 (ko) 종이다발의 포장체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US20220363430A1 (en) Compact sliding packaging
KR100924416B1 (ko) 결속용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용기 결속체
JP2012240698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5507358B2 (ja) 包装容器
US7891875B1 (en) Tear-resistive container for dispensing materials
GB2156316A (en) Handles for containers
JP4982268B2 (ja) フィルム包装体
JPH0948477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の包装容器
KR200248870Y1 (ko) 에이3용지 수용부가 구비된 비닐파일
JP4641123B2 (ja) 紙製収容箱
KR20100008835U (ko) 포장박스
JP6652905B2 (ja) 包装容器
JP7110171B2 (ja) 収容箱
JP4625309B2 (ja) 表示機能付包装箱
JP3109525U (ja) 把手付包装箱
JP6939253B2 (ja) 包装体
JP5618086B2 (ja) 商品包装体
JP2009120217A (ja) 包装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