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437A -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437A
KR20090075437A KR1020080001288A KR20080001288A KR20090075437A KR 20090075437 A KR20090075437 A KR 20090075437A KR 1020080001288 A KR1020080001288 A KR 1020080001288A KR 20080001288 A KR20080001288 A KR 20080001288A KR 20090075437 A KR20090075437 A KR 2009007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radle
fixing
insertion ho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01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5437A/ko
Publication of KR2009007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거치대는, 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각 지지대에 설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돌기가 형성된 고정핀과, 각 고정핀에 삽입 설치되며 회전돌기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기둥을 형성시킨 링을 포함하며, 이동단말기의 후면으로는, 고정핀의 회전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와 대응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홀과, 삽입홀의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돌기의 회전시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멈춤턱과, 멈춤턱에 위치 고정된 회전돌기가 밀림 동작을 통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회전돌기가 삽입홀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삽입홀의 내측 단부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원터치 방식으로 이동단말기와 거치대의 탈, 부착이 용이하며,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장착시에는 안정적인 지지로 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동단말기, 거치대, 지지, 고정, 탈부착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FOR SUPPORTER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PDA·각종 모니터·네비게이션 등을 거치대에 탈, 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경제적 풍요 및 정보통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차량 내부에 각종 멀티미디어 장치 등을 장착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장치로서는 각종 오디오 장치뿐만 아니라, TV, 소형 컴퓨터, 네비게이션 등의 시각적 장치(이하, 단말기로 함)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앞좌석의 패널(패드) 내부에 내장되거나 거치대 등을 이용하여 패널과 앞유리에 고정 장착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유리 부착용 단말기 고정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의 차량유리 부착용 단말기 고정대는 유리에 부착되는 흡착부(110)와, 흡착부(110)의 상면을 감싸는 하우징(120)과, 하우징(120)의 상측에 돌출되어 결합된 지지대고정부(121)와, 하우징(120)의 상측 중앙에서 흡착부(110)와 연결되어 흡착부(110)을 차량유리에 밀착시키는 원터치조절구(130)와, 지지대고정부(121)에 결합되며 가요성을 갖는 지지대(140)와, 지지대(140)의 상단에 설치되어 단말기(미도시)의 삽입홈을 따라 삽입시킨 후 회전시키고 볼트(151)로 고정하는 거치대(15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에서 단말기의 삽입홈과 거치대(150)를 일치시켜서 삽입하여 장착하고, 다시 탈착시에는 볼트(151)를 풀고 거치대(150)를 단말기로부터 분리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거치대와 단말기의 탈, 부착이 용이하지 못하며, 이에 차량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여름철에는 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탈, 부착이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불편한 단말기의 탈, 부착 구조로 단말기를 차량에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터치 방식으로 이동단말기와 거치대의 탈, 부착이 용이하며,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장착시에는 안정적인 지지로 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에 있어서, 거치대는, 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각 지지대에 설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돌기가 형성된 고정핀과, 각 고정핀에 삽입 설치되며 회전돌기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기둥을 형성시킨 링을 포함하며, 이동단말기의 후면으로는, 고정핀의 회전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와 대응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홀과, 삽입홀의 내부에 형성되며 회전돌기의 회전시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멈춤턱과, 멈춤턱에 위치 고정된 회전돌기가 밀림 동작을 통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회전돌기가 삽입홀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삽입홀의 내측 단부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고정핀에는 기둥의 밀착시 고정핀의 직선 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빗면부가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지지대를 삽입시킨 고정핀과 링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또한, 고정핀의 회전돌기는 링의 단부측에 걸쳐지도록 지지되어 링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에 따르면, 원터치 방식으로 이동단말기와 거치대의 탈, 부착이 용이하며,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장착시에는 안정적인 지지로 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 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기와 거치대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거치대의 고정구조는, 지지대(210)와 고정핀(220), 링(230)이 설치되는 거치대(200)와, 삽입홀(310)과 멈춤턱(320), 경사면(330)을 형성시킨 이동단말기(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거치대(200)는 원형 또는 다각형태를 가지며, 크기는 이동단말기(300)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이면 가능하고, 편평한 양면을 가진다.
이러한 거치대(200)의 편평한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210)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도 2에서는 지지대(210)가 4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210)를 포함하여 삽입 위치되는 고정핀(220)은, 원기둥 형태를 가지되, 바닥면(221)은 지지대(210)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관통홀(222)을 형성하며, 바닥면(221)으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돌기(223)가 삼발이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돌기(223)의 단부측 사이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기둥(232)의 밀착시 고정핀(220)의 직선 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빗면부(224)가 형성된다.
그리고 링(230)은, 각 고정핀(220)에 삽입 설치되되 링(230)의 단부측에 고정핀(220)의 회전돌기(223)가 걸쳐지도록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링(230)의 후단측으로 기둥(232)이 축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기둥(232)은 회전돌기(223)의 사이에 위치하여 빗면부(224)에 접촉된다.
한편, 지지대(210)를 삽입시킨 고정핀(220)과 링(230)의 사이에는 스프링(240)이 설치되며, 스프링(240)의 일단은 고정핀(220)의 바닥면(221)에 지지되고 타단은 링(230)의 후면부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300)의 후면으로는, 고정핀(220)의 회전돌기(2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223)와 대응 형상으로 삽입홀(310)이 형성된다.
삽입홀(310)은 회전돌기(223) 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삽입홀(310)의 입구부는 회전돌기(223)와 대응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어지는 내부는 원형의 빈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삽입홀(310)의 내부로는 회전돌기(223)의 회전시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멈춤턱(320)이 형성된다.
멈춤턱(320)은 삽입홀(310)의 사이에서 내측의 축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돌기(223)의 회전시 멈춤턱(320)의 단부측에 회전한 회전돌기(223)가 위치되어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삽입홀(310)의 내측 단부면에는 회전돌기(223)와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면(330)이 형성되어 멈춤턱(320)에 위치 고정된 회전돌기(223)가 밀림 동작을 통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돌기(223)가 삽입홀(310)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각 지지대(210)에 차례로 고정핀(220)과 스프링(240), 링(230)이 삽입된 거치대(200)에 이동단말기(300)를 장착하게 된다.
이동단말기(300)의 삽입홀(310)에 회전돌기(223)를 맞춰서 회전돌기(223)를 삽입하게 되며, 이때 미는 힘을 가하면 링(230)이 이동단말기(300)의 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핀(220)이 전진하고, 이에 회전돌기(223)는 삽입홀(310)의 내부측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고정된 링(230)의 기둥(232)이 고정핀(220)의 빗면부(224)에 밀착됨과 같이 힘을 더 가하면 고정핀(220)의 빗면부(224)가 기둥(232)을 따라 대략 60°정도 회전을 하게 된다.
회전 후 미는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240)의 복원력으로 고정핀(220)이 후퇴하면서 회전돌기(223)가 멈춤턱(320)에 걸려서 고정이 이루어진다.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단말기(300)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거치대(200)로부터 이동단말기(300)의 분리시에는, 이동단말기(300)를 거치대(200)측으로 한번 더 미는 힘을 가하면 멈춤턱(320)에 걸려있던 회전돌기(223)는 삽입홀(310)의 내측으로 밀리게 되고, 결국에는 삽입홀(310)의 경사면(330)에 밀착되면서 대략 60°정도 강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로서 대략 120°회전한 회전돌기(223)는 멈춤턱(320)의 간섭에서 벗어나 삽입홀(310)을 따라 쉽게 빠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단말기(300)를 거치대(200)에 밀면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되고, 분리시에는 한번 더 미는 동작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여 이동단말기(300)와 거치대(200)의 탈, 부착이 용이하고, 부착시에는 안정적인 고정으로 이동단말기(300)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유리 부착용 단말기 고정대를 보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기와 거치대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거치대 210 : 지지대
220 : 고정핀 221 : 바닥면
222 : 관통홀 223 : 회전돌기
224 : 빗면부 230 : 링
232 : 기둥 240 : 스프링
300 : 이동단말기 310 : 삽입홀
320 : 멈춤턱 330 : 경사면

Claims (4)

  1.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일면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대와,
    상기 각 지지대에 설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돌기가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각 고정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회전돌기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기둥을 형성시킨 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단말기의 후면으로는,
    상기 고정핀의 회전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돌기와 대응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시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멈춤턱과,
    상기 멈춤턱에 위치 고정된 상기 회전돌기가 밀림 동작을 통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된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삽입홀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의 내측 단부면에 형성되는 경사면
    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기둥의 밀착시 상기 고정핀의 직선 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빗면부가 형성되는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삽입시킨 고정핀과 상기 링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회전돌기는 상기 링의 단부측에 걸쳐지도록 지지되어 상기 링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KR1020080001288A 2008-01-04 2008-01-04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KR20090075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288A KR20090075437A (ko) 2008-01-04 2008-01-04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288A KR20090075437A (ko) 2008-01-04 2008-01-04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437A true KR20090075437A (ko) 2009-07-08

Family

ID=4133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288A KR20090075437A (ko) 2008-01-04 2008-01-04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54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6914B1 (en) Structure for cradle head
KR101024928B1 (ko) 탈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와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200475504Y1 (ko) 이동통신기기의 거치장치
KR101614388B1 (ko) 단말기 거치대
JP2020528710A (ja) 端末ホルダー及び端末ケース
KR101866881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105007401A (zh) 拍摄装置及移动终端
US20060262091A1 (en) Wireless mouse with a structure for collecting a wireless receiver
JP6519846B2 (ja) 電子機器
US2014034086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ing apparatus
KR20090075437A (ko) 이동단말기의 거치대 고정구조
KR20110068284A (ko) 휴대단말기용 절곡형 스탠드 힌지모듈
US20030209643A1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CN101749314B (zh) 电子装置
CN214405451U (zh) 支架及具有该支架的保护壳
KR100944592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JP6504519B2 (ja) 電子機器
CN100571352C (zh) 薄型显示装置及其显示部的拔脱方法
CN215060919U (zh) 一种电子设备支架
KR102348146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CN110602284A (zh) 手持式大数据电子产品及其显示方法
CN204795175U (zh) 手机套及悬挂式手机支架
CN220205142U (zh) 一种电子设备的安装装置及支架
KR101462280B1 (ko) 휴대용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