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5348A -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5348A
KR20090075348A KR1020080001175A KR20080001175A KR20090075348A KR 20090075348 A KR20090075348 A KR 20090075348A KR 1020080001175 A KR1020080001175 A KR 1020080001175A KR 20080001175 A KR20080001175 A KR 20080001175A KR 20090075348 A KR20090075348 A KR 20090075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motion
detection data
motion dete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735B1 (ko
Inventor
차봉준
이홍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7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62Virtualis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입력 장치와,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연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두 개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며,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두 개의 동작 감지 데이터를 얻어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므로, 한 개의 동작점을 이용할 때보다 훨씬 정확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ION IN VIRTUAL REALITY ENVIROMENT}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함으로써 컴퓨터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안에 존재하는 가상 물체 예컨대 아바타(avatar), 아이콘(icon), 게임 캐릭터(game character)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급속한 발전과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에 힘입어 가상현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가 만든 가상 세계에서 사용자가 현실에서와 같은 체험을 간접 경험할 수 있도록 각종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상현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컴퓨터의 가상현실이 사용자에게 얼마나 실제처럼 느껴지도록 하는 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의 동작이 가상현실의 가상물체에 그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컴퓨터는 주로 버튼 입력 장치 또는 조이스틱 입력 장치 등을 통한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따라 가상현실의 가상 물체를 동작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버튼을 이용하는 입력장치의 경우 좌,우,상,하 등의 2차원적인 동작 명령만 입력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이스틱을 이용하는 입력 장치는 3차원적인 동작 명령 입력이 가능하나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가 조작을 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동작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정보를 컴퓨터로 보내어 컴퓨터가 동작정보에 따라 가상물체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동작 제어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는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권투 게임 등과 같이 두 개의 가상 물체(왼손, 오른손)에 대한 동작을 제어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두 개로 구성되는 입력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미리 정해진 두 개의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뿐, 두 개 각각을 독립적으로 다른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은 하나의 형태로 결합이 가능하고, 두 개의 형태로 분리 가능한 입력 장치를 통해 결합되면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고, 분리되면 두 개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 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 장치가 하나의 형태로 결합된 경우 두 개의 입력 장치 각각의 센서를 통해 두 개의 동작 정보를 얻어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 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입력 장치와,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연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를 가지는 동작 입력 장치가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메인 연산 장치가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연산 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 입력 장치로서, 제2 입력 장치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 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 장치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본 발명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에 따라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연산 장치로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본 발명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에 따라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연산 장치에서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분리된 상태에서는 두 개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동작시킬 가상 물체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가상 물체를 제어할 수도 있고, 두 개의 가상 물체를 제어할 수도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두 개의 동작점에 대한 동작 감지 데이터를 얻어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므로, 한 개의 동작점을 이용할 때보다 훨씬 정확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은 동작 입력 장치(10a, 10b)와 메인 연산 장치(100)를 포함한다.
먼저 동작 입력 장치(10a, 10b)는 서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사용자가 직접 들고 이용하는 핸드헬드(handheld)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입력장치(10a)와 제2 입력장치(10b)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동작 입력 장치(10a, 10b)는 분리된 상태에서 제1 입력장치(10a)와 제2 입력장치(10b)가 개별적으로 이용되거나, 동시에 이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이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이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1 입력장치(10a) 또는 제2 입력장치(10b)는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하나의 가상 물체(x)(예컨대 메뉴 선택 등을 위한 지시자, 게임의 캐릭터, 공간마우스 지시자)에 대한 동작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의 (a)에서는 제1 입력 장치(10a)의 경우만 도시하고 있지만, 제2 입력 장치(10b)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또한 도 2의 (b)는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동시에 이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1 입력장치(10a)와 제2 입력장치(10b)는 분리된 상태에서 동시에 두 개의 가상 물체(y1, y2)(예컨대 권투 게임에서 왼손과 오른손)에 각각에 대한 동작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c)는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용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제1 입력장치(10a)와 제2 입력장치(10b)는 결합된 상태에서 물리적으로 고정된 거리(r’)만큼 떨어진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하나의 가상 물체(z)(예컨대 골프 게임에서 골프채, 칼싸움 게임에서 긴칼 등)에 대한 동작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의 각 센서도 가상 물체의 두 개의 동작점들처럼 물리적으로 고정된 거리(r)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가 결합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동작 입력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는 각각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된 동작에 대한 동작 감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는 생성된 동작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100)로 전송하여 메인 연산 장치(100)에 의해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한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1 및 제2 입력 장치(10a, 10b) 각각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며,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들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동작 감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1 입력 장치(10a)와 제1 및 제2 입력 장치(10a, 10b)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입력 장치(10a)의 구성도이다.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는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제2 입력 장치(10b)의 설명은 제1 입력 장치(10a)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장치(10a)는 버튼부(12), 센서부(14), 무선통신 모듈(16), 제어부(18), 진동모터(20), 발광부(22), 결합부(24)를 포함한다.
버튼부(12)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입력 장치(10a)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버튼, 메뉴 등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대응된 신호를 제어부(18)로 전달한다.
센서부(14)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하며,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 센서들의 측정값을 출력한다.
무선통신 모듈(16)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의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동작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통신 모듈(16)은 메인 연산 장치(100)로부터 제1 입력 장치(10a)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8)로 전달한다. 이때 제1 입력 장치(10a) 제어 데이터는 제1 입력 장치(10a)의 데이터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데이터 및 제1 입력 장치(10a)가 발광하도록 하거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는 센서부(14)를 통해 측정된 센서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동작 감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동작 감지 데이터는 13바이트(byte)의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13바이트로 구성되는 동작 감지 데이터의 내용이 하기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데이터 내용
Data 0 MotionCon Key Data
Data 1 X축 상대 좌표 Data
Data 2 Y축 상대 좌표 Data
Data 3 Z축 상대 좌표 Data
Data 4 X축 절대 좌표 Data
Data 5
Data 6 Y축 절대 좌표 Data
Data 7
Data 8 Z축 절대 좌표 Data
Data 9
Data 10 X축 가속도 Data
Data 11 Y축 가속도 Data
Data 12 Z축 가속도 Data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동작 감지 데이터는 Data 0 ~ Data 12 영역으로 구성되며, Data 0 ~ Data 12 영역 각각은 1바이트 크기로 구성된다. Data 0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에 대응된 입력 데이터가 포함된다. Data 1 ~ Data 3 영역에는 센서부(14)의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x, y, z축 각각의 상대좌표 값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대좌표값은 1/100초 단위로 측정한 측정값의 변화값을 의미한다. 또한, Data 4 ~ Data 9 영역에는 센서부(14)의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x, y, z축 각각의 절대좌표 값이 포함된다. 여기서 절대좌표값은 상대좌표값을 누적하여 현재 위치가 초기 위치로부터 얼마만큼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Data 10 ~ Data 12 영역에는 센서부(14)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값이 포함된다. 여기서 가속도 값은 1/100초 단위로 측정된 순간 가속도 값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 감지 데이터의 좀더 구체적인 내용이 하기 표2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데이터 내용
Data 0 Bit7 Bit6 Bit5 Bit4 Bit3 Bit2 Bit1 Bit0
ID Data (B'1010) Trigger Button Cancel Button Pointing Button 0: Dev1 1: Dev2
Data 1 X축 상대 좌표 Data (Range : +127 ~ -127) 127 --- 0x7F 1 --- 0x01 0 --- 0x00 -1 --- 0xFF -2 --- 0xFE -127 --- 0x81
Data 2 Y축 상대 좌표 Data (X축과 동일 Range)
Data 3 Z축 상대 좌표 Data (Z축과 동일 Range)
Data 4 Data 5 X축 절대 좌표 Data (Range : +18000 ~ -18000) 18000 --- 0x4650 1 --- 0x01 0 --- 0x00 -1 --- 0xFFFF -2 --- 0xFFFE -18000 --- 0xB9B0
Data 6 Data 7 Y축 절대 좌표 Data (X축과 동일 Range)
Data 8 Data 9 Z축 절대 좌표 Data (X축과 동일 Range)
Data 10 X축 가속도 Data (Range : +127 ~ -127)
Data 11 Y축 가속도 Data (Range : +127 ~ -127)
Data 12 Z축 가속도 Data (Range : +127 ~ -127)
제어부(18)는 센서부(14)를 통해 측정된 센서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용을 가지는 동작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나서, 생성된 동작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는 메인 연산 장치(10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를 초기화하거나 발광 또는 진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진동모터(20)는 제어부(18)의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한 발광부(22)는 LED(Light Emitting Diode)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8)의 발광 제어 신호에 따라 발광한다.
결합부(24)는 제2 입력 장치(10b)와 결합되면, 결합을 알리는 정보를 제어부(18)로 전달하고, 분리되면 분리를 알리는 정보를 제어부(18)로 전달하여 결합 상태인지 분리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결합부(24)는 단순히 결합 상태인지 분리 상태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2 입력 장치(10b)로부터의 데이터를 제1 입력 장치(10b)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는 제1 입력 장치(10a)에 의해 생성된 동작 감지 데이터와 제2 입력 장치(10b)에 의해 생성된 동작 감지 데이터를 함께 메인 연산 장치(100)에 전송 가능하다. 이때 결합부(24)의 외부 형태를 살펴보면, 도 4는 결합부(24)의 외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24)의 외부는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형태로,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된 형태에 대응된 홈이 패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 감지 데이터가 메인 연산 장치(100)로 전송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메인 연산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PC(Personal Computer), 게임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동작 입력 장치(10a, 10b)로부터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안에 존재하는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메인 연산 장치(100)는 1 입력장치(10a) 또는 제2 입력장치(1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인 연산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가상 물체(x)(예컨대 메뉴 선택 등을 위한 지시자, 게임의 캐릭터, 공간마우스 지시자)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동시에 이용되는 경우,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입력장치(10a)와 제2 입력장치(10b) 각각으로부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한다. 그리고 메인 연산 장치(100)는 상기 동시에 수신된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개의 가상 물체(y1, y2)(예컨대 권투 게임에서 왼손과 오른손)에 각각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결합된 상태인 경우,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입력장치(10a)와 제2 입력장치(10b) 각각으로부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한다. 이때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및 제2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한꺼번에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 연산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 이용하여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하나의 가상 물체(z)(예컨대 골프 게임에서 골프채, 칼싸움 게임에서 긴칼 등)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인 연산 장치(100)에 대한 구성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메인 연산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무선통신 모듈(110), 메모리(120), 연산부(130),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모듈(11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의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작 입력 장치(10a, 10b)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연산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무선통신 모듈(110)은 연산부(130)로부터 동작 입력 장치(10a, 10b)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전달받아 동작 입력 장치(10a, 10b)로 전달한다.
메모리(120)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연산부(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연산부(130)는 무선통신 모듈(110)을 통해 동작 입력 장치(10a, 10b)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안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따라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연산부(130)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수행 도중 동작 입력 장치(10a, 10b)의 제어가 필요하면, 동작 입력 장치(10a, 10b)의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무선통신 모듈(110)에 전달하여 동작 입력 장치(10a, 10b)로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동작 입력 장치(10a, 10b)의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의 일 실시예가 하기 표 3에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 데이터 내용
Data 0 Download ID Data (0xA8)
Data 1 Download Data 01: Test LED Mode 1 02: Test LED Mode 2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제어 데이터는 Data 0 ~ Data 1 영역으로 구성되며, Data 0 ~ Data 1 영역 각각은 1바이트 크기로 구성된다. Data 0영역에는 제1 입력 장치(10a) 또는 제2 입력 장치(10b)의 데이터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Data 1 영역에는 및 제1 입력 장치(10a) 또는 제2 입력 장치(10b)가 발광하도록 하거나,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 3에서는 Data 1 영역에 제1 입력 장치(10a) 또는 제2 입력 장치(10b)가 발광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만이 작성되어 있다. 하지만 Data 1 영역에는 제1 입력 장치(10a) 또는 제2 입력 장치(10b)가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만이 포함될 수도 있고, 진동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와 발광하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가 함께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CRT(Cathode-Ray Tube) 등의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가상현실 공간을 표시하고, 연산부(130)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가상 물체를 가상현실 공간 내에 표시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메인 연산 장치(100)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메인 연산 장치(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동시에 이용되는 경우 메인 연산 장치(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결합된 상태인 경우 메인 연산 장치(1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이용되는 경우인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또는 제2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 이때 동작 감지 데이터에는 자이로 센서에 의해 1/100초 단위로 측정된 x, y, z축 각각에 대한 상대좌표값과 x, y, z축 각각의 절대좌표값, 그리고 가속도 센서에 의해 1/100초 단위로 측정된 순간 가속도값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동작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동작 감지 데이터에 포함된 x, y, z 에 대한 상대좌표값 및 절대좌표값과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안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을 연산한다.(S620) 그리고 메인 연산 장치(100)는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가상 물체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630)
한편,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분리된 상태에서 동시에 이용되는 경우인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입력 장치(10a)로부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는지(S710)와 제2 입력 장치(10b)로부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는지(S720)를 판단한다.
이때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는 제1 입력 장치(10a)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감지 데이터이고,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는 제2 입력 장치(10b)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감지 데이터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는 동시에 두 개의 가상 물체('제1 가상 물체' 와 '제2 가상 물체' 라 칭함)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1 및 제2 가상 물체 각각에 대한 동작 감지 데이터이다. 예컨대 권투 게임이 경우, 제1 감지 데이터는 왼손에 대한 동작 감지 데이터가 될 수 있고, 제2 감지 데이터는 오른손에 대한 동작 감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제1 입력 장치(10a)로부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연산한다.(S712) 그리고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연산 결과에 따라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한다.(S714)
또한, 제2 입력 장치(10a)로부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연산한다.(S722) 그리고 매인 입력 장치(100)는 제2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연산 결과에 따라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한다.(S724)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 중 메인 연산 장치(100)는 S730단계에서 동작 제어 종료 요구가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동작 제어 종료 요구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종료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동작 제어 종료 요구가 없으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상기 S710 단계 내지 S724 단계를 반복하면서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동작 제어 종료 요구가 있으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동작 제어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결합된 상태로 이용되는 경우인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결합된 동작 입력 장치(10a, 10b)로부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810) 이때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또는 제2 입력 장치 각각으로부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제1 또는 제2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한꺼번에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가상 물체('제3 가상 물체' 라 칭함)의 동작을 연산한다.(S820) 예컨대 골프 게임에서 골프채, 칼싸움 게임에서 긴칼 등이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동작점은 제1 입력 장치(10a)와 제2 입력 장치(10b)의 각 센서의 거리 차이에 대응하여 물리적으로 고정된 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 연산이 완료되면, 메인 연산 장치(100)는 연산 결과에 따라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한다.(S83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은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결합되면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고, 분리되면 두 개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황에 따라 그 상황에 적합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은 동작 입력 장치(10a, 10b)가 결합된 경우 두 개의 동작점에 대한 동작 감지 데이터를 얻어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하나의 가상 물체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함 본 발명에서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권투 게임, 칼싸움 게임, 골프 게임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상현실 내에서 가상 물체의 동작이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면 어떠한 프로그램이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동작 입력 장치는 3차원의 가상현실뿐만 아니라 1차원, 2차원과 같은 환경에서의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대응된 입력을 수행하는 입력 장치와,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입력에 따라 가상환경 안에 존재하는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황에 따라 동작시킬 가상 물체의 수가 달라지는 경우 가상 물체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가상 물체를 제어할 수도 있고, 두 개의 가상 물체를 제어할 수도 있도록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동작점이 요구되는 가상 물체를 보다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입력 장치의 이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입력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입력 장치에서 결합부의 외부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연산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메인 연산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동시에 이용되는 경우 메인 연산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입력 장치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연산 장치의 동작 흐름도

Claims (29)

  1.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 입력 장치와,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연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산 장치는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가상 물체가 하나이면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는 각각,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 센서들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들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동작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감지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동작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메뉴 선택 및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대응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부 형태는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형태로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된 형태에 맞도록 홈이 파인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산 장치는,
    상기 동작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과 상기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동작 입력 장치의 제어가 필요하면 상기 동작 입력 장치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동작 입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입력 장치는 상기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데이터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발광하도록 제 어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데이터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을 만족하는 13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에 대응된 입력 데이터와,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x, y, z축 각각의 상대좌표 값과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x, y, z축 각각의 절대좌표 값과,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가속도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좌표 값은 상기 상대좌표 값을 누적하여 현재 위치가 초기 위치로부터 얼마만큼 변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상기 제2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한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 시스템.
  16.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를 가지는 동작 입력 장치가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메인 연산 장치가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연산 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 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계는,
    가상 물체가 하나이면 상기 메인 연산 장치가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가상 물체가 두 개이면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
  18. 가상현실에서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 입력 장치로서,
    제2 입력 장치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입력 장치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는 각각,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 센서들의 측정값을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들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동작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 감지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동작 감지 데이터를 메인 연산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입력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메뉴 선택 및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버튼 누름에 대응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입력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입력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부 형태는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형태로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된 형태에 맞도록 홈이 파인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에 동작 입력 장치.
  23.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에 따라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연산 장치로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과,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연산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과 상기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연산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면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동작 입력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연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는 상기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데이터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연산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데이터를 초기화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연산 장치.
  28.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에 따라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연산 장치에서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된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동작 감지 데이터에 따라 두 개의 동작점을 가지는 제3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연산 장치에서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장치와 제2 입력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단계는,
    가상 물체가 하나이면 상기 메인 연산 장치가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와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와,
    가상 물체가 두 개이면 상기 제1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가상 물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연산 장치에서 가상 물체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080001175A 2008-01-04 2008-01-04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4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75A KR100947735B1 (ko) 2008-01-04 2008-01-04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175A KR100947735B1 (ko) 2008-01-04 2008-01-04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348A true KR20090075348A (ko) 2009-07-08
KR100947735B1 KR100947735B1 (ko) 2010-03-17

Family

ID=4133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175A KR100947735B1 (ko) 2008-01-04 2008-01-04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22A1 (ko) * 2016-04-18 2017-10-26 김종만 가상현실 기기용 3차원 모션 입력장치
WO2018076241A1 (zh) * 2016-10-27 2018-05-03 北京传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vr设备与计算机的数据连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28B1 (ko) 2010-03-23 2012-06-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버블 포핑 장치 및 방법
KR101679779B1 (ko) 2016-04-18 2016-11-25 김종만 가상현실 기기용 3차원 모션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2726B2 (ja) * 2005-08-24 2009-05-1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TWI395603B (zh) * 2006-04-26 2013-05-11 Pixart Imaging Inc 互動式遊戲裝置及其遊戲控制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22A1 (ko) * 2016-04-18 2017-10-26 김종만 가상현실 기기용 3차원 모션 입력장치
WO2018076241A1 (zh) * 2016-10-27 2018-05-03 北京传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vr设备与计算机的数据连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735B1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9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184100B2 (en) Inertia sensing input controller and receiver and interactive system using thereof
KR101366813B1 (ko) 정보입력장치의 제어방법, 정보입력장치,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매체
CN101561708B (zh) 利用动作感测判断输入模式的方法与其输入装置
CN101829428B (zh) 电脑游戏磁动枪
CN117348743A (zh) 计算机、渲染方法以及位置指示装置
KR100947735B1 (ko) 가상현실에서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87455A1 (en) Filtering controller input mode
EP3190483A1 (en) A spherical hand-held unit for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in a wireless interaction system
US88787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7916896B2 (en) Storage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1706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2538308A2 (en) Motion-based control of a controllled device
KR100652928B1 (ko) 제어대상 지시 결정 시스템, 원격지시제어장치, 전자기기및 수신장치
RU236894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координат манипулятора типа "мышь" или "электронное перо"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00009023A (ko) 움직임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RU267064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рчатки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варианты)
KR100699670B1 (ko) 원격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387818B1 (ko) 객체 컨트롤러
KR20040020262A (ko) 펜 타입의 다기능 마우스 입력장치
US83336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operation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WO2009112822A2 (en) Pointing device
KR102226507B1 (ko) 3차원 뷰어를 위한 3차원 입력장치
KR20170124199A (ko) 인체의 움직임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장치
KR1015848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리모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