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929A -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929A
KR20090074929A KR1020080000649A KR20080000649A KR20090074929A KR 20090074929 A KR20090074929 A KR 20090074929A KR 1020080000649 A KR1020080000649 A KR 1020080000649A KR 20080000649 A KR20080000649 A KR 20080000649A KR 20090074929 A KR20090074929 A KR 2009007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recording medium
signal
degre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서정교
곽봉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4929A/ko
Publication of KR2009007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기록매체의 틸트를 보정하여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 및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틸트에 따른 기록매체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틸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틸트를 유지하여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1020080000649
기록매체, 틸트, 보정

Description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on/from Optical disc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기록매체의 틸트를 보정하여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 및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고용량, 고밀도의 기록매체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의 예로,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가 있다. 또한, 획기적으로 기록용량을 증대시킨 차세대 기록매체인 BD(Blu-ray Disc) 혹은 근접장 기록매체(Near Field Recording Medium)등이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가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에 로딩 되면서 틸트(Tilt)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 자체의 기울어짐뿐만 아니라, 기록/재생 장치 자체의 틸트에 의해서 기록매체와 장치간의 틸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틸트를 보정하여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방법 및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틸트에 따른 기록매체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틸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틸트를 유지하여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변화시키면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록매체의 기울어진 정도를 변화시키면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신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기록매체의 기울어짐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은 상기 신호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를 결정하는 것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기록매체의 기울 어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은, 1 방향으로 기록매체의 틸트를 변화시키면서 갭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갭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제 1 방향으로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제 2 방향으로 기록매체의 틸트를 변화시키면서 갭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갭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제 2 방향으로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보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틸트 정도를 변화시키면서 갭 신호를 측정하는 것은, 상기 갭 신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틸트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에서의 갭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구하는 것은, 상기 갭 신호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픽업부;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록매체 틸트 조정부; 상기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 체의 틸트 정도를 조정하며, 상기 픽업부에서 수신된 광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틸트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틸트 조정부는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감소하도록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여 기록매체의 틸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은, 상기 신호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트 조정부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틸트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여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조정하는 제 3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3 제어부를 제어하며,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틸트 조정부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어부, 상기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3 제어부는 하나로 합쳐질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는 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보면,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픽업부;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틸트 조정부; 상기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조절하고, 상기 픽업부에서 수신된 광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에 따른 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갭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틸트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틸트 조정부를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움직여가면서 갭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가 갭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것은 제 1 방향에 대해서, 갭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고, 제 2 방향에 대해서 갭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및 기록/재생 방법에 의하면, 기록 매체와 픽업부간의 틸트 조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틸트 조정에 있어서, 틸트가 최소가 되는 기준점을 파악하여 기록매체의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기록매체"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거나, 기록가능한 모든 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테이프 등 기록방식에 상관없이 모든 매체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디스크 특히 "근접장 기록매체"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재생 장치는 픽업부(100), 신호 생성부(200), 제 2 제어부(300), 서보 구동부(400), 디코더(500), 엔코더(600), 제 1 제어부(700)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호스트와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픽업부(100)는 광을 기록매체에 조사하고, 기록매체에서 반사 또는 회절된 광을 집광하여 신호를 생성한다. 픽업부(100)의 자세한 구성은 추후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부(100)는 기록매체에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하고, 기록매체로부터 광을 집광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픽업부(100)의 위치제어는 기록매체의 정확한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서 필요하다. 또한, 상기 픽업부(100)와 기록매체간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 기록/재생되는 신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신호 생성부(200)는 픽업부(1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이용하여 RF 신호와 제어에 필요한 갭 에러 신호, 트랙에러 신호등을 생성한다. RF 신호 및 트랙 에러 신호는 기록매체와 픽업부(100)간 트랙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갭 에러 신호는 기록매체와 기록/재생 장치간의 수직거리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또한, 갭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와 픽업부(100)간의 틸트 정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제 2 제어부(300)는 신호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 또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 예로, 신호 생성부(200)에서 생성된 갭 에러 신호를 수신하여,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수직거리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갭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틸트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7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록/재생 명령을 제 2 제어부(300)으로 전송하고, 디코더(600)로부터 재생된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기록할 데이터를 엔코더(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어부(700)는 픽업부(100), 신호생성부(200), 제 2 제어부(300), 서보 구동부(400), 엔코더(500), 디코더(600) 를 제어할 수 있다. 혹은 제 1 제어부가 제 2 제어부(300)를 제어하여 픽업부(100), 신호생성부(200), 서보 구동부(400), 엔코더(500), 디코더(6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의 예로는, PC 혹은 호스트가 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PC의 DSP 칩셋(Chipset)이나 CPU 등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통상 ATAPI(Advanced Technology Attached Packet Interface, 700)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ATAPI(700)는 기록재생 장치와 호스트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 제안된 규격이며, 디코딩된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처리 가능한 데이터인 패킷 형태의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는 제 3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700)는 기록/재생 장치의 외부에서 기록/재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00)는 기록/재생 장치의 내부에서 처리된 신호에 의해서 혹은 제 1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기록/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3 제어부는 제 1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서 기록/재생 장치의 일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광학적인 구성요소의 제어보다는 기계적인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한 예로, 기록/재생 장치내에 기록매체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는 틸트 조정부가 포함될 경우, 제 3 기록매체는 틸트 조정부의 틸트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틸트 조정부가 모터에 의해서 틸트 정도가 조정될 경우, 모터의 회전량, 회전 방향등을 고려하여 틸트를 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틸트 조정부와 제 3 제어부 사이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의 일 실시예로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가 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와 제 3 제어부의 역할은 기록/재생 장치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서 하나로 합쳐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는 서보 구동부(400)을 포함한다. 서보 구동부(400)는 갭 서보 구동부, 트랙킹 서보 구동부, 슬레드 서보 구동부, 스핀들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갭 서보 구동부는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수직거리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트랙킹 서보 구동부는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쉬프트를 보상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또한, 슬레드 서보 구동부는 픽업부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이다. 트랙킹 서보 구동부는 트랙 단위 혹은 몇개의 트랙단위로 픽업부를 이동시키는 데 반하여, 슬레드 구동부는 보다 큰 범위에서 픽업부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동부이다. 또한, 스핀들 구동부는 안착된 기록매체의 회전을 구동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500)는 신호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암호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디코더(600)는 신호생성부에 복호화된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의 광학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광학계는 픽업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광 학계 내부의 광원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그 외에는 신호의 흐름을 기준으로 하여 작동순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100)는 광원(110), 제 1 빔 분리기(120), 제 2 빔 분리기(130), 렌즈부(140), 제 1 수광부(150), 제 2 수광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는 콜리메이터 렌즈(CL)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CL)는 입사하는 광을 평행광으로 바꾸어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은 제 1 분리합성부(120)로 입사하여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통과되어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된다.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는 상기 선편광된 광에서 수직 편광 성분은 통과시키고 수평 편광 성분은 반사시킨다. 즉, 상기 제 1 분리합성부(120)로 비편광 빔 스플리터(NBS: Non-polarized Beam Splitte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로는 편광 빔 스플리터(PBS: Polarized Beam Splitter)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분리합성부(120)와 제 2 분리합성부(130)의 역할을 바꿀 수도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제 2 분리합성부(130)를 통과한 광의 경로 상에는 편광 변환면(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2 분리합성부(130)를 통과한 광은 렌즈부(140)로 입사한다. 여기서 렌즈부(140)의 대물 렌즈로 입사한 광은 근접장 형성 렌즈를 통과하면서 소산파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계각 이상의 각도로 상기 근접장 형성 렌즈에 입사한 광은 렌즈의 표면과 기록매체(900)의 표면에서 전반사한다. 그리고 임계각을 넘지 않는 각도로 근접장 형성 렌즈에 입사한 광은 기록매체(900)의 기록층에 반사된 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산파는 기록매체의 기록층에 도달하여 기록/재생을 수행한다.
상기 기록매체(900)로부터 반사된 광은 다시 렌즈부(140)를 통하여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하는 경로상에 편광 변환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편광 변환면은 기록매체(900)로 입사하는 광과 반사된 광의 편광 방향을 변환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에 의해 수평 편광 성분만 통과되어 입사된 광은 기록매체(900)에 반사되어 다시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될 때 수직 편광 성분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수직 편광 성분의 반사광은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에 반사되고, 상기 반사된 광은 제 2 수광부(160)로 입사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로 입사되는 반사광의 일부는 편광 방향의 왜곡에 의하여 수평 편광 성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분리합성부(13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통과된 반사광은 제 1 분리합성부(120)로 입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리합성부(120)는 입사된 광의 일부를 통과시키고 일부를 반사시킨다. 상기 제 1 분리합성부(120)에서 반사된 광은 제 1 수광부(150)로 입사하게 된다.
또한, 제 1 수광부(150)와 제 2 수광부(160)는 상기 분리합성부를 통과한 신호를 수신하여, 그 광량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수광부(150)와 제 2 수광부(160)는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제 1 수광부(150) 혹은 제 2 수광부(16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수광부(150, 160)는 다분할 영역을 포함할 수 있 다. 각 수광부를 구성하는 수광소자의 개수 및 분할영역등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140)는 기록매체에 광을 조사시키고 기록매체(900)로부터 반사 또는 회절된 광을 수신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기록/재생을 위해서는 기록매체(900)와 렌즈부(140)와의 위치제어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근접장 기록/재생 장치에서 렌즈부(140)의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부(14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렌즈부(140)는 대물렌즈(142)와 근접장 형성 렌즈(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장 형성 렌즈(144)를 통해서 렌즈부(140)의 개구수를 높이고 이를 통해서 소산파(Evernescent Wave)를 형성한다. 근접장 형성 렌즈(144)의 일 예로 고체 함침 렌즈(Solid Immersion Lens: SIL)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 함침 렌즈(SIL)로 반구형 혹은 초반구형의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근접장 형성 렌즈(144)를 사용하지 않고, 근접장 형성 거울(Solid Immersion Mirror)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근접장 형성 거울(SIM)이 사용되는 경우, 대물렌즈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렌즈부(140)와 기록매체(900) 사이의 거리를 갭(gap)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의 정의 및 명칭은 기록매체 및 기록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렌즈부(140)를 포함하는 픽업부의 광학계는 기록매체(900)와 매우 근접하여 위치한다. 일 예로, 근접장 광학계의 경우 그 거리는 1/4(즉, λ/4) 이하일 수 있다. 한 예로, 405nm 정도의 파장을 사용할 경우에 그 근접 거리는 100nm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근접장 광학계는 λ/4 이하의 거리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한다. 렌즈부(140)와 기록매체(900)를 광 파장의 약 1/4(즉, λ/4) 이하로 근접시키면, 렌즈부(140) 내부에서 생성된 소산파는 성질을 유지하며 기록/재생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부(140)와 기록매체(900)의 간격이 λ/4 이상으로 멀어지면, 광의 파장은 소산파의 성질을 잃어버린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근접장을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렌즈부(140)는 기록매체(900)와의 간격이 대략 λ/4을 넘지 않도록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λ/4가 근접장의 한계가 된다.
도 4는 기록매체와 기록/재생 장치간이 틸트가 발생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대로 기록매체와 기록/재생 장치간의 틸트는 안착면의 공차, 기록매체 삽입시의 오류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혹은 픽업부의 틸트로 기록매체와 기록/장치간의 틸트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기록매체의 기울어짐을 일정한 방향을 이용하여 정의할 수 있는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대해서 기록매체의 틸트를 정의할 수 있다. 한 예로, 제 1 방향은 기록매체가 기록/재생되는 지점에서의 반지름 방향이고, 제 2 방향은 기록매체의 기록/재생되는 지점에서의 접선방향일 수 있다. 또한, 틸트의 보정도 기록매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서 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가 틸트 될 경우, 기록매체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등이 달라질 수 있다. 한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매체가 틸트 되는 경우, 기록매체로부터 수신된 갭 에러 신호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근접장의 특성상, 근접장거리의 임계치 내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반사된 신호의 경우 어두운 신호를 먼 거리에서 반사된 신호의 경우 밝은 신호를 내게 된다. 틸트가 된 경우, 평균적으로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거리가 더 멀어져서 수신되는 신호의 합이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갭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총합을 구할 수 있다.
도 5는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에 따른 갭 에러 신호(GES: Gap Error Signal)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하였듯이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틸트가 증가할 수록 갭 에러 신호는 크게 나타난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듯이, 틸트 정도에 따라서 갭 에러 신호가 점차 감소하다가 최소값을 갖고, 그 이후 다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갭 에러 신호가 감소하는 구간의 경우 기록매체와 픽업부(100)간의 틸트가 감소할 수 있다. 반면, 갭 에러 신호가 증가하는 구간의 경우 기록매체와 픽업부(100)간의 틸트가 증가함을 나타낸다. 또한, 갭 에러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는 기록매체와 픽업부(100)간의 틸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이다.
전술한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에 대해서 기록매체의 틸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찾을 수 있다.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기록매체에 틸트 정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갭 에러 신호를 측정하는 경우, 갭 에러 신호의 최소 지점으로 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근접장 기록매체 및 기록/장치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 및 갭 에러 신호를 이용할 수 있으나, 다른 광학계에도 응용이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한 예로,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에도 응용이 가능함을 할 수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를 이용할 경우, 갭 에러 신호대신 포커스 신호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거리를 이용한 신호 이외에도 트랙 에러 신호 혹은 수광소자의 구성을 설계하여 그 수광소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틸트 신호로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제 1 제어부, 제 2 제어부 및 제 3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제어부는 제 2 제어부 및 제 3 제어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제어부의 일 예로 컴퓨터의 CPU 혹은 원격 호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제 1 제어부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제어부와 같은 제어부 일 수 있다.또한, 제 2 제어부는 도 1에 도시된 기록재생부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의 역할의 경우 도 1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제 1 제어부, 제 2 제어부, 제 3 제어부는 다음의 실시예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에서 기록매체에 기록 및/또는 재생을 하기 위해 기록/재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제어부는 제 1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기록재생부의 내부에서 기록재생부의 각 요소들을 제어한다. 한 예로, 제 2 제어부의 경우 기록/재생부의 제어하여 갭 에러 신호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제어부는 기록재생부에서 발생한 갭 에러 신호등을 제 1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는 전달받은 갭 에러 신호등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파악된 틸트 정도에 따라 제 3 제어부를 이용하여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제어부의 일 예로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제 1 제어부, 제 2 제어부 제 3 제어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 1 제어부가 제 3 제어부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변화시키면서 제 2 제어부를 제어하여 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얻어지는 갭 신호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일 수 있다. 만약 갭 신호가 점점 증가한다면 제 1 제어부는 제 3 제어부를 제어하여 반대방향으로 틸트를 줄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부는 제 3 제어부를 제어하여 각 틸트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 및 또는 제 2 방향으로 틸트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덱(deck)의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서 덱은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을 위한 각종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록매체 자체도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덱은 픽업부(100) 및 스핀들 구동부(41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핀들 구동부 이외에도 갭 서보 구동부, 트랙킹 서보 구동부, 슬레드 서보 구동부등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스핀들 구동부의 상부에는 턴테이블(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으며, 턴테이블에는 기록매체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덱(deck)은 틸트 조정부(820, 8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 조정부는 덱에 안착된 기록매체의 각도를 보상할 수 있다. 틸트 조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기록매체의 각도를 보상할 수 있다. 한 예로, R-방향 틸트 및/또는 T 방향의 틸트 각도를 보상할 수 있다. 여기서 R-방향은 기록매체를 기록/재생 하는 지점에서 반지름 방향, T 방향은 접선 방향을 의미할 수 있 다. 또한, 서로 다른 두 방향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대해서 틸트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틸트 조정부를 구동하는 방식은 여러가지 형태가 가능하다. 한 예로, 틸트 조정부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틸트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 및/또는 제 3 제어부가 모터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결정하여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틸트 조정부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두 방향에 대해서 틸트를 조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모터는 각각의 틸트 조정부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틸트를 보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변화시키면서 틸트 신호를 측정한다(s10). 이 때, 틸트 신호의 일 예로는 전술한 도 5에서와 같이 갭 에러 신호(GES) 신호등이 될 수 있다. 틸트 신호를 측정함에 앞서서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 예로, 근접장 기록매체의 경우 기록매체와 픽업부와의 간격을 약 30nm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틸트 신호를 측정하면서 틸트 신호가 증가하는지 판단한다(s20). 전술한대로, 틸트 신호가 갭 신호인 경우, 틸트 신호가 증가한 것은 기록매체와 픽업부 간의 틸트가 정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와 픽업부간의 틸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틸트 신호가 증가한다면 반대방향으로 틸트 시켜서(s30) 최소가 지점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틸트 신호의 증가/감소에 따른 틸트 정도의 판단은 기록매체 및 사 용되는 신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여기서,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도 7에서 전술한대로 틸트 조정부에 의해서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틸트 조정부의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여 틸트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모터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하였을 경우, 틸트 신호가 증가한다면 반대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기록매체를 반대방향으로 틸트 시키면서 틸트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한다(s40). 이 때, 틸트 신호가 갭 에러 신호등인 경우 틸트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의 각도로 틸트 정도를 결정한다(s50).
여기서 s10~s50의 단계는 기록/재생되는 하나의 기록매체의 두 방향에 대해서 할 수도 있다. 한 예로,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으로 s10~s50의 단계를 통해서 틸트 각도를 결정하고,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으로 s10~s50의 단계를 통해서 틸트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계를 도시한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성의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성의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 신호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구성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덱(deck)의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 보정방법의 일 실시예이다.

Claims (31)

  1. 기록매체의 틸트에 따른 기록매체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틸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틸트를 유지하여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변화시키면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기울어진 정도를 변화시키면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신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기록매체의 기울어짐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은 상기 신호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를 결정하는 것은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의 기록매체의 기울어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7.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8.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10. 제 1 방향으로 기록매체의 틸트를 변화시키면서 갭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갭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제 1 방향으로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제 2 방향으로 기록매체의 틸트를 변화시키면서 갭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갭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제 2 방향으로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보정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보정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보정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틸트 정도를 변화시키면서 갭 신호를 측정하는 것은,
    상기 갭 신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틸트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보정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에서의 갭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구하는 것은, 상기 갭 신호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 보정 방법.
  15. 기록매체에 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픽업부;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록매체 틸트 조정부;
    상기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조정하며, 상기 픽업부에서 수신된 광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틸트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조정부는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의 틸트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감소하도록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여 기록매체의 틸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은, 상기 신호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으로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 조정부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틸트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와;
    상기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여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조정하는 제 3 제어부와;
    상기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3 제어부를 제어하며,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틸트 조정부의 틸트 정도를 결정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 상기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3 제어부는 하나로 합쳐질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4. 제 16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5. 제 16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갭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7. 기록매체에 광을 입사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픽업부;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틸트 조정부;
    상기 틸트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를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조절하고, 상기 픽업부에서 수신된 광을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틸트 정도에 따른 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갭 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으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틸트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반지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기록매체의 접선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틸트 조정부를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움직여가면서 갭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갭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것은 제 1 방향에 대해서, 갭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고, 제 2 방향에 대해서 갭신호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KR1020080000649A 2008-01-03 2008-01-03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KR20090074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49A KR20090074929A (ko) 2008-01-03 2008-01-03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49A KR20090074929A (ko) 2008-01-03 2008-01-03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929A true KR20090074929A (ko) 2009-07-08

Family

ID=4133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649A KR20090074929A (ko) 2008-01-03 2008-01-03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49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9824A (en) Digital disk player
US7463560B2 (en) Optical disc device
US20050185535A1 (en) Tilt compens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tilt compensating method
US7835250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EP1091356A2 (en) Bias voltage controlling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US7701814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EP1688935B1 (en) Optical disc apparatus and defocus control method
KR20090074929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US20070280065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200626896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4158080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光ピックアップのチルト補正方法
US20070268795A1 (en) Optical disc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ptical disc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signal reproducing circuit
US7948839B2 (en) Optical disk apparatus
JP4028436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チルト角調節方法
WO2007117082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method of determining type of recording medium
KR101251645B1 (ko)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11690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KR20100109010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JP2000357338A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チルト検出方法
US20110228659A1 (en) Collision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between recording medium and lens
JP2003317288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チルト検出方法
US20080267025A1 (en) Method of Lens Positioning For Tilt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nd Recording Data Onto An Optical Disc
KR101255343B1 (ko) 언밸런스 디스크 판별 장치 및 방법, 이를 적용한 광정보저장매체 시스템
KR20080105480A (ko) 기록매체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90097380A (ko) 픽업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기록/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