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885A -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885A
KR20090074885A KR1020080000573A KR20080000573A KR20090074885A KR 20090074885 A KR20090074885 A KR 20090074885A KR 1020080000573 A KR1020080000573 A KR 1020080000573A KR 20080000573 A KR20080000573 A KR 20080000573A KR 20090074885 A KR20090074885 A KR 20090074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tile output
tactile
touch
touch scree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봉준
정원석
김성우
이홍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4885A/ko
Publication of KR2009007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손가락 등에 진동이나 전기자극 등을 가하는 촉감 출력 장치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동하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을 통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촉감 출력 장치가 해당 입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출력하도록 한 촉감 출력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촉감 출력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접촉 시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으로서,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생성한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촉감 출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촉감 출력 장치; 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Tactile Feedback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손가락 등에 진동이나 전기자극 등을 가하는 촉감 출력 장치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동하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을 통한 접촉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촉감 출력 장치가 해당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키보드 입력 방식 대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현재 컴퓨터 기기, 이동통신 단말기, 키오스크 단말기, 카AV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현금 인출을 위한 ATM 기기, 공공 장소의 안내용 컴퓨터 기기 등은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이러한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은 일반 키보드와는 달리 키감을 느낄 수 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눌렸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이 터치스크린에 제대로 접촉되면 "삐"소리를 내거나 진동을 피드백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보지 않고도 입력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거나 또는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단순한 소리나 진동의 출력은 사용자가 입력 여부 자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는 하나, 입력 내용과 무관하게 일률적인 소리를 내거나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바가 정확히 입력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입력 내용에 따라 소리나 진동의 출력 형태를 일부 달리할 수 있다 하더라도 정확히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촉감의 출력 형태를 보다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터치스크린 접촉 시 진동을 출력하도록 제안된 기존의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시스템이어서, 진동 출력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를 새로 개발해야한다는 단점이 있고, 진동 등 촉감을 출력하는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된 형태로 개발될 경우 결국 촉감의 출력 방식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하게 되어, 추후 다양한 촉감 출력 기술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새로운 촉감 출력 기술을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입력 여부뿐만 아니라 정확한 입력 여부까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촉감의 출력으로 여러가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촉감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제안이 필요하며,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터치스크린 접촉을 통한 사용자 입력시, 입력 여부뿐 아니라 정확한 입력 여부까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촉감의 출력으로 여러가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촉감을 출력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 간 연동을 통해 촉감 출력 장치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된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웨어 변경 없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촉감 출력 장치를 이용해 자신의 터치스크린 입력에 대해 원하는 촉감 출력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접촉 시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으로서,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 치가 생성한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촉감 출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촉감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화면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해당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촉감 출력 이벤트인 경우 해당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촉감 출력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촉감 출력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촉감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감 출력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게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촉감 발생판을 구비하며,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촉감 발생판은, 다양한 패턴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 다양한 패턴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판, 다양한 패턴으로 핀을 돌출시켜 핀 돌출 자극을 가하는 핀형자극판 중 하나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촉감 출력 장치는, 인체의 손에 착용하는 글러브 형태일 수 있으 며, 개별 손가락 단위로 착용하는 형태의 글러브 또는 손 전체에 착용하는 형태의 글러브가 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접촉 시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화면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해당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촉감 출력 이벤트인 경우 해당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촉감 출력 정보 생성부와;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장치가 상기 생성된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촉감 출력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촉감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촉감 출력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게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촉감 발생판을 구비하며,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된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장치로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게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촉감 발생판을 구비하며,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부; 를 포함하는 촉감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촉감 발생판은, 다양한 패턴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 다양한 패턴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판, 다양한 패턴으로 핀을 돌출시켜 핀 돌출 자극을 가하는 핀형자극판 중 하나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촉감 출력 장치는, 인체의 손에 착용하는 글러브 형태일 수 있으며, 개별 손가락 단위로 착용하는 형태의 글러브 또는 손 전체에 착용하는 형태의 글러브가 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시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촉감 출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촉감 출력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면,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해당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촉감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촉감 출력 장치가 상기 수신된 촉감 출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촉감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제2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해당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촉감 출력 이벤트인 경우 해당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촉감 출력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촉감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촉감 출력 장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촉감 발생판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촉감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에 진동, 전기자극, 핀 돌출 자극 중 하나 이상을 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디스플 레이 장치에서의 접촉 이벤트 발생 시 접촉 이벤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촉감을 전달하기 때문에 입력 여부뿐 아니라 정확한 입력 여부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특히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하기 때문에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 간 연동을 통해 촉감 출력 장치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된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도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나 종류의 촉감 출력 장치가 제공될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촉감 출력 장치를 이용하면 자신의 터치스크린 입력에 대해 원하는 촉감 출력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촉감 출력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촉감 출력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접촉을 통한 입력 방식을 채용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으로 소정의 접촉 이벤트가 발생되면, 그에 대응하여 어떠한 패턴의 촉감을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정보인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촉감 출력 장치(20)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촉감 출력 장치(2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되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접촉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촉감 출력 정보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전달받아, 그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재생하여 사용자가 촉감을 통해 자신이 입력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촉감 출력 장치(2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촉감 발생판을 구비하여야 한다. 촉감 발생판은 다양한 패턴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 다양한 패턴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판, 다양한 패턴으로 핀을 돌출시켜 핀 돌출 자극을 가하는 핀형자극판 등이 될 수 있다.
촉감 출력 장치(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며, 도면에서와 같이 인체의 손 또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글러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촉감 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촉감 출력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촉감 출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접촉 감지부(11), 디스플레이부(12), 촉감 출력 정보 생성부(13), 및 통신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촉 감지부(11)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 접촉 감지 신호는 터치된 부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화면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블록으로서, 현재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내용과 터치된 부분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한다.
촉감 출력 정보 생성부(13)는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해당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촉감 출력 이벤트이면 해당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촉감 출력 장치(20)와의 통신 연결로 자동 실행되고, 통신 차단과 동시에 자동 실행 종료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촉감 출력 정보 생성부(13)는 다양한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또는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해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따라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지거나,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별로 미리 정해진 촉감 출력 정보 리스트를 가지며,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통신부(14)로 전달한다.
통신부(14)는 촉감 출력 장치(20)로 해당 촉감 출력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USB 연결 방식 등 유선 연결 방식, 블루투스나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접속 방식 등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 촉감 출력 장치(20)는 통신부(21) 및 촉감 출력부(22)로 구성된다.
통신부(21)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통신부(14)로부터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이다.
촉감 출력부(22)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촉감 발생판을 구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한다.
촉감 발생판은 사용자 접촉 부위에 구비되며, 다양한 패턴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 다양한 패턴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판, 다양한 패턴으로 핀을 돌출시켜 핀 돌출 자극을 가하는 핀형자극판 등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촉감을 모두 제공하기 위해 진동 수단, 전기자극 수단, 핀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방식의 촉감을 재생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촉감 발생판은 특정 촉감을 재생하는 수단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촉감 출력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촉감 출력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동작을 도 3을 통해 다시 한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촉감 출력 장치(20)가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형성되면(S31),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시(S32) 해당 터치스크린 이벤트가 촉감을 출력해야할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3).
이 때, 모든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가 아니라면, S33 단계에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현재 발생한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촉감 출력 이벤트 중 하나인지를 판단할 것이며, 모든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라면, S33 단계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촉감 출력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인지하는 단계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해당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로 확인되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촉감 출력 정보 생성 알고리즘이나 미리 가지고 있는 촉감 출력 정보 리스트 등을 이용하여 해당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촉감 출력 장치(20)로 전달한다(S34).
촉감 출력 장치(20)는 수신한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해당 장치에 구비된 촉감 발생판의 진동 수단, 전기자극 수단, 핀 등을 구동시키거나 돌출시켜 촉감을 재생한다(S35).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촉감 발생판에 접촉된 자신의 신체 부위에서 촉감을 느끼게 되며, 느껴지는 촉감에 근거하여 정보 입력 여부 및 정확한 정보 입력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해 촉감을 출력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으로 발생된 어떠한 이벤트에 대해서도 촉감을 출력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는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 그에 대응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응답 이벤트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일 예로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알림 메시지 등을 제공할 경우, 알림 메시지 발생도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 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을 채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 네비게이션 장치, ATM 단말기 등 다양한 입출력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에 대해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을 제공하고, 다양한 촉감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가상 현실 서비스에서 현실감을 체험하게 하기 위해 손에 착용하는 촉감 출력 글러브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가상 현실 서비스에 활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촉감 출력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촉감 출력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촉감 출력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11 : 접촉 감지부
12 : 디스플레이부 13 : 촉감 출력 정보 생성부
14 : 통신부 20 : 촉감 출력 장치
21 : 통신부 22 : 촉감 출력부

Claims (13)

  1. 터치스크린 접촉 시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으로서,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생성한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촉감 출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촉감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화면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해당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촉감 출력 이벤트인 경우 해당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촉감 출력 정보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촉감 출력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촉감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출력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게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촉감 발생판을 구비하며,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발생판은,
    다양한 패턴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 다양한 패턴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판, 다양한 패턴으로 핀을 돌출시켜 핀 돌출 자극을 가하는 핀형자극판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출력 장치는,
    인체의 손에 착용하는 글러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시스템.
  6. 터치스크린 접촉 시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 감지부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따라 화면 디스플레이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해당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촉감 출력 이벤트인 경우 해당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촉감 출력 정보 생성부와;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장치가 상기 생성된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촉감 출력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촉감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7.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된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장치로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에게 다양한 패턴의 촉감을 전달할 수 있는 촉감 발생판을 구비하며,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부;
    를 포함하는 촉감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발생판은,
    다양한 패턴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 다양한 패턴의 전기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판, 다양한 패턴으로 핀을 돌출시켜 핀 돌출 자극을 가하는 핀형자극판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출력 장치는,
    인체의 손에 착용하는 글러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장치.
  10.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하는 별도의 촉감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시 사용자에게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 출력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촉감 출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촉감 출력 장치와의 통신이 연결되면,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해당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촉감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촉감 출력 장치가 상기 수신된 촉감 출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촉감 출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촉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 접촉 이벤트 발생 사실을 인지하고, 해당 접촉 이벤트가 촉감 출력 이벤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촉감 출력 이벤트인 경우 해당 촉감 출력 이벤트에 대응되는 촉감 출력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촉감 출력 정보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촉감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촉감 출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따라 촉감 출력 장치에 구비된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촉감 출력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의 촉감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촉감 발생판의 사용자 접촉 부위에 진동, 전기자극, 핀 돌출 자극 중 하나 이상을 가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출력 방법.
KR1020080000573A 2008-01-03 2008-01-03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4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573A KR20090074885A (ko) 2008-01-03 2008-01-03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573A KR20090074885A (ko) 2008-01-03 2008-01-03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885A true KR20090074885A (ko) 2009-07-08

Family

ID=4133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573A KR20090074885A (ko) 2008-01-03 2008-01-03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48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825B1 (ko) * 2009-05-20 2011-07-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촉각을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50061681A (ko) * 2013-11-27 2015-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햅틱 렌더링 회로 및 이를 사용한 햅틱 디스플레이
WO2022234967A1 (ko) * 2021-05-04 2022-11-10 김수영 햅틱피드백이 가능한 다기능 입출력 핸드헬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825B1 (ko) * 2009-05-20 2011-07-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촉각을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50061681A (ko) * 2013-11-27 2015-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햅틱 렌더링 회로 및 이를 사용한 햅틱 디스플레이
WO2022234967A1 (ko) * 2021-05-04 2022-11-10 김수영 햅틱피드백이 가능한 다기능 입출력 핸드헬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0040B2 (en) Haptic CAPTCHA
CN104714687B (zh) 用于触觉显示参数的光学传输的系统和方法
CN102591512B (zh) 触觉反馈系统和用于提供触摸反馈的方法
EP3299932A1 (en) Orientation adjustable multi-channel haptic device
EP2075671A1 (en)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372216B2 (en) Gesture feedback
WO2013104919A1 (en) Haptic feedback and pressure sensing
CN103869940A (zh) 触感反馈系统、电子装置及其提供触感反馈的方法
KR20150069615A (ko) 사용자 동작 인식 기반의 햅틱 피드백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U2015357603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the protected input of symbols
JPWO2015045060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における照合方法
KR20090074325A (ko)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4885A (ko)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US10620739B2 (en) Electrotactile feedback in multitouch systems
KR2010007814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햅틱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678131B (zh) 信息处理方法、信息装置、移动终端及服务器
CN104902389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WO1998014860A1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feelings
KR100907411B1 (ko) 다중 접촉 입력 장치를 활용한 촉감 출력 시스템 및 방법
WO2021190590A1 (zh) 验证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A3145785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input to a virtual keypad or keyboard on an electronic device
US97787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data
CN10582448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操作设备
KR20100120423A (ko) 휴대 단말기의 스마트 플루이드 제어 방법 및 장치
AU2021103563B4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Input To A Virtual Keypad or Keyboard On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