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599A -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 Google Patents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599A
KR20090074599A KR1020080000437A KR20080000437A KR20090074599A KR 20090074599 A KR20090074599 A KR 20090074599A KR 1020080000437 A KR1020080000437 A KR 1020080000437A KR 20080000437 A KR20080000437 A KR 20080000437A KR 20090074599 A KR20090074599 A KR 20090074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ver
body portion
drain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노
김동섭
김성식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김성식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8000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4599A/ko
Publication of KR2009007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송수관 또는 급수관에 연결된 배수(排水)설비 배수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채수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수도, 채수, 수질, 배수(排水)설비, 송수

Description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Water sampler of Drainage for waterworks}
본 발명은 상수도 배수(排水)설비의 채수기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수관 또는 급수관에 연결된 배수(排水)설비 내부로 유출되는 상도수의 채수(採水)를 위해 상기 배수(排水)설비 내부로 연결된 배수관의 단부에 구비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수자원의 원활한 관리 및 공급을 위해 설치되는 상수도 시설은 도 1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취수원(110)으로부터 원수를 취득하는 취수, 취수한 원수를 도수관(120)을 통해 정수시설(130)까지 이송하는 도수, 용도에 맞는 수질을 확보하도록 상기 정수시설(130)에 의해 원수가 처리되는 정수, 정수된 물을 송수관(140)을 통해 배수지(150)까지 이송 및 급수관(160)을 통해 상기 배수지(150)로부터 수용가(170)로 물이 이송되는 급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송수관(140)과 급수관(160)에는 관로내부에 침전된 협잡물의 제거를 위해 배수(排水)설비(180)가 연결된다.
취수과정을 통해 취득된 원수는 도수과정을 거쳐 정수설비(130)로 이동된 다 음 정수과정을 거친 후 배수지(150)로 송수되는데, 상기 배수설비(180)는 송수관(140) 및 급수관(160)의 내부 이토나 모래등과 같은 협잡물을 관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수용가(170)에 깨끗한 상태의 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배수설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排水)설비(180)는 배수관(183)을 통해 유통되는 물의 수량 및 수압을 제어하도록 밸브(182)가 설치된 밸브실(181)과, 소정의 공간을 가짐으로써 물이 저수되는 배수피트(18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피트(185)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밸브실(181)을 거쳐 물이 유출되는 배수관(18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피트(185)의 타측 상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18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수관(183)을 통해 상기 배수피트(185)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출구(166)가 형성된 높이만큼 상기 배수피트(185) 내부에 저수된 다음 하천으로 배출된다. 이과정에서 상기 송수관(140) 또는 급수관(160)에 함유된 협잡물은 배수설비(180)의 배수구(186)를 통해 배출함으로서 상기 수용가(170)로 보다 깨끗한 상태의 물이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배수피트(185) 내부에 협잡물이 다량 침전된 경우 상기 배수관(183)을 통해 유출되는 물보다 배수되는 물의 수질이 악화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배수관(183)을 통해 유출되는 물은 0.5nut이하의 탁도를 만족해야만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배수설비(180)의 경우 상기 배수관(183) 단부의 물이 저수된 영역인 배수피트(185) 하부에 위치함에 따라 물의 채수는 물론 탁도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관의 단부에 채수관이 형성된 채수기를 구비하여 상기 배수관을 통해 유출되는 물의 채수가 용이한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는 송수관 또는 급수관에 연결된 배수(排水)설비 배수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채수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부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수관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와 연결부 또는 상기 커버와 연결부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는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상부길이(d1)에 비해 하부길이(d2)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밀폐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와 고정부는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관을 통해 상기 배수피트 내부로 유출되는 물 중 일부가 상기 채수기의 채수관을 통해 채수가 용이한 지점으로 이송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채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로인해 실시간으로 수질의 측정이 가능하여 송수관 및 급수관의 배수(排水)관리가 용이하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채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함으로서 상기 배수(排水)시간을 단축시킴 등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설비의 채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채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채수기가 설치된 배수설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채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채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채수기(100)가 설치된 배수(排水)설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排水)설비(80)는 송수관(140) 또는 급수관(160)의 내부 이물질을 배수관(83)을 통해 배출함으로서 보다 깨끗한 상태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유출되는 물의 수량과 수압을 제어하도록 밸브(82)가 설치된 밸브실(81)과 상기 밸브실(81)을 거쳐 유입되는 물이 저수되도록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배수피트(8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83)은 송수관(140) 또는 급수관(160) 내부의 혼탁한 물이 상기 배수설비(80) 내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피트(85)의 일측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배수피트(85)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배수구(86)를 통해 하천으로 배수된다.
상기 배수관(83)의 단부에는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유통되는 물의 채수가 용이하도록 채수기(100)가 구비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채수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100)는 배수관(83)의 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커버(20), 상기 커버(20)와 상기 몸체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채수관(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는 배수관(83)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관(83)의 단부와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는 고정부(15)가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15)는 상기 채수기(100)가 배수관(83)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83)의 단부 외측면을 일부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5)가 배수관(83)의 단부 외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수관(83)과 채수기(100) 사이에 고정구조가 단순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15)에는 상기 배수관(83)과 채수기(100) 사이에 고정구조가 보다 견고히 유지되도록 고정수단(16)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수단(16)은 볼트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15)를 관통해 상기 배수관(83)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커버(20)는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채수기(100)를 거쳐 배출되는 과정에서 저항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20)로 인해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채수기(100)를 거쳐 배출되는 물 중 일부가 자연스럽게 상기 채수관(11)을 통해 채수지점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커버(2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채수기(100)의 타측 단부를 밀폐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20)와 맞닿는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는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상부길이(d1)에 비해 하부길이(d2)가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커버(20)와 채수기(100)의 타측 단부 사이에 밀폐력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의 기울기는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유통되는 수량 및 수압과 채수지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덧붙여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와 커버 (20)사이에는 밀폐력의 향상을 위해 밀폐수단(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25)은 채수기(100)의 타측 단부와 커버(20) 사이에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으로 변형이 자유로운 탄성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수관(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채수기(100) 내부에 유통 되는 물중 일부는 상기 채수관(11)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채수관(11)은 상기 배수관(83)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채수를 위한 것으로 채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배수피트(85)의 저수영역 보다 높은 위치 즉 상기 배 수구(86)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결된다.
상기 채수관(11)의 단부에는 상기 채수관(11)을 통해 이송된 물이 일시적으로 저수되도록 하는 저수수단(12)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관(83)으로부터 물을 강제로 양수하도록 하는 펌프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20)와 몸체부(10)는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30)는 일측 단부가 커버(2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몸체부(1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도면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일측 단부가 몸체부(1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커버(20)에 힌지결합 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0)는 몸체부(10) 및 커버(20)와 각각 힌지결합 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채수기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기 채수기(100)는 배수관(83)의 단부를 감싸도록 몸체부(10)로부터 고정부(15)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5)의 외부면에는 상기 고정부(15)를 감싸도록 밴드로 이루어진 고정수단(16)이 구비될 수도 있고, 도 6b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몸체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부(15)는 배수관(83)의 단부에 나사결합 될 수 되도록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6c와 같이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기 고정부(15)는 KP조인트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배수관(83)의 단부가 플랜지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고정부(15) 는 도 6d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플랜지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채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100)는 배수관(83)의 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커버(20), 상기 커버(20)와 상기 몸체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채수관(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채수기(100)가 배수관(83)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관(83)의 단부 외측면을 일부 감싸도록 상기 몸체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5)에는 상기 배수관(83)과 채수기(100) 사이에 고정구조가 보다 견고히 유지되도록 고정수단(16)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수단(16)은 볼트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15)를 관통해 상기 배수관(83)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커버(20)는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채수기(100)를 거쳐 배출되는 과정에서 저항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20)로 인해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채수기(100)를 거쳐 배출되는 물 중 일부가 자연스럽게 상기 채수관(11)을 통해 채수지점으로 이송된 다.
이때 상기 커버(20)는 자중에 의해 상기 채수기(100)의 타측 단부를 밀폐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20)와 맞닿는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는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상부길이(d1)에 비해 하부길이(d2)가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커버(20)와 채수기(100)의 타측 단부 사이에 밀폐력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의 기울기는 상기 배수관(83)을 통해 유통되는 수량 및 수압과 채수지점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덧붙여 상기 커버(20)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추(2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20)와 고정부(15)는 서로 스프링(27)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버(20)의 외측에 도면에 참조되는 바와 같이 추(26)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20)와 고정부(15)가 서로 스프링(27)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커버(20)와 몸체부(10) 사이에 밀폐력이 보다 향상되어, 상기 채수기의 채수관(11)을 통해 저수수단(12)에 물이 저장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 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수도의 유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배수설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채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채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채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채수기가 설치된 배수설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채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부 11: 채수관
12: 저수수단 15: 고정부
16: 고정수단 20: 커버
25: 밀폐수단 26: 추
27: 스프링 30: 연결부
80: 배수설비 81: 밸브실
82: 밸브 83 :배수관
85: 배수피트 86: 배수구
110: 취수원 120: 도수관
130: 정수설비 140: 송수관
150: 배수지 160: 급수관
170: 수용가

Claims (10)

  1. 송수관 또는 급수관에 연결된 배수(排水)설비(80) 배수관(83)의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와 상기 몸체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30); 및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채수관(11);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부(15)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5)는 상기 배수관(83)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5)에는 고정수단(1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와 연결부(30)는 서로 힌지(31)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와 연결부(30)는 서로 힌지(31)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는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상부길이(d1)에 비해 하부길이(d2)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커버(20) 사이에는 밀폐수단(2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에는 추(2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와 고정부(15)는 스프링(27)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KR1020080000437A 2008-01-02 2008-01-02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KR20090074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37A KR20090074599A (ko) 2008-01-02 2008-01-02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437A KR20090074599A (ko) 2008-01-02 2008-01-02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599A true KR20090074599A (ko) 2009-07-07

Family

ID=4133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437A KR20090074599A (ko) 2008-01-02 2008-01-02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45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70B1 (ko) *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탄성 주름관을 이용한 상수도 배수시설의 채수기
KR100960367B1 (ko) *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유자관과 스프링을 이용한 상수도 배수시설의 채수기
KR100960364B1 (ko) *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주름관을 이용한 커버 부착형 상수도 배수설의 채수기
CN112345296A (zh) * 2020-11-02 2021-02-09 胡自远 地质勘探用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70B1 (ko) *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탄성 주름관을 이용한 상수도 배수시설의 채수기
KR100960367B1 (ko) *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유자관과 스프링을 이용한 상수도 배수시설의 채수기
KR100960364B1 (ko) * 2010-02-02 2010-05-28 주식회사 와텍 주름관을 이용한 커버 부착형 상수도 배수설의 채수기
CN112345296A (zh) * 2020-11-02 2021-02-09 胡自远 地质勘探用装置
CN112345296B (zh) * 2020-11-02 2021-08-31 胡自远 地质勘探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0637B (zh) 用于涉及净化、循环和/或分离的水混合装置的调节方法
KR20090074599A (ko) 상수도 배수설비의 채수기
FI66981C (fi) Anordning och foerfarande att utnyttja vaerme fraon avloppsvatten
JP2019206905A (ja) 旋回流自動洗浄式雨水タンクとこれを用いた旋回流自動洗浄式雨水タンク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KR100816677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446976Y1 (ko) 체크밸브와 개스킷을 구비한 배수구
CN204952378U (zh) 过滤池
KR200395213Y1 (ko) 세면기용 배수트랩
KR20050080171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맨홀
CN209099487U (zh) 一种用于市政工程的排水管道装置
KR100960370B1 (ko) 탄성 주름관을 이용한 상수도 배수시설의 채수기
KR100960364B1 (ko) 주름관을 이용한 커버 부착형 상수도 배수설의 채수기
KR200345019Y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세면기용 배수전
CN107675443A (zh) 洗衣机排水引流装置
CN205258898U (zh) 洗衣液盒
CN107904871A (zh) 洗衣机除水设备
CN2157232Y (zh) 陶瓷洗槽下水器
KR100960367B1 (ko) 유자관과 스프링을 이용한 상수도 배수시설의 채수기
CN208632348U (zh) 一种污泥收集设备的整体减振降噪装置
KR200425693Y1 (ko) 역세척 걸름장치
CN209612401U (zh) 一种污水分级清理环保装置
CN215574113U (zh) 一种在线水质分析前处理装置
CN209113715U (zh) 一种污泥处理用干化设备
CN220214034U (zh) 一种混凝土污水清理排水管
CN202672258U (zh) 盥洗盘的排污防臭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