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138A -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 - Google Patents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4138A
KR20090074138A KR1020090053253A KR20090053253A KR20090074138A KR 20090074138 A KR20090074138 A KR 20090074138A KR 1020090053253 A KR1020090053253 A KR 1020090053253A KR 20090053253 A KR20090053253 A KR 20090053253A KR 20090074138 A KR20090074138 A KR 2009007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reagent
mixture
crime scene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원
최용석
김상근
류영애
이승훈
류경진
노주형
이종훈
추창우
박희정
김영규
조희정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임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원 filed Critical 임채원
Priority to KR102009005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4138A/ko
Publication of KR2009007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찰 등 수사기관에서 범인의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해 색 변화의 형태로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여 사건발생 현장에 남아있는 혈흔의 탐지 및 검출결과를 향상하도록 하는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조성물은 검 구아이악 혼합물, 산화제를 함유한다. 상기 조성물은 1) 검 구아이악(Gum guaiac) 1g을 실온에서 pH 6.9, 0.1M인 인산염 완충액 20㎖에 에탄올 100㎖을 각각 첨가 혼합 구성한 갈색의 구아이악 혼합물 조성액, 2) 산화제는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5㎖, 실온에서 pH 6.9, 0.1M인 인산염 완충액 95㎖에 계면활성제인 0.1% Tween 20 300㎕와 시약 보존제인 아지드화물(Sodium azide) 30㎕를 각각 첨가하여 혼합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사건현장에서 색 변화의 형태로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여 사건발생 현장에 남아있는 혈흔을 즉석에서 검출하는 반응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범죄현장, 혈흔, 채취, 검 구아이악, 인산염 완충액, 계면활성제, 산화제

Description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Composition for detection of crime scene trace of blood}
본 발명은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찰 등 수사기관에서 범인의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해 색 변화의 형태로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여 사건발생 현장에 남아있는 혈흔의 탐지 및 검출하도록 하는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을 제조하는 방법과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살인 등의 강력사건과 관련된 혈흔 추정물질에 대하여 DNA 감정 전에 먼저 혈흔여부를 검사한 다음 혈흔검출반응 검사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여 그 결과로 유전자 감정을 통한 개인 식별을 통해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범죄의 현장에 남겨져 있는 혈흔은 피의자 및 피해자와의 대조를 통해 개인식별에 이용되며, 각종 사건현장에서 혈흔 증거물은 혈액형 및 유전자 분석 시행전에 혈흔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현재는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화합물로 혈흔 여부 판단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화합물은 혼합된 화학물질이 검사자인 과학수사요원들로 하여금 많은 인체유해성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반복시행으로 다량을 혈흔의심물질에 도포할 시 유전자를 파괴할 수 있는 위험성, 또한 과산화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과일, 야채나 락스 등 다른 물질에 과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위양성(거짓으로 혈흔임을 나타내는 반응)문제 등을 도출하여 혈흔을 검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한 실정에 있었다.
또한, 시약 보존기간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경우 실온 보관 하에서 6개월 정도 가능하나,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화합물의 경우 냉장조건 하에서 약 7일 정도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어 짧은 유효기간에 따른 문제점 때문에 매 사건마다 다시 시약을 제조하는 비용의 금전적 부담이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건 발생시 신속출동을 요하는 경찰업무 특성상 검 구아이악 화합물, 산화제의 경우 기존 화합물 시약들의 매 출동마다 제조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는 위양성, 인체유해성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범죄해결을 위한 혈흔 검출에 꼭 필요한 발명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검 구아이악 화합물을 이용하여 범죄현장에서 일반적인 시각검사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미량의 응고된 혈흔, 액체중의 혈흔 등에 함유된 과산화물 또 는 과산을 함유하고 있는 헤모글로빈 내 헤민성분을 산화가능한 색 표시기 검 구아이악 혼합물과 1차적으로 반응시킨 후 2차적으로 산화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혼합물에 반응시켜 청녹색의 시각적 신호를 전달하는 안정화된 검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범죄현장에서 일반적인 시각검사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미량의 응고된 혈흔, 액체중의 혈흔 등은 피해자와의 대조를 통한 개인식별을 위해 혈액형 및 유전자 분석 시행 전에 혈흔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현재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화합물로 혈흔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이 혼합물 시약의 경우 혼합하는 화학물질이 검사자들로 하여금 많은 인체유해성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반복적으로 혈흔의심물질에 도포할 시 유전자물질을 파괴할 수 있는 위험성, 또한 과산화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과일, 야채나 화학물질, 락스 등 다른 물질에 과산화반응을 일으키는 위양성(거짓으로 혈흔임을 나타내는 반응)문제, 짧은 유효기간에 따른 금전적 부담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혈흔검출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상기의 내용과 같이 위양성(거짓으로 혈흔임을 나타내는 반응)반응, 유전자물질 파괴 위험성, 인체유해성, 폭발가능성, 짧은 유효기간에 따른 금전적 부담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새로운 시약을 제조, 개발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할 과제 임에도 관련기관이나 업체에서는 지금까지 여기에 대한 연구나 실험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단으로 1) 산화가능한 색 표시기로 검 구아이악(Gum guaiac) 1g을 실온에서 pH 6.9, 0.1M인 인산염 완충액 20㎖에 에탄올 100㎖을 각각 첨가 혼합 구성한 갈색의 구아이악 혼합물 조성액, 2) 산화제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5㎖, 실온에서 pH 6.9, 0.1M인 인산염 완충액 95㎖에 전개 목적으로 계면활성제인 0.1% Tween 20 300㎕와 시약 보존제인 아지드화물(Sodium azide) 30㎕를 각각 첨가하여 혼합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현장 혈흔검출 시약을 조성하여 사건현장에서 채취되는 증거물에서 피해자와의 대조를 통해 범인의 유전자물질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적인 시각검사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미량의 응고된 혈흔, 액체중의 혈흔 등의 검출 검사를 즉석에서 시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한 조성액은 무취, 무독성 상태의 혼합물로 검사자의 인체유해성 문제 해결, 비 폭발성, 유전자물질 비 파괴, 또한 에탄올로 인해 온도, 열, 보관기간에 전혀 영향을 받지않는 등 특이성과 민감도가 뛰어나 현장에서 바로 채취물을 검사하여 시각검사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미량의 응고된 혈흔, 액체중의 혈 흔이 묻어 있어도 검출되어 청녹색의 양성반응이 나타나도록 함에 따라 증거중심의 공판주의를 대비하여 법 생물학적 검사와 개인식별에 유용한 유전자물질을 확보하기 위한 혈흔 증거물을 제공하는 등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하는 효과로 이어져 사건의 초동수사에 많은 도움은 물론 특히 적은 비용으로 초동수사에 필요한 혈흔 검출 반응 검사를 현장에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제조, 보급되어 혈흔 검출 반응 검사에 사용되는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화합물 시약의 1/6의 비용으로 검사가 가능함에 따라 현장사용 부담의 절감 및 사용증대로 인하여 공판(증거)중심주의 대비 현장실용성 및 업무효율성 증대, 신속하고 정확한 증거물 확보로 사건 발생시 초동수사의 주요 증거 자료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등 실 사용상의 효과가 매우 큰 발명이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 에 대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한 것일 뿐 하기 실시 예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으로서 경찰 등 수사기관에서 범인의 유전자를 확보를 위해 색 변화의 형태로 시각적 신호를 제공하여 사건 발생 현장에 남아있는 혈흔의 탐지 및 검출하는 시약으로 기존 혈흔 검출 방법인 류코말라카이 트그린 화합물 간의 시약 신뢰성을 위하여 하기의 실시 예를 통해 서로 비교하여 보기로 한다.
실험 예 1)
우선 실험의 검사원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량의 응고된 혈흔, 액체중의 혈흔 등에 함유된 과산화물 또는 과산을 함유하고 있는 헤모글로빈 내 헤민성분을 산화가능한 색 표시기 검 구아이악 혼합물과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을 1차적으로 반응시킨 후 2차적으로 산화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혼합물과 류코말라카이트그린 산화제 혼합물에 반응시켜 청녹색의 발색효과를 시각적 신호로 확인하는 반응임을 알려둔다
상기와 같은 검사원리와 조건으로 하여 검사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한다.
1. 흡수여과지가 부착된 검사지에 소량의 검체(미량의 혈흔, 액체중의 혈흔 등)를 부착
2. 검 구아이악 혼합물과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을 각각 한 방울 적하
3. 2차적으로 산화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혼합물과 류코말라카이트그린 산화제 혼합물을 각각 한방울 적하
4. 각 시약 검사지 별로 판정시간을 30초로 하여 연속적으로 육안 관찰한다.
5. 청녹색으로 시각적 변화를 확인 가능한 경우에 혈흔으로 판정한다.
상기와 같이 실험함에 있어 검체를 사람혈액, 동물혈액 1(돼지), 동물혈액 2(토끼)으로 나누어 각각 실험한 결과는 아래의 실험 결과 1과 같이 사람과 동물 무관하게 차이 없이 양성(청녹색의 시각적 변화)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험 결과 1
사용시약 검체 번호 시 험 결 과
검 구아이악 혼합물 시약 류코말라카이트 혼합물 시약
사람의 혈액 (human blood) + +
동물혈액 1 (pig blood) + +
동물혈액 2 (rabbit blood) + +
또한, 검체의 유류 대상물에 따른 반응을 보기 위해 거름종이, 화장지, 장판, 복사용지, 면봉, 천, 토양으로 구분하여 그 상부에 미량의 혈액을 묻힌 다음 각 대상별로 0.5㎟로 절단하여 희석한 다음 각각의 시약에 적용한 실험 결과는 아래의 실험 결과 2와 같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험 결과 2
Sample 시약(tests) 시 험 결 과
거름 종이 화장지 장판 복사 용지 면봉 토양
검 구아이악 혼합물시약 + + + + + + +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 + + + + + + +
상기의 실험결과와 같이 어떠한 유류대상물과 혼합되더라도 유류대상물에 관계없이 모두 양성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때, 대부분의 유류물의 경우 혈흔으로 추정되는 검체의 양이 모든 제품에서 선명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으나, 검사하고자 하는 의심물질의 양이 극히 미량일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DNA분석에 필요한 샘플의 양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채취시 1차 혈흔 유무 검출시험을 생략하고 원형 그대로 건조 후 의뢰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범죄현장에서 발견되는 혈흔 의심물질의 경우 대부분 액체상태가 아닌 응고된 형태의 혈액반 형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검사시약에 반응을 잘 일으킬 수 있는 전개용액 즉 활발한 반응 용이 목적으로 증류수에 연속적으로 10배 희석하여 50㎕씩 신속분주 후 0.1% Tween 20, 또는 0.1% Triton X-100을 300㎕ 적하 후 10-20분 연속 관찰하면 아래의 실험 결과 3과 같이 나타난다.
실험 결과 3
concentrations 사용 시약(tests) 시 험 결 과
1X 10-1 10-2 10-3 10-4 10-5 10-6
검 구아이악 with 0.1% Tween20 - + + + + + +
검 구아이악 with 0.1% Triton X-100 - + + + + - -
류코말라카이트그린 with 0.1% Tween20 - + + + + + -
류코말라카이트그린 with 0.1% Triton X-100 - + + + ± - -
또한, 상기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희석액을 통한 민감도에서는 검구아이악 혼합물시약이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리고 시약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임은 혈흔의 양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검사시약 내에 고체형의 혈액반의 경우 희석 저하문제와 혈액 내 함유 헤모글로빈 내 헤민의 과산화 활동의 전개용이 목적 계면활성제인 0.1% Tween20과 0.1% Triton X-100 소량을 첨가 시험한 결과 0.1% Tween20을 활성보조 및 전개액으로 이용함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상 상기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1주와 2주간 실온과 냉장보관한 경우의 두가지 비교 실험시약을 이용, 혈액을 증류수 100배 희석하여 다양한 온도에서 보관하면서 1주와 2주간 실험하면 하기의 실험 결과 4와 같이 나타난다.
실험 결과 4
Temperature&Time Tests -20℃ 4℃ Room temperature 37℃ 56℃
7day 14day 7day 14day 7day 14day 7day 14day 7day 14day
검 구아이악 (실온보관-1주, 2주) + + + + + + + + + +
검 구아이악 (냉장보관-1주, 2주) + + + + + + + + + +
류코말라카이트그린 (실온보관-1주, 2주) - - - - - - - - - -
류코말라카이트그린 (냉장보관-1주) + + + + + + + + + +
류코말라카이트그린 (냉장보관-2주) + + + + ± ± ± ± ± ±
상기의 실험 결과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검 구아이악 혼합물 시약의 경우 시약보관 기간이나 혈액보관 기간, 조건에 상관없이 모두 양성의 우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나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의 경우 시약을 냉장보관한 경우 낮은 온도에 보관한 혈액 검체의 경우 양성의 결과를 보였으나, 실온 보관한 경우 혈액의 보관조건이나 기간에 관계없이 모두 음성의 저조한 결과를 확인한 바 검 구아이악 혼합물 시약이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시약보다 안전성 결과에서 더 안정된 결과를 보임에 따라 현장에 사용되는 혈흔 검출시약으로 기존의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보다는 본 발명품인 검 구아이악 혼합물 시약이 사용되어도 안전함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상 상기 실험들을 통해 범죄현장에서 일반적인 시각검사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미량의 응고된 혈흔, 액체중의 혈흔 등을 검출하는데 본 발명품인 검 구아이악 혼합물 시약이 기존 혈흔 검출 시약인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에 비하여 여러 가지 조건에서 우수함을 증명함에 따라 범죄현장 미량의 혈흔 검출 검사에 적용하더라도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고발생 현장에서 남거나 증거물로 채취하는 혈흔의심물질 성분의 경우 액체상태보다는 고체, 흡수 건조된 상태의 혈액반의 형태가 대부분이고, 기존 류코말라카이트 혼합물 시약의 경우 범죄현장 주변에 위양성(거짓으로 혈흔임을 나 타내는 반응)을 보일 수 있는 락스, 철 성분 함유물질, 과산화물 함유 야채나 과일 등에 반응을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혼합물 시약에 빙초산을 혼합하면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와의 반응으로 가스를 유발하여 폭발 가능성 또한 내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품인 검 구아이악 혼합물시약을 이용 류코말라카이그린 혼합물 시약이 가지고 있는 위양성문제와 폭발 가능성을 해결하기 위해 검 구아이악 혼합액에 강한 산성용액인 빙초산 대신 중성용액인 완충액을 혼합하여 일선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에 비해 증거물로서의 효력을 갖기 위한 결과 도출에 있어 전혀 뒤떨어지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추출하기로 한다.
실험 예 2)
우선 상기 실험 예 1)을 통해 알아본 바와 같이 검 구아이악 혼합물과 산화제인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혼합물에 인산염완충액 혼합을 기본으로 하여 검 구아이악 혼합물이나 산화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혼합물 내에 고체형의 혈흔의 경우 희석 저하와 반응과정 중 헤모글로빈 내 헤민 활동의 전개용이 목적 계면활성제인 0.1% Tween20 소량을 첨가하여 폭발 가능성 해소 및 활성보조 및 전개액으로 이용함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1) 검 구아이악(Gum guaiac) 1g을 실온에서 pH 6.9, 0.1M인 인산염 완충액 20㎖에 에탄올 100㎖을 각각 첨가 혼합 구성한 갈색의 구아 이악 혼합물 조성액, 2) 산화제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5㎖, 실온에서 pH 6.9, 0.1M인 인산염 완충액 95㎖에 전개 목적으로 계면활성제인 0.1% Tween 20 300㎕와 시약 보존제인 아지드화물(Sodium azide) 30㎕를 구성한 조성물로 혈액원액을 위양성(거짓으로 혈흔임을 나타내는 반응)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학물질과 과일, 야채에 혼합되도록 하여 본 발명품인 검 구아이악 혼합물 시약과 기존 혈흔 검출 시약인 류코말라카이드그린 혼합물 시약에 적용 30초 후 한정, 또한 인산염완충액을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와 혼합되도록 적용하여 강하게 진탕하여 10분 후 각각 한정하면 하기의 실험 결과 5) 와 같이 나타난다.
실험 결과 5)
sample Tests 혈액 혼합하지 않은 상태
수돗물 주방 세제 (액상) 주방 세제 (분말) 세탁 세제 (액상) 세탁 세제 (분말) 락스 마그 네슘 인도 메타신 사삼 산화철 FeCl 버섯 양배추 과일 12종
검 구아이악 (혈액 혼합) + + + + + + + + + + + + +
검 구아이악 (혈액 비혼합) - - - - - - - - - - - - -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혈액 혼합) + + + + + + + + + + + + +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혈액 비혼합) - - + - + + + - + + + + -
이상 상기 실험 결과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에서 위양성(거짓으로 혈흔임을 나타내는 반응) 부분이 나타난 분말 주방세제, 분말 세탁세제, 락스, 사삼산화철, 염화철, 버섯, 양배추 등 화 학물질과 야채에 대해 과산화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현저하게 양성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산염완충액을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와 혼합하여 5분간 강하게 흔들어 본 바 교차반응에 의한 가스생성이 없어 폭발 위험성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완충용액이 포함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혼합물 시약이 헤모글로빈 내 헤민의 과산화반응을 빙초산에 혼합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보다 비 화학반응(가스 비생성) 및 더 안정된 양성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양성(거짓으로 혈흔임을 나타내는 반응)반응을 촉진시키는 과산화물 효소는 pH에 의존되는데 그 촉매 반응은 pH의 변화에 민감하다. 즉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의 경우 혼합된 빙초산 등의 산에 불안정한 과산화물 효소에 의해 촉진되어 위양성(거짓으로 혈흔임을 나타내는 반응)반응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검 구아이악 혼합물 시약과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혼합물 시약에 빙초산 대신에 인산염 완충액과 에탄올 적당량을 혼합하여 조성함으로서 헤모글로빈 내 헤민성분과 보다 안정된 반응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청색의 시각적 신호를 통하여 혈흔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임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실험들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각각의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물의 역학을 살펴보면 인산염 완충액은 시료의 고유성질을 보존하고, 에탄올은 반응을 조 절하여 증강하는 역할을 하며, 계면활성제는 점조성을 균등하게 한 상태에서 활성을 보조하며, 시약 보존제는 첨가하는 시약의 상태를 보존하는 것으로서 희석액을 조제하여 보관하지 않고 제조하여 즉시 사용할 때 첨가하지 않아도 무방한 성분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번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은 기존 류코말라카이트그린 혼합물 시약의 문제점을 해결될 수 있도록 제조가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저 비용의 인산염 완충액, 에탄올을 첨가하여 시료의 고유성질 보존과 반응을 조절하여 증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료의 양이 적어 양성 유무 확인이 어려울 때에도 반응을 활성화하여 증액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사건 현장에서 혈흔유무를 검출하는데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하고 우수한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검체를 채취하여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으로 검출하는 순서를 도시한 검사 순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실험에 사용한 흡수여과지 가 부착된 검사용지를 도시한 도면 사진.

Claims (3)

  1. 검 구아이악(Gum guaiac) 1g을 실온에서 pH 6.9, 0.1M인 인산염 완충액 20㎖에 에탄올 100㎖을 각각 첨가 혼합 구성한 청녹색의 색 표시 반응 기능의 갈색의 구아이악 혼합물 조성액
  2. 제 1항에 있어서
    청녹색의 색 표시 반응 촉진기능을 하는 산화제로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5㎖, 실온에서 pH 6.9, 0.1M인 인산염 완충액 95㎖에 계면활성제인 0.1% Tween 20 300㎕와 시약 보존제인 아지드화물(Sodium azide) 30㎕를 각각 첨가하여 혼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액
  3. 제1항, 제2항에 있어서
    갈색의 검 구아이악 혼합물 시약과 산화제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혼합물 시약을 이용한 범죄현장 혈흔검출 검사방법
KR1020090053253A 2009-06-16 2009-06-16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 KR20090074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253A KR20090074138A (ko) 2009-06-16 2009-06-16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253A KR20090074138A (ko) 2009-06-16 2009-06-16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138A true KR20090074138A (ko) 2009-07-06

Family

ID=4133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253A KR20090074138A (ko) 2009-06-16 2009-06-16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41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744A (ko) * 2018-12-21 2020-07-02 주식회사 다우진유전자연구소 교육용 과학수사 키트 및 학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744A (ko) * 2018-12-21 2020-07-02 주식회사 다우진유전자연구소 교육용 과학수사 키트 및 학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ao et al. Near‐Infrared Fluorescent Molecular Probe for Sensitive Imaging of Keloid
Thekkan et al. A DNA-based fluorescent reporter maps HOCl production in the maturing phagosome
US20090029480A1 (en) Testing device
US2799660A (en) Blood test composition and method
Wornes et al. The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Phadebas® paper as a presumptive screening tool for saliva on forensic exhibits
Wilson et al. Blood esterase determinations as markers of exposure
Xia et al. A fluorometric and mitochondrion-targetable probe for rapid, naked-eye test of hypochlorite in real samples
Cromartie et al. Development of a microfluidic device (μPADs) for forensic serological analysis
US10458916B2 (en) Rapid tests for the detection of inhibitors of enzymes and human exposure to the same
Wang et al. A simple lateral flow biosensor for rapid detection of lead (ii) ions based on G-quadruplex structure-switching
Gaviria et al. Highly sensitive fluorescent biosensor based on acetylcholinesterase and carbon dots–graphene oxide quenching test for analytical and commercial organophosphate pesticide detection
CN108387532A (zh) 基于纳米银丁达尔效应检测过氧化氢的可视化光学传感方法
KR20090074138A (ko) 범죄현장 혈흔검출 조성액
Li Forensic serology
JP5369095B2 (ja) コリンエステラーゼ阻害性物質検出装置、検出キットおよび検出方法
Ramana et al. A paper microfluidic device based colorimetric sensor for the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of elapid versus viper envenomation
Polacco et al. Quantifying chemiluminescence of the forensic luminol test for ovine blood in a dilution and time series
Huang et al. An enzyme-activatable dual-readout probe for sensitive β-galactosidase sensing and Escherichia coli analysis
Herman et al. Acid phosphatase test on Phadebas® sheets—An optimized method for presumptive saliva and semen detection
JP6360848B2 (ja) ライソゾーム病3疾患責任酵素の迅速マススクリーニング検査法
Wang et al. A metal-free turn-on fluorescent probe for the fast and sensitive detection of inorganic azides
JP2018102295A (ja) 先天性代謝異常症6疾患の同時スクリーニング検査法
WO2007091033A1 (en) Portable kit an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time of death of a corpse by determining the hypoxanthine concentration in that corpse dependent on temperature and time
US2018032120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ng methanol poisoning using formate oxidase
WO2014116727A1 (en) One-step rapid assay for the detection of inhibitors of enzy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