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739A - Cash transaction machine - Google Patents

Cash transaction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739A
KR20090073739A KR1020070141767A KR20070141767A KR20090073739A KR 20090073739 A KR20090073739 A KR 20090073739A KR 1020070141767 A KR1020070141767 A KR 1020070141767A KR 20070141767 A KR20070141767 A KR 20070141767A KR 20090073739 A KR20090073739 A KR 20090073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cassettes
separation module
hous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오일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739A/en
Publication of KR2009007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7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An automatic teller machine is provide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conveyance of medium part by equipping one separating module for separating the paper medium. A plurality of cassettes(140) is mounted within a housing(110) and stores the paper medium. A separating module(120) separates and transfers one-side of the paper medium with the sheet. A device for driving cassette player(150) runs the cassette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The device for driving cassette player comprises a lifting unit and a hinge unit. The lifting unit connects the cassette to the housing, and lifts the cassette to the separating module. The hinge unit connects both ends of the lifting unit to the cassette and the housing to be rotatable.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CASH TRANSACTION MACHINE}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CASH TRANSACTION MACHINE}

본 발명은 하나의 분리모듈 및 복수개의 카세트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의 분리모듈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카세트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낱장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카세트를 승강시키거나 일정한 경로를 따라 카세트를 순환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having one separation module and a plurality of cassettes, and more particularly, using a single separation module to elevate a cassette so as to separate paper media stored in a plurality of cassettes into shee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capable of circulating a casset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기기이다.Financial automated devices are automated devices that can provide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 or withdrawal, without the need for bank employe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금융자동화기기는 크게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The automated teller machine can be divided into cash dispenser and cash dispens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withdrawn.In recent years,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ash withdrawal, check deposit and withdrawal, bankbook arrangement, payment of giro fees, ticket release. have.

또한, 상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현금이나 수표 등의 종이매체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개의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낱장씩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분리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ssettes for storing paper media such as cash or check, and a separation module for separating and transferring the paper media stored in the cassette one by one.

그러나,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분리 모듈은 각각의 카세트에 대응하는 위 치에 모두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각각의 카세트에 대응하는 분리 모듈에서부터 매체출구까지 종이매체를 반송하는 매체 반송부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카세트의 개수와 분리 모듈의 개수가 일치하도록 분리 모듈을 형성하므로 종이매체가 분리 모듈을 통과한 이후에 형성되는 매체 반송부의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eparation modules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s are all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assettes, the structure of the medi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paper media from the separation module corresponding to each cassette to the media outlet becomes complicated. There was this. That is, since the separation module is formed so that the number of cassettes and the number of separation modules are the same, the structure of the medium conveying unit formed after the paper medium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module has a complicated problem.

또한, 일반적으로 분리 모듈은 픽업 롤러, 피드 롤러, 케이트 롤러, 핀치롤러 및 픽업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분리 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분리 모듈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분리 모듈에 필요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제조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module generally includes a pickup roller, a feed roller, a Kate roller, a pinch roller, and a separation motor for driving the pickup roller, and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the separation module increases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separation modules.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본 발명은 복수개의 카세트로부터 종이매체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분리 모듈을 하나만 구비함으로써 분리 모듈을 포함한 매체 반송부의 구조가 간단해 지고, 소요되는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structure of the media conveying unit including the separation module by providing only one separation module for separating paper media from a plurality of cassettes, and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Provide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종이매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카세트; 상기 카세트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단변 방향으로 낱장씩 분리 및 이송하는 분리 모듈; 및 상기 카세트들이 상기 분리 모듈을 공용하도록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카세트를 구동시키는 카세트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카세트 구동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각각의 카세트를 연결하여 상기 카세트를 상기 분리 모듈까지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양단을 상기 카세트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A plurality of cassettes mounted in the housing and storing paper media; A separation module which separates and transfers the paper medium stored in the cassette in a short side direction one by one; And a cassette driving device for driving the casset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cassettes share the separation module, wherein the cassette driving device connects each cassette with the housing to lift the cassette to the separation module. And a hinge part rotatably connecting the lift unit and both ends of the lift unit to the cassette and the housing.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카세트 마다 각각 분리 모듈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매체 반송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odule for each cassette, and the media conveyanc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각각의 카세트 마다 상기 카세트의 장변 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 카세트에 설치된 상기 승강부 간의 거리를 각각의 카세트 마다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세트의 승강 구동시 각각의 카세트 마다 설치된 승강부끼리 충돌 또는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lifting unit is provided on each long side of the cassette for each cassette, it is preferable to vary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ing unit provided in each cassette for each cassette. This is to prevent collisions or interference between lift portions provided for each cassette during the lift driving of the cassette.

한편, 상기 각각의 카세트에 설치된 승강부 간의 거리는 상기 각 카세트 마다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세트의 폭도 각 카세트 마다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ing portion provided in each cassette can be formed to decrease or increase sequentially for each cassette. For this purpose, the width of the cassette is also preferably decreased or increased sequentially for each cassette.

또한, 상기 카세트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카세트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카세트의 분리 작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다른 카세트가 분리 모듈로부터 분리되어 소정 위치로 피난하는 경우에, 카세트를 피난위치까지 안내하거나 피난 위치에서 카세트가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카세트 가이드부가 없다면, 피난 하는 도중에 카세트가 뒤집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cassette may further include a cassette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cassette. This is to guide the cassette to the evacuation position or to stably support the cassette at the evacuation position, when other cassettes are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module and evacu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cassette. If there is no cassette guide portion, it is because the cassette may be turned over during the evacuation.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이매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카세트; 상기 카세트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단변 방향으로 낱장씩 분리 및 이송하는 분리 모듈; 및 상기 카세트들이 상기 분리 모듈을 공용하도록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카세트를 순환시키는 카세트 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cassettes for storing the paper medium; A separation module which separates and transfers the paper medium stored in the cassette in a short side direction one by one; And a cassette circulating device for circulating the casset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cassettes share the separation module.

여기서, 상기 카세트 순환장치는 상기 카세트가 장착되는 순환 벨트, 상기 순환 벨트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assette circulation device may include a circulation belt on which the cassette is mounted, at least two driving rollers for supporting the circulation belt,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iving roller.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일정한 궤도를 따라 복수개의 카세트가 순환하면서 하나의 분리 모듈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use one separation module in common while circulating a plurality of cassettes along a predetermined track.

또한, 상기 카세트는 형상의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카세트 순환장치의 카세트가 구동 롤러를 원활하게 지날 수 있다. 만약, 상기 구동 롤러를 지날 때 상기 카세트의 모양이 변형될 수 없다면 상기 카세트의 순환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순환 벨트 또는 구동 롤러가 파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sette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shape. Thus, the cassette of the cassette circulation device can smoothly pass the driving roller. If the shape of the cassette cannot be deformed when passing the driving roller, the circulation of the cassette itself is impossible or the circulation belt or the driving roller may be damaged.

한편, 가느다란 복수개의 판상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상기 카세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역시 상기 카세트가 상기 구동 롤러를 원활하게 지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카세트가 상기 구동 롤러를 지날 때 복수개의 판상 부재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부드럽게 상기 구동 롤러를 통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aid cassette can also be formed after a plurality of thin plate-shaped member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is is also to allow the cassette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drive roller. By such a configuration, the cassette can pass smoothly through the drive roller while the plurality of plate-like members are open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rive roll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분리 모듈에 소요되는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the separation modul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카세트로부터 종이매체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분리 모듈을 하나만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관리해야 하는 분리 모듈의 오버랩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리 모듈의 오버랩에 대한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overlap of the separation module to be managed because only one separation module necessary for separating the sheet of paper from a plurality of cassettes, thereby reduc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of the overlap of the separation module It can increas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 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atentable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for clarity o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카세트 구동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카세트와 카세트 구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according to Figure 1 A plan view showing a cassette and a cassette drive devic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한 예로서 출금용 금융자동화기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withdrawal of the financial automatic device as an exampl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에 장착되며 종이매체(N)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카세트(140), 카세트(140)에 저장된 종이매체(N)를 단변 방향 또는 또는 종이매체(N)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낱장씩 분리하여 매체출구(111)로 이송하는 분리 모듈(120) 및 카세트들(140)이 분리 모듈(120)을 공용하도록 소정 경로를 따라 카세트(140)를 구동시키는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plurality of cassettes 140 mounted in the housing 110 and storing a paper medium N, a cassette ( Separation module 120 and cassettes 140 for separating the paper medium (N) stored in the 140 in a short side direction 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per medium (N) and transported to the media outlet 111 Cassette driving devices (150, 160, 170) for driving the cassette 140 along a predetermined path to share the separation module 120.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다.Here, the housing 110 is a member of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for accommodating various components therein.

상기 하우징(110)에는 복수개의 카세트(140)가 장착된다. 도 1에는 3개의 카세트(141,142,143)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카세트의 개수는 예시에 불과하다.A plurality of cassettes 140 are mounted in the housing 110. Three cassettes 141, 142, and 143 are shown in FIG. 1, and the number of cassettes shown is only an example.

상기 카세트(141,142,143)는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카세트(141,142,143)를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금융자동화기기(100)의 하우징(11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카세트(141,142,143) 일측의 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다.The cassettes 141, 142, 143 are arranged up and down. As such,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cassettes 141, 142, 143 up and down, the size of the housing 110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00 may be reduced, and the space on one side of the cassettes 141, 142, 143 may be util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세트(141,142,143) 일측의 공간 즉, 카세트(141,142,143)의 좌측에 형성된 공간(도 1 참조)을 활용한 것이며, 이 공간은 카세트(141,142,143)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sette 141, 142, 143, that is, a spac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cassette 141, 142, 143 (see FIG. 1), may be used as a space in which the cassette 141, 142, 143 can stay. have.

한편, 상기 카세트(141,142,143)에 저장된 종이매체(N)는 낱장으로 분리되어 매체출구(111)를 향하여 이송된다. 종이매체(N)의 낱장 분리는 각 카세트(141,142,143)의 출구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분리 모듈(120)에 의해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per medium (N) stored in the cassette (141, 142, 143) is separated into sheets and conveyed toward the media outlet (111). Sheet separation of the paper medium N is performed by a separation module 120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let side of each cassette 141, 142, 143.

이 때, 분리 모듈(120)은 카세트(140)에 내장되거나 외장된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분리 모듈(120)은 카세트(140)로부터 정해진 개수의 종이매체를 한 장씩 픽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리 모듈(120)은 픽업 롤러, 피드 롤러, 게이트 롤러 및 핀치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및 기능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separation module 120 may be mounted in the cassette 140 or may be mounted in an external form, and the separation module 120 may pick up a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media from the cassette 140 one by one. In general, the separation module 120 may include a pickup roller, a feed roller, a gate roller, a pinch roller, and the like, and thes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상기 분리 모듈(120)은 각각의 카세트(141,142,14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이 아니라, 한 곳에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카세트(141,142,143)에 대응하도록 3군데에 분리 모듈(120)이 설치된 것이 아니라, 한 군데에만 분리 모듈(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 분리 모듈(120)은 가장 상측에 설치된 카세트(14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paration module 120 is not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assettes 141, 142, and 143, but is installed only at one place.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separation module 120 is not installed in three places to correspond to the three cassettes (141, 142, 143), the separation module 120 is installed in only one place. At this time, the separation module 120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ssette 141 installed on the uppermost side.

이러한 구성 하에서, 중간에 설치된 카세트(142) 및 하측에 설치된 카세트(143)에 저장된 종이매체(N)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분리 모듈(120)이 형성된 위치 까지 카세트(142,143)를 움직이기 위한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가 필요하다. 카세트 구동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Under such a configuration, a cassette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cassettes 142 and 143 to a position where the separation module 120 is formed in order to separate the paper medium N stored in the cassette 142 installed in the middle and the cassette 143 installed in the lower side. (150,160,170) is required. The cassette driv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상기 분리 모듈(120)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된 종이매체(N)는 매체 반송부(130)에 의해 매체출구(111)까지 반송되어 고객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매체 반송부(130)는 서로 마주 보는 순환 벨트(131,132) 및 순환벨트(131,132)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13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매체 반송부(130)는 2개의 순환 벨트(131,132)를 포함하고 있으나, 하나의 순환 벨트 및 이와 마주 보는 가이드면(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paper medium N which is separated into sheets by the separation module 120 is conveyed to the media outlet 111 by the media conveying unit 130 and is provided to the customer. Here, the medium conveying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133 for driving the circulation belts 131 and 132 facing each other and the circulation belts 131 and 132. The media carrier 130 shown in FIG. 1 includes two circulation belts 131 and 132, but may also include one circulation belt and a guide surface (not shown) facing the circulation belt.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카세트(141,142,143)를 하나의 분리 모듈(120)까지 제공하는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sette driving apparatuses 150, 160, and 170 which provide the plurality of cassettes 141, 142, and 143 to one separation module 120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카세트(141,142,143)와 하우징(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는 하우징(110)과 각각의 카세트(141,142,143)를 연결하여 카세트(141,142,143)를 분리 모듈(120)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양단을 카세트(141,142,143) 및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cassette driving devices 150, 160, and 170 are mounted between the cassettes 141, 142, 14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respectively. Here, the cassette driving device (150, 160, 17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and each of the cassettes (141, 142, 143) the lifting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assettes (141, 142, 143) to the separation module 120 and both ends of the lifting unit cassette (141, 142, 143)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ing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이 때, 각각의 카세트(141,142,143)에 설치된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장 상측에 설치된 카세트(141)와 하우징(110) 사이를 연결하는 카세트 구동장치(15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assette drive device (150, 160, 170) installed in each of the cassette (141, 142, 143) are all the same, in the following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cassette drive for connecting between the cassette 141 and the housing 11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he device 150 will be described.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카세트(141)와 하우징(110)의 바닥면을 연결하는 승강부(152) 및 승강부(152)의 양단이 카세트(141)와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153,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힌지부(153,154)는 카세트(141)에 설치되는 카세트측 힌지(153)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하우징측 힌지(154)로 나눌 수 있다.2A and 2B, the lifting portions 152 connecting the cassette 14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both ends of the lifting portions 152 rotate relative to the cassette 141 and the housing 110. And hinges 153 and 154 to be movable. In this case, the hinge parts 153 and 154 may be divided into a cassette side hinge 153 installed in the cassette 141 and a housing side hinge 154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여기서, 상기 승강부(152)는 그 자체의 길이를 늘였다가 줄일 수 있는 부재이다. 예를 들면, 유압식 크레인 또는 유압식 잭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동심을 가지며 크기 또는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파이프 형태의 부재에 유압을 가하여 그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lifting unit 152 is a member that can increase the length of itself and reduce. For example, it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a hydraulic crane or a hydraulic jack. That is, it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by a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 plurality of pipe-shaped members having concentric and different sizes or diameters.

또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승강부를 형성하고, 카세트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하우징측 힌지에 모터를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는 위에서 설명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가능한 범위에서 변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may be formed using the rack and the pinion, and the motor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side hinge to move the cassette horizontally. As such, the cassette drive devices 150, 160, 170 may be modified in the rang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 승강부(152)는 카세트(141)에 직접 장착될 수 있으나, 카세트(141)를 수용하는 별도의 카세트 수용부(151)를 구비하고, 이 카세트 수용부(151)에 승강부(152) 또는 카세트측 힌지(153)를 장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fting unit 152 may be mounted directly on the cassette 141, but has a separate cassette receiving unit 151 for receiving the cassette 141, the lifting unit (151) 152 or cassette side hinge 153 may be mounted.

또한, 상기 카세트(141) 또는 카세트 수용부(151)에는 카세트측 힌지(153)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assette 141 or the cassette receiving portion 151 may be provided with a slot (not shown) for mounting the cassette side hinge 15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 또는 승강부(152)는 각각의 카세트(141,142,143) 마다 카세트(141,142,143)의 장변 측에 각 각 설치되며, 각각의 카세트에 설치된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 또는 승강부 간의 거리는 각각의 카세트(141,142,143) 마다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카세트(141,142,143)의 승강 구동시 각각의 카세트(141,142,143) 마다 설치된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 또는 승강부끼리 충돌 또는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cassette driving device 150, 160, 170 or the lifting unit 152 is installed on the long side of the cassette 141, 142, 143 for each cassette 141, 142, 143,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150, 160, 170 or the lifting portions be different for each cassette 141, 142, 143. This is to prevent collision or interference between the cassette drive devices 150, 160, 170 or the lift portions provided for each cassette 141, 142, 143 during the lift driving of the cassettes 141, 142, 143.

한편, 상기 각각의 카세트(141,142,143)에 설치된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 또는 승강부 간의 거리는 상기 각 카세트(141,142,143) 마다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세트(141,142,143)의 폭도 각 카세트(141,142,143) 마다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assette drive device (150, 160, 170) or the lift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cassette (141, 142, 143) can be formed to decrease or increase sequentially for each of the cassette (141, 142, 143). To this end, the widths of the cassettes 141, 142, 143 are preferably decreased or increased sequentially for each cassette 141, 142, 143.

즉, 도 3을 참조하면, 가장 상부에 설치된 카세트(141)에 설치된 카세트 구동장치(150)의 간격 또는 카세트(141)의 폭이 가장 크고, 가장 하부에 설치된 카세트(143)에 설치된 카세트 구동장치(170)의 간격 또는 카세트(143)의 폭이 가장 작다. 가운데 설치된 카세트(142)의 카세트 구동장치(160) 간의 간격 또는 카세트(142)의 폭은 그 중간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referring to FIG. 3, the cassette driving device installed in the cassette 143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assette driving device 150 installed at the uppermost interval or the width of the cassette 141 having the largest width is the largest. The interval of 170 or the width of the cassette 143 is the smallest. The interval between the cassette drive device 160 of the cassette 142 provided in the middle or the width of the cassette 142 is preferably in the middle thereof.

이와 같이, 상부의 카세트(141)에서부터 하부의 카세트(143)로 갈수록 카세트 구동장치(150,160,170)간의 간격 또는 카세트(141,142,143)의 폭은 순차적으로 작아지고, 하부의 카세트(143)에서부터 상부의 카세트(141)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결국, 가장 상부에 있는 카세트(141)의 폭 또는 카세트 구동장치(150) 간의 간격이 가장 크고, 가장 하부에 있는 카세트(143)의 폭 또는 카세트 구동장치(170)의 간격이 가장 작아야 한다. 만약, 이 반대가 되면 상부의 카세트에 의해 하부 카세트의 운동이 방해를 받게 될 것이다.As such, the interval between the cassette driving devices 150, 160, and 170 or the width of the cassettes 141, 142, and 143 decreases sequentially from the upper cassette 141 to the lower cassette 143, and the lower cassette 143 to the upper cassette ( 141) gradually increases. As a result, the width of the cassette 141 at the top or the gap between the cassette driving device 150 should be the largest, and the width of the cassette 143 at the bottom or the gap between the cassette driving device 170 should be the smallest. If this is reversed, the lower cassette will be disturbed by the upper cassette.

도 2a는 가장 상부에 있는 카세트(141) 또는 카세트 수용부(151)가 분리 모듈(120)에 접근한 상태를 보여준다고 하면, 도 2b는 가운데 있는 카세트(142) 또는 가장 하부에 있는 카세트(143)가 분리 모듈(120)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가장 상부에 있는 카세트(141)가 소정 위치로 피난하는 상태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즉, 도 2b는 최상부의 카세트(141)가 그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우측으로 피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152)는 하우징(110)의 바닥면과 약 30도 내지 45도의 경사를 이루며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2A shows a state where the uppermost cassette 141 or the cassette receiver 151 approaches the separation module 120, FIG. 2B shows the middle cassette 142 or the lowermost cassette 143. It can be said that the cassette 141 at the top shows the state to evacuat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separation module 120 can be accessed. That is, FIG. 2B shows that the uppermost cassette 141 evacuates to the right while maintaining its height. Here, the lifting unit 152 is inclined to the right side with an inclination of about 30 degrees to 45 degree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이 때, 상기 최상부에 설치된 카세트(141)는 카세트(141) 우측의 하우징(110) 공간으로 피난하면, 그 하부에 있는 카세트(142,143)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가운데 있는 카세트(142)의 매체 분리가 끝나고 가장 하부에 있는 카세트(143)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최상부에서 우측으로 피난했던 카세트(141)는 다시 아래쪽으로 하강하고, 가운데에 있는 카세트(142)가 그 높이를 유지하면서 우측으로 피난하여 최하부의 카세트(143)에게 자리를 내어 주게 된다. 이 때, 아래쪽으로 하강하는 최상부 카세트(141)에 연결된 승강부(152)와 하우징(110)의 바닥면은 약 10도 내지 30도의 각도를 이루며 기울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cassette 141 installed on the uppermost part of the cassette 141 evacuates to the space of the housing 110 on the right side, the cassettes 142 and 143 below the cassette 141 may ri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dia separation of the cassette 142 in the middle is finished, the cassette 143 at the bottom is raised, the cassette 141 which has evacuated from the top to the right is lowered again, and the cassette 142 in the center is lowered. While evacuating to the right while maintaining the height is to give a seat to the bottom cassette 143. At this time, the lifting surface 152 connected to the top cassette 141 descending downwar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are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10 degrees to 30 degrees.

한편, 하우징(110)의 우측 공간으로 피난한 카세트(141,142)는 카세트(141,142)의 가운데 부분에서 힌지(153)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피난하는 과정에 카세트(141,142)가 뒤집어 지거나, 피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카세트(141,142,143))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카세트 가이드부(1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ssettes 141 and 142 evacuated to the right space of the housing 110 are supported only by the hinge 153 in the center of the cassettes 141 and 142, the cassettes 141 and 142 are turned upside down during the evacuation process or the evacuation position is not maintained. You may not be able to.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assette guide unit 180 may be further included to guide the moving path of the cassettes 141, 142, and 143.

즉, 상기 카세트 가이드부(180)는 카세트(141,142,143)의 분리 작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다른 카세트가 분리 모듈(120)로부터 분리되어 소정 위치로 피난하는 경우에, 카세트를 피난 위치까지 안내하거나 피난 위치에서 카세트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카세트 가이드부가 없다면, 피난 하는 도중에 카세트가 뒤집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the cassette guide unit 180 guides the cassette to an evacuation position or evacuation position when another cassette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module 120 and evacu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cassettes 141, 142, and 143. Ensure that the cassette is supported reliably. If there is no cassette guide portion, it is because the cassette may be turned over during the evacuation.

상기 카세트 가이드부(180)는 대략 세워 놓은 "ㄷ"자 형상이며, 카세트(141,142,143)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하는 제1수직 가이드부(181) 및 제2수직 가이드(182)를 구비하며, 카세트(141,142,143)의 수평 운동을 가이드 하는 수평 가이드(180)를 포함한다. 이 때, 수평 가이드부(183)는 각 카세트(141,142,143)의 초기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카세트 가이드부(180)를 구비하여 피난하는 카세트를 안내함으로써, 카세트가 정확하게 피난 위치로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며, 피난 위치에서 카세트가 뒤집어져 저장된 종이매체가 쏟아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cassette guide portion 18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and has a first vertical guide portion 181 and a second vertical guide 182 for guiding the lifting motions of the cassettes 141, 142, and 143. It includes a horizontal guide 180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141, 142, 143). At this time, the horizontal guide portion 18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height of each cassette (141, 142, 143). As such, by guiding the evacuated cassette with the separate cassette guide unit 180, the cassette can be moved to the evacuation position accurately, and the cassette can be turned over at the evacuation position to prevent the stored paper media from spilling. have.

한편,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카세트 순환장치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다.In the foll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sette circulation device according to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200)는 종이매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카세트(240), 카세트(240)에 저장된 종이 매체(N)를 단변 방향 또는 종이매체(N)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낱장씩 분리하여 매체출구(211)로 이송하는 분리 모듈(220) 및 카세트들(240)이 분리 모듈(220)을 공용할 수 있도록 소정 경로를 따라 카세트들(240)을 순환시키는 카세트 순환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ssettes 240 storing paper media, and a paper medium N stored in the cassette 240 in a short side direction or The separation module 220 and the cassettes 240, which separate the sheets one by on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per medium N and transfer them to the media outlet 211, share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separation module 220 can be shared. And a cassette circulation device 250 for circulating the cassettes 240.

우선 금융자동화기기(200)의 외면은 하우징(210)에 의해 형성되며, 하우징(210)은 내부에 각종 부품들을 수용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다.First, the outer surface of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200 is formed by the housing 210, and the housing 210 is a substantially hexahedral member for accommodating various components therein.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는 복수개의 카세트(240)가 장착된다. 도 4에는 3개의 카세트(241,242,243)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카세트의 개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취급하고자 하는 종이매체의 권종 또는 크기에 따라 5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cassettes 240 are mounted in the housing 210. 4 shows three cassettes 241, 242 and 243. The number of cassettes shown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provided in five according to the kind or size of the paper medium to be hand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서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카세트(241,242,243)는 좌우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Unlike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settes 241, 242 and 243 are basically arranged horizontally or horizontally.

한편, 상기 카세트(241,242,243)에 저장된 종이매체(N)는 낱장으로 분리되어 매체출구(211)를 향하여 이송된다. 종이매체(N)의 낱장 분리는 각 카세트(241,242,243)의 출구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분리 모듈(220)에 의해 수행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분리 모듈(220)은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각각의 카세트(241,242,243)가 분리 모듈(220)에 접근하여 종이매체(N)가 낱장 분리되는 것이다. 이 때, 카세트(241,242.243)에 적재되는 지폐는 수직종방향으로 적재되는 것이 카세트(241,242,243) 이동시 분리 모듈(220)과의 간섭을 방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per medium (N) stored in the cassettes 241, 242, 243 is separated into sheets and conveyed toward the media outlet (211). Sheet separation of the paper medium N is performed by a separation module 220 installed adjacent to the outlet side of each cassette 241, 242, 243. In more detail, the separation module 220 is mounted in a fixed position, and each cassette 241, 242, 243 approaches the separation module 220 so that the paper medium N is separated. At this time, the banknotes stacked in the cassettes 241, 242.243 may be advantageously stacked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separation module 220 when the cassettes 241, 242, 243 are moved.

분리 모듈(220)은 카세트(240)에 외장된 형태로 장착될 뿐만 아니라 카세트(240)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분리 모듈(220)은 카세트(240)로부터 정해진 개수의 종이매체를 한 장씩 픽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리 모듈(220)은 픽업 롤러, 피드 롤러, 게이트 롤러 및 핀치 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및 기능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eparation module 220 may be mounted in the cassette 240 in an external form, or may be embedded in the cassette 240. The separation module 220 may pick up a predetermined number of paper media from the cassette 240 one by one. Can be. In general, the separation module 220 may include a pickup roller, a feed roller, a gate roller, a pinch roller, and the like, and thes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리 모듈(220)은 각각의 카세트(241,242,243)에 대응하는 위치에 모두 설치된 것이 아니라, 한 곳에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카세트(241,242,243)에 각각 대응하도록 분리 모듈(220)이 3군데에 설치된 것이 아니라 한 군데에만 분리 모듈(2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 분리 모듈(220)은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카세트(24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mentioned above, the separation module 220 is not all installed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assettes 241, 242, 243, but is installed only at one place.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eparation module 220 is not installed in three plac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ree cassettes 241, 242, 243, respectively, and the separation module 220 is installed only in one place. At this time, the separation module 220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ssette 241 located in the foremost.

이러한 구성 하에서, 두 번째 위치하는 카세트(242) 및 세 번째 위치하는 카세트(243)에 저장된 종이매체(N)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분리 모듈(220)이 형성된 위치까지 카세트(241,242,243)를 움직이기 위한 카세트 순환장치(250)가 필요하다. 카세트 순환장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Under this configuration, a cassette for moving the cassettes 241, 242, 243 to the position where the separation module 220 is formed in order to separate the paper medium N stored in the cassette 242 located second and the cassette 243 located third. Circulator 250 is requir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assette circulator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분리 모듈(220)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된 종이매체(N)는 매체 반송부(230)에 의해 매체출구(211)까지 반송되어 고객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매체 반송부(230)는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순환 벨트(231,232) 및 순환 벨트(231,232)를 순환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23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매체 반송부(230)는 2개의 순환 벨트(231,232)를 포함하고 있으나, 하나의 순환 벨트 및 이 와 마주 보는 가이드면(미도시)을 포함하여 매체 반송부(230)를 구성할 수도 있다.The paper medium N which is separated into sheets by the separation module 220 is conveyed to the media outlet 211 by the media conveying unit 230 and is provided to the customer. Here, the medium conveying unit 230 includes a pair of circulation belts 231 and 232 facing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rollers 233 for circulating the circulation belts 231 and 232. Although the media conveying unit 230 shown in FIG. 4 includes two circulation belts 231 and 232, the media conveying unit 230 includes one circulation belt and a guide surface (not shown) facing the same. You may.

이하에서는 복수개의 카세트(241,242,243)를 하나의 분리 모듈(220)까지 이동시키는 카세트 순환장치(25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sette circulator 250 for moving the plurality of cassettes 241, 242, 243 to one separation module 220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순환장치(250)는 복수개의 카세트들(241,242,243)이 장착되는 순환 벨트(251), 순환 벨트(251)를 구동시키며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252) 및 구동 롤러(25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assette circulation device 250 includes a circulation belt 251 on which a plurality of cassettes 241, 242, 243 are mounted, at least two driving rollers 252 for driving and supporting the circulation belt 251, and A driving unit (not shown) such as a motor for rotating the driving roller 252 may be included.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일정한 궤도를 따라 복수개의 카세트들(241,242,243)이 순환하면서 하나의 분리 모듈(220)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순환 벨트(251)로는 타이밍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벨트 대신 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plurality of cassettes 241, 242, 243 are circulated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so that one separation module 220 can be used in common. Here, a timing belt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circulation belt 251, and in some cases, a chain may be used instead of the belt.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카세트 순환장치(250)의 작동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circulation device 2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우선 각각의 카세트(241,242,243)는 하우징(210)에 형성되어 있는 카세트 투입구(212)를 통해서 순환 벨트(25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순환 벨트(251)까지 카세트(241,242,243)를 안내하기 위한 카세트 장착 가이드부(213)을 카세트 투입구(212) 안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카세트 장착 가이드부(213)는 카세트 투입구(212)와 순환 벨트(251) 간의 거리가 큰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카세트(241,242,243)의 투입 순서는 가장 앞쪽에 있는 카세트(241)를 먼저 장착하고 그 다음에 있는 카세트들(242,243)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및 세 번째 카세트(242,243)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순환 벨트(251)가 구동되어야 하며, 이러한 작동 메커니즘은 각각의 카세트(241,242,243)들을 하나의 분리 모듈(220) 쪽으로 접근시키는 것과 동일하다.First, each cassette 241, 242, 243 may be mounted to the circulation belt 251 through a cassette inlet 212 formed in the housing 210. At this time, the cassette mounting guide portion 213 for guiding the cassettes 241, 242, 243 to the circulation belt 251 may be formed inside the cassette inlet 212. The cassette mounting guide 213 may be usefu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assette inlet 212 and the circulation belt 251 is large. In order to insert the cassettes 241, 242, 243,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cassette 241 at the foremost first and then the cassettes 242, 243 next. In order to mount the second and third cassettes 242, 243, the circulation belt 251 must be driven, and this actuation mechanism is the same as approaching each cassette 241, 242, 243 toward one separation module 220.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앞쪽 즉, 가장 좌측에 있는 카세트(241)에 저장된 종이매체(N)를 분리하기 위해서 순환 벨트(251) 및 구동 롤러(252)를 구동하여 카세트(241)의 출구측을 분리 모듈(220)에 밀착시킨다.Referring to FIG. 4, the outlet belt of the cassette 241 is driven by driving the circulation belt 251 and the driving roller 252 in order to separate the paper medium N stored in the frontmost, leftmost cassette 241. Close to the separation module 220.

그 다음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카세트(242,243)에 저장된 종이매체(N)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카세트(241) 또는 두 번째 카세트(242)가 분리 모듈(220) 가까이에 위치하는 구동 롤러를 통과해야 한다.Then, when the paper medium N stored in the second or third cassettes 242 and 243 is to be separated, the driving roller in which the first cassette 241 or the second cassette 242 is located near the separation module 220 is removed. You must pass.

이 과정에서 카세트(241,242,243)가 손상되거나 저장된 종이매체(N)가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즉, 구동 롤러에 걸림 없이 카세트가 구동 롤러를 통과해야 하고, 구동 롤러를 통과한 후에는 카세트가 뒤집힌 상태가 되므로 종이매체(N)가 카세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In this process, the cassettes 241, 242 and 243 may not be damaged or the stored paper medium N may be separated. That is, the cassette must pass through the drive roller without being caught by the drive roller, and since the cassette is inver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drive roller,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paper medium 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ssette is necessary.

우선, 상기 카세트(241,242,243)의 재질을 형상의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종이매체(N)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최소한의 형태 유지력을 가지되, 고무 등과 같이 변형 되더라도 복원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세트 순환장치의 카세트가 구동 롤러를 원활하게 지날 수 있다. 만약, 구동 롤러를 지날 때 카세트의 모양이 변형될 수 없다면 카세트의 순환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순환 벨트 또는 구동 롤러가 파손될 수 있다.First, the material of the cassettes 241, 242 and 24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the shape. That is, a material having a minimum form holding force that can support the paper medium (N), but may be used to restore the material even if it is deformed, such as rubber. As a result, the cassette of the cassette circulation device can smoothly pass the driving roller. If the shape of the cassette cannot be deformed when passing the driving roller, the circulation of the cassette itself is impossible or the circulation belt or the driving roller may be broken.

여기서, 분리 모듈(220)을 통과하여 하부로 진행한 카세트에서 종이매체(N) 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미도시)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커버부 역시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커버부의 가운데 부분에는 분리 모듈(220)이 위치할 수 있는 절곡부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a cover part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to prevent the paper medium 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ssette which passes through the separation module 220 and moves downward. The cover part may also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and restored, and a bent part in which the separation module 220 may be positioned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art.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느다란 복수개의 판상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카세트(241,242,24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역시 카세트가 구동 롤러를 원활하게 지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카세트(241,242,243)가 구동 롤러(252)를 지날 때 복수개의 판상 부재(241a,242a,243a)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부드럽게 구동 롤러(252)를 통과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cassettes 241, 242, 243 may be formed after the plurality of thin plate-shaped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is also to allow the cassette to smoothly pass through the drive roll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assettes 241, 242, 243 can smoothly pass through the drive rollers 252 while the plurality of plate-shaped members 241a, 242a, 243a passes through the drive rollers 252.

뿐만 아니라, 카세트(241,242,243)에 자바라 형태의 주름을 형성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때, 주름의 방향은 구동 롤러(252)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considered to form bellows wrinkles in the cassettes 241, 242, 243.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wrinkles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drive roller 252.

또한, 카세트(241,242,243)가 구동 롤러(252)를 통과한 후, 카세트(241,242,243)가 뒤집어 지는 것을 막기 위해 순환 벨트(251)가 순환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구간을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총 6개의 구동 롤러(252) 중에서 하부에 있는 2개의 구동 롤러는 없애고, 가장 좌측 및 우측에 있는 구동 롤러에 순환 벨트(251)가 감기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금융자동화기기(200)의 하우징(210)의 좌우길이를 더 길게 하고, 순환 벨트가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왕복할 수 있도록 구동 롤러를 배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the cassettes 241, 242 and 243 pass through the driving roller 252, the circulation belt 251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a predetermined section instead of circulating to prevent the cassettes 241, 242 and 243 from overturning. For example, two driving rollers at the bottom of the six driving rollers 252 shown in FIG. 4 may be removed, and the circulation belt 251 may be wound around the driving rollers at the left and right sides. . To this end,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housing 210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200 may be longer, and a driving roller may be disposed to reciprocate with a gentle inclination of the circulation belt.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카세트, 상기 카세트를 분리 모듈까지 운반하는 구동 벨트, 상기 카세트를 상기 구동 벨트로 싣거나 상기 구동 벨트에서 상기 카세트를 내리기 위한 카세트 인입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cassettes arranged in a lin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drive belt for transporting the cassette to the separation module, a cassette insertion device for loading the cassette into the drive belt or to lower the cassette from the drive belt It may be included.

지금까지 설명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용 금융자동화기기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나 이 뿐만 아니라 현금입출금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automated teller machine described so far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for withdraw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ot only a cash dispenser, but also a minimum of the technical idea or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and not as a boundary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따른 카세트 구동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2a and 2b schematically show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drive according to FIG.

사시도,Perspective,

도 3은 도 1에 따른 카세트와 카세트 구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cassette and the cassett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따른 카세트 순환장치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다.FIG. 5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cassette circulator according to FIG. 4.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200:금융자동화기기 120,220:분리 모듈100,200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120,220 : separation module

130,230:매체 반송부 140,240:카세트130,230: Media conveyance part 140,240: Cassette

150,160,170:카세트 구동장치 152:승강부150,160,170 : Cassette drive device 152 : Elevating section

153,154:힌지부 180:카세트 가이드부153,154: Hinge 180: Cassette Guide

251:순환 벨트 252: 구동 롤러251: circulating belt 252: drive roller

Claims (8)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종이매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카세트;A plurality of cassettes mounted in the housing and storing paper media; 상기 카세트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단변 방향으로 낱장씩 분리 및 이송하는 분리 모듈; 및A separation module which separates and transfers the paper medium stored in the cassette in a short side direction one by one; And 상기 카세트들이 상기 분리 모듈을 공용하도록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카세트를 구동시키는 카세트 구동장치;를 구비하며,And a cassette drive device for driving the casset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cassettes share the separation module. 상기 카세트 구동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각각의 카세트를 연결하여 상기 카세트를 상기 분리 모듈까지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양단을 상기 카세트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The cassette driving device includes a lifter for connecting the cassettes to the housing and the cassettes to elevate the cassette to the separation module, and a hinge part for rotatabl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lifter to the cassette and the housing.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부는 각각의 카세트 마다 상기 카세트의 장변 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각 카세트에 설치된 상기 승강부 간의 거리는 각각의 카세트 마다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And said elevating unit is provided for each cassette on the long side of each cassette, and the distance between said elevating units provided in each of said cassettes is different for each casset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승강부 간의 거리는 상기 각 카세트 마다 순차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The distance between the lif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sequentially decrease or increase for each casset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카세트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카세트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And a cassette guide unit for guiding the moving path of the cassette. 종이매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카세트;A plurality of cassettes storing paper media; 상기 카세트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단변 방향으로 낱장씩 분리 및 이송하는 분리 모듈; 및A separation module which separates and transfers the paper medium stored in the cassette in a short side direction one by one; And 상기 카세트들이 상기 분리 모듈을 공용하도록 소정 경로를 따라 상기 카세트를 순환시키는 카세트 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And a cassette circulation device for circulating the casset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such that the cassettes share the separation modul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카세트 순환장치는, 상기 카세트가 장착되는 순환 벨트;The cassette circulation device includes a circulation belt on which the cassette is mounted; 상기 순환 벨트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 및At least two drive rollers supporting the circulation belt; And 상기 구동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And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drive roller.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카세트는 형상의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The casset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shap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카세트는 가느다란 복수개의 판상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And the cassette is formed by successively forming a plurality of thin plate-shaped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R1020070141767A 2007-12-31 2007-12-31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0900737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67A KR20090073739A (en) 2007-12-31 2007-12-31 Cash transaction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67A KR20090073739A (en) 2007-12-31 2007-12-31 Cash transaction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739A true KR20090073739A (en) 2009-07-03

Family

ID=4133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767A KR20090073739A (en) 2007-12-31 2007-12-31 Cash transaction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373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6696A (en) * 2012-03-20 2013-09-3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aper medium providing device
KR101426589B1 (en) * 2012-02-16 2014-08-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89B1 (en) * 2012-02-16 2014-08-0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Medium cassette,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20130106696A (en) * 2012-03-20 2013-09-3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aper medium provid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8122B2 (en) Tray feeder
KR101350252B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US8196371B2 (en) Cap supply device
KR20090072666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966675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961578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and method for rejecting paper medium i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961577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085379B1 (en)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KR20090073739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US20120128455A1 (en) Transport system and storage device
KR101996092B1 (en) Device for issuing banknote with dual hinged opening structure
KR101063682B1 (en)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KR101009109B1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100022874A (en) Cassette for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2268131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tray unit thereof
KR20090067356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100079664A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266593B1 (en) Apparatus of media receiving/discharging
KR950011443B1 (en) Bill supplying apparatus in auto teller machine
JP4050957B2 (en) Banknote storage device
KR101016494B1 (en) Device for drawing bills in cash transaction machine
KR20190076686A (e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2462300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WO2020105100A1 (en) Paper sheets storing device
JP5256556B2 (en) Bill storage device, bill processing device, and bill hand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