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592A -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 - Google Patents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592A
KR20090073592A KR1020070141571A KR20070141571A KR20090073592A KR 20090073592 A KR20090073592 A KR 20090073592A KR 1020070141571 A KR1020070141571 A KR 1020070141571A KR 20070141571 A KR20070141571 A KR 20070141571A KR 20090073592 A KR20090073592 A KR 20090073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power spectrum
remote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병석
유광섭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3592A/ko
Priority to PCT/KR2008/007845 priority patent/WO2009091149A1/en
Publication of KR20090073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Fourier transform demodulators, e.g. 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Abstract

다수의 리모트 유닛을 포함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 단말이 접속해 있는 리모트 유닛을 찾을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은 분리형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참조하여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식별정보에 맵핑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Coverage)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141571
분리형 기지국, 파워 스펙트럼, 단말 위치

Description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 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Method of Detect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Separated-type Radio Access Station, Separated-type Radio Access Station, and Main Unit for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 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접속한 리모트 유닛을 판단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이 커버하는 가입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가입자의 지역에서 일반 기지국을 설치하게 되면 낭비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지역에서는 리모트 유닛(RU: Remote Unit)을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낭비 요인을 미연에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RU와 RU를 제어하는 메인 유닛(MU: Main Unit)으로 구성된 기지국을 분리형 기지국이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리형 기지국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상기 일반적인 분리형 기지국은 MU(102), RU(104,112,114,116), 상기 MU(102) 및 RU(104,112,114,116)를 연결하는 광 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 등의 연결선(106), 단말과 분리형 기지국간에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을 송수신하는 안테나(108), 및 GPS 안테나(110)를 포함한다.
MU(102)는 제어국(미도시)과 IP 통신을 하며, 트래픽 데이터, 기지국과 제어국에 관련된 제어 정보의 송수신 통로가 된다. 또한, 데이터의 MAC 및 PHY 신호 처리를 담당하고 RU(104)에 대해 디지털 I/Q 신호를 송수신한다.
RU(104)는 기저대역의 I/Q 신호가 입력되면 QPSK 또는 QAM 등의 변조기법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고, RF 처리한다. 또한, 단말(미도시)로부터 안테나(108)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RF 처리하고 복조하여 기저대역의 I/Q 신호로 분리한다.
일반적인 분리형 기지국은 다수의 RU(104,112,114,116)를 통해 하나의 RU(104)가 존재할 때의 커버리지(Coverage: 118)보다 더 넓은 영역의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은 상기 MU(102)를 포함하는 분리형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을 뿐, 단말이 상기 RU(104,112,114,116)들 중 어느 것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지는 판단할 수 없었다.
따라서, 단말이 접속해 있는 RU(104)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고,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RU(104,112,114,116)의 증설에 비례하여 단말의 위치를 찾을 확률이 점점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리모트 유닛을 포함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 단말이 접속해 있는 리모트 유닛을 찾을 수 있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 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은 분리형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참조하여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식별정보에 맵핑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Coverage)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은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산출하는 리모트 유닛; 및 단말과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맵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정보에 맵핑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메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는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의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인 유닛은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메인 유닛에 있어서,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파워 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맵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말 위치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트 유닛에서 측정된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통해 특정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단말이 접속한 리모트 유닛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트 유닛의 증설으로 기지국의 커버리지가 확대되더라도 단말을 찾을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상기 분리형 기지국(Radio Access Station)은 메인 유닛(Main Unit: 202), 리모트 유닛(Remote Unit: 220,234,236,238), 상기 메인 유닛(202: 이하 'MU'라 한다) 및 리모트 유닛(220,234,236,238: 이하 'RU'라 한다)을 연결하는 광 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 등의 연결선(233), 단말(미도시)과 RU(220)간에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을 송수신하는 안테나(236), 및 GPS 안테나(232)를 포함한다.
MU(202)는 클럭부(204), 제어국 인터페이스부(206), 기지국 제어부(208), 디지털 처리부(210), 제1 인터페이스 보드(212), 파워 정보 분석부(214), 및 단말 위치 판단부(216)을 포함한다.
클럭부(204)는 GPS 안테나(232)를 통해 GPS로부터 기준 신호를 받아 분리형 기지국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클럭(Clock)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단말과 분리형 기지국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을 동기화한다.
제어국 인터페이스부(206)는 제어국(미도시)과 IP 통신을 하며, 트래픽 데이터, 및 기지국과 제어국에 관련된 제어 정보의 송수신 통로가 된다.
기지국 제어부(208)는 기지국 컨트롤러로서 기지국의 제어 및 상태 관리, 및 기지국의 호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208)와 클럭부(204)는 합쳐진 형태로서 기지국의 내부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자원 할당, 호 처리, 기지국 관리(RAS Management), 또는 제어국 인터페이싱 등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인 RMP(RAS Management Processor)를 포함하는 메인 컨트롤 및 클록 유니트(Main Control and Clock Unit: MCCU)일 수 있다.
기지국 제어부(208)는 단말이 접속한 RU의 식별 정보를 단말 위치 판단부(218)로부터 수신함으로써, 단말이 MU(202)와 연결된 RU(220,234,236,238) 중 어느 RU의 커버리지(Coverage)에 위치하는지 인식하게 되며, 외부로부터의 단말 위치 정보 전송 요청을 받으면, 인식하고 있던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처리부(210)는 데이터 프레임의 MAC 및 PHY 신호 처리를 담당하고 기저대역 디지털 I/Q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부(210)는 MAC/PHY 모뎀(Modem)을 처리하는 블럭으로서, 데이터 랜덤화, 컨벌루션/컨벌루션-터보 채널 코딩/디코딩, 인터리빙(Interleaving), FUSC/PUSC에 대한 서브채널 할당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DCCU(Digital Channel Card Unit)일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보드(212)는 제2 인터페이스 보드(218)와 함께 주로 기저대역에서 데이터의 디지털 처리를 담당하는 MU(202)와 RF대역에서 데이터의 아날로그 RF 처리를 담당하는 RU(216)사이에서 송수신 정보의 정합을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보드(212)는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규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파워 정보 분석부(214)는 상기 RU(220)로부터 업링크 프레임의 업링크 버스트(Uplink Burst) 구간에서 측정된 파워 스펙트럼 정보(Power Spectrum Information)를 제1 인터페이스 보드(212) 통해 전달받는다.
여기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전송한 RU (220)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가 측정된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정보 분석부(214)는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도 3은 파워 정보 분석부(214)가 수신한 파워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부반송 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주파수에 따른 파워 값들(302,304,306)을 포함한다.
업링크 버스트 구간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심볼은 다수의 부반송파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업링크 버스트 구간에서 측정된 파워 스펙트럼은 상기 부반송파(제1 부반송파,제2 부반송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파워(302,304)를 갖는다.
파워 정보 분석부(214)는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파워 값이 기준치 이상(302,304)인 주파수 정보를 획득하고, 파워 값이 기준치 미만(306)인 주파수 정보는 노이즈로 판단하고 무시한다. 그리고, 상기 파워 값이 기준치 이상(302,304)인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단말 위치 판단부(216)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워 정보 분석부(214)는 단말 위치 판단부(216)로 상기 파워 값이 기준치 이상(302,304)인 주파수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파워 정보 분석부(214)로부터 상기 파워 값이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 정보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파워 정보 분석부(214)로부터 수신한 파워 값이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 정보를 통해 해당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직접 획득하고,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는 단말이 존재하면, 단말이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 RU(202)의 커버리지(Coverage)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과 상기 단말에 할당된 부반송파의 맵핑 정보는 기 단말 위치 판단부(216)가 획득하여 저장하고 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신한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와 상기 맵핑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 후, 해당 부반송파를 사용하는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RU(202)에 접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판단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프레임과 업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운링크 및 업링크 프레임의 구조는 IEEE 802.16 또는 WiMAX 규격에 따르며, 다운링크 프레임은 업링크 맵(UL-MAP: 402)에 업링크 맵 정보 요소(UL-MAP IE: 404a,404b)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맵 정보 요소(404a,404b)는 단말들에게 할당된 업링크 버스트(Uplink Burst: 410a,410b)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업링크 맵 정보 요소(404a,404b)를 통해 업링크 버스트(410a,410b) 영역이 상기 단말들에게 할당되면, 상기 업링크 버스트(410a,410b) 영역에서 상기 단말들이 사용하게 될 부반송파(406,408)는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이하, 도 4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들 중에서 위치 판단 대상 인 단말을 제1 단말이라 하고, 상향링크 버스트 #2의 업링크 버스트(410a) 및 그에 해당하는 업링크 맵 정보 요소(404a)가 상기 제1 단말에 맵핑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제1 단말은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에 할당된 업링크 버스트(410a) 영역에서 상기 단말에 할당된 부반송파(406)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상기 업링크 맵 정보 요소(404a)를 통해, 제1 단말에게 할당된 업링크 버스트(410a) 영역을 알 수 있고, 결국, 해당 업링크 프레임에서 제1 단말이 사용하게 될 부반송파(406)를 알 수 있게 된다.
일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판단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상기 다운링크 프레임의 상기 업링크 맵 정보 요소(404a)를 통해, 제1 단말과 제1 단말에 할당된 부반송파(406)의 맵핑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이어, 제1 단말이 상기 부반송파(406)를 사용하여 업링크 프레임을 전송하고, RU(220)의 파워 정보 산출부(228)가 특정 파워 스펙트럼 측정 시점에서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해당 업링크 버스트(410a,410b) 영역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산출하였다면,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부반송파(406) 및 또 다른 단말이 상기 업링크 프레임에서 사용하는 부반송파(408)에 해당하는 주파수에서 기준치 이상의 파워 값을 나타낼 것이다.
이 후,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파워 정보 분석부(214)로부터 상기 기준치 이상의 파워 값을 나타내는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406,408)의 식별정보를 획 득한다.
그리고, 기 저장된 맵핑 정보를 통해 상기 부반송파(406,408) 중 제1 단말에게 할당된 업링크 버스트(410) 영역의 부반송파(406)가 상기 제1 단말에 맵핑되는 것을 확인하면,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송신한 RU(202)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와 함께 수신한 RU(202)의 식별 정보와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 포함된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파워 정보 분석부(214)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판단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판단 과정에서 상기 RU(202)의 식별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전송한 RU(202)를 식별할 수 있고,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맵핑 정보가 상기 업립크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인지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워 정보 분석부(214) 또는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상기 기지국 제어부(208)와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워 정보 분석부(214) 또는 단말 위치 판단부(216)는 상기 기지국 제어부(208)와 합쳐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RU(220)는 제2 인터페이스 보드(222), 변복조부(224), RF 처리부(226), 파워 정보 산출부(228), 및 임계치 비교부(2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U(220)는 리모트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 RRH) 또는 광 중계기(Remote Optic Unit: ROU)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U(220)는 또 다른 RU들(234,236,238)과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또는 스타(Star) 형태로 MU(20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인터페이스 보드(222)는 제1 인터페이스 보드(212)와 함께 MU(202)와 RU(220)사이에서 송수신 정보의 정합을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보드(222)는 CPRI 규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변복조부(220)는 기저대역의 I/Q 신호가 입력되면 QPSK 또는 QAM 등의 변조기법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IF 신호가 입력되면 복조하여 기저대역의 I/Q 신호로 분리한다.
RF 처리부(226)는 IF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고출력 증폭하거나, RF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IF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안테나(236)를 통해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한다.
파워 정보 산출부(228)는 업링크 프레임의 업링크 버스트 영역에서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임계치 비교부(230)에 의해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임계치 이상의 파워 정보이다.
여기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파워 스펙트럼 측정 대상인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임계치 비교부(230)는 상기 파워 정보 산출부(228)가 일차적으로 산출한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임계치 미만의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파워 정보를 생성하고, 다시 상기 파워 정보 산출부(228)로 전송한다.
도 5는 임계치 비교부(230)가 수신한 파워 스펙트럼 정보 및 임계치 이상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주파수에 따른 파워 값들(502,504,506)을 포함한다.
업링크 버스트 구간의 OFDMA 심볼은 다수의 부반송파(502,504)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파워 정보 산출부(228)에 의해 업링크 버스트 구간에서 측정된 파워 스펙트럼은 상기 부반송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파워(502,504)를 갖는다.
임계치 비교부(230)는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파워 값이 기준치 미만인 정보(506)는 노이즈로 판단하고 무시한다. 그리고, 파워 값이 임계치 이상인 파워 스펙트럼 정보(502,504)를 파워 정보 산출부(228)에 전송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워 정보 산출부(228) 및 임계치 비교부(230)는 서로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워 정보 산출부(228) 및 임계치 비교부(230)는 서로 합쳐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도 6의 구성 요소 중 도 2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MU(602)는 단말 위치 판단부(604)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위치 판단부(604)는 단말과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맵핑 정보를 저장하고, RU(606)의 파워 정보 분석부(608)로부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 위치 판단부(604)는 상기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단말이 상기 수신한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 RU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는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단말 위치 판단부(604)는 상기 맵핑 정보가 상기 업링크 프레임에 해당하는 맵핑 정보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는 상기 RU(606)의 식별 정보와 함께 수신됨으로써, 상기 단말 위치 판단부(604)는 상기 RU(606)의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 RU(606)를 식별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RU(606)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RU(606)는 파워 정보 분석부(608) 및 임계치 비교부(610)를 포함한다.
파워 정보 분석부(608)는 업링크 프레임의 업링크 버스트 영역에서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단말 위치 판단부(604)로 전송한다.
임계치 비교부(610)는 파워 정보 분석부(608)가 산출한 일차적인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임계치 미만의 파워 정보를 노이즈로 판단하고 제거한 후, 임계치 이상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생성하여 파워 정보 분석부(608)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MU에서 단말과 단말에 할당된 부반송파의 맵핑 정보를 저장한다(S702). 여기서, 상기 맵핑 정보는 업링크 맵의 업링크 맵 정보 요소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RU에서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 획득한다(S704).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FFT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임계치 이상의 파워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업링크 버스트 영역에서 측정되어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U은 리모트 라디오 헤드 또는 광 중계기일 수 있으며, 데이지 체인 또는 스타 형태로 MU에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U은 MU과 CPRI 보드를 통해 인터페이스 될 수 있다.
다음으로, MU에서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통해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 획득한다(S706). 여기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MU에서, 상기 맵핑 정보를 통해 단말이 상기 수신한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는지 판단한다(S708).
다음으로, MU에서, 단말이 상기 수신한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송신한 RU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한다(S710a).
만약, 단말이 상기 수신한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맵핑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이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송신한 RU의 커버리지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S710b).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U는 상기 MU에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와 상기 RU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MU는 상기 RU의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RU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분리형 기지국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파워 정보 분석부가 수신한 파워 스펙트럼 정보 및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프레임과 업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임계치 비교부가 수신한 파워 스펙트럼 정보 및 임계치 이상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을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 메인 유닛 204: 클럭부
206: 제어국 인터페이스부 208: 기지국 제어부
210: 디지털 처리부 212: 제1 인터페이스 보드
214: 파워 정보 분석부 216: 단말 위치 판단부
220,234,236,238: 리모트 유닛 222: 제2 인터페이스 보드
224: 변복조부 226: RF 처리부
228: 파워 정보 산출부 230: 임계치 비교부
232: GPS 안테나 233: 연결선

Claims (25)

  1. 분리형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참조하여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식별정보에 맵핑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Coverage)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임계치 이상의 파워 스펙트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한 판단은 메인 유닛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유닛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모트 유닛의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리모트 유닛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는 메인 유닛 또는 상기 리모트 유닛에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업링크 버스트(Uplink Burst) 영역에서 측정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정보는 상기 업링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하는 업링크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맵(UL-MAP)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은 리모트 라디오 헤드(Remote Radio Head) 또는 광 중계기(Remote Optic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은 메인 유닛과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보드를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또는 스타(Star) 형태로 메인 유닛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13.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산출하는 리모트 유닛; 및
    단말과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부반송파의 맵핑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맵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정보에 맵핑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리모트 유닛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메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정보는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의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는 상기 메인 유닛에서 획득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는 상기 리모트 유닛에서 획득하여 상기 메인 유닛에 전송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은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FFT 분석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임계치 이상의 파워 스펙트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은 상기 메인 유닛에 상기 리모트 유닛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리모트 유닛의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리모트 유닛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유닛은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를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업링크 버스트 구간에서 측정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닛은 상기 맵핑 정보를 상기 업링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하는 업링크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맵을 통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기지국.
  22.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메인 유닛에 있어서,
    업링크 프레임의 파워 스펙트럼 정보에서 파워가 기준치 이상인 주파수에 해당하는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파워 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부반송파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맵핑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맵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말 위치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펙트럼 정보는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유닛.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위치 판단부는 리모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리모트 유닛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단말 위치 판단부는 상기 리모트 유닛의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상기 리모트 유닛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유닛.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정보는 상기 업링크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이 사용하는 업링크 버스트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맵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유닛.
KR1020070141571A 2007-12-31 2007-12-31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 KR20090073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71A KR20090073592A (ko) 2007-12-31 2007-12-31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
PCT/KR2008/007845 WO2009091149A1 (en) 2007-12-31 2008-12-31 Method of detecting a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separated-type radio access station, separated-type radio access station, and main unit for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71A KR20090073592A (ko) 2007-12-31 2007-12-31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592A true KR20090073592A (ko) 2009-07-03

Family

ID=4088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571A KR20090073592A (ko) 2007-12-31 2007-12-31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73592A (ko)
WO (1) WO200909114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93B1 (ko) * 2010-04-15 2012-01-13 주식회사 이너트론 무선주파수 전력감시 모듈을 집적한 송수신 전단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라디오 헤드 및 그의 무선주파수 전력감시 방법
KR101311518B1 (ko) * 2011-12-02 2013-09-25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US9357505B2 (en) 2011-12-26 2016-05-31 Kt Corporation Processing digital signal
KR20160097643A (ko) * 2015-02-09 2016-08-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통신장치 및 단말장치
US9485737B2 (en) 2011-12-26 2016-11-01 Kt Corporation Controlling radio units to transmitting signal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ow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0383B2 (en) * 2001-10-25 2009-09-15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mobile station position us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and a repeater discriminant
KR100559596B1 (ko) * 2003-08-12 200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파환경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93B1 (ko) * 2010-04-15 2012-01-13 주식회사 이너트론 무선주파수 전력감시 모듈을 집적한 송수신 전단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라디오 헤드 및 그의 무선주파수 전력감시 방법
KR101311518B1 (ko) * 2011-12-02 2013-09-25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US9357505B2 (en) 2011-12-26 2016-05-31 Kt Corporation Processing digital signal
US9485737B2 (en) 2011-12-26 2016-11-01 Kt Corporation Controlling radio units to transmitting signal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ower
KR20160097643A (ko) * 2015-02-09 2016-08-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통신장치 및 단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1149A1 (en)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196B2 (en) Random access method for multiple numerology operation
KR1009208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동기 방법, 이를 위한기지국, 메인 유닛, 및 리모트 유닛
US11503541B2 (en) Wake-up signal transmission
KR100924684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18266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증폭기 소모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917274B2 (en) Transmitting radio equipment, receiving radio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communicating using a reference signal
JP2020109886A (ja) 端末装置および方法
US20090245172A1 (en)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US945156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03960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090073592A (ko) 분리형 기지국에서의 단말 위치 판단 방법, 이를 지원하는분리형 기지국, 및 메인 유닛
CN108366030B (zh) 一种发送载波信息的方法、基站及终端
CN111147405B (zh) 一种信号的发送方法及终端
US2009025202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nging of mobile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16619B2 (en)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RU25402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приема вторичного синхронизационного канала в широкополосной беспровод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CN110972252A (zh) 信号的发送方法、波形的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KR20080047022A (ko) 중계기 단위의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위치 측정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113505A (zh) 多载波通信系统降低干扰的方法以及终端设备
US2023040372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638741B1 (ko) 이동통신 신호의 특성을 활용한 대역 자동 절체 장치 및 방법
JP6664806B2 (ja) 測定システム、測定装置
US2012004483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 delay amount detection method
KR100735947B1 (ko) Ofdma/tdd시스템의 중계기 상태 테스트 장치 및방법
KR20100003771A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공존모드를 위한 셀 아이디매핑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