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435A - 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 Google Patents

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435A
KR20090073435A KR1020070141381A KR20070141381A KR20090073435A KR 20090073435 A KR20090073435 A KR 20090073435A KR 1020070141381 A KR1020070141381 A KR 1020070141381A KR 20070141381 A KR20070141381 A KR 20070141381A KR 20090073435 A KR20090073435 A KR 20090073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vity
unit
sphe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74170B1 (en
Inventor
박선규
한경봉
홍성남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4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170B1/en
Publication of KR2009007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4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1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A common duct and an install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nnect common duct units accurately by using a connection hole and a connection member. A common duct includes a plurality of common duct units(U). Each common duct unit includes a main body(10),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20), a connection hole(30)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40). The main body is comprised of front and rear opening units, a lower part, a lateral part, and an upper part. The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pening parts of the main body in order to install a wire, a pipe or a hose in the main body. The connection hole is formed in the suppor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in order to connect the common duct units.

Description

공동구 및 그 설치방법{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본 발명은 공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각의 공동구 유닛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한 공동구에 관한 것이며, 또한 그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b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low ball that can be accurately and easily connected to each hollow ball unit, and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also to a method of installing the hollow ball.

일반적으로 공동주택단지, 도로, 산업단지 등에는 전력선, 통신선, 등 다양한 전선 또는 배선을 집합시켜 공동으로 설치하기 위한 공동구가 설치되거나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공동구는 콘크리트로 성형되거나 형성된 박스형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통 연결하여 긴 터널식으로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common housing complexes, roads,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like are installed or buried to collectively install various wires or wires such as power lines, communication lines, and the like. Most of these common spheres are installed in a long tunnel type by connecting the box-shaped hollow sphere unit formed or formed of concrete with each oth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구들은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종래의 공동구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의 연결에 있어 이웃하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외부에서 금속편을 이용하여 타격하거나 볼트 및 너트 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특히 각각의 공동구 유닛의 하부 및 측부를 연결하는 경우 그 연결작업이 매우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cavity spheres have been shown to cause some problem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common ball unit, each adjacent ball un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a metal piece from the outside or bolted and nut-coupled. The connection work is very difficult.

또한, 공동구를 곡선적으로 설치하는 경우 설치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flexibly cope with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when the cavity is installed in a curve.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공동구 및 그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vity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cavity can be easily connected to each cavity tool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그 내부에서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공동구 및 그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vity tool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cavity tool, which can be quickly connected to each cavity tool unit therein.

이 같은 목적들은, 다양한 종류의 전선, 관, 호스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복수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설치하는 공동구에 있어서, 각각의 공동구 유닛은, 전, 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와,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와, 그 하부와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하는 상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 그 본체의 내부에 전선, 관, 호스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전방 개구부 및 후방 개구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그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접속구; 및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본체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연통하는 각각의 접속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se objects are provided in a joint tool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tool units are interconnected and installed in the ground for wiring and discharging various types of electric wires, pipes, and hoses, each of which has an opening formed before and after the ground. A main body integrally having a lower portion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portion, a side portion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nd opposing sides, and an upper portion closing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provided at the front opening portion and the rear opening side of the main body for wiring and disposing the electric wires, pipes, and hoses in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which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respective connecting holes which communicate with each main body in an interconnected state, so as to interconnect each common ball unit.

그리고 상기 목적들은, 다양한 종류의 전선, 관, 호스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복수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설치하는 공동구에 있어서, 각각 의 공동구 유닛은, 전, 후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와,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와, 하부와 측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를 구비하는 본체; 그 본체의 내부에 전선, 관, 호스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본체의 전방 개구부 및 후방 개구부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 그 지지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접속구;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본체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연통하는 각각의 접속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본체의 상부를 측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s, in the common sphere to interconnect the plurality of common sphere units in the ground for wiring and excretion of various types of wires, pipes, hoses, each of the common sphere units, the opening is formed before and after, A main body having a lower portion disposed at a bottom of the lower portion, a side portion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nd opposing side portions, and an upp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 space formed by the lower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provided at the front opening portion and the rear opening side of the main body for wiring and disposing the electric wires, pipes, and hoses inside the main body; A connector form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respective connection ports in communication with each main body to interconnect each cavity tool unit; And a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the side to be openable and closeable.

또한 상기 목적들은,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동구를 설치하거나 매설할 위치를 정하여 공동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면을 파내어 매설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매설통로가 형성되면, 그 매설통로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에 해당하는 개수의 공동구 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공동구 유닛을 통로의 일측에 또는 중앙에 하나의 기준 공동구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기준 공동구 유닛의 일측 또는 타측에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을 배치하여 상호 정렬하는 단계; 상호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의 각각의 본체가 상호 정렬되어 하나의 공동구 유닛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공이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에 형성된 각각의 접속공이 일치하여 상호 연통하면, 연결부재를 그 연통공에 삽입하여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 공동구 유닛의 연결단계를 연속 반복적으로 매설통로 전체에 걸쳐 실행하여 공동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설치방법에 의 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hollow ball, the step of installing or embedding the hollow ball to dig the ground so that the hollow ball can be installed to form a buried passage; If the buried passage is formed,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buried passage and preparing a number of the joint ball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Arranging the prepared common ball unit in one or the center of the passageway; Arranging and arranging another cavity tool unit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reference cavity tool unit; When the main bodies of mutually adjacent cavity tool uni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each connection hole provided in one cavity tool unit coincides with each other when the connection holes formed in the other cavity tool uni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hole. Interconnecting neighboring co-ball units; The connecting step of the joint ball unit can be achieved by the method for installing the joint b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ntinuously throughout the buried passage to complete the joint ball.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및 그 공동구 설치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공동구 유닛 상호간의 연결이 접속구 및 연결부재에 의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cavity tool and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cavity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etween each of the cavity tool unit can be made easily and accurately by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membe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reliability.

또한, 공동구가 설치될 위치 또는 상태에 따라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적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the state in which the cavity is to be installed, each of the cavity sphere unit can be connected accurately and stably install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pplicability is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공동구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vity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vity tool unit of the cavity tool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cavity tool unit of FIG.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vity too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vity tool unit of the cavity tool of Figure 4, Figure 6 is a front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vity tool unit of the cavity according to Figure 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cavity to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는 기본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복수 또는 다수의 공동구 유닛(U)을 구비한다.First, in Figures 1 to 3, the cavity sphe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cavity sphere unit (U) which is basically interconnected.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예컨대 공동구가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이 상호 연결되는 방향의 전, 후방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방체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그 본체(10)는 대부분 지중에 매설됨으로 인해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hollow sphere unit (U) i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cube of various shapes in which openings (10a, 10b) are formed in front and rear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spective hollow sphere units (U) are interconnected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low spheres are installed, for example. It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0 formed with. The main body 10 is preferably formed of concrete because it is mostly buried in the ground.

그 본체(10)는 공동구가 설치될 매설통로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12)와, 그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그 측부(14)와 하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하는 상부(16)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측부(14) 사이에는 전선(W), 관(P), 호스(H)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수직부(18)가 구비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has a lower portion 12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buried passage in which the cavity is to be installed, a side portion 14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nd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ide portions 14 and the lower portion. It has a top 16 for closing the space to be formed. Optionally, a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18 may be provided between each side portion 14 to form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wires W, the pipes P, the hoses H and the like.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그 내부에는 다양한 전선(W), 관(P), 호스(H) 등이 배선 또는 배설되는 지지부재(20)가 형성된다. 그 지지부재(20)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각각의 공동구 본체(10)의 연결시 상호 접하거나 대향할 수 있도록 각각의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of each cavity tool unit U, there is formed a support member 20 to which various wires W, pipes P, hoses H and the like are wired or disposed. The support member 20 is the front opening 10a of each main body 10 so as to be able to contact or oppose each other when connecting each of the main tool unit 10 when interconnecting the respective ball tool unit (U) an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the rear opening part 10b side.

그 지지부재(20)는 그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전선(W), 관(P), 호스(H) 등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본체(10)의 하부(12)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22)와, 본체(10)의 측부(14) 및 수직부(18)에 형성되는 측방 지지부(24)로 구별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0 is a lower support portion 2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ire (W), pipe (P), hose (H) and the like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 And the side support part 24 formed in the side part 14 and the vertical part 18 of the main body 10 can be distinguished.

선택적으로, 지지부재(20)는 본체(10)의 상부(16)에 필요에 따라 현수 방식으로 관을 지지하기 위한 현수부(26)를 포함할 수 있다.Optionally, the support member 20 may include a suspension portion 26 for supporting the tube in a suspension manner on the upper portion 16 of the body 10 as needed.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20)에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공동구 본체(10)를 후술되는 연결부재로 연 결하기 위한 접속구(30)가 관통 형성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20, the connector 30 for connecting each of the hollow sphere main body 10 to the connecting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interconnect each of the common sphere unit (U) Is formed through.

그 접속구(30)는 실제적으로 지지부재(20)의 각각의 지지부(22;24)의 사이즈 또는 크기에 따라 대경 접속공(32)과 소경 접속공(34)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or 30 is preferably formed of a large diameter connecting hole 32 and a small diameter connecting hole 34 depending on the size or size of each of the supporting portions 22 and 24 of the supporting member 2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공동구 본체(10)를 접속구(3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40 for substantially connecting each of the common sphere body 10 using the connector 30 to interconnect each of the common sphere unit (U) It includes.

그 연결부재(40)는 접속구(30)의 형상 또는 사이즈에 따라 그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대경 접속공(32)에 삽입되는 대경 연결편(42)과, 소경 접속공(34)에 삽입되는 소경 연결편(44)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0 may have a different diameter depending on the shape or size of the connection port 30, for example, a large diameter connecting piece 42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connecting hole 32, and a small diameter connecting hole 34. Can be divided into a small diameter connecting piece 44 that is inserted in.

특히, 상기 연결부재(40)의 각각의 연결편(42;44)은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연결시 작업성의 향상을 위한 유연성, 내열성, 절연성을 위해, 또한 공동구의 설치후 지진과 같은 지중의 이상 변형시 이를 수용하거나 완충시킬 수 있도록 유리섬유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체(10)간의 상호 견고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다소의 연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each connecting piece (42; 44) of the connecting member 40 is for flexibility, heat resistance, insulation for the improvement of workability in the connection of the main body 10 of each cavity tool unit (U), and also the installation of the cavity tool It may be formed of glass fi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o accommodate or buffer the abnormal deformation of the ground, such as after earthquake. Of course, it may be formed of a metal having some ductility for a firm and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body 1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복수 또는 다수의 공동구 유닛(U)을 구비한다.The cavity to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to 6, is basic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r a plurality of cavity tools unit (U).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전술된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유닛(U)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구성되는 바, 이에 대해 다시 한 번 간단하게 설명하면,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전, 후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방체형으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그 본체(10)는 하부(12)와, 그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그 측부(14)와 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16)를 구비하며, 선택적으로, 각각의 측부(14) 사이에는 복수의 수직부(18)가 구비될 수 있다.Each hollow sphere unit (U) is configur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hollow sphere unit (U)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ce again described briefly, each hollow sphere unit (U) is After that, the openings 10a and 10b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f cubes, and the main body 10 is formed of concrete. The main body 10 has a lower portion 12, a side portion 14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nd oppos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 space formed by the side portion 14 and the lower portion 12. 16, and optionally, a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18 may be provided between each side portion 14.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상부(16)가 측부(14)에 대해 착탈 또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본체(10)의 상부(16)는, 제조 또는 작업중에, 지상 또는 지면에서 본체(1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본체의 상부(16)의 측부에는 후술되는 결합장치의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삽입공(162)이 천공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main fea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16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or open to the side portion (14). That is, the upper portion 16 of the main body 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openable and closed so as to open or clos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on the ground or the ground during manufacture or operation. On the side of the upper portion 16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an insertion hole 162 through which the fixing member of the coupling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is drilled.

또한,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는 하부 지지부(22) 및 측방 지지부(24)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support member 20 composed of a lower support portion 22 and a side support portion 24 is formed at the front opening portion 10a and the rear opening portion 10b side of the main body 10 of each cavity tool unit U.

물론, 지지부재(20)의 각각의 지지부(22;24)에는 대경 접속공(32)과 소경 접속공(34)으로 형성된다.Of course, each of the support portions 22 and 24 of the support member 20 is formed of a large diameter connecting hole 32 and a small diameter connecting hole 34.

또한,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공동구 본체(10)를 접속구(3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40)를 포함하며, 그 연결부재(40)는 대경 접속공(32)에 삽입되는 대경 연결편(42)과, 소경 접속공(34)에 삽입되는 소경 연결편(44)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it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40 for substantially connecting each of the common sphere body 10 using the connector 30 to interconnect each of the common sphere unit (U), the connection member 40 is The large diameter connecting piece 42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connecting hole 32 may be divided into the small diameter connecting piece 44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connecting hole 34.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상부(16)를 개폐식으 로 결합하거나 조립하기 위한 결합장치(50)를 더 포함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16 of the main body 10 further includes a coupling device 50 for coupling or assembling in an openable manner.

그 결합장치(50)는 본체(10)의 양 측부(14)에 장입되는 로드형 또는 장볼트형 고정부재(52)를 구비한다. 그 고정부재(52)는 복수 개를 구비하며 본체(10)의 제조시 성형틀에서 측부(14)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본체(10)의 성형시 측부(14)에 수직방향으로 삽입공을 형성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52)를 그 삽입공에 삽입하여 일체화 시킬 수 도 있다. 그 고정부재(52)의 선단에는 후술되는 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부(522)가 형성된다. 물론, 그 각각의 고정부재(52)의 선단은 본체(10)의 상부(16)의 삽입공(162)에 삽입되어 상부로 노출된다.The coupling device 50 has a rod-type or long-bolt-type fixing member 52 which is inserted into both side portions 14 of the main body 10. The fixing member 52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52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ide portion 14 in the forming mold when the main body 10 is manufactured, or inserted into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side portion 14 when the main body 10 is molded. It may be integrated by inserting a separate fixing member 52 in the insertion hole in the state formed. A spiral portion 522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ing member 52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described later can be screwed together. Of course, the tip of each of the fixing member 5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62 of the upper portion 16 of the main body 10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각각의 고정부재(52)에는 체결부재(54)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 체결부재(54)는, 본체(10)의 상부(16)를 측부(14)의 상부로부터 결합시키는 경우 각각의 상부(16)의 관통공(162)에 삽입된 고정부재(52)의 나선부(522)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볼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member 54 is releasably fixed to each fixing member 52. The fastening member 54 is a helix of the fixing member 52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62 of each upper portion 16 when the upper portion 16 of the main body 10 is coupl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14.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bolt shape that is releasably fastened to the portion 522.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통로의 곡선부 또는 굴곡부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되는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 또한 전술된 제1실시에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과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한 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동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생략한다.The cavity bal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install the curved portion or the bent portion of the buried passage. The common bal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is also similar in structure to the common bal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different parts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for clarity of description. Only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and similar parts.

먼저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 시스템의 공동구 유닛(10)은 기본적으로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12), 그 하부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 부(14), 그 측부(14)와 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하는 상부(16), 및 각각의 측부(14)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부(18)가 구비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하부 지지부(22) 및 측방 지지부(24)로 이루어진 지지부재(20)가 구비된다. 그 지지부재(20)의 각각의 지지부(22;24)에는 대경 접속공(32)과 소경 접속공(34)으로 형성된다.First, the cavity tool unit 10 of the cavity to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basically a lower portion 12 supported on the floor, a side portion 14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nd opposing each other, and the side portion 14 thereof. And a main body 10 provided with an upper portion 16 closing the space defined by the lower portion 12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18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14.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20 consisting of a lower support 22 and a side support 24. Each of the supporting portions 22 and 24 of the supporting member 20 is formed of a large diameter connecting hole 32 and a small diameter connecting hole 34.

특히, 상기 각각의 접속공(32;34)은 후술되는 연결부재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접속공(32;34)은 후술되는 연결부재의 일측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홈(322;342)과, 그 제1고정홈(322;342)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하로 대응하게 형성되는 2개의 제2고정홈(324;344)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고정홈(322;342)은 안정적이고 용이한 결합을 위해 3개의 반원 홈(322a;324a)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고정홈(324;344) 또한 동일 목적으로 2개의 U자형 홈(324a;344a)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each of the connection holes 32 and 34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described later can be stably and firmly inserted. In more detail, each of the connection holes 32 and 34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grooves 322 and 342 to which one sid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to be described below is coupled and fixed, and the first fixing grooves 322 and 342. And two second fixing grooves 324 and 344 which are formed up and down correspondingly. Optionally, the first fixing grooves 322 and 342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ree semicircular grooves 322a and 324a are continuously connected for a stable and easy coupling, and the second fixing grooves 324; 344) It is also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two U-shaped grooves (324a; 344a) for the same purpose.

이에 대응하게, 각각의 접속구(30)에 삽입되는 연결부재(40)는 그 접속구(30)의 각각의 접속공(32;34)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부재(40)는 일측에서 하나의 공동구 유닛(10)의 접속공(32;34)에 삽입 고정되는 제1연결부(41)와, 그 공동구 유닛(10)에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의 접속공에 삽입 고정되는 제2연결부(43)와, 이들 제1연결부(41) 및 제2연결부(43)를 연결하기 위한 중앙부(45)를 일체로 구비한다.Correspondingly, the connection member 40 inserted into each connection port 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connection hole 32; 34 of the connection port 30, respectively. 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40 i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1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hole (32; 34) of one cavity tool unit 10 on one side, and the other one connected adjacent to the cavity tool unit 10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nnecting hole of the cavity tool unit of the unit, and a central portion 45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integrally.

여기서, 연결부재(40)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41;43)의 선단에는 각각의 접속공(32;34)의 제1고정홈(322;34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편(412;432)이 돌출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부(41;43)의 대체로 중앙부 양측에는 각각의 접속공(32;34)의 각각의 제2고정홈(324;34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2개의 제2결합편(414;434)이 돌출 형성된다.Here, a first coupling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fixing grooves 322 and 342 of the respective connection holes 32 and 34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41 and 43 of the connecting member 40. Pieces 412 and 432 are formed to protrude and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spective second fixing grooves 324 and 344 of the respective connection holes 32 and 34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41 and 43. Two second coupling pieces 414 and 434 are formed to protrude.

또한, 각각의 연결부재(40)의 중앙부(45)는, 공동구 유닛(10)의 상호간의 연결 또는 설치시 곡선구간에 대한 적용성 및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수축 및 팽창 또는 전개될 수 있도록 주름형 또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45 of each connecting member 40 is corrugated so that it can be shrunk, expanded or deployed to provide applicability and flexibility to the curved sections when connecting or installing the cavity spheres 10. Or it is preferably formed in a waveform.

선택적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의 각각의 측부(14)의 전, 후방측에도 접속공(141)이 세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각각의 접속공(141)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연결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공(141)이 본체(10)의 각각의 전, 후방에 형성되어 연결부재가 적용되면, 곡선부분에 공동구를 설치하는 경우 설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Optionally,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connection holes 141 may also be formed in the vertical form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respective side portions 14 of the main body 10, and the respective connection holes ( The connecting member 4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erted into the 141. As such, when the connection hole 141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each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applied, the connection hole 141 serves to improve the installation freedom when installing the cavity in the curved portion.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구의 설치방법을 도 8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cavity too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공동구 설치방법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installing the cavity ball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the same or similarly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it clearly.

먼저 작업자는 공동구를 설치하거나 매설할 위치를 정하여 공동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면을 파내어 매설통로를 형성한다(S100).First, the worker establishes a buried passage by digging the ground so that the cavity may be installed by determining a location for installing or buried a joint (S100).

매설통로가 형성되면, 그 매설통로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에 해당하는 개수의 공동구 유닛(U)을 준비한다(S102).When the buried passage is formed, the distance of the buried passage is measured and the number of the common ball units U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is prepared (S102).

이후, 준비된 공동구 유닛(U)을 통로의 일측에 또는 중앙에 하나의 기준 공동구 유닛(U)을 배치한다(S104).Thereafter, the prepared common ball unit U is disposed at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passage, and one reference cavity ball unit U is disposed (S104).

다음으로, 기준 공동구 유닛(U)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을 배치하여 상호 정렬한다(S106). 여기서, 작업자는 기준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지지부재(20)와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대응하는 지지부재(20)를 상호 일치시키고 그 지지부재(20)의 하부 지지부(22) 및 측방 지지부(24)를 상호 일치시켜 접속구(30)의 각각의 소경 접속공(32) 및 대경 접속공(34)을 상호 일치시킨다.Next, another cavity tool unit U is disposed in front of or behind the reference cavity tool unit U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S106). Here, the operator corresponds to the support member 20 provid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of the reference cavity tool unit U and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body 10 of the other cavity tool unit U. Each of the small diameter connecting holes 32 and the large diameter connecting holes 34 of the connector 30 is made to match the supporting members 20 and the lower supporting portions 22 and the side supporting portions 24 of the supporting members 20. ).

이와 같이, 상호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U)의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정렬되어 하나의 공동구 유닛(U)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공(32;34)이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에 형성된 각각의 접속공(32;34)이 일치하여 상호 연통하면, 작업자는 연결부재(40)를 그 연통공에 삽입하여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한다(S108). 여기서, 작업자는 공둥구 유닛(U)의 내부 또는 일측에서 연결부재(40)를 간단하게 연통구에 삽입함으로서, 공동구 유닛 상호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main bodies 10 of mutually neighboring co-ball units U are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connection holes 32 and 34 provided in one co-ball unit U is the other co-ball unit U. When each of the connection holes 32 and 34 formed in the sam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operator inserts the connecting member 40 into the communication hole to interconnect the neighboring cavity ball unit (U) (S108). Here, the operator simply inserts the connecting member 40 into the communication port in the inside or one side of the ball unit (U),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on ball unit can be made.

이후, 상기 공동구 유닛(U)의 연결단계를 연속 반복적으로 매설통로 전체에 걸쳐 실행하여 공동구를 완성한다(S110).Subsequently, the connecting step of the cavity tool unit (U) is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repeatedly throughout the buried passage to complete the cavity ball (S110).

물론,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이 상호 연결되거나 또는 공동구 유닛(U) 전체가 상호 연결된 후에는 각각의 공동구 유닛(U)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간극 또는 공 간을 방수 및 방진 처리할 수 있다.Of course, after each of the common sphere units (U) are interconnected or the entirety of the common sphere units (U) are interconnected, it is possible to waterproof and dustproof the gaps or spaces that may occur between the respective common sphere units (U). .

이와 같이, 공동구가 완성된 후에는 지지부재(20)를 이루는 각각의 지지부(22;24) 및 현수부(26)에 전선(W), 관(P), 호스(H) 등을 배선 또는 배설하여 그 공동구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the cavity is completed, the wires W, pipes P, hoses H, etc. are wired or laid on each of the supporting parts 22 and 24 and the suspending parts 26 constituting the supporting member 20. The joint tool can be used appropriately.

한편,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상부(16)가 개폐식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부(16)를 개방하여 전선(W), 관(P), 호스(H) 등을 배선 또는 배설하거나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part 16 of the main body 10 of the cavity tool unit U is provided by the opening-and-closing type, the upper part 16 is opened as needed, and an electric wire W, a pipe | tube P, a hose H, etc. Can be wired, laid, replaced or repaired.

또한, 매설위치 또는 매설통로가 곡선부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술된 제3실시예와 같이 본체(10)에 특정 형상의 제1고정홈(322;342) 및 제2고정홈(324;344)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접속공(32;34)에, 이에 대응하게 형성된 연결부재(40)의 제1결합편(412;432) 및 제2결합편(414;434)으로 이루어진 제1연결부(41) 및 제2연결부(43)를 결합시켜 곡선 위치에 대응하게 연결한다. 이때, 각각의 연결부재(40)는 본체(10)에 고정되는 각각의 제1연결부(41) 및 제2연결부(43)를 연결하는 주름 형상의 중앙부(45)의 수축 및 팽창작용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buried position or the buried passage is formed as a curved portion, as i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 to the first fixed groove (322; 342) and the second fixed groove (324; 344) of a specific shape In each connection hole (32; 34) mad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consisting of a first coupling piece (412; 432) and a second coupling piece (414; 434) of the connection member 40 correspondingly forme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is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position. At this time, each connecting member 40 is desired by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corrugated central portion 45 connecting the respectiv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fixed to the main body 10 The common sphere unit (U) can be interconnected at an angle.

이에 따라, 각각의 공동구 유닛을 설치환경에 따라 정확하고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공동구 내부의 상태를 항상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each joint ball unit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accurate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a stable state inside the cavity ball.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v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low sphere unit of the hollow sphere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공동구 유닛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cavity tool unit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동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vity sphe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low sphere unit of the hollow sphere of FIG. 4; FIG.

도 6은 도 5의 정면도.6 is a front view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의 공동구 유닛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vity tool unit of a cavity too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8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installing the cav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본체 20: 지지부재 10: main body 20: support member

30: 접속구 40: 연결부재30: connection port 40: connecting member

50: 결합장치 50: coupling device

Claims (15)

다양한 종류의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복수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설치하는 공동구에 있어서,In the common sphere which interconnects a plurality of common sphere unit (U) to be installed in the ground to wire and excrete various types of wire (W), pipe (P), hose (H),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Each hollow sphere unit (U) 전, 후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12)와, 상기 하부(12)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상기 측부(14)와 상기 하부(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16)를 일체로 구비하는 본체(10);Openings 10a and 10b are formed before and after, and a lower portion 12 disposed on the ground of the underground, side portions 14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12 and opposing each other, and the side portion 14 Main body 10 having an upper portion 16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formed by the lower portion (12);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20);Installed at the front opening portion 10a and the rear opening portion 10b of the main body 10 for wiring and disposing the wires W, the pipes P, and the hoses H inside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 상기 지지부재(20)에 형성되는 접속구(30); 및A connector 30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20; And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하는 각각의 접속구(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In order to interconnect each of the common sphere units (U), each of the main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40 which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 30 in the interconnected state The joint bal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가 삽입되는 상기 접속구(30)가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12)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부(22)와, 상기 본체(10)의 측부(14)에 형성되는 측방 지지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공동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20 is formed with the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40, the lower support portion 22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Cavity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teral support (24) formed on the side portion (14) of the body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가 삽입되는 접속구(3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부 지지부(22)에 형성되는 대경 접속공(32)과, 상기 측방 지지부(24)에 형성되는 소경 접속공(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The connector 30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connecting hole 32 formed in the lower support portion 22 of the support member 20,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24. A hollow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ll diameter connecting hole (34)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접속구(30)의 대경 접속공(32)에 삽입되는 대경 연결편(42)과, 상기 소경 접속공(34)에 삽입되는 소경 연결편(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member 40 is a large diameter connecting piece 42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connecting hole 32 of the connector 30, and a small diameter connecting piece 44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connecting hole (34). Joint b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공(32;34)은 상기 연결부재(40)의 일 측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홈(322;342)과, 상기 제1고정홈(322;342)으로부터 이격되며 상하로 대응하게 형성되는 2개의 제2고정홈(324;34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connection holes (32; 34) is a first fixing groove (322; 342) to which one sid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40 is coupled and fixed, and the first fixing groove (322; 342 is a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wo second fixing grooves (324; 344) spaced up and down corresponding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322;342)은 3개의 반원 홈(322a;324a)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정홈(324;344)은 2개의 U자형 홈(324a;344a)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fixing grooves (322; 342) is formed by connecting three semi-circular grooves (322a; 324a) in succession, the second fixing grooves (324; 344) are two U-shaped grooves 324a; 344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일측에서 하나의 공동구 유닛(10)의 접속공(32;34)에 삽입 고정되는 제1연결부(41)와, 상기 공동구 유닛(10)에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의 접속공에 삽입 고정되는 제2연결부(43)와, 상기 제1연결부(41) 및 제2연결부(43)를 연결하기 위한 중앙부(45)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member 40 is a first connection portion 41 is fixed to the connection hole (32; 34) of one cavity tool unit 10 on one side, and neighboring to the cavity tool unit (10)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connection hole of another cavity tool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entral portion 45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integrally. Joint ball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41;43)의 선단에는 각각의 접속공(32;34)의 제1고정홈(322;34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결합편(412;43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결부(42;43)의 양측에는 각각의 접속공(32;34)의 제2고정홈(324;34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2개의 제2결합편(414;434)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41; 43) of the connecting member (4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s (322; 342) of the respective connecting holes (32; 34). The first coupling pieces 412 and 432 are formed to protrude, and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s 324 and 344 of the respective connection holes 32 and 34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s 42 and 43, respectively. The cavit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second coupling pieces (414; 434) are coupled to protru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40)의 중앙부(45)는 주름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8. A cavity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45) of each connecting member (40) is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에 결합시 유연성, 내열성, 절연성, 내진성을 위해 유리섬유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40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glass fiber and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flexibility, heat resistance, insulation, shock resistance when coupled to the main body 10 of each cavity tool unit (U) Communal sphere. 다양한 종류의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복수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여 지중에 설치하는 공동구에 있어서,In the common sphere which interconnects a plurality of common sphere unit (U) to be installed in the ground to wire and excrete various types of wire (W), pipe (P), hose (H),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은 Each hollow sphere unit (U) 전, 후에 개구부(10a, 10b)가 형성되고, 지중의 바닥에 배치되는 하부(12)와, 상기 하부(12)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하는 측부(14)와, 상기 하부(12) 와 상기 측부(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16)를 구비하는 본체(10);Openings 10a and 10b are formed before and after, and a lower portion 12 disposed on the ground of the underground, side portions 14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12 and opposing each other, and the lower portion 12 A main body (10) having an upper portion (16) for opening and closing a space formed by the side portion (14) and the side portion (14);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전선(W), 관(P), 호스(H)를 배선 및 배설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전방 개구부(10a) 및 후방 개구부(10b)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20);Installed at the front opening portion 10a and the rear opening portion 10b of the main body 10 for wiring and disposing the wires W, the pipes P, and the hoses H inside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 상기 지지부재(20)에 형성되는 접속구(30);A connector 30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20; 상기 각각의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하는 각각의 접속구(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40); 및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4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s 30 in a state in which the respective main bodies 10 are interconnected so as to interconnect the respective common ball units U; And 상기 본체(10)의 상부(16)를 상기 측부(14)에 개폐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And a coupling device (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16) of the body (10) to the side portion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16)의 측부에는 상기 결합장치(50)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삽입공(162)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12. The cavity as claimed in claim 11, wherein an insertion hole (162) through which the coupling device (50) penetrates and is fixed to a side of the upper portion (16) of the main body (1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50)는, 상기 본체(10)의 측부(14)에 장입되며 나선부(522)가 형성되는 선단이 상기 상부(16)의 삽입공(162)에 관통되어 노출 되는 고정부재(52)와, 상기 고정부재(52)의 나선부(522)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According to claim 12, The coupling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side portion 14 of the main body 10, the front end of the spiral portion 522 is form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62 of the upper portion 16 And a fastening member (52) which is exposed and is releasably fastened to the spiral portion (522) of the fastening member (52). 제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동구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installing a cavit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공동구를 설치하거나 매설할 위치를 정하여 공동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면을 파내어 매설통로를 형성하는 단계(S100);Forming a buried passage by digging the ground so as to install the cavity or to install the buried cavity (S100); 매설통로가 형성되면, 그 매설통로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에 해당하는 개수의 공동구 유닛(U)을 준비하는 단계(S102);If the buried passage is formed,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buried passage and preparing the number of the common sphere unit (U)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S102); 준비된 공동구 유닛(U)을 매설통로의 일측에 또는 중앙에 하나의 기준 공동구 유닛(U)을 배치하는 단계(S104);Disposing the prepared common ball unit (U) on one side or the center of the buried passage (S104); 상기 기준 공동구 유닛(U)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을 배치하여 상호 정렬하는 단계(S106);Arranging (S106) the other cavity tool unit (U) in front of or behind the reference cavity tool unit (U); 상호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U)의 각각의 본체(10)가 상호 정렬되어 하나의 공동구 유닛(U)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공(32;34)이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에 형성된 각각의 접속공(32;34)이 일치하여 상호 연통하면, 상기 연결부재(40)를 그 연통공에 삽입하여 이웃하는 공동구 유닛(U)을 상호 연결하는 단계(S108); 및Each main body 10 of mutually neighboring co-ball units U is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connection hole 32; 34 provided in one co-ball unit U is formed in the other co-ball unit U, respectively. If the connection holes (32; 34) of the coincidence and mutual communication, inserting the connecting member (40) into the communication hole to interconnect the neighboring cavity sphere unit (U) (S108); And 상기 공동구 유닛(U)의 연결단계를 연속 반복적으로 매설통로 전체에 걸쳐 실행하여 공동구를 완성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설치방법.The joint tool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S110) of completing the joint ball by continuously executing the connection step of the cavity ball unit (U) repeatedly throughout the buried passag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 유닛 정렬단계(S106)는, 상기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부재(20)와 다른 하나의 공동구 유닛(U)의 본체(10)의 타측에 구비된 대응하는 지지부재(20)를 상호 일치시키고, 상기 지지부재(20)의 하부 지지부(22) 및 측방 지지부(24)를 상호 일치시켜 접속구(30)의 각각의 대경 접속공(32) 및 소경 접속공(34)을 상호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설치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ynergistic unit alignment step (S106), the main body of the support member 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of the one hollow sphere unit (U) and the other hollow sphere unit (U) Corresponding support members 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10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e lower support 22 and the side support 24 of the support member 20 are matched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large diameters of the connector 30 is reduced. The joint hole install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atching the connection hole 32 and the small diameter connection hole (34).
KR1020070141381A 2007-12-31 2007-12-31 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KR1009741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381A KR100974170B1 (en) 2007-12-31 2007-12-31 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381A KR100974170B1 (en) 2007-12-31 2007-12-31 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435A true KR20090073435A (en) 2009-07-03
KR100974170B1 KR100974170B1 (en) 2010-08-04

Family

ID=4133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381A KR100974170B1 (en) 2007-12-31 2007-12-31 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17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28Y1 (en) * 2009-09-07 2010-02-11 배광호 Cable entry apparatus
WO2017086650A1 (en) * 2015-11-20 2017-05-26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Clamp for coupling cable
CN108173182A (en) * 2018-03-27 2018-06-15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承德供电公司 The pipe pillow of power pip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614U (en) * 1993-04-30 1994-11-18 박병무 Prefabricated culvert
JPH08168153A (en) * 1994-12-15 1996-06-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Conduit for wire
JPH0993775A (en) * 1995-09-27 1997-04-04 Chiba Yogyo Kk Underground multi-purpose wire duct
KR20070106410A (en) * 2007-04-24 2007-11-01 이수호 The Assemble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ulverts of Connectting with Steel B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628Y1 (en) * 2009-09-07 2010-02-11 배광호 Cable entry apparatus
WO2017086650A1 (en) * 2015-11-20 2017-05-26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Clamp for coupling cable
CN108173182A (en) * 2018-03-27 2018-06-15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承德供电公司 The pipe pillow of power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170B1 (en)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170B1 (en) A Common Duc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KR100873875B1 (en) Underground cable protection pipe
JP4079280B2 (en) Hollow foundation for street light
KR100793617B1 (en) Pulling eye for extracting power line
JP5425545B2 (en) Cable burying method
CN215009384U (en) Wiring pipeline for integrated fast-assembling wall
KR100740944B1 (en) Arrangement equipment structure for protecting high voltage cable
KR100805074B1 (en) Duct for protected multi-electric line of apartmenthouse to being buried inwall
KR100717889B1 (en) A Branch Device For The Ceiling Distribution Wires
KR102206864B1 (en) Lay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Facilities
CN209703562U (en) A kind of underground pipe gallery system
CN211655699U (en) Underground communication cable reinforced pipeline
KR101876820B1 (en) Ceiling conduit alignment device
CN212304686U (en) Underground cable reinforcing device
KR200444664Y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losed conduit for electric cable
KR20160033301A (en) Base block for installing the street light posts
JP4355594B2 (en) Cable laying structure
KR20220002000A (en) Buried cable piping box plug
EP1174557A1 (en) Method for erecting a building and building element
KR100654219B1 (en) The multi-purposal drainpipe which underground village
JP2521598B2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joint pipeline and underground joint pipeline
JPH0623154Y2 (en) Cable branch
JP4099693B2 (en) For branching underground power communication lines and branching underground power communication lines
JP4991509B2 (en) Focusing joint
CN214662494U (en) Modular combined pipe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