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093A -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 - Google Patents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093A
KR20090073093A KR1020097004663A KR20097004663A KR20090073093A KR 20090073093 A KR20090073093 A KR 20090073093A KR 1020097004663 A KR1020097004663 A KR 1020097004663A KR 20097004663 A KR20097004663 A KR 20097004663A KR 20090073093 A KR20090073093 A KR 20090073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h
link
user
remote
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129B1 (ko
Inventor
빅터 파자르도
요시히로 오바
유행 앨리스 챙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텔코디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텔코디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7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involving radio access 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e.g. MIH [Media independen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04W74/0841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with collision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2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the same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현재, I.E.E.E. 802.21 사양은 단일 MIH 기능으로 다수의 MIH 이용자를 허용한다. 그러나, 이 사양은 특정 기간 동안 특정 링크의 상태의 변경이 허용되는 오직 한명의 MIH 이용자만이 존재한다는 제약하에서, 다수의 MIH 이용자가 단일 MIHF(MIH 기능)에 의해 어떻게 지원되는지에 관해서 명확하지 않다. 이 문서는, MIHF(MIH 기능)에서 링크 소유 방식을 도입하여 공존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를 허용하는 상세하게 설명된 아키텍쳐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링크 소유 방식은 I.E.E.E. 802.21 사양의 MIH_Register 프리미티브를 변형함으로써 이동 노드의 링크 상태를 네트워크에 의해 변경하여 네트워크 노드 상의 원격 MIH 이용자에게 할당된 일련의 링크를 신호 전송하는 시나리오를 지원한다. 또한, MIH_Register 프리미티브의 변형은, 네트워크가 링크를 전혀 모르는 것과는 달리 이동 노드 내에 존재하는 일련의 특정 링크 상의 이벤트에 가입하도록 추가 이득을 갖는다.

Description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ARCHITECTURE FOR MULTIPLE MIH USERS}
본 출원은 802.21 엔티티에 대하여 다수의 MIH(Media-Independent Handover) 이용자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및 인터넷 프로토콜:
다수의 타입의 컴퓨터 네트워크가 있으며, 인터넷(Internet)이 가장 유명하다. 인터넷은 컴퓨터 네트워크 중 세계적인 네트워크이다. 오늘날, 인터넷은 수백만의 이용자가 이용 가능한 대중적이고 자립적인(self-sustaining)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즉,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라 불리는 통신 프로토콜의 세트를 이용하여 호스트에 접속한다. 인터넷은 인터넷 백본(Internet backbone)으로 알려진 통신 인프라구조를 가진다. 기업 및 개인에게 액세스 권한을 재판매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인터넷 백본에 대한 액세스가 대부분 제어된다.
IP(Internet Protocol)와 관련하여, 이것은 네트워크 상에서 하나의 장치(예를 들어,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 개인 정보 단말], 컴퓨터 등)로 부터 또 다른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오늘날에는, 예를 들어, IPv4, IPv6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버전(version)의 IP가 존재한다. 네트워크 상의 각각의 호스트 장치는 그 자신의 고유한 식별자인 적어도 하나의 IP 어드레스를 가진다. IP는 비접속형 프로토콜(connectionless protocol)이다. 통신 도중의 엔드 포인트들 간의 접속은 연속적이지 않다. 이용자가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또는 메시지는 패킷(packet)으로 알려진 성분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패킷은 독립적인 데이터의 단위로서 처리된다.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포인트(point)들 간의 전송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개방 시스템 상호접속) 모델이 설정되었다. OSI 모델은 네트워크 내의 2개의 포인트 사이의 통신 프로세스를 7개의 적층된 계층으로 분리하며, 각각의 계층은 그 자신의 일련의 기능을 추가한다. 각각의 장치는 송신 엔드 포인트(sending end point)에서 각각의 계층을 통한 하향 흐름이 존재하고 수신 엔드 포인트(receiving end point)에서 계층들을 통한 상향 흐름이 존재하도록 메시지를 처리한다. 7개의 기능 계층을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및/또는 하드웨어는 일반적으로 장치 오퍼레이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TCP/IP 및/또는 다른 전송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다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이다.
일반적으로, 상위 4개의 계층은 이용자로부터 또는 이용자에게 메시지가 전달될 때 이용되고, 하위 3개의 계층은 메시지가 장치(예를 들어, IP 호스트 장치)를 통해 전달될 때 이용된다. IP 호스트는 서버, 라우터 또는 워크스테이션과 같 이, IP 패킷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상의 임의의 장치이다. 일부 다른 호스트를 향하는 메시지는 상부 계층까지 전달되지 않지만, 다른 호스트에는 포워딩된다. OSI 모델의 계층은 아래에 열거된다. 계층 7(즉,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은 예를 들어, 통신 상대가 식별되고, 서비스 품질이 식별되고, 이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및 프라이버시(privacy)가 고려되고, 데이터 구문(data syntax)에 대한 제약이 식별되는 등의 계층이다. 계층 6(즉, 프레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은 예를 들어, 입력 및 출력 데이터를 하나의 프레젠테이션 포맷으로부터 다른 프레젠테이션 포맷으로 변환하는 등의 계층이다. 계층 5(즉, 세션 계층(session layer))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대화, 교환 및 다이얼로그(dialog)를 설정, 조정 및 종료하는 등의 계층이다. 계층 4(즉, 전송 계층(transport layer))는 예를 들어, 엔드-투-엔드 제어(end-to-end control) 및 에러 검사(error checking)를 관리하는 등의 계층이다. 계층 3(즉,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은 예를 들어, 라우팅 및 포워딩하는 등의 계층이다. 계층 2(즉, 데이터 링크 계층)는 예를 들어, 물리 레벨에 대한 동기화를 제공하고, 비트 스터핑(bit stuffing)을 행하며, 전송 프로토콜 지식 및 관리를 제공하는 등의 계층이다.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는 데이터 링크 계층을 2개의 추가적인 부계층(sub-layer), 즉, 물리 계층으로의 데이터 전달 및 물리 계층으로부터의 데이터 전달을 제어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 Media Access Control)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과 인터페이스하고 명령을 해석하고 에러 복구를 수행하는 논리 링크 제어(LLC : Logical Link Control) 계층으로 세분한다. 계층 1(즉,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은 예를 들어, 물리 레벨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비트 스트림을 전달하는 계층이다. I.E.E.E.는 물리 계층을 물리 계층 수렴 절차(PLCP :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부계층 및 물리 매체 종속(PMD : Physical Medium Dependent) 부계층으로 세분한다.
무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셀룰러 및 무선 전화, PC(개인용 컴퓨터), 랩톱(laptop) 컴퓨터, 착용식 컴퓨터, 무선 전화, 페이저(pager), 헤드셋(headset), 프린터, PDA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의 고속 무선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디지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이동 장치는 다음의, 트랜시버(transceiver)(즉, 통합된 송신기, 수신기와, 희망하는 경우, 다른 기능을 갖는 예를 들어, 단일 칩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송신기 및 수신기); 안테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트랜스듀서(transducer)(예를 들어, 오디오 통신용 장치에서와 같이 스피커 또는 마이크로폰); (데이터 처리가 제공되는 장치에서와 같이 ROM, RAM,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 등과 같은) 전자기 데이터 스토리지;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풀 칩 세트 또는 집적 회로; (예를 들어, USB, CODEC, UART, PCM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및/또는 기타 등등의 구성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모바일 이용자가 무선 접속을 통해 근거리 네트워크(LAN)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LAN(WLAN : Wireless LAN)은 무선 통신을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광, 적외선, 라디오(radio), 마이크로파와 같은 전자기파를 통해 전파되는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1 및 HomeRF와 같이, 현재 존재하는 다양한 WLAN 표준이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제품은 이동 컴퓨터, 이동 전화, 휴대형 핸드헬드(handheld) 장치, 개인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다른 이동 장치 사이의 링크와, 인터넷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블루투스는 이동 장치가 단거리 무선 접속을 이용하여 이동 장치 서로 간에 그리고 비이동 장치와 어떻게 용이하게 상호 접속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하는 컴퓨팅 및 전기 통신 산업 사양이다. 블루투스는, 하나의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 데이터가 동기화되고 일관되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이동 장치의 확산으로 인해 발생하는 최종 이용자(end user)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무선 프로토콜을 생성하여, 이에 따라, 상이한 판매자(vendor)로부터의 장비가 함께 끊김없이(seamlessly) 동작하는 것을 허용한다. 블루투스 장치는 공통 명명 개념에 따라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장치는 블루투스 장치명(BDN : Bluetooth Device Name) 또는 고유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BDA : Bluetooth Device Address)와 관련된 명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장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블루투스 장치가 IP 네트워크 상에서 기능하는 경우, IP 어드레스 및 IP (네트워크) 명칭이 블루투스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IP 네트워크 상에 참여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 장치는 예를 들어, BDN, BDA, IP 어드레스 및 IP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IP 명칭"이라는 용어는 인터페이스의 IP 어드레스에 대 응하는 명칭을 의미한다.
I.E.E.E. 표준인 I.E.E.E. 802.11은 무선 LAN 및 장치를 위한 기술을 규정한다.
802.11을 이용하여, 여러 장치를 지원하는 각각의 단일 기지국에 의해 무선 네트워킹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장치는 무선 하드웨어를 미리 구비하여 출시되거나, 이용자가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는 카드와 같은 개별 하드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802.11에서 이용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 이동국(STA), 브릿지, PCMCIA 카드 또는 다른 장치인지에 관계없이 3개의 주목할만한 요소, 즉, 무선 트랜시버; 안테나; 및 네트워크 내의 포인트 사이의 패킷 흐름을 제어하는 MAC(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을 포함한다.
또한, 다중 인터페이스 장치(MID : Multiple Interface Device)가 일부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 있다. MID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및 802.11 인터페이스와 같은 2개의 독립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MID가 2개의 개별 네트워크 상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허용한다. MID는 IP 어드레스 및 IP 어드레스와 관련된 공통 IP (네트워크) 명칭을 가질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장치는 블루투스 장치, 다중 인터페이스 장치(MID), 802.11x 장치(예를 들어, 802.11a, 802.11b 및 802.11g 장치를 포함하는 I.E.E.E. 802.11 장치), HomeRF(Home Radio Frequency : 홈 라디오 주파수) 장치, Wi-Fi(Wireless Fidelity : 무선 충실도) 장치,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장치, 3G 셀룰러 장치, 2.5G 셀룰러 장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장치, EDGE(Enhanced Data for Mobile Communications) 장치,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타입 장치, 또는 CDMA2000을 포함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타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네트워크 장치는 IP 어드레스,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 블루투스 공통 명칭, 블루투스 IP 어드레스, 블루투스 IP 공통 명칭, 802.11 IP 어드레스, 802.11 공통 명칭 또는 I.E.E.E.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변동하는 타입의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이동 IP(인터넷 프로토콜) 시스템, PCS 시스템 및 다른 이동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방법 및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IP와 관련하여, 이것은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생성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이동 IP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장치 이용자는 한번 할당받은 그 IP 어드레스를 유지하면서 네트워크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RFC(Request for Comments : 코멘트 요구서) 3344를 참조하라. 주의 : RFC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의 공식 문서이다.
이동 IP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강화시키며, 이동 장치가 홈 네트워크 외부에서 접속할 때 이동 장치에 인터넷 트래픽을 포워딩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한다. 이동 IP는 홈 네트워크 상의 홈 어드레스와, 네트워크 및 그 서브네트 내에서의 장 치의 현재 위치를 식별하는 관리 주소(CoA : care-of-address)를 각각의 이동 노드에 할당한다. 장치가 상이한 네트워크로 이동할 때, 장치는 새로운 케어 오브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홈 네트워크 상의 이동성 에이전트(mobility agent)는 각각의 홈 어드레스를 그 케어 오브 어드레스와 관련시킬 수 있다. 이동 노드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이용하여 그 케어 오브 어드레스를 변경할 때마다 홈 에이전트로 바인딩 업데이트(binding update)를 송신할 수 있다.
기본 IP 라우팅(예를 들어, 이동 IP 외부)에서, 라우팅 메커니즘은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가 예를 들어, 인터넷에 대한 일정한 접속 포인트(attachment point)를 항상 가지며, 각 노드의 IP 어드레스는 각 노드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 링크를 식별한다는 가정에 의지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노드"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재분배 포인트 또는 엔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노드로의 통신을 인식, 처리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접속 포인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라우터는 예를 들어, 장치의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P 어드레스 프리픽스(prefix) 등을 볼 수 있다. 그 다음, 라우터는 네트워크 레벨에서 예를 들어, 특정 서브네트를 식별하는 일련의 비트를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라우터는 서브네트 레벨에서 예를 들어, 특정 장치를 식별하는 일련의 비트를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이동 IP 통신에 있어서, 이용자가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부터 이동 장치를 접속 해제하고 새로운 서브네트에서 재접속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장치는 새로운 IP 어드레스, 적절한 네트마스크(netmask) 및 디폴트 라우터(default router)로 재 구성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라우팅 프로토콜은 패킷을 적절하게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종 네트워크 간의 핸드오버 (예컨대 I.E.E.E. 802.21) :
I.E.E.E. 802.21 표준의 목적은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간의 핸드오버를 지원함으로써 이동 장치의 이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것에 있다. 이 표준은 매체 독립 핸드오버를 위한 필요조건을 만족시키는 표준을 설명한다. 이 표준은 모바일과 정적 이용자(stationary user) 양자 간의 핸드오버의 지원을 다룬다. 모바일 이용자를 위해, 무선 링크 상태 내의 변화에 기인한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노드 이동의 결과로 서비스의 무선 상태 또는 목표 링크내의 변화에 기인한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정적 이용자를 위해서, 주위 환경이 변화할 때 핸드오버가 곧 일어나게 될 것이고, 하나의 네트워크가 다른 네트워크보다 더 매력적이게 된다. 다른 가능성은, 이용자가 예컨대 대용량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동안,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채널로의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모든 경우에서, 핸드오버 도중에 서비스 연속성을 최대로 해야 한다. 전화하는 동안 네트워크 천이를 행하는 경우의 예로서, 서비스시 어떠한 인지가능한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핸드오버 절차는 대화가 중지되는 동안 실행되어야 한다.
I.E.E.E. 802.21 표준은 모바일 단말기 및 네트워크 인프라구조 내에서 이용가능한 정보의 협동 이용을 지원한다. 이동 노드는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를 탐색하기 위해 알맞은 장소에 놓인다.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예를 들어, 이웃 셀 목록, 이동 장치의 위치 및 이용가능한 상위 계층 서비스 등의 전체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기에 적절하다. 이동 노드와 네트워크 양자는 접속 가능성에 관해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기지국과 액세스 포인트 등의 네트워크 접합 포인트와 이동 노드 양자에서는 (즉, 다수의 무선 표준을 지원할 수 있고 동시에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적(multi-modal)일 수 있다.
전체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교차할 것인 I.E.E.E. 802.15 등의 피코 셀, I.E.E.E. 802.11 등의 마이크로 셀, 마크로 셀(예컨대, 3GPP, 3GPP2 또는 I.E.E.E. 802.16 적용 범위)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 처리는 이동 노드의 링크 계층에 의해 지원되는 측정 및 트리거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다. 측정은 예컨대, 신호 품질, 동기 시간 차이 및 전송 에러율 등의 핸드오버 알고리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를 알린다. 특히, 이 표준은 이하의 요소를 포함한다.
a) 이동 노드(MN)가 이종 링크 계층 기술 사이에서 전환되는 동안 심리스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게 하는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는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소자 내의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 스택(stack)의 동일성(identification)에 달려있다. 프레임워크의 기재는 구현의 상세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I.E.E.E. 802.21 표준의 바람직한 구현의 지시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프레임워크는 상이한 링크 계층 기술용 매체 독립 핸드오버(MIH) 참조 모델을 제시한다.
b) 여기서 MIH 기능(MIHF)이라 불리는 창조된 새로운 엔티티 및 네트워크 요소의 프로토콜 스택 내에서의 일련의 핸드오버 가능한 기능.
c) 매체 독립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MIH_SAP라 칭함), 및 MIH 이용자에게 MIHF의 서비스에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의되는 관련 프리미티브. (주의 : MIH 이용자는 MIHF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엔티티이다. MIH 이용자는 MIHF와 상호 영향을 미치는 MIH_SAP를 이용한다.) MIHF는 이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1) 매체 독립 이벤트 서비스는 이벤트를 검출하고 근거리 뿐만 아니라 원격 인터페이스 양자로부터 트리거를 전달한다.
2) 매체 독립 커맨드 서비스는 일련의 커맨드를 MIH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핸드오버 관련 링크 상태를 제어한다.
3) 매체 독립 정보 서비스는 질의 및 응답용 정보 모델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이종 네트워크를 가로질러 더 효율적인 핸드오버 결정을 할 수 있다.
d) 각 매체 특정 기술을 위한 신규 링크 계층 SAP 및 연관 프리미티브의 정의. 신규 프리미티브는 MIHF 콜렉트 링크 정보를 돕고 핸드오버 도중에 링크 가동(link behavior)을 제어한다.
적용가능성이 있는 경우, 각각의 매체 특정 기술 표준에 대한 수정안으로서 신규 SAP가 추천될 수 있다.
매체 독립 핸드오버 서비스:
예를 들어, 근거리 및 대도시 네트워크를 위한 I.E.E.E. 표준 초안 : 매체 독립 핸드오버 서비스(그 전체 내용은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 포함됨)로 명명된 I.E.E.E.P802.21/D.01.09, September 2006에서, 무엇보다도, 상기 문서는 802 시스템과 셀룰러 시스템 사이의 핸드오버를 최적화하는 802 매체 액세스 독립 메커니즘 을 기술하고 있다. I.E.E.E. 802.21 표준은 이종 802 시스템들 간의 핸드오버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며 802 시스템과 셀룰러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확장가능 매체 액세스 독립 메커니즘을 규정한다.
I.E.E.E. 802.21(매체 독립 핸드오버) 표준의 범위는 이종 매체 사이의 핸드오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링크 계층 지식과 다른 관련 네트워크 정보를 상위 계층에 제공하는 사양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은 3GPP, 3GPP2, 및 I.E.E.E. 802 계열 표준의 유선 및 무선 매체 양자에 의해 규정되는 링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달리 표기하지 않으면, "매체"는 통신의 감각 양태(sensory aspect)(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등)와 반대로, 전기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케이블, 무선, 위성, 등)을 액세스하는 방법/모드를 의미함에 주의하자. 근거리 및 대도시 네트워크를 위한 I.E.E.E. 표준 초안:매체 독립 핸드오버 서비스라고 명명된 I.E.E.E. P802.21/D.01.09, September 2006을 참조하자.
I.E.E.E. 802.21 표준은 다양한 핸드오버 방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이동 노드와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패킷의 교환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설비에 관하여 핸드오버 절차가 "새 기지국 연결 전 통화차단(break before make"인지 또는 "통화차단 전 새 기지국 연결(make before break)"인지에 따라 "하드(hard)" 또는 "소프트(soft)"로서 일반적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핸드오버는 네트워크 운영자 및 최종 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이동 노드 및 네트워크 인프라구조 양자의 협동 이용을 포함한다. 핸드오버 제어, 핸드오버 정책 및 핸드오버 의사 결정에 개입된 다른 알고리즘은 I.E.E.E. 802.21 표준의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통신 시스템 요소에 의해 일반적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전체적인 핸드오버 처리에서 MIH 이벤트 서비스(Event Service), MIH 커맨드 서비스(Command Service), MIH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 및 MIHF의 기능 및 목적이 명료하도록 전체적인 핸드오버 절차의 어떤 양태를 설명하는 것이 유익하다.
일반적인 설계 원리:
I.E.E.E. 802.21 표준은 다음의 일반적인 설계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a) MIH Function(기능)은 핸드오버 의사 결정을 돕고 이를 용이하게 하는 로직 엔티티(logical entity)이다. 상위 계층은 MIHF로부터의 입력 및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판정 및 링크 선택을 행한다. 핸드오버가 발생해야 한다는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MIHF의 핵심 목적 중의 하나이다. 또한 어떻게 효과적인 핸드오버 판정을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의 탐색도 핵심 요소이다.
b) MIHF는 추상화된 서비스를 상위 계층에 제공한다. (주의 : 상위 계층은 MIHF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MIH 이용자라고 불릴 수 있는 계층을 포함한다. 상위 계층의 예에는, IP(인터넷 프로토콜), 이동 IP, SIP, TCP(전송 제어 프로토콜), UDP(이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가 있다.) 그것으로부터, 전망 있는 MIHF는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상위 계층에 제공한다. 이 통합된 인터페이스에 의해 노출된 서비스 프리미티브(service primitive)는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술 특정 프로토콜 엔티티에 기초하고 있다. MIHF는 기술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 스택의 하위 계층과 통신한다.
하위 계층과의 MIHF 인터페이스의 사양은 일반적으로 이 표준의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I.E.E.E. 802.1, I.E.E.E. 802.3, I.E.E.E. 802.11, I.E.E.E. 802.16, 3GPP 및 3GPP2와 같은 각각의 액세스 기술에 속하는 표준 내의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AP : Service Access Point)로서 이미 규정될 수 있다. 하위 계층 인터페이스의 수정이 가능하거나, MIHF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경우, 이 표준은 기존의 액세스 기술 특정 표준을 보정하기 위한 권고안을 포함할 수 있다.
c) (핸드오버 실행 및 후속 업데이트의 일부인) 핸드오버 신호전송은 표준의 일부가 아닐 수 있다.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는 수평 핸드오버 메커니즘(모바일 개시(mobile initiated), 네트워크 개시(network initiated) 등)을 지원한다. 핸드오버 개시 트리거는 이종 방식에 관하여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 이종 핸드오버에서 유용할 수 있다.
d) MIHF는 MAC/PHY 트리거 및 다른 관련 근거리 이벤트에 대한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더 행할 수 있다. 이 프로세싱의 정의는 표준의 범위 밖에 있다. 상기 표준은 원격 이벤트에 대한 지원도 마찬가지로 제공할 것이다. 이벤트는 사실상 권고이다. 이러한 이벤트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야기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판정은 표준의 범위 밖에 있다.
e) 상기 표준은 MN-개시, MN-제어, 네트워크 개시 및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규정할 것이다.
f) 상기 표준은 레거시 장비(legacy equipment)와의 투명 연동(transparent interworking)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E.E.E. 802.21 사양에 적합한 장비는 I.E.E.E. 802.21 사양에 맞지않는 레거시 장비와 공존할 수 있어야 한다.
매체 독립 핸드오버 기준 프레임워크 :
다음 부분은 클라이언트 장치(MN) 및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MIHF 엔티티들 사이의 통신에 관한 점을 설명한 것이다.
MIHF 기능은 다양한 목적으로 서로 통신한다. 클라이언트 장치(이동 노드)는 그 MIH 서비스 포인트와 MIH 정보를 교환한다. 임의의 네트워크 엔티티의 MIHF는 MN 기반 MIHF와 직접 통신하는 경우에 MIH PoS가 된다. MIH 네트워크 엔티티는 MN에 대한 직접 접속을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 특정 MN을 위한 MIH PoS를 구성하지 않는다. 동일한 MIH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이한 MN을 위한 MIH PoS로서 여전히 작동할 수 있다. MIHF 통신은 MIH 가능 MN의 모든 L2 인터페이스 상에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서, 3개의 L2 인터페이스, 즉, 802.11, 802.16 및 802.3을 갖는 MIH 가능 MN 상에서, 802.3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관리 및 유지보수 동작을 위해서만 이용될 수 있는 반면, 802.11 및 802.16 인터페이스는 MIHF 서비스의 제공에 참여할 수 있다. MN은 그 네트워크 PoA로서 동일한 네트워크 엔티티 내에 존재하는 MIH PoS와 MIH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L2 전송을 이용할 수 있다. MN은 그 네트워크 PoA로서 동일한 네트워크 엔티티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MIH PoS와 MIH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L3 전송을 이용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는 MIH 네트워크 엔티티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 L2 또는 L3 메커니즘 중 하나의 이용을 지원한다.
도 4는 MIH 통신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모델은 상이한 특수한 역할과 MIHF들 간의 통신 관계에 의해 MIHF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통신 관계는 MIHF에만 적용한다. 통신 모델의 각각의 통신 관계는 특정한 전송 메커니즘을 내포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히려, 통신 관계는 2개의 특수한 MIHF들 사이에서 MIHF 관련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이다. 또한, 1) MN 상의 MIHF, 2) MN의 서빙 PoA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상의 MIH PoS, 3) MN을 위한 후보 PoA(후보 PoA는 MN이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접속하고 있지 않은 PoA이며, 이 PoA는 핸드오버가 결국 발생할 경우에 타겟 PoA가 된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상의 MIH PoS, 4) MN을 위한 PoA를 포함하지 않는 네트워크 엔티티 상의 MIH PoS, 5) MN을 위한 PoA를 포함하지 않는 네트워크 엔티티 상의 MIH 비-PoS.
또한, 통신 모델은 MIHF의 상이한 예시들 간의 다음의 통신 기준 포인트를 식별한다.
1) 통신 기준 포인트 R1 : 기준 포인트 R1은 MN 상의 MIHF와, 그 서빙 PoA의 네트워크 엔티티 상의 MIH PoS 사이의 MIHF 절차를 의미한다. R1은 L2 및 L3와 그 상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1을 통해 전달된 MIHF 컨텐츠(content)는 MIIS, MIES 또는 MICS와 관련될 수 있다.
2) 통신 기준 포인트 R2 : 기준 포인트 R2는 MN 상의 MIHF와, 후보 PoA의 네트워크 엔티티 상의 MIH PoS 사이의 MIHF 절차를 의미한다. R2는 L2 및 L3와 그 상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2를 통해 전달된 MIHF 컨텐츠는 MIIS, MIES 또는 MICS와 관련될 수 있다.
3) 통신 기준 포인트 R3 : 기준 포인트 R3는 MN 상의 MIHF와, 비-PoA 네트워크 엔티티 상의 MIH PoS 사이의 MIHF 절차를 의미한다. R3은 L3 및 그 상부의 통신 인터페이스와, 가능하다면, 이더넷 브릿징(Ethernet bridging), MPLS 등과 같은 L2 전송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R3을 통해 전달된 MIHF 컨텐츠는 MIIS, MIES 또는 MICS와 관련될 수 있다.
4) 통신 기준 포인트 R4 : 기준 포인트 R4는 네트워크 엔티티 내의 MIH PoS와, 또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내의 MIH 비-PoS 사례(instance) 사이의 MIHF 절차를 의미한다. R4는 L3 및 그 상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4를 통해 전달된 MIHF 컨텐츠는 MIIS, MIES 또는 MICS와 관련될 수 있다.
5) 통신 기준 포인트 R5 : 기준 포인트 R5는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내에서의 2개의 MIH PoS 사례 사이의 MIHF 절차를 의미한다. R5는 L3 및 그 상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R5를 통해 전달된 MIHF 컨텐츠는 MIIS, MIES 또는 MICS와 관련될 수 있다.
MIH 통신 모델의 예시:
MIH 통신 기준 포인트의 더욱 양호한 예시를 위하여, MIH 서비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모델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모델은 다수의 유선 및 무선 액세스 기술 옵션을 지원하는 MIH-가능 이동 노드(MN, 매우 우측)를 포함한다. 상기 모델은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서비스 제공자가 다수의 액세스 기술을 동작시키거나, 그 이용자가 연동이 지원되는 SLA가 설정되었을 경우에 다른 네트워크로 로밍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가정한 것이다. MN은 특정 MIH 질의(query)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MIHF를 가진다. MN은 의도적으로 일부 구현되는 정보 서비스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모델은 약간 느슨한 직렬 방식으로 코어 네트워크(오퍼레이터 1-3 코어)에 접속되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더욱 밀착하여 연동되거나 결합되는 액세스 네트워크(액세스 네트워크-3)가 도시되어 있다. 오퍼레이터 1-3 코어는 각각 서비스 제공자, 기업 인트라넷 제공자, 또는 방문(Visited) 및 홈(Home) 액세스의 또 다른 부분이나, 심지어 코어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모델에서, 잠정적인 제공자는 R1을 통해(방문/홈 코어 네트워크로 분류된) 코어에 결합된 액세스 네트워크-3을 운영하고 있다. 방문 및 홈이라는 용어는 잠정적인 서비스 제공자 또는 기업을 나타낸다. 예시된 네트워크 중에서 임의의 네트워크는 MN의 제공자에 대한 오퍼레이터의 관련성에 따라 방문 또는 홈 네트워크 모두 일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는 자신의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신의 액세스 네트워크(액세스 네트워크-1 내지 4)에서 MIH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각의 액세스 기술은 그 MIH 성능을 선전하거나, MIH 서비스 탐색에 대해 응답한다.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의 하나 이상의 MIH 포인트(PoS, 통신 모델과 비교)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이들 PoS는 MIH 성능 탐색 중에 결정되는 것과 같은 MIH 서비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MIH PoS의 위치 또는 노드는 표준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다. PoS 위치는 오퍼레 이터 설치 시나리오와 기술 특정 MIH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변동될 수 있다.
MIH PoS는 액세스 네트워크(액세스 네트워크 1, 2, 4가 대표적) 내의 접속 포인트(PoA)와 인접하여 존재하거나 공동으로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PoS는 액세스 또는 코어 네트워크(액세스 네트워크 3이 대표적) 내부에 더 깊이 존재할 수 있다. MN 내의 MIH 엔티티는 임의의 액세스 네트워크 상의 R1, R2 또는 R3 중 하나에 의해 MIH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한다. 서빙 액세스 네트워크의 PoA가 공동 위치된 MIH 기능을 가지는 경우, R1 기준 접속은 PoS이기도 한 PoA에서 종료된다(모델의 MN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1, 2, 4로의 접속은 모두 R1일 수 있음). 그 경우, R3 기준 접속은 임의의 비-PoA에서 종료될 것이다(MN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1, 2, 4에 의해서도 예시됨). MIH 이벤트는 활성 R1 링크의 양쪽에서 시작될 수 있다. MN은 대표적으로 이들 이벤트에 반응하기 위한 첫 번째 노드이다.
방문 및 홈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은 제어 및 관리 목적이나, 데이터 전송 목적 중 하나일 수 있다. 로밍 또는 SLA 일치로 인해, 홈 네트워크는 MN이 방문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 인터넷에 직접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MIH 네트워크 엔티티는 R4 또는 R5 기준 접속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MIH 가능 PoA는 R3 및 R4 기준 포인트를 통해 다른 MIH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할 수도 있다. MIH 가능 MN은 후보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서비스를 취득하기 위하여 R2 기준 포인트를 통해 후보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다른 PoA와 MIH 통신을 행할 수 있다.
MIH 정보 서비스(MIIS)와 관련하여, 제공자는 MIH PoS 노드(매우 좌측 상부) 에 위치된 자신의 정보 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오퍼레이터는 MIIS를 이동 노드에 제공하여, 이동 노드는 새로운 로밍 리스트, 비용, 제공자 식별 정보, 제공자 서비스, 우선순위, 및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 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노드에는 그 제공자에 의해 MIIS 데이터가 사전-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 노드가 그 제공자의 임의의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MIH 정보 서비스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MIIS는 네트워크의 MIIS 서비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또 다른 중첩 또는 인접 네트워크로부터 입수 가능할 수 있다. 제공자의 네트워크(여기서는 액세스 네트워크 3과 결합된 것으로 표시됨)는 제공자 또는 방문 네트워크의 MIH 정보 서버와 같은 다른 MIH 엔티티를 액세스하기 위하여 R3 및 R4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MIH 커맨드 서비스(MICS)와 관련하여, 임의의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커맨드 서비스 PoS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MN MIHF는 대표적으로 계층 3 전송을 이용하여 이 서버와 통신한다.
MIHF 서비스:
MIHF는 링크 계층 및 MIH 이용자에 대해 잘 정의된 SAP를 통해 비동기 및 동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임의의 타입의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 시스템의 경우, 상위 계층은 MIH에 의해 제공되는 이벤트 서비스, 커맨드 서비스 및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여, 하부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관리, 판단 및 제어할 수 있다.
MIH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서비스는 상위 계층이 서비스 연속성, 변동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서비스 적응, 배터리 수명 보존, 및 네트워크 탐색 및 링크 선택을 유지함에 있어서 도움을 준다. 802 타입 및 셀룰러 3GPP, 3GPP2 타입의 이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매체 독립 핸드오버 기능은 상위 계층이 이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비스를 결합하기 위한 효율적인 절차를 구현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위 계층은 상이한 엔티티를 통해 MIHF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이종 네트워크 사이의 핸드오버 동작을 위해 요구되는 자원을 질의할 수 있다.
이동 장치에서의 MIH 서비스는 이종 네트워크들 간의 심리스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한다. 이동성 관리 프로토콜(예를 들어, 이동 IP)과 같은 MIH 이용자는 핸드오버 및 심리스 세션 연속성을 위해 지원될 수 있다. 이것은 이동 IP에 추가하여, 다른 프로토콜과 심지어 다른 상위 계층이 핸드오버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MIH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막지 않을 것이다.
MIH 서비스를 채용하는 이동 노드는 이벤트 서비스와 같은 비동기 동작을 위한 링크 계층으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할 것이다. 커맨드 서비스 및 정보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은 동기식 질의 및 메커니즘의 응답 타입을 통할 것이다. 또한 MIHF는 동일한 매체 타입의 네트워크와 호스트 엔티티 사이의 정보의 교환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 교환을 위한 메커니즘이 (몇몇 셀룰러 매체 타입과 같은) 주어진 매체 타입으로 이미 존재하는 경우, MIHF는 존재하는 메커니즘을 가능할 때마다 이용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MIH 프로토콜:
I.E.E.E. 802.21 표준은 매체 독립 이벤트 서비스, 매체 독립 커맨드 서비스 및 매체 독립 정보 서비스를 지원한다. MIH 프로토콜은 원격 MIHF 엔티티와, 메시지의 전달을 지원하는 전송 메커니즘 사이에서 교환되는 메시지의 포맷(즉, 헤더(header) 및 페이로드(payload)를 갖는 MIHF 패킷)을 규정한다. 전송 메커니즘의 선택은 MN을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액세스 기술과 MIH PoS의 위치에 좌우된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패킷 페이로드는 L2 관리 프레임, L2 데이터 프레임 또는 다른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802.11 및 802.16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페이로드를 전달하기 위해 적절하게 확장될 수 있는 관리 평면(management plane) 및 지원 관리 프레임을 가진다. 그러나, 유선 이더넷 네트워크는 관리 평면을 가지지 않으며, 상기 페이로드를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서만 운반할 수도 있다.
I.E.E.E. 802.21 표준은 표준 TLV 포맷에 의해 매체 독립 방식으로 패킷 포맷 및 페이로드를 정의한다. 그 다음, 이러한 패킷은 이더넷의 경우와 같이 페이로드가 통상적인 데이터 프레임을 통해 송신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 MIHF 이더타입(Ethertype)을 이용하는 L2 MIH 프로토콜에 의해 캡슐화(encapsulate)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TLV 기반 메시지 및 페이로드는 매체 특정 관리 프레임에서 직접 캡슐화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MIH 프로토콜 메시지는 하위 계층(L2) 또는 상위 계층(L3 및 그 상부) 전송을 이용하여 캡슐화될 수 있다.
I.E.E.E. 802.21 표준은 MIH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 Protocol data unit) 헤더 및 페이로드의 포맷을 정의한다. 표준 TLV 포맷은 PDU 페이로드 컨텐츠에 대한 매체 독립 표현을 제공한다. MIHF PDU는 802 링크 상의 MIHF 이더타입을 갖는 데이터 프레임에서 캡슐화된다. 802.11 및 802.16 링크에 대하여, 매체 특정 관리 프레임의 확장은 MIH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추천된다. L2에서 3GPP 및 3GPP2 액세스 링크를 통한 MIH 메시지의 전송에 관한 이 표준에서는 아무것도 가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인 아키텍처:
도 6은 클라이언트 장치가 통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일부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구현예에서 채용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아키텍처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전반적으로 도면 부호 21로 표시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에 접속된 예시적인 유선 네트워크(20)를 도시한다. WLAN(21)은 액세스 포인트(AP)(22) 및 다수의 이용자 스테이션(23, 2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선 네트워크(20)는 인터넷 또는 기업 데이터 프로세싱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2)는 무선 라우터일 수 있고, 이용자 스테이션(23, 24)은 예를 들어, 휴대형 컴퓨터, 개인용 데스크톱 컴퓨터, PDA, 휴대형 보이스-오버-IP(voice-over-IP) 전화 및/또는 다른 장치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2)는 유선 네트워크(21)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와, 이용자 스테이션(23, 24)과 통신하는 무선 트랜시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무선 트랜시버(26)는 이용자 스테이션(23, 25)과의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주파수 통신을 위한 안테나(2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22)는 프로세서(28), 프 로그램 메모리(29)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31)를 가진다. 이용자 스테이션(23)은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22)과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36)를 포함하는 무선 트랜시버(35)를 가진다. 유사한 방식으로, 이용자 스테이션(24)은 액세스 포인트(22)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트랜시버(38) 및 안테나(39)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인증자는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AP) 내에 채용될 수 있고, 및/또는, 요청자(supplicant) 또는 피어(peer)는 이동 노드 또는 이용자 스테이션 내에 채용될 수 있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인증자, 이용자 스테이션, 이동 노드 또는 다른 노드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전산화된 프로세스 스텝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또는 제어 유닛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 또는 제어 유닛은 버스(326)를 통해 입력/출력(I/O) 장치(324)의 세트와 통신할 수 있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322)을 포함한다. I/O 장치(324)는 예를 들어, 키보드, 모니터, 및/또는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CPU(322)는 버스(326)를 통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통상적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328)(이하, "메모리(328)"라고 함)와 통신할 수 있다. CPU(322), I/O 장치(324), 버스(326) 및 메모리(328) 사이의 상호작용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메모리(328)는 예를 들어 데이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8)는 소프트웨어(338)도 저장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338)는 프로세스의 스텝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을 구현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이 이 용될 수 있다. 메모리(328)는 상기의 것과 및/또는 다른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이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구현예는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디스켓, CD-ROM, ROM 등) 상에 고정되거나 모뎀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 가능한 일련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매체는 실질적으로 실체형(예를 들어, 통신 라인) 및/또는 실질적으로 무형(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광, 적외선 등을 이용한 무선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및/또는 반도체 장치(예를 들어, 칩 또는 회로), 자기 장치, 광 장치 및/또는 다른 메모리 장치와 같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송은 임의의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내용 및/또는 다른 배경 기술 및/또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링크 상태의 변경이 허용되는 MIH 이용자가 오직 한 명만 존재하는 제약하에서 단일 MIH 기능에 의해 다수 MIH 이용자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MIH 기능에 링크 소유 방식을 도입하여 다수의 MIH 이용자가 공존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링크 소유 방식이 링크의 상태를 변경하는 요청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배타적인 특권을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MIH 이용자로부터 링크 소유권 요청을 수신하는 MIH 기능 내의 링크 소유권 관리자 엔티티를 채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링크 소유권 관리자 엔티티가 MIH 이용자에 대한 이용가능한 링크를 할당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이용가능한 링크란 어떠한 MIH 이용자도 특정 링크에 대한 요청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배탁적인 권리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링크 소유권 관리자 엔티티가 링크를 소유하는 MIH 이용자와 링크의 매핑을 유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원격 MIH 이용자가 근거리 링크를 제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원격 MIH 이용자가 핸드오버 처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원격 이용자가 근거리 노드 상의 근거리 링크에 대한 충돌 요청을 전송하게 하여 핸드오버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상기 방법은 근거리 노드 상의 근거리 MIH 이용자가 네트워크 노드 상의 원격 MIHF의 식별자를 프리미티브의 목적지 MIHF 식별자 파라미터로서 명기하여 MIH_register request 프리미티브를 발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MIH_register request 프리미티브는 소유 링크 세트(set-of-owned-links)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소유 링크 세트(set-of-owned-links) 파라미터가 원격 이용자가 소유할 수 있는 근거리 링크를 표시하는 링크 ID의 목록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근거리 MIH 이용자가 원격 MIH 이용자 대신에 링크 소유권을 요청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근거리 MIH 이용자가 링크 소유권 관리자 엔티티를 통한 원격 MIH 이용자 대신에 링크 소유권을 요청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MIH 기능에서 링크 소유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공존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일련의 할당된 링크를 네트워크 노드 상의 원격 MIH 이용자에게 신호전송하기 위해 프리미티브를 변형하여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동 노드의 링크 상태가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리미티브가 I.E.E.E. 802.21 사양 MIH_Register 프리미티브를 포함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노드가 등록 처리 동안 근거리 매체 독립 핸드오버 기능에 의해 지원되는 일련의 링크를 식별하는 메시지를 원격 노드에 전송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근거리 MIH 이용자가 할당된 링크의 원격 MIH 이용자에게 통지하도록 메시지가 일련의 소유한 링크를 식별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성공적인 등록은 원격 MIH 이용자가 충돌 요청을 소유한 일련의 링크에 존재하는 링크에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원격 MIH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일련의 링크를 갱신하기 위해 근거리 MIH 이용자가 재등록을 채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근거리 노드의 등록 처리 도중에 선전되는 일련의 링크가 원격 노드를 미리설정(preconfigure)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 따라, 일련의 링크를 식별하는 파라미터를 유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MIH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부 예시에서, 시스템은 일련의 링크가 근거리 링크를 대표하는 일련의 링크 ID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 따라, 시스템은 근거리 MIH 이용자가 일련의 링크를 식별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링크의 원격 MIH 이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의 상기 및/또는 그 외의 양태, 특징 및/또는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을 고려할 경우에 더욱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는 적용 가능한 상이한 양태, 특징 및/또는 장점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이를 제외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는 적용 가능한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양태 또는 특징을 조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양태, 특징 및/또는 장점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 또는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소유권을 통한 다수의 MIH 이용자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링크 소유권 할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해제(De-Register) 프리미티브(primitive)를 통한 원격 링크 소유권 회수(De-Allocation)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802.21 사양 하에서 예시적인 MIHF 통신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802.21 사양 하에서 예시적인 논리 네트워크 참조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클라이언트 장치가 통신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일부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구현예에서 채용될 수 있는 일부 예시적인 아키텍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인증자(authenticator), 이용자 스테이션, 이동 노드 또는 다른 노드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전산화 된 프로세스 스텝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또는 제어 유닛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한정이 아니라 예시를 위하여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지만, 본 개시 내용은 발명의 원리의 예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이러한 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및/또는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한 상태에서,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도입 :
현재, I.E.E.E. 802.21 사양은 단일 MIH 기능으로 다수의 MIH 이용자를 허용한다. 참고로, 문서 근거리 및 대도시 네트워크를 위한 I.E.E.E. 표준 초안: 매체 독립 핸드오버 서비스로 명명된 I.E.E.E. 802.21/D06.00, June 2007(이하, 참조 문헌 1)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내포된다.
그러나, 상기 사양은, 다수의 MIH 이용자가 단일 MIHF(MIH 기능)에 의해, 특히, 특정 기간 동안 특정 링크의 상태를 변경이 허용된 오직 한명의 MIH 이용자만이 존재한다는 제약하에서, 어떻게 지원되는지를 제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은, 무엇보다도, 단일 MIHF(MIH 기능)으로 링크 소유 방식을 도입하여 공존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를 허용하는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안된 링크 소유 방식은, 이동 노드의 링크의 상태가 I.E.E.E. 802.21 사양으로 MIH_Register 프리미티브를 변형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변경되어, 네트워크 노드 상의 원격 MIH 이용자에게 할당된 일련의 링크를 신호전송하는 시나리오를 지지한다.
과제의 개관 :
참조 문헌 1을 참조하여, I.E.E.E. 802.21 사양은, 참조 문헌 1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MIH 기능으로 다수의 MIH 이용자를 허용한다. 그러나, 상기 사양은, 다수의 MIH 이용자가 단일 MIHF(MIH 기능)에 의해, 특히 오직 한명의 MIH 이용자만이 임의의 조건하에서 특정 링크의 상태의 변경을 허용하는 제약하에서, 어떻게 지원되는지를 설명하거나 제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건은 서로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가 링크에 동시에 제어 및/또는 액세스를 시도할 (즉 경쟁 상태(race condition)) 경우에 존재한다. 이 문제는 하기의 예를 이용하여 더 설명될 수 있다.
·802.21 가능 장치의 MIHF에 관하여 2명의 MIH 이용자 A와 B가 있다.
·802.21 가능 장치는 WLAN(무선 LAN) 링크(또는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WLAN 링크의 상태는 현재 "완전 가동(full operation)"이다.
·MIH 이용자 A는 근거리 커맨드 A를 발행하여 WLAN 링크의 상태를 "턴 오프"로 변경한다.
·동시에, MIH 이용자 B는 근거리 커맨드 B를 발행하여 WLAN 링크의 상태를 "절전"으로 변경한다.
근거리 커맨드 A가 근거리 커맨드 B 이전에 실행된다면, 이후 WLAN 링크의 최종 상태는 이용자 A의 기대(즉, "턴 오프")와는 다르게 "절전"으로 될 것이다. 한편, 근거리 커맨드 A가 근거리 커맨드 B 이후에 실행된다면, 이후 WLAN 링크의 최종 상태는 이용자 B의 기대(즉, "절전")와는 다르게 "턴 오프"로 될 것이다.
또한, 802.21 사양은 원격 MIH 이용자가 근거리 MIH 기능에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이 문제의 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802.21 가능 장치의 MIHF에 관하여 MIH 이용자 A가 있다. 네트워크 노드의 MIHF에 관하여 MIH 이용자 B가 있다.
·802.21 가능 장치는 WLAN(무선 LAN) 링크(또는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WLAN 링크의 상태는 현재 "완전 가동(full operation)"이다.
·MIH 이용자 A는 근거리 커맨드 A를 발행하여 WLAN 링크의 상태를 "턴 오프"로 변경한다.
·동시에, MIH 이용자 B는 원격 커맨드 B를 발행하여 WLAN 링크의 상태를 " 절전"으로 변경한다.
근거리 커맨드 A가 원격 커맨드 B 이전에 실행된다면, 이후 WLAN 링크의 최종 상태는 이용자 A의 기대(즉, "턴 오프")와는 다르게 "절전"으로 될 것이다. 한편, 근거리 커맨드 A가 원격 커맨드 B 이후에 실행된다면, 이후 WLAN 링크의 최종 상태는 이용자 B의 기대(즉, "절전")와는 다르게 "턴 오프"로 될 것이다.
상기 2가지 예시에서, 근거리 커맨드 A와 근거리/원격 커맨드 B는 특정 기간에서 실행되는 경우 링크 상태를 불일치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서로 상충관계에 있다. 이러한 상태의 불일치를 회피하기 위해, 오직 한명의 MIH 이용자만이 특정 기간에서 주어진 링크에 이러한 명령의 발행을 배타적으로 허용하는 매커니즘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매커니즘은 현재 802.21 사양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가능한 경쟁 상태에 덧붙여, 현재, I.E.E.E. 802.21 [1] 사양은, 등록 처리 동안 근거리 MIHF에 의해 존재하고 지원되는 일련의 링크의 원격 노드를 근거리 로드가 신호전송하는 유효한 방법을 규정하지 않는다. 원격 노드는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해 MIH_Get_Link_Parameters 요청을 통해 여분의 신호전송을 이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MIH 이용자를 허용하는 후속 섹션의 제안은 이러한 과제를 또한 해결한다.
또한 원격 노드가 근거리 노드 상에 존재하는 일련의 링크로 미리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정적 구성 시나리오(static configuration scenario)가 일반적이진 않지만, 본 명세서에 존재하는 방식은 이러한 구성이 존재하는 잘 알려진 이슈를 진정시킨다. 근거리 노드 등록 처리 동안 선전되는 일련의 링크가 정적으로 미리 구성된 일련의 링크를 오버라이드, 변경 또는 갱신하기 위해 또한 이들 링크의 유용성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 :
본 출원은 I.E.E.E. 802.21 사양(참조 문헌 1 참조)에는 존재하지 않고, 전술된 문제 및/또는 이외의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을 제공한다. 이러한 개념은, 예를 들어,
1. 신규 링크 소유 방식; 및
2. 예컨대 MIH_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를 통해 신규 원격 링크 소유권 할당
을 포함한다.
이들 개념을 구현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1. 링크 소유 방식
자원 소유권의 일반적인 개념은 다양한 시스템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서, 소유권은 자원의 기록 특권 등의 자원의 상태 또는 컨텐트를 배타적으로 수정하는 특권을 지원한다. I.E.E.E. 802.21 및 다수 MIH 이용자의 경우에, 자원은 링크이고, 링크 소유권은 예컨대 MIH_Configure_Link 등의 특정 링크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요청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배타적인 특권이다. 이들 요청 프리미티브는 본 명세서에서 "충돌 요청"이라고 칭한다. 다른 MIH 이용자가 비충돌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그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링크의 이벤트에 가입(subscribe)할 수 있다. 그러나, 오직 링크를 소유한 MIH 이용자만이 그들이 소유하는 링크에 충돌 요청을 보낼 수 있다. 현재, MIH_SAP(즉, MIH 이용자와 MIHF 사이에 규정된 I.E.E.E. 802.21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에 규정된 충돌 요청 프리미티브는,
1. MIH_Configure_Link.request;
2. MIH_MN_HO_Commit.request; 및
3. MIH_Net_Ho_Commit.request
를 포함한다.
덧붙여, 현재 비충돌 요청 프리미티브는,
1. MIH_Capability_Discovery.request;
2. MIH_Register.request;
3. MIH_DeRegister.request;
4. MIH_Event_Subscribe.request;
5. MIH_Event_UnSubscribe.request;
6. MIH_Get_Link_Parameters.request;
7. MIH_Scan.request;
8. MIH_MN_HO_Candidate_Query.request;
9. MIH_Met_HO_Candidate_Query.request;
10. MIH_M2N_HO_Query_Resources.request;
11. MIH_MN_HO_Complete.request;
12. MIH_M2N_HO_Complete.request;
13. MIH_Configure_Link.request; 및
14. MIH_Get_Informatiion.request
를 포함한다.
링크 소유권의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는 MIHF 내에 링크 소유권 관리자(LOM) 엔티티를 도입한다. LOM은 MIH 이용자들로부터의 링크 소유권 요청을 수신하는 책임이 있다. LOM은 MIH 이용자에게 "이용가능한" 링크를 할당한다. 이 경우 이용가능이성이란, 어떤 MIH 이용자도 특정 링크에 대한 충돌 요청을 전송하는 배타적인 권리를 주장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LOM은 링크와 링크를 소유하는 MIH 이용자의 매핑을 유지하는 책임이 있다.
요약하면, 근거리 MIH 이용자를 위한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본 링크 소유 방식은, 링크 소유권을 통해 다수의 MIH 이용자 할당을 묘사하는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서, 각 MIH 이용자는 MIH_SAP를 통한 특정 링크의 소유권 할당을 요청한다. 예컨대, MIH 이용자 A는 API 함수 호출을 통해 근거리 MIHF에게 WLAN LINK의 소유권을 요청한다. 다른 API 함수 호출을 사용할 때, 그들에게 충돌 요청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동일 MIH 이용자가 그것이 소유하는 링크의 소유권의 해제를 또한 요청할 수 있다. API가 MIHF에 대해 근거리이기 때문에, 그것은 (각 MIH 이용자가 MIHF에 의해 식별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특정 구현이고, 본 명세서에 기초한 종래 기술에 있는 것들에 의해 가까운 곳의 상황에 따라 즉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LOM이 따르는 할당 정책은 선 링크 소유권 요청 선 링크 소유권 제공(FIFO: first-come first-serve)을 기 반으로 한 정책이지만, 구현에 따라 대체되거나 또는 추가되는 정책이 시행될 수 있다.
2. MIH_Register Request Primitive를 통한 원격 링크 소유권
이전 섹션은 근거리 MIH 이용자가 근거리상에서 링크 소유권을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I.E.E.E. 802.21(상기의 참조 문헌 1 참조)은 원격 MIH 이용자가 근거리 링크를 감시 및/또는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또한 설명한다. 이것은 예컨대, 원격 MIH 이용자가 핸드오버 처리를 통해 제어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따라서, 이 시나리오에서, 원격 이용자는 핸드오버를 완료하기 위해 근거리 802.21 가능 장치상의 근거리 링크에게 충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02.21 가능 장치상의 근거리 이용자는 프리미티브의 목적지 MIHF 식별자 파라미터로서 네트워크 노드 상의 원격 MIHF의 식별자를 명기하여 MIH_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를 발행함으로써 이것을 인정한다. MIH_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 수신시, 근거리 MIHF는 MIH_Register MIH 프로토콜 메시지를 원격 MIHF에게 전송한다. 원격 MIHF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후 적절한 원격 MIH 이용자(예컨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를 행하는 원격 MIH 이용자)를 위해 MIH_Register.indication 프리미티브를 생성할 것이다.
근거리 MIH 이용자는 원격 MIH 이용자를 대신하여 링크 소유권을 요청할 것이다. 섹션 3에 제안된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 MIH 이용자는 동일한 일련의 근거리 API를 이용하여 LOM과 함께 하나 이상의 링크의 링크 소유권을 요청할 것이다. 이후 MIH_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얻어진 일련의 링크의 원격 MIH 이용자에게 신호전송한다. 이것은 할당된 일련의 링크를 포함하도록 MIH_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 내의 변화를 도입한다. 이 변화는 바람직하게는 MIH_Register.request(DestinationId, SetOfOwnedLinks, RequestCode)와 같다.
여기서 :
DestinationId - (예컨대, I.E.E.E. 802.21(참조 문헌 1 참조)의 섹션 7.4.2에 규정된 바와 같은 MIHF ID)
SetOfOwnedLinks (주의 : 이것은 새롭게 추가된 파라미터이다) - 원격 이용자가 소유할 수 있는 근거리 링크를 표시하는 LINK ID의 리스트
RequestCode - (예컨대, 예컨대, I.E.E.E. 802.21(참조 문헌 1 참조)의 섹션 7.4.2에 규정된 바와 같은 Request Code)
파라미터 SetOfOwnedLinks를 추가하는 것은 그것 대신에 할당된 근거리 MIH 이용자가 링크의 원격 MIH 이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성공적인 등록은 링크의 원격 MIH 이용자가 충돌 요청을 SetOfOwnedLinks에 존재하는 링크에 전송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현재 I.E.E.E. 802.21(상기의 참조 문헌 1 참조) 사양은 또한 RequestCode 파라미터, 예컨대 하나(1)와 동일한 RequestCode를 통한 재등록(re-registration)을 지원한다. 이것은 일반적인 것은 아니지만, 근거리 MIH 이용자가 원격 MIH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일련의 링크를 갱신하기 위해 재등록 특징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재등록은 원격 MIH 이용자에게 신규의 일련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성공적인 등록 처리는 일련의 링크로부터 이벤트를 가입할 수 있는 일련의 링크를 얻기 위해, MIH_Get_Link_Parameters를 전송하라는 원격 MIH 이용자에 의한 요구를 무시하는 추가 이득을 갖는다. 이것은 근거리와 원격 MIH 이용자 간의 보다 유효한 신호전송을 증진시킨다.
참고로,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안된 원격 링크 소유 방식의 요약을 보여준다. 이것에 관해서는, 도 2는 원격 MIH 이용자가 일부 예시에 따른 일련의 근거리 링크에 소유권을 할당되는 방법의 기본 단계적인 처리를 보여준다. 이에 관해서, 도 2는 근거리 MIHF에서의 근거리 MIH 이용자와 원격 MIHF에서의 원격 MIH 이용자를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서의 도면 부호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MIH 이용자는 MIH_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DestinationId, SetOfOwnedLinks, RequestCode)를 근거리 MIHF에 전송한다. 근거리 MIHF는 이후 MIH_Register MIH 프로토콜 메시지를 원격 MIHF에(도 2의 화살표 A 참조) 전송한다. 도 2에서의 도면 부호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MIHF는 이후 MIH_Register.indication 프리미티브(목적지ID, SetOfOwnedLinks, RequestCode)를 적절한 원격 MIHF에 전송한다. 도면 부호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MIH 이용자는 MIH_Register.response 프리미티브(src, 간격, 상태)를 원격 MIHF에 발생시킨다. 도 2에서 도면 부호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MIHF는 MIH_Register.confirm 프리미티브(srcID, 간격, 상태)를 근거리 MIH 이용자에게 생성한다.
소유권을 해지하기 위해, 근거리 MIH 이용자가 MIH_De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를 전송한다. 이것은 수신했던 최종 SetOfOwnedLinks 내의 링크를 더 이상 소유할 수 없다는 것을 원격 MIH 이용자에게 신호전송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MIH_De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 내에 요청된 변경이 없다.
참고로, 도 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해제 프리미티브를 통한 원격 링크 소유권 회수를 보여준다. 요약하면, 도면 부호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MIH 이용자는 MIH_DeRegister.request 프리미티브를 발행함으로써 이것을 개시한다. 이후, 스텝 2, 3 및 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발명의 넓은 범위:
예시적인 발명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등가의 요소, 변형, 생략(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를 통한 양태의), 조합, 적용 및/또는 개조 부분을 갖는 임의의 실시예 및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청구범위에서의 한정(예를 들어, 나중에 추가될 것을 포함)은 청구범위에서 채용된 언어에 기초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 또는 출원의 수속 도중의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예는 비독점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에서, 용어 "바람직하게"는 비독점적이며, "바람직하게,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 내용에서 그리고 본 출원의 수속 중에는, 수단-기능 또는 단계-기능 한정은 특정 청구범위 한정을 위하여 다음 조건, 즉, a) "수단" 또는 "단계"가 명시적으로 기재되고; b) 대응하는 기능이 명시적으로 기재되고; c) 그 구성을 뒷받침하는 구성, 재료 또는 작용이 기재되지 않는다는 조건이 모두 그 한정 내용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채용될 것이다. 이 개시 내용에서 그리고 본 출원의 수속 중에는, 용어 "본 발명" 또는 "발명"은 본 개시 내용 내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대한 참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또는 발명이라는 용어는 임계성의 증명으로서 부적당하게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모든 양태 또는 실시예를 통해 응용하는 것으로 부적당하게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즉, 본 발명은 다수의 양태 및 실시예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출원 또는 청구항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부적당하게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 개시 내용에서 그리고 본 출원의 수속 중에는, 용어 "실시예"는 임의의 양태, 특징, 프로세스 또는 단계, 그 임의의 조합, 및/또는 그 임의의 일부 등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는, 다양한 실시예가 중복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6)

  1. 일정 기간 동안 링크 상태의 변경이 허용되는 MIH 이용자가 오직 한 명만 존재하는 제약하에서 단일 MIH 기능에 의해 다수 MIH 이용자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MIH 기능에서 링크 소유 방식을 도입하여 공존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소유 방식이 링크의 상태를 변경하는 요청 프리미티브를 전송하기 위한 배타적인 특권을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MIH 이용자로부터 링크 소유권 요청을 수신하는 상기 MIH 기능 내의 링크 소유권 관리자 엔티티를 채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소유권 관리자 엔티티가 MIH 이용자에 대해 이용가능한 링크를 할당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링크란 특정 링크에 대해 요청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배타적인 권리를 갖는 다른 MIH 이용자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소유권 관리자 엔티티가 링크와, 이 링크를 소유한 MIH 이용자의 매핑을 유지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원격 MIH 이용자가 근거리 링크를 제어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MIH 이용자가 핸드오버 처리를 제어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이용자가 근거리 노드 상의 근거리 링크에 대한 충돌 요청을 전송하게 하여 핸드오버를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노드 상의 근거리 MIH 이용자가프리미티브의 목적지 MIHF 식별자 파라미터로서 네트워크 노드 상의 원격 MIHF의 식별자를 명기 하여 MIH 레지스터 요청 프리미티브를 발행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IH 레지스터 요청 프리미티브는 소유 링크 세트(set-of-owned-links)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유 링크 세트(set-of-owned-links) 파라미터는 원격 이용자가 소유할 수 있는 근거리 링크를 표시하는 링크 ID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인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 MIH 이용자가 원격 MIH 이용자 대신에 링크 소유권을 요청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MIH 이용자가 상기 원격 MIH 이용자 대신에 링크 소유권 관리자 엔티티를 통한 링크 소유권을 요청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지원 방법.
  16. MIH 기능에서 링크 소유 방식을 도입하여 다수의 MIH 이용자가 공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공존 지원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프리미티브를 변형하여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이동 노드의 링크 상태를 변경하여, 네트워크 노드 상의 원격 MIH 이용자에게 할당된 일련의 링크를 신호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공존 지원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미티브는 I.E.E.E. 802.21 사양 MIH_Register 프리미티브를 포함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공존 지원 방법.
  19. 근거리 노드가, 등록 처리 동안 근거리 매체 독립 핸드오버 기능(MIHF)에 의해서 지원되는 일련의 링크를 식별하는 원격 노드에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공존 지원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MIH 이용자가 할당된 링크의 원격 MIH 이용자를 통지하도록 소유한 일련의 링크를 식별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공존 지원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성공적인 등록이 원격 MIH 이용자가 충돌 요청을 상기 소유한 일련의 링크내에 존재하는 링크에 전송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공존 지원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MIH 이용자는 상기 원격 MIH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일련의 링크를 갱신하기 위해 재등록을 채용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공존 지원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노드의 등록 처리 동안 선전되는 일련의 링크가 원격 노드를 미리 구성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수의 MIH 이용자 공존 지원 방법.
  24. 일련의 링크를 식별하는 파라미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MIH 기능을 포함하는 MIH 기능 구비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링크는 근거리 링크를 표시하는 링크 ID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인 MIH 기능 구비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근거리 MIH 이용자는, 상기 일련의 링크를 식별하는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링크의 원격 MIH 이용자를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MIH 기능 구비 시스템.
KR1020097004663A 2007-07-06 2008-07-07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 KR101165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835107P 2007-07-06 2007-07-06
US60/948,351 2007-07-06
US94957907P 2007-07-13 2007-07-13
US60/949,579 2007-07-13
US12/168,140 2008-07-06
US12/168,140 US8139603B2 (en) 2007-07-06 2008-07-06 Architecture for multiple MIH users
PCT/JP2008/062647 WO2009008528A2 (en) 2007-07-06 2008-07-07 Architecture for multiple mih user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117A Division KR101165169B1 (ko) 2007-07-06 2008-07-07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93A true KR20090073093A (ko) 2009-07-02
KR101165129B1 KR101165129B1 (ko) 2012-07-12

Family

ID=402215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117A KR101165169B1 (ko) 2007-07-06 2008-07-07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
KR1020097004663A KR101165129B1 (ko) 2007-07-06 2008-07-07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117A KR101165169B1 (ko) 2007-07-06 2008-07-07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39603B2 (ko)
EP (1) EP2181560B1 (ko)
JP (2) JP5211158B2 (ko)
KR (2) KR101165169B1 (ko)
CN (2) CN101627650B (ko)
CA (1) CA2693413C (ko)
WO (1) WO20090085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571B1 (ko) * 2007-11-07 2014-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5069674B2 (ja) * 2008-12-25 2012-11-0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5374144B2 (ja) * 2008-12-25 2013-12-2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KR101638668B1 (ko) 2009-08-21 2016-07-1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에 대해 다운링크 업링크를 분리하기 위한 멀티 무선 액세스 기술 계층에 대한 방법 및 장치
EP2472951B1 (en) * 2009-08-26 2019-03-13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method
EP2448208A1 (en) * 2010-10-29 2012-05-02 Alcatel Lucent Handover data exchange with an IEEE 802.21 network entity
US9100881B2 (en) * 2011-11-02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popula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information service database
WO2014151928A2 (en) * 2013-03-14 2014-09-25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istributed storage allocation for heterogeneous systems
WO2018017163A1 (en) * 2016-07-22 2018-01-25 Intel Corporation Qcl (quasi co-location) indication for beamforming management
US20220140854A1 (en) * 2020-10-30 2022-05-05 Pacesetter,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 physical layer utilized during a wireless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027B2 (en) * 2000-12-28 2006-05-02 Symbol Technologies, Inc. Automatic and seamless vertical roam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while maintaining an active voice or streaming data connection: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CN1636356A (zh) * 2002-01-29 2005-07-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网际协议的无线通信方案
US7606200B2 (en) * 2005-02-18 2009-10-20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andover of multi-mode mobile terminal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EP1807945B1 (en) * 2005-03-24 2011-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ecut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075625B1 (ko) * 2005-03-24 201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이동단말 관리 방법
CA2603321C (en) * 2005-04-14 2014-08-12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re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US7738882B2 (en) * 2005-06-13 2010-06-15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Framework of media-independent pre-authentication improvements: including considerations for failed switching and switchback
KR101203845B1 (ko) * 2005-07-05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의 자원 관리가 가능한 매개체 무관 핸드오버를위한 메시지 송수신방법
US7536184B2 (en) * 2005-09-29 2009-05-19 Sun Microsystems, Inc. Seamless mobility management with service detail reco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39141B2 (ja) 2014-12-10
KR20110067167A (ko) 2011-06-21
CN103024832A (zh) 2013-04-03
WO2009008528A2 (en) 2009-01-15
JP5211158B2 (ja) 2013-06-12
JP2010532946A (ja) 2010-10-14
CN101627650A (zh) 2010-01-13
CN103024832B (zh) 2015-07-15
EP2181560B1 (en) 2019-09-04
US8139603B2 (en) 2012-03-20
JP2013070400A (ja) 2013-04-18
EP2181560A2 (en) 2010-05-05
US20090016286A1 (en) 2009-01-15
CA2693413C (en) 2014-09-16
KR101165129B1 (ko) 2012-07-12
CA2693413A1 (en) 2009-01-15
CN101627650B (zh) 2013-07-17
WO2009008528A3 (en) 2009-05-07
KR101165169B1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129B1 (ko) 다수의 mih 이용자를 위한 아키텍처
JP5694296B2 (ja) プロアクティブ認証
JP5122588B2 (ja) プロキシMIPv6環境における高速ハンドオフをサポートするメディア独立事前認証
US20050176473A1 (en) Internet protocol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arrangements
JP5194114B2 (ja) メディア独立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データ型符号化
US8107960B2 (en) Prioritized query
JP2009500918A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無線クライアント用ipアドレスの割当て及び管理を行う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WO2007015574A1 (en) Seamless network interface selection, handoff and management in multi-ip network interface mobile devices
JP5629790B2 (ja) 通貨問い合わせ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