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2625A -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2625A
KR20090072625A KR1020070140789A KR20070140789A KR20090072625A KR 20090072625 A KR20090072625 A KR 20090072625A KR 1020070140789 A KR1020070140789 A KR 1020070140789A KR 20070140789 A KR20070140789 A KR 20070140789A KR 20090072625 A KR20090072625 A KR 2009007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base station
level
received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준
김재형
이동관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2625A/ko
Priority to PCT/KR2008/007723 priority patent/WO2009082184A2/en
Publication of KR2009007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각 기지국 프레임 중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할당된 존에서의 신호 수신여부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은 각 기지국으로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존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각 기지국으로부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에서 측정된 제1 잡음 및 간섭 레벨(Noise and Interference: NI)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NI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각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불요파, 간섭, TDD, 상향링크, 심볼, 사운딩

Description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Method for Determining Spurio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ying That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의 불요파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3세대 이동통신 및 다양한 데이터를 고속 및 저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4세대 이동통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셀(Cell)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각 셀들은 각 셀에 위치하는 기지국에 의해 관장된다.
다중 셀 구조의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지국들은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Interference)을 받게 되고, 기지국 간섭은 기지국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욱 심해진다. 예컨대, 도 1에서 C기지국에서 A기지국에 의한 간섭은 B기지국에 의한 간섭보다 심할 수 있다.
한편, 각 기지국들은 상술한 기지국간 간섭 외에도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장치나 가로등 등과 같이 기지국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장치로부터의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 이외의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신호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목적으로 하는 주파수가 아니기 때문에, 불요파(Spurious)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 이외의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이러한 불요파는 상술한 기지국간의 간섭신호와는 달리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과는 전혀 무관하게 발생하는 것이어서, 제거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기지국에서는 이러한 불요파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지만, 불요파들은 기지국간의 간섭신호와 함께 각 기지국으로 수신되기 때문에, 수신된 간섭신호들 중 어떠한 것이 기지국 이외의 장치에 의해 발생된 불요파 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각 기지국에서의 간섭신호들 중 이러한 불요파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기지국 프레임 중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할당된 존에서의 신호 수신여부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은 각 기지국으로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존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각 기지국으로부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에서 측정된 제1 잡음 및 간섭 레벨(Noise and Interference: NI)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NI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각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이전 제1 NI레벨과 다른 경우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과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들의 평균값의 차이가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전히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각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NI레벨과 함께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을 제외한 영역에서 측정된 제2 NI레벨이 전송되고,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 및 제2 NI레벨의 차이가 제3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방법은 상기 제1 존 할당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각 기지국들을 동기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존의 할당 요청 단계에서, 상기 제1 존은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마지막 심볼구간을 포함하는 영역에 할당되되, 상기 제1 존의 크기 및 상기 제1 존의 위치는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존 할당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각 기지국으로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길이가 일반적인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증가되도록 상기 각 기지국의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및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길이의 비율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존 할당 요청 단계에서, 상기 제1 존을 사운딩 존(Sounding Zone)으로 할당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운딩 존에 대해서는 사운딩 커맨드 정보요소(Sounding Command IE)가 생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방법은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존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을 제외한 데이터 영역에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함으로써 기지국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1 존에서 NI레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이 수신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존을 할당하는 존 할당부와,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을 제외한 데이터 영역에 상향링크 버스트를 할당하는 버스트 할당부와, 상기 제1 존에서 NI레벨을 측정하여 네트워크 관리 서버(Network Management Server: NMS)로 전송하는 NI레벨 측정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NI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NMS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장비 없이 각 기지국의 상향링 크 서브 프레임 중 특정 영역에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지 않는 존을 할당하고 해당 존에서의 신호 수신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사운딩 존의 할당을 통해,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므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소요되는 심볼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IEEE802.16d/e, 와이브로(Wibro), 또는 와이맥스(WiMax)에 따른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양방향 전송방식)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됨 없이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며, TDD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주파수 분할 양방향 전송방식)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가능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기지국들은 시간적으로 동기가 맞추어져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불요파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구성요소 관리 서 버(Element Management Server: EMS, 이하, 'EMS'라 함, 120), 및 네트워크 관리 서버(Network Management Server: NMS, 이하, 'NMS'라 함, 130)을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사용자 단말(미도시)에게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기지국(100)은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불요파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대상이 되는 기지국(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불요파 판단 스케쥴러(102), 존 할당부(104), 심볼비 변경부(105), 데이터 버스트 할당부(106), 및 NI레벨 측정부(108)를 포함한다.
먼저, 불요파 판단 스케쥴러(102)는 EMS(110) 또는 NMS(120)로부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에 따라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 시점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은 EMS(110)에 의해 제공되는 구성파일(Configuration File)에 포함되어 불요파 판단 스케쥴러(102)로 제공되거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NMS(120)로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EMS(110)를 경유하여 NMS(120)로부터 불요파 판단 스케쥴러(102)로 제공된다.
존 할당부(104)는 불요파 판단 스케쥴러(102)를 통해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이 수신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존 스위치(Zone-Switch)를 이용하여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존(Zone)을 할당한다. 이때, 불요파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존(이하, '제1 존'이라 함)이란 후술할 데이터 버스트 할당부(106) 에 의해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이하, '데이터 버스트'라 함)가 할당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 프레임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중 소정 영역에 존을 할당하고, 해당 존에는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지 않게 함으로써 해당 존 구간에서는 기지국으로 아무런 신호가 수신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해당 존 구간에서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존의 심볼 오프셋(Symbol Offset) 및 제1 존을 구성하는 심볼 개수는 모든 기지국의 상향링크 프레임에 있어서 동일하게 설정되며, 제1 존의 심볼 오프셋 및 제1 존을 구성하는 심볼 개수는 불요파 수신명령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존 할당부(104)는 제1 존을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마지막 심볼구간(Symbol Duration)을 포함하는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와이브로 또는 와이맥스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는 3개의 심볼 단위로 데이터가 할당될 수 있기 때문에, 존 할당부(104)는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마지막 3개의 심볼 구간에 제1 존을 할당할 수 있다.
존 할당부(104)에 의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제1 존을 할당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A, B, 및 C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마지막 심볼 구간을 포함하는 영역에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존(First Zone)이 할당되고, 제1 존의 심볼 오프셋 및 제1 존을 구성하는 심볼 개수가 동일하므로 제1 존의 위치 및 크기가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 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해 존 할당부(104)가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마지막 심볼 구간을 포함하는 영역에 제1 존을 할당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는 3개의 심볼 구간에 제1 존이 할당되기 때문에,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해 소요되는 심볼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운딩 존(Sounding Zone)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운딩 존이란 하나 이상의 심볼 구간으로 정의되는 영역으로써, 기지국이 기지국과 단말간의 채널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이 사운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당된 영역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은 심볼비율 변경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심볼비율 변경부(105)는 기지국 프레임의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 비율을 변경하여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심볼의 낭비 없이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사운딩 존이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사운딩 존의 할당을 위해 1개의 심볼이 요구되는 경우, 일반적인 기지국 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 비율은 27:15이지만, 심볼비율 변경부(106)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이 수신되면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 비율을 일시적으로 26: 16으로 변경하여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의 개수가 1개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존 할당부(104)는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1개의 심볼 구간에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사운딩 존을 할당하게 된다. 이때,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해 할당된 존에서는 아무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아야 하므로, 해당 사운딩 존에 대에서는 사운딩 커맨드 정보 요소(Sounding Command IE)가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단말이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운딩 존의 할당을 통해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지 여부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에 함께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명령에는 사운딩 존의 할당여부, 사운딩 존의 심볼 오프셋, 및 사운딩 존을 구성할 심볼 개수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기지국에서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해 할당될 존의 심볼 오프셋 및 해당 존을 구성하는 심볼 개수는 일치되어야 하므로, 모든 기지국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 비율이 동일하게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데이터 버스트 할당부(106)는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버스트 할당부(106)는 제1 존에서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하지 않음으로써 제1 존에서는 아무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도록 한다.
NI레벨 측정부(108)는 기지국(100)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에서의 잡음 및 간섭(Noise and Interference: NI, 이하, 'NI'라 함)레벨을 측정하고, 측정된 NI레벨을 NMS(120)로 전송한다. 이때, 측정된 NI레벨은 EMS(110)를 경유하여 NMS(12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NI레벨이란 기지국에서 측정되는 반송파당 평균 간섭 및 잡음 전력의 추정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단위는 데시벨(DB)이다.
NI레벨 측정부(108)에 의해 측정된 제1 존에서의 NI레벨(이하, '제1 NI레벨'이라 함)은 이후, NMS(120)에 의해 해당 기지국(100)에서 불요파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I레벨 측정부(108)는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뿐만 아니라 제1 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도 NI레벨을 측정하여 NMS(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NI레벨을 제2 NI레벨이라 한다.
EMS(110)는 기지국(100)을 관리하기 위해 기지국(100) 및 NMS(120)와 연동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EMS(110)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시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구성파일(Configuration File)을 생성하여 기지국(100)으로 다운로드하거나, NMS(120)로부터 전송되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을 기지국(100)으로 전달한다. 이때,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존의 심볼 오프셋 및 제1 존을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EMS(110)는 각 기지국에 의해 측정된 기지국들의 제1 및 제2 NI레벨을 NMS(120)로 전달한다.
NMS(120)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기능을 관리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NMS(120)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을 생성 하여 EMS(110)를 통해 기지국(100)으로 전송하거나, 기지국(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및 제2 NI레벨을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100)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NI레벨 측정부(108)로부터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에서 측정된 제1 NI레벨이 전송된 경우, NMS(120)는 수신된 제1 NI레벨이 제1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100)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NI레벨 측정부(108)로부터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에서 측정된 제1 NI레벨이 전송된 경우, NMS(120)는 해당 기지국(100)으로부터 전송된 제1 NI레벨을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제1 NI레벨들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기지국(100)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NMS(120)는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제1 NI레벨들의 평균치와 해당 기지국(100)으로부터 전송된 제1 NI레벨의 차이가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100)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NI레벨 측정부(108)로부터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에서 측정된 제1 NI레벨이 전송된 경우, NMS(120)는 수신된 제1 NI레벨과 NMS(12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기지국(100)의 이전 제1 NI레벨을 비교하여 제1 NI레벨이 달라진 경우, 해당 기지국(100)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NMS(12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제1 NI레벨이 수신될 때마다 이를 소정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NI레벨 측정부(108)에 의해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에서 측정된 제1 NI레벨과 제1 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제2 NI레벨이 함께 전송된 경우, NMS(120)는 제1 NI레벨과 제2 NI레벨의 차이가 제3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차이가 제3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해당 기지국(100)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기지국은 NMS 또는 EMS로부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명령을 수신한다(제400단계). 이때,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은 상술한 바와 같이, EMS에 의해 제공되는 구성파일(Configuration File)에 포함되어 수신되거나, EMS를 경유하여 NMS로부터 직접 전달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명령에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해 할당될 존의 심볼 오프셋 및 해당 존을 구성하는 심볼 개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에 따라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스케쥴을 작성한다(제410단계).
다음으로,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스케쥴에 따라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 시점이 되면, 기지국은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존을 할당한다(제420단계).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존은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마지막 심볼 구간을 포함하는 영역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기지국은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함으로써 기지국 프레임을 생성한다(제425단계).
다음으로, 기지국은 자신의 프레임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에서 제1 NI레벨을 측정한다(제430단계).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제1 존뿐만 아니라 제1 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도 NI레벨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제1 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측정된 NI레벨을 제2 NI레벨이라 한다.
이후, 기지국이 측정된 제1 및/또는 제2 NI레벨을 EMS를 통해 NMS로 전송하면(제440단계), NMS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및/또는 제2 NI레벨을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한다(제450단계).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제1 NI레벨이 전송된 경우, NMS는 수신된 제1 NI레벨이 제1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제1 NI레벨과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제1 NI레벨들의 평균치와의 차이가 제2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 수신된 제1 NI레벨과 NMS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기지국의 이전 제1 NI레벨이 다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제1 및 제2 NI레벨이 함께 전송된 경우, NMS는 수신된 제1 NI레벨과 제2 NI레벨의 차이가 제3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해 상향링크 서 브 프레임에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지 않는 별도의 존을 할당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운딩 존을 이용하여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기지국의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 비율을 변경하여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 개수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심볼 개수만큼의 영역에 사운딩 존을 할당함으로써 사운딩 존을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존으로 이용한다.
이때,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존에서는 아무런 데이터도 수신되지 않아야 하므로, 해당 사운딩 존에 대해서는 사운딩 커맨드 정보요소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단말이 해당 영역에서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롬(ROM),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든 기지국 프레임이 동기되어 있고, 기지국에 의해 자원할당이 수행되며, 데이터 수신 구간이 시간적으로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는 시스템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불요파 감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기지국의 프레임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지국 102: 불요파 판단 스케쥴러
104: 존 할당부 105: 심볼비율 변경부
106: 데이터 버스트 할당부 108: NI레벨 측정부
110: EMS 120: NMS

Claims (25)

  1. 각 기지국으로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데이터 버스트가 할당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존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각 기지국으로부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에서 측정된 제1 잡음 및 간섭 레벨(Noise and Interference: NI)레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NI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각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이전 제1 NI레벨과 다른 경우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과 상기 특정 기지국을 제외한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들의 평균값의 차이가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각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NI레벨과 함께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을 제외한 영역에서 측정된 제2 NI레벨이 전송되고,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NI레벨 및 제2 NI레벨의 차이가 제3 기준치 이하인 경우 해당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존 할당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각 기지국들을 동기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존의 할당 요청 단계에서,
    상기 제1 존은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마지막 심볼구간 을 포함하는 영역에 할당되되, 상기 제1 존의 크기 및 상기 제1 존의 위치는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존 할당 요청 단계 이전에,
    상기 각 기지국으로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길이가 일반적인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증가되도록 상기 각 기지국의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및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길이의 비율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존 할당 요청 단계에서,
    상기 제1 존을 사운딩 존(Sounding Zone)으로 할당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딩 존에 대해서는 사운딩 커맨드 정보요소(Sounding Command IE)가 생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IEEE 802.16d/e표준, 와이브로(Wibro), 및 와이맥스(WiMax)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12.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존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을 제외한 데이터 영역에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할당함으로써 기지국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1 존에서 NI레벨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존 할당 단계 이전에,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길이가 일반적인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증가하도록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길이의 비율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존 할당 단계에서,
    상기 제1 존을 사운딩 커맨드 정보요소를 가지지 않는 사운딩 존으로 할당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방법.
  15.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이 수신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존을 할당하는 존 할당부;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을 제외한 데이터 영역에 상향링크 버스트를 할당하는 버스트 할당부; 및 상기 제1 존에서 NI레벨을 측정하여 네트워크 관리 서버(Network Management Server: NMS)로 전송하는 NI레벨 측정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NI레벨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서의 불요파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NM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에 상응하여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 시점을 결정하는 불요파 판단 스케쥴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존 할당부는 상기 불요파 판단 스케쥴러에 의해 정해진 시점에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에 상기 제1 존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은 상기 NMS로부터 구성요소 관리 서버(Elementary Management Server: EMS)를 경유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EMS로부터 제 공되는 설정파일(Configuration File)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존의 크기 및 제1 존의 위치는 상기 불요파 수신여부 판단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NMS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NI레벨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NMS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NI레벨이 상기 기지국의 이전 NI레벨과 다른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NMS는 상기 기지국을 제외한 다른 모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NI레벨들의 평균값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NI레벨과의 차이가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NI측정부는,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상기 제1 존을 제외한 영역에서 NI레벨을 추가로 측정하여 상기 NMS로 전송하고,
    상기 NMS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존에서 측정된 NI레벨과 상기 제1 존을 제외한 영역에서 측정된 NI레벨의 차이가 제3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존 할당부는 상기 각 기지국의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 중 마지막 심볼구간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제1 존을 할당하되, 상기 제1 존의 크기 및 위치는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개수가 일반적인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개수보다 소정 심볼개수만큼 증가하도록 상기 기지국 프레임의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 및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심볼 비율을 변경하는 심볼비율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존 할당부는 상기 제1 존을 사운딩 커맨드 정보요소를 가지지 않는 사운딩 존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70140789A 2007-12-26 2007-12-28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 KR20090072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789A KR20090072625A (ko) 2007-12-28 2007-12-28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
PCT/KR2008/007723 WO2009082184A2 (en) 2007-12-26 2008-12-26 Method for determining spurio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ying tha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789A KR20090072625A (ko) 2007-12-28 2007-12-28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625A true KR20090072625A (ko) 2009-07-02

Family

ID=4132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789A KR20090072625A (ko) 2007-12-26 2007-12-28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26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019B1 (ko) 레퍼런스신호다중 및 리소스할당
US8670431B2 (en) Base station, user terminal, and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
US9246665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09518966A (ja) Ofdmチャンネルのチャンネル割当てを行なう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7431543B (zh) 基站设备以及用于控制全双工传输的方法和系统
KR1018388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단말기
US20070184842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persistent uplink and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JP4712867B2 (ja) 通信装置および端末
US10165517B2 (en) Power allo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WO2001063958A1 (fr) Appareil de station mobile, appareil de station de base, et procede d&#39;affectation de canal de communication
US20150327257A1 (en) Uplink data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of wireless transceiver device
US20080259802A1 (en) Frequency domain packet scheduling under fractional load
KR101015681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할당 방법 및 장치
JP4664261B2 (ja) 動的なサブチャネル割り当てのための方法、送信機、受信機およびシステム
US10939425B2 (en) Configuring wireless communications resources
US10645723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signal transmission control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WO2001099452A1 (fr) Dispositif de station de base et procede d&#39;attribution de canaux
CN112020142A (zh) 数据复用传输方法、基站、终端以及存储介质
KR100950813B1 (ko)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
JP5115369B2 (ja)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チャネル割当方法
KR20090072625A (ko) 불요파 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
KR102178532B1 (ko) 간섭 정렬 기반 주파수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신 장치
WO2009082184A2 (en) Method for determining spurio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ying that method
KR20100072892A (ko) Csma/ca 무선 네트워크에 기초한 무선 인지 시스템에서의 전송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
WO202002919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v2v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