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861A -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861A
KR20090071861A KR1020070139790A KR20070139790A KR20090071861A KR 20090071861 A KR20090071861 A KR 20090071861A KR 1020070139790 A KR1020070139790 A KR 1020070139790A KR 20070139790 A KR20070139790 A KR 20070139790A KR 20090071861 A KR20090071861 A KR 20090071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image data
data
pow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499B1 (ko
Inventor
배준호
Original Assignee
신코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코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코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4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6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EDs comprising organic material, e.g. for opera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픽셀로 공급되는 영상데이터의 값을 그 이전의 값과 비교하여 공급전원을 선택적으로 결정하고, 비교 결과 영상데이터의 값이 상이하여 외부전원에 의한 프리차지 동작의 실행이 요구될 경우 데이터 드라이버 외부에 구비된 모듈 DC-DC 컨버터의 전원을 짧은 시간동안 각 픽셀에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AMOLED. 데이터 드라이버, 디지털 구동장치, 저전력

Description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LOW POWER DIGITAL DRIVING DEVICE FOR MOBILE APPLICATION OF AMOLED}
본 발명은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픽셀로 공급되는 영상데이터의 값을 그 이전의 값과 비교하여 공급전원을 선택적으로 결정하고, 비교 결과 영상데이터의 값이 상이하여 외부전원에 의한 프리차지 동작의 실행이 요구될 경우 데이터 드라이버 외부에 구비된 모듈 DC-DC 컨버터의 전원을 짧은 시간동안 각 픽셀에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소자로 부상하고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자체 발광하는 유기물을 이용한 고속응답, 고휘도가 가능하며 백라이트가 요구되지 않아 LCD보다 더 얇게 만들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고 이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하게 된 다.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다이오드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문턱전압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유기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빛의 양은 이러한 전류에 비례하게 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구동방식에 따라 크게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되는데,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 : Active Matrix OLED)는 픽셀 하나하나에 각 픽셀을 조절하기 위한 TFT 소자가 구비되며, 수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PMOLED : Passive Matrix OLED)는 가로와 세로에 각각 전압을 인가하여 교차되는 픽셀에 전원이 들어오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수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PMOLED)는 단위 화소에서 높은 휘도가 요구되어 디바이스의 수명이 짧아지고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낮은 해상도의 저 가격제품에 유용한 반면, 상기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는 TFT소자와 커패시터의 메모리기능을 이용하여 단위 화소의 요구 휘도가 훨씬 낮아 높은 해상도를 요구하는 제품에 적용된다.
근래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급이 활발하여 지면서 이러한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가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비된 휴대용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를 디스플레이 패널로 적용한 종래의 휴대형 기기는 디지털 구동장치인 데이터 드라이버에 구비된 내부 DC-DC 컨버터에서 생성된 전압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의 값을 픽셀로 전송함으로써 화소를 발광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구동장치는 픽셀을 구동하여 패널의 화소를 발광시키기 위한 10~15V 이상의 출력을 내부의 DC-DC 컨버터만을 이용하여 구동하게 되며, 이 경우 내부 DC-DC 컨버터의 펌핑 비율(pumping ratio)에 의해 큰 소비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디지털 구동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의 모듈 DC-DC 컨버터(10)와, 패널을 순차 주사하여 발광할 화소를 선택하는 스캔드라이버(20)와, 선택된 화소에 표현할 영상데이터의 계조전류를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30),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내부에 구비된 내부 DC-DC 컨버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듈 DC-DC 컨버터(10)는 스캔드라이버(20)를 통하여 각 픽셀(40)에 구비된 제2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할 화소를 선택하게 되고, 상기 각 픽셀에 구비된 제1트랜지스터의 일 단자와 커패시터에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패시터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에서 영상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공급되는 계조값이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다른 일 단자에 공급되면 발광 소자에 전류가 흐르며 발광하여 영상데이터의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구동장치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데이터 드라이버 내부의 DC-DC 컨버터(50)에만 의존하여 픽셀(40)을 구동하므로, 영상데이터의 변경에 따라 상기 내부의 DC-DC 컨버터(50)에서 프리차지를 위한 전압이 변할 때 발생되는 전압의 변환비율인 펌핑 비율(pumping ratio) 에 의해 구동장치에서의 소비전력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구동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전력소모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데,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소비전력이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휴대용 디스플레이의 경우 배터리의 용량에 한계가 있어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필요성이 더욱 크게 된다. 또한, 전력소모가 증가할수록 구동 장치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휴대용 장치의 소형화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지털 구동방식을 적용함에 있어 전력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식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레임 메모리에서 각 픽셀로 공급되는 영상데이터를 그 이전의 영상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 영상데이터의 값이 같을 경우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내부의 DC-DC 컨버터에 의한 전원을 계속 사용하고, 영상데이터의 값이 다를 경우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외부의 DC-DC 컨버터에 의한 전원을 짧은 시간 동안 데이터 라인에 기입함으로써, 영상데이터의 변경여부에 따라 공급전원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며 내부 DC-DC 컨번터에서의 펌핑 비율(pumping ratio)의 변화를 작게 하여 데이터 드라이버에서 사용하는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는,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DC-DC 컨버터와, 패널을 순차 주사하여 발광할 픽셀을 선택하는 스캔드라이버와, 드라이버에 구비된 내부 DC-DC 컨버터와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프레임 메모리와 영상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부가 구비된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가, 상기 래치부에서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을 이전 영상데이터의 값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기;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인버팅하여 각 픽셀을 이루는 트랜지스터의 일 단자에 공급하는 인버터; 및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상기 외부 DC-DC 컨버터와 내부 DC-DC 컨버터 간에 스위칭하며 상기 인버터에 선택적으 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서의 비교결과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이 이전에 래치하였던 영상데이터의 값과 다를 경우, 상기 스위치가 상기 외부 DC-DC 컨버터에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 픽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서의 비교결과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이 이전에 래치하였던 영상데이터의 값과 같을 경우, 상기 스위치가 상기 내부 DC-DC 컨버터에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 픽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픽셀로 공급되는 영상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할 전원을 선택하며, 비교 결과 영상데이터가 그 전의 값과 상이할 경우에는 데이터 드라이버 외부에 구비된 모듈의 DC-DC 컨버터로부터 짧은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받게 하여 데이터 드라이버의 소비전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소비전력의 감소에 따라 데이터 구동 드라이버의 DC-DC 면적을 최소화하여 휴대용 장치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기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DC-DC 컨버터(100)와, 패널을 순차 주사하여 발광할 픽셀을 선택하는 스캔드라이버(200)와, 선택된 화소에 표현할 영상데이터를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300)가 구비된 디지털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IC에 구비된 내부 DC-DC 컨버터(310)와,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프레임 메모리(320)와,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영상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부(330)와,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을 이전 영상데이터의 값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기(340)와,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인버팅하여 각 픽셀을 이루는 트랜지스터의 일 단자에 공급하는 인버터(350)와, 비교결과에 따라 인버터에의 전원공급을 조절하는 스위치(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널의 각 단위 픽셀(Pixel)(400)은 OLED패널 등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패널(panel)과 동일하게 발광 소자인 다이오드(410)와, 일 단자가 외부 DC-DC 컨버터(1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발광 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트랜지스터(420)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외부 DC-DC 컨버터 간에 연결된 커패시터(430)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커패시터의 공통 노드에 일 단자가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데이터 라인(370)을 통해 데이터 드라이버에 연결되며 게이트가 스캔라인(210)을 통해 스캔드라이버에 연결되어 스캔전압에 따라 스위칭하는 제2트랜지스터(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DC-DC 컨버터(100)는 스캔드라이버를 통해 제2트랜지스터(440)의 게이트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할 픽셀(400)을 선택하고, 각 픽셀의 커 패시터(430) 일단에 연결되며, 제1트랜지스터(420)의 일 단자로 전원을 공급하여 다이오드(410)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해당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도록 데이터 드라이버 외부의 모듈에 구비된 DC-DC 컨버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 DC-DC 컨버터(100)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로의 전원공급이 스위칭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구비된 스위치(360)에 일단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캔드라이버(200)는 상기 외부 DC-DC 컨버터(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스캔라인(210)을 통하여 일정한 주파수에 따라 각 픽셀(40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영상데이터에 의해 발광될 픽셀(400)을 선택하도록, 각 픽셀에 구비된 제2트랜지스터(440)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상기 내부 DC-DC 컨버터(310)는 데이터 드라이버 IC(DDI : Data Driver IC)에 구비된 DC-DC 컨버터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영상데이터의 값에 따른 계조값을 각 픽셀에 구비된 제2트랜지스터(440)의 다른 일 단자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며 공급하도록 데이터 드라이버에 구비된 각 인버터(350)로의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360)에 일단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메모리(Frame Memory)(320)는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영상데이터의 이미지 정보가 일시 저장되고, 상기 래치부(Latch)(330)는 프레임 메모리의 일단에 연결되어 영상데이터를 래치하여 전달하며, 이는 통상의 데이터 드라이버에 구비된 프레임 메모리 및 래치부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비교기(340)는 래치부(330)에 일 단자가 연결되어 래치된 영상 데이터의 값을 이전에 래치하였던 영상데이터의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로 구성되며, 다른 일 단자는 외부 또는 내부 DC-DC 컨버터(100, 310)에서 인버터(350)로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36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비교기(340)는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이 이전에 래치하였던 영상데이터와 다를 경우에는 각 단위 픽셀에 구비된 제2트랜지스터(440)의 다른 일 단자에 영상데이터의 새로운 계조값을 전달하기 위해 스위치(36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스위치(360)가 데이터 드라이버의 외부 전원공급원인 외부 DC-DC 컨버터(100)에 연결되어 인버터(350)로 전원이 공급되며 커패시터(430)에서의 프리차지(precharge)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DC-DC 컨버터(100)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원이 데이터 라인(370)에 기입된 후, 상기 스위치(360)는 다시 내부 DC-DC 컨버터(310)로 연결되며, 이때, 상기 외부 DC-DC 컨버터(100)로부터 데이터 드라이버의 인버터(350)로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은 미리 설정된 짧은 시간 동안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비교기(340)는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이 이전에 래치하였던 영상데이터와 같을 경우에는 상기 내부 DC-DC 컨버터(310)에서 인버터(350)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며, 각 픽셀에 구비된 제2트랜지스터(440)의 다른 일 단자에서 상기 외부 DC-DC 컨덕터를 사용하는 프리차지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상기 내부 DC-DC 컨버터(310)에서 공급되는 전원만을 계속 사용하여 이전의 영상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인버터(350)는 상기 래치부(330)의 출력을 수신하여 데이터 라인(370)을 통해 각 픽셀을 이루는 제2트랜지스터(440)의 다른 일 단자에 공급하며, 일 단자가 스위치(360)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비교기(340)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DC-DC 컨버터가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360)는 데이터 비교기에서의 결과값에 따라 스위칭하도록 일단이 상기 데이터 비교기(340)에 연결되고, 스위칭 작용하며 상기 인버터(350)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다른 일 단자가 데이터 드라이버의 외부 전원인 외부 DC-DC 컨버터(100)와 내부 전원인 내부 DC-DC 컨버터(310) 간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외부 DC-DC 컨버터(100)에 의한 전원공급은 상기 래치부(33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값이 이전의 영상데이터 값과 다를 경우에만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지게 스위칭함으로써, 즉, 스위칭되어 있는 시간 동안 상기 외부 DC-DC 컨버터(100)의 전원이 인버터(350)를 통하여 데이터 라인(370)에 인가되어 내부 DC-DC 컨버터에서의 펌핑 비율(pumping ratio)을 줄여서 데이터 드라이버 내부 전원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디지털 구동방식을 사용하는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프레임 메모리(Frame memory)에 저장된 영상데이터가 래치부(Latch)에 기입된다. 상기 래치부(330)에 기입된 영상데이터는 인버터(350)로 전달되면서 래치부와 인버터의 공통 노드에 연결 된 데이터 비교기(340)에서 인지되어,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 일시 저장되어 있던 이전의 영상데이터와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비교된 결과가 이전에 기입되었던 영상데이터와 다를 경우에는 스위치(360)가 외부 DC-DC 컨버터(100)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DC-DC 컨버터(100)의 전원에 의해 새로운 영상데이터의 값으로 커패시터(430)의 프리차지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발광소자에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비교기(340)에서의 비교 결과가 이전에 기입되었던 영상데이터와 같을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360)가 내부 DC-DC 컨버터(310)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DC-DC 컨버터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는 프리차지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상기 내부 DC-DC 컨버터(310)의 전원을 계속 사용하여 동일한 영상데이터에 상응하는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내부 DC-DC 컨버터에서의 펌핑 비율을 줄임으로써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캔드라이버(200)의 경우 구동알고리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스캔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스캔 라인을 차징(charging)하기 위한 신호가 이전과 같은 값을 갖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을 스캔드라이버에 적용할 때 별도의 데이터 비교기가 필요하지는 않으나, 스캔드라이버에 적용된 알고리즘의 유형에 따라 스캔드라이버(200)에 인가되는 신호가 이전의 값과 같은 값을 갖게 된다면 상술한 데이터 비교기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게 됨은 물론이다.
즉, 스캔드라이버(200)에 인가되는 스캔신호가 이전의 값과 같은 스캔신호 값을 갖게 되는 알고리즘으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스캔신호를 이전의 스캔신호와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기와,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상기 외부 DC-DC 컨버터와 내부 DC-DC 컨버터 간에 스위칭하며 스캔라인(21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스위치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구동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부 DC-DC 컨버터 200 - 스캔드라이버
210 - 스캔라인 300 - 데이터 드라이버
310 - 내부 DC-DC 컨버터 320 - 프레임 메모리
330 - 래치부 340 - 데이터 비교기
350 - 인버터 360 - 스위치
370 - 데이터 라인 400 - 픽셀
410 - 다이오드 420 - 제1트랜지스터
430 - 커패시터 440 - 제2트랜지스터

Claims (5)

  1.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DC-DC 컨버터와, 패널을 순차 주사하여 발광할 픽셀을 선택하는 스캔드라이버와, 드라이버에 구비된 내부 DC-DC 컨버터와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프레임 메모리와 영상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부가 구비된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래치부에서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을 이전 영상데이터의 값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기;
    상기 래치부의 출력을 인버팅하여 각 픽셀을 이루는 트랜지스터의 일 단자에 공급하는 인버터; 및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상기 외부 DC-DC 컨버터와 내부 DC-DC 컨버터 간에 스위칭하며 상기 인버터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서의 비교결과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이 이전에 래치하였던 영상데이터의 값과 다를 경우, 상기 외부 DC-DC 컨버터에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 픽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외부 DC-DC 컨버터에 의한 전원공급이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진 후, 다시 상기 내부 DC-DC 컨버터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서의 비교결과 래치된 영상데이터의 값이 이전에 래치하였던 영상데이터의 값과 같을 경우, 상기 내부 DC-DC 컨버터에 연결되어 데이터 라인을 통해 각 픽셀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드라이버가 인가되는 스캔신호가 이전의 값과 같은 스캔신호값을 갖게 되는 알고리즘으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스캔신호를 이전의 스캔신호와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기; 및
    상기 데이터 비교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상기 외부 DC-DC 컨버터와 내부 DC-DC 컨버터 간에 스위칭하며 스캔라인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AMOLED의 저 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KR1020070139790A 2007-12-28 2007-12-28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KR10094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90A KR100944499B1 (ko) 2007-12-28 2007-12-28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90A KR100944499B1 (ko) 2007-12-28 2007-12-28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861A true KR20090071861A (ko) 2009-07-02
KR100944499B1 KR100944499B1 (ko) 2010-03-03

Family

ID=4132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790A KR100944499B1 (ko) 2007-12-28 2007-12-28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4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6204B2 (en) 2011-12-28 2014-07-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C/DC converter and dri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50078846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US9514672B2 (en) 2012-06-28 2016-12-06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circui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pixel circuit
US9837040B2 (en) 2014-10-06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device
CN114822385A (zh) * 2022-05-27 2022-07-29 中科芯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led显示驱动芯片的写保护电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0178B2 (ja) * 2003-01-24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100879B1 (ko) * 2004-08-03 2012-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847861B2 (en) * 2005-05-20 2014-09-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KR20070065063A (ko) * 2005-12-19 200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선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6204B2 (en) 2011-12-28 2014-07-2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DC/DC converter and driv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514672B2 (en) 2012-06-28 2016-12-06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circuit,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pixel circuit
KR20150078846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US9837040B2 (en) 2014-10-06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device
CN114822385A (zh) * 2022-05-27 2022-07-29 中科芯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led显示驱动芯片的写保护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499B1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display apparatus
EP1939848B1 (en) Pixel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67549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KR10085861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0762848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US803563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10254883A1 (en) Pixel circuit relating to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 u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70132693A1 (en) Image display device
CN112908245B (zh)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CN113593481B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KR100944499B1 (ko) 휴대용 amoled의 저전력 디지털 구동장치
JP5470668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US8416159B2 (en) Display apparatus
US8736519B2 (en) Pixel driving circuit with ground terminal voltage controller for an electro-luminance display device
JP2003263129A (ja) 表示装置
KR20190037390A (ko)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289243B2 (en) Light emitting display
US837368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766357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100515348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40021753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80060897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71042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JP2002023695A (ja) El表示装置
CN101345023B (zh) 控制方法、显示面板以及电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