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840A - 유심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 Google Patents

유심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840A
KR20090071840A KR1020070139758A KR20070139758A KR20090071840A KR 20090071840 A KR20090071840 A KR 20090071840A KR 1020070139758 A KR1020070139758 A KR 1020070139758A KR 20070139758 A KR20070139758 A KR 20070139758A KR 20090071840 A KR20090071840 A KR 2009007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ontent
usim card
validity
uniqu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417B1 (ko
Inventor
임종규
김창훈
김행곤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엔트랙커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엔트랙커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4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은 USIM 카드가 장착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트로,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와, 콘텐트가 실행되면, 장착된 USIM 카드의 고유번호 및 콘텐트에 포함된 유효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도난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어, 사용자는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심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METHOD OF DETERMINING EFFECTIVENESS OF UNIVERSAL SUBSCIBER IDENTITY MODULE CARD AND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REOF}
본 발명은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에 대한 정보를 가진 외부 콘텐트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트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콘텐트의 실행을 통해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국내에서 이미 4300만대를 육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사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난 2005년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 대수는 약 500만대를 육박하고 있으나, 정작 휴대용 단말기의 도난 분실상황에서 찾을 수 있는 방법은 전무하다.
이러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방지하고 회수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무선을 이용한 분실방지기가 시판되고 있으나, 단순한 무선 경보기 수준이며, 이는 경보기와 수신기 사이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는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번 호를 특정 사이트에 등록해 놓고 습득자가 사이트를 조회하여 일련번호를 비교함으로써 분실된 휴대용 단말기를 회수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어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번호의 변조를 통해 매각하는 경우에는 실효성이 없다.
더욱이 통상적으로 4자리에서 8자리 이내의 아라비아 숫자로 이루어진 개인식별번호(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가 저장되어 있는 종전의 USIM 카드에서 사용자는 개인식별번호를 입력하여 USIM 카드와 휴대용 단말기간에 인증이 이루어지고, USIM 카드의 사용 권한을 획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개인식별번호는 유출되기 쉽다는 점에서 USIM 카드의 분실시 타인에 의한 USIM 카드의 불법 도용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콘텐트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트의 실행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도난 여부 등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도난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또한 불법 도용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 판단 방법은 USIM 카드가 장착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트로 상기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와, 콘텐트가 실행되면, 장착된 USIM 카드의 고유번호 및 콘텐트에 포함된 유효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성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트는 휴대용 단말기 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를 관리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는 USIM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콘텐트를 실행시키는 단계, 또는 USIM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특정 시간에 콘텐트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단계는 판단 결과를 음향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판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USIM 카드가 장착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트로 상기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콘텐트 실행부와, 콘텐트가 실행되면, 장착된 USIM 카드의 고유번호 및 콘텐트에 포함된 유효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부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기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효성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트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를 관리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트 실행부는 USIM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콘텐트를 실행시키거나, 또는 USIM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특정 시간에 콘텐트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판단 결과를 음향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또는 판단 결과를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소정의 주소로 무선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콘텐트 제공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트의 실행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도난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도난 시에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연락처로 도난 여부 등을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도난 시에는 그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써, USIM 카드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불법 도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실 단말기로 인한 범죄의 악용, 자원의 낭비, 및 환경 오염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로, 휴대용 단말기(100), USIM 카드(110), 무선 인터넷(120), 및 콘텐트 제공 서버(13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안테나(101a)를 포함한 송수신부(101), 콘텐트 실행부(102), 암호화부(103), 기능 관리부(105), 저장부(106), 출력부(107), 및 키 입력부(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송수신부(101)는 통신망(120)을 통해 콘텐트 제공 서버(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구매된 휴대용 단말기(100)와 이에 장착된 USIM 카드(110)에 대한 정보, 즉 고유번호들을 콘텐트 제공 서버(130)로 전송하거나, 또는 콘텐트 제공서버(130)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하여 저장부(106)로 전달한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트란 콘텐트 제공 서버(130)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로 다운로드되어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상기 콘텐트는 다운로드된 후 기존의 보안인증 프로세서 절차를 거 친 후에 실행된다. 또한, 실행시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을 뿐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어떠한 형태도 나타나지 않으므로 히든 애플리케이션(암호화코드)의 형태로 동작한다. 또한, 상기 콘텐트는 유효성 데이터를 포함하며, 유효성 데이터는 USIM 카드(110)의 고유 번호 및 USIM 카드(110)가 장착되어 동작 가능한 1개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콘텐트의 기능은 2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구매된 휴대용 단말기 및 USIM 카드에 대한 정보, 즉 양자의 고유번호를 복호화하여 콘텐트 제공 서버(130)로 전송한다. 두 번째로, 콘텐트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된 USIM 카드(110)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100)의 콘텐트 실행부(102)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USIM 카드(110)가 장착되면 저장부(106)에 저장된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콘텐트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10일 등의 주기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콘텐트 실행부(102)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시간에 콘텐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암호화부(103)는 사용자가 콘텐트 제공 서버(130)로부터 콘텐트를 다운로드 받은 이후에 콘텐트의 실행에 의해 얻은 휴대용 단말기(100) 의 고유 번호와 장착된 USIM 카드(110)의 고유번호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송수신부(101)를 통해 콘텐트 제공 서버(130)로 전송된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능 관리부(105)는 장착된 USIM 카드(110)가 유효하 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휴대용 단말(100)의 각종 기능을 정지시킴으로써, USIM 카드(110)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한 불법 접근을 방지한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저장부(106)는 콘텐트 제공 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콘텐트와 장착 가능한 USIM 카드(110)의 고유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USIM 카드(110)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 판단 결과, 즉 분실 또는 도난된 휴대용 단말기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전자 메일 등의 연락처가 저장된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출력부(107)는 장착된 USIM 카드(110)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판단 결과를 음향 또는 시각적인 방법으로 출력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USIM 카드(110)에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들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기능 관리부(105)의 제어하에 사용자에게 하나의 USIM 카드(110)에 대해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수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08)는 복수 개의 키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110)는 사용자의 인증을 목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통신 사업자와 사용자 패스워드, 로밍 정보, 사용자의 개인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모듈로서 스마트 카드(USIM 카드)로 제작된다. 이러한 USIM 카드(110)는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외에도 USIM 카드(110)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USIM 카드(110)의 고유번호를 독출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는 USIM 카드(110)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공중교환전산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 유선 또는 무선 등 그 용어를 불문하고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콘텐트 제공 서버(130)는 USIM 카드(110)의 고유 번호 및 USIM 카드(110)가 장착되어 동작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것들은 이하 유효성 데이터로 지칭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USIM 카드(110)에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들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경우 유효성 데이터는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복수 개의 USIM 카드들에 대한 고유번호들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USIM 카드(110)를 구매한 사용자가 콘텐트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다운로드 및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로, 콘텐트 제공 서버(130)에 USIM 카드(110) 및 상기 USIM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과정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USIM 카드(110)를 최초 구매한 사용자는 콘텐트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여 콘텐트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콘텐트를 실행시킨다.
콘텐트가 실행되면, 단계 201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USIM 카드(110)로부터 USIM 카드(110)의 고유번호를 독출하고, 독출한 USIM 카드(110)의 고유번호를 저장부(106)에 저장한다.
단계 202에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암호화부(103)는 독출한 USIM 카드(110)의 고유번호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고유 번호를 암호화한다.
단계 203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는 송수신부(101) 및 통신망(120)을 통해 콘텐트 제공 서버(130)로 전송되며, 콘텐트 제공 서버(130)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SIM 카드(11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경우 USIM 카드(100)의 유효성 판단하기 위한 콘텐트의 실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USIM 카드(11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되면 휴대용 단말기(100)의 콘텐트 실행부(102)는 저장부(106)에 저장된 콘텐트를 실행시킨다. 이 경우 콘텐트 실행부(102)는 USIM 카드(11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되면 자동으로 콘텐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소정의 주기 예를 들면, 10일 등의 주기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일의 주기는 예시적인 것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콘텐트 실행부(102)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시간에 콘텐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콘텐트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최초 구매시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된 것이나, 콘텐트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콘텐트 제공 서버(130)로부터 다시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301에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유효성 판단부(104)는 장착된 USIM 카드(110)의 고유 번호를 독출한다.
한편, 단계 302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유효성 판단부(104)는 저장부(106)에 저장된 콘텐트의 유효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장착된 USIM 카드(110)가 유효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콘텐트의 유효성 데이터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고유 번호와 휴대용 단말기(100)에 특유한 USIM 카드의 고유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장착되어 있는 USIM 카드(110)의 고유 번호와 유효성 데이터에 포함된 USIM 카드의 고유번호가 다른 경우는 현재 장착되어 있는 USIM 카드(110)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유하다는 의미는 특정 USIM 카드는 특정 휴대용 단말 또는 휴대용 단말들에 사용 가능하며, 또한 특정 휴대용 단말에는 특정 USIM 카드 또는 특정 USIM 카드들만 사용 가능하다는 의미로 정의된다.
단계 303에서, 단계 302의 판단 결과 장착된 USIM 카드(110)가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100)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USIM 카드(110)에 저장된 개인 정보, 예를 들면 통신 사업자와 사용자 패스워드, 로밍 정보, 사용자의 개인 전화번호 등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다.
단계 304에서, 단계 302의 판단 결과 장착된 USIM 카드(110)가 유효하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능 관리부(105)는 휴대용 단말(100)의 각종 기능을 정지시킴으로써, 개인정보에 대한 불법 접근을 방지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텐트 제공서버(130)에 접속하여 USIM 카드(11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분실된 것인지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판단 결과, 즉 분실 또는 도난된 휴대용 단말기임을 출력부(107)를 통해 음향 또는 시각적인 방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판단 결과를 저장부(106)에 미리 저장된 연락처에 근거하여 송수신부(101)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USIM 카드(110)를 구매한 사용자가 콘텐트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다운로드 및 실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USIM 카드(110)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경우 USIM 카드(100)의 유효성 판단하기 위한 콘텐트의 실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5)

  1. USIM 카드가 장착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트로, 상기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
    상기 콘텐트가 실행되면, 상기 장착된 USIM 카드의 고유번호 및 상기 콘텐트에 포함된 유효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를 관리하는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USIM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상기 콘텐트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USIM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특정 시간에 상기 콘텐트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를 음향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IM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9. USIM 카드가 장착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트로 상기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콘텐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콘텐트 실행부;
    상기 콘텐트가 실행되면, 상기 장착된 USIM 카드의 고유번호 및 상기 콘텐트에 포함된 유효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된 USIM 카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기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특유한 USIM 카드를 관리하는 외 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실행부는 상기 USIM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상기 콘텐트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실행부는 상기 USIM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특정 시간에 상기 콘텐트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판단 결과를 음향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소정의 주소로 무선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139758A 2007-12-28 2007-12-28 유심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KR10091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58A KR100917417B1 (ko) 2007-12-28 2007-12-28 유심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58A KR100917417B1 (ko) 2007-12-28 2007-12-28 유심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840A true KR20090071840A (ko) 2009-07-02
KR100917417B1 KR100917417B1 (ko) 2009-09-14

Family

ID=4132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758A KR100917417B1 (ko) 2007-12-28 2007-12-28 유심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998A (ko) * 2014-06-26 2016-01-06 안재희 단말기 부착형 카드삽입기 및 이를 이용한 말더듬 교정 장치
KR20160027824A (ko) *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케이티 유심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70B1 (ko) 2012-10-30 2014-06-05 주식회사 티모넷 분실된 금융 Micro SD의 정보유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001B1 (ko) * 2004-03-26 2006-07-10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정사용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591341B1 (ko) * 2004-10-29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증방법
KR100609705B1 (ko) * 2004-11-04 2006-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im 카드와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0670784B1 (ko) * 2004-11-29 2007-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증용 스마트 카드를 통하여 usim 카드가 장착된휴대용 단말기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998A (ko) * 2014-06-26 2016-01-06 안재희 단말기 부착형 카드삽입기 및 이를 이용한 말더듬 교정 장치
KR20160027824A (ko) * 2014-09-02 2016-03-10 주식회사 케이티 유심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417B1 (ko) 200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71826B (zh) 一种应用程序登录方法、应用程序登录装置及移动终端
EP1766847B1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verifying an electronic signature
CN105447406A (zh) 一种用于访问存储空间的方法与装置
JP2005196776A (ja) 通信端末と通信機器との間の安全なデータ通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160210477A1 (en) System and method of rapid deployment of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application
CN101999125A (zh) 用于增进对访问软件应用的限制性的系统和方法
KR20120099782A (ko) 본인 인증 방법, 본인 인증 시스템 및 휴대형 통신단말기
JP710425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072725A1 (en) Mobile tag reader security system
KR100917417B1 (ko) 유심 카드의 유효성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단말기
JPH10198636A (ja) 個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個人認証方法
CN108989331B (zh) 数据存储设备的使用鉴权方法及其设备和存储介质
CN104796262A (zh) 数据加密方法及终端系统
KR20120058199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JP2008097485A (ja) 携帯端末設定システム、携帯端末設定方法および携帯端末設定プログラム
KR20210011577A (ko) 심툴킷과 애플릿을 이용한 개인 정보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2000096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인증 방법
CN116684156A (zh) 免密登录认证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CN114553573A (zh) 身份认证方法及装置
KR100944246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2189703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06162630B (zh) 一种终端设备的加密防护方法
JP722319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2871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a program, and a device
KR101595009B1 (ko) 모바일 캐시 잔액 차감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