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715A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715A
KR20090071715A KR1020070139588A KR20070139588A KR20090071715A KR 20090071715 A KR20090071715 A KR 20090071715A KR 1020070139588 A KR1020070139588 A KR 1020070139588A KR 20070139588 A KR20070139588 A KR 20070139588A KR 20090071715 A KR20090071715 A KR 2009007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air
container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544B1 (ko
Inventor
구진회
Original Assignee
구진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진회 filed Critical 구진회
Priority to KR1020070139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5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에 장착된 트랩의 폐색을 관통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는 상부로 개방된 용기와, 하부에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트랩을 포함한 본체; 상기 본체의 용기 테두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와 접촉되는 구간에 제 1 밀폐용 띠를 포함하는 변기시트; 및 상기 변기시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변기시트와 접촉되는 구간에 제 2 밀폐용 띠를 포함하는 변기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뚜껑에는 상기 하수관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변기, 압축펌프, 공기 압축수단

Description

좌변기{a chamber pot}
본 발명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에 연결되는 트랩의 폐색을 관통시킬 수 있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좌변기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위생상 유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좌변기에 휴지등 각종 이물질을 투척할 경우, 좌변기에 연결된 하수관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어 하수관을 폐색시키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폐색된 하수관을 관통하기 위해서 통상 사용자는 압축식 관통기를 변기 주변에 비치하여 두고, 상황발생시 이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압축식 관통기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여 외관상 좋지 못할 뿐아니라, 특히 공공장소에서는 보통 압축식 관통기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아 하수관 폐색이 일어날 경우 해당 좌변기를 관리인이 올 때까지 전혀 사용하지 못하여 사용자들이 많은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트랩 관통수단이 부착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부로 개방된 용기와, 하부에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트랩을 포함한 본체;
상기 본체의 용기 테두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와 접촉되는 구간에 제 1 밀폐용 띠를 포함하는 변기시트; 및
상기 변기시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변기시트와 접촉되는 구간에 제 2 밀폐용 띠를 포함하는 변기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뚜껑에는 상기 하수관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수단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공기 압축수단은 수동식 압축펌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펌프는 접이식 압축용기, 상기 압축용기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손잡이 및 상기 압축용기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밀폐용 띠 및 상기 제 2 밀폐용 띠는 폐곡형상의 띠로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공기 압축수단을 덮는 뚜껑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변기시트 또는 변기뚜껑에는 비데노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는 자체적으로 하수관을 관통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 써 화장실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하수관이 폐색되었을 경우에는 언제든지 하수관을 간단히 관통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좌변기는 본체(10), 변기시트(20), 및 공기압축 수단(35)을 구비한 변기 뚜껑(3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부로 개방된 용기형상이며, 하부에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트랩이 구비된 구조로서, 통상의 좌변기와 동일하다.
변기시트(20)는 본체(10)의 상부로 개방된 용기의 테두리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변기 앉을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한다. 도 2는 변기시트의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본체(10)의 테두리와 접촉하는 변기시트(20)의 하부면에는제 1 밀폐용 띠(21)가 구비된다. 제 1 밀폐용 띠(21)는 공기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 고무, 플라스틱등의 재료로서 변기시트(20)의 형상을 따라 폐곡하는 형상으로 하부면의 전체면 또는 일부면에 장착된다.
변기뚜껑(30)은 통상 변기시트(20) 상부에 설치된다. 도 3은 변기뚜껑의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변기시트(20) 상부면과 접촉하는 변기뚜껑(30)의 하부면의 테두리에는 제 2 밀폐용 띠(31)가 구비된다. 제 2 밀폐용 띠(31)도 제 1 밀폐용 띠(21)와 마찬가지로 고무,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서 변기뚜 껑(30)의 테두리를 따라 폐곡하는 형상으로 변기뚜껑(30) 하부면에 장착되며, 그 폭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변기뚜껑(30)에는 통기구가 구비된다. 통기구(354)는 후술할 공기 압축수단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본체(10)의 용기로 이송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이 때, 통기구의 크기 및 갯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4 및 도 5는 변기뚜껑의 상부면 및 공기 압축수단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한다. 변기뚜껑(30)에는 공기 압축수단(35)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공기 압축수단(35)은 외부의 공기를 압축하여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트랩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데, 본 실시예에서 공기 압축수단(35)은 수동식 압축펌프로서, 흡기와 압축시에 용량이 변하는 접이식(자바라식) 압축펌프(35)가 사용되어 있다.
압축펌프(35)는 접이식 압축용기(351), 손잡이(353), 및 공기 흡입구(357)를 포함한다. 이 때, 접이식 압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지렛대식으로 가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흡입구(357)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체크밸브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펌프(35)는 정상적으로 좌변기 사용시에는 이용되지 않는 것이므로, 변기뚜껑(30) 내부에 내장되도록 하고, 이때 펌프를 덮는 뚜껑(359)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와 같이 뚜껑(359)은 접이식 압축펌프의 상면의 일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손잡이(353)는 압축용기(351)에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펌프질을 위해 사용되며 그 형상 및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데, 전술한 뚜껑(359)에 의해 덮히 거나, 덮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평소에는 변기뚜껑에 부착된 손잡이(353)를 잡고 올리더라고 압축펌프(35)가 작동하지 않도록 펌프잠금장치(3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펌프잠금장치(352)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데 손잡이(353)를 특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잠기고, 그렇지 않을 경우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53)를 들어올리더라도 압축펌프만 들려올려지는 것이 아니라, 변기뚜껑(30) 전체가 들려올려져 손잡이(353)가 평소에는 변기뚜껑(30)을 들어올리는 손잡이로 이용될 수 있게 작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작용을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변기(1)의 트랩이 폐색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변기뚜껑에 내장된 압축펌프(35)를 사용한다. 이 때, 손잡이(353)를 올리면 압축용기(351)의 용량이 커지면서 압축펌프(35)의 공기흡입구(357)를 통해서 공기가 흡입되고, 이 공기는 변기의 본체(10)의 용기로 유입된다.(도 6)
다음으로, 손잡이(353)를 내리면 압축펌프(35)의 용량이 작아지면서, 본체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고, 압축된 공기는 변기 본체(10)에 연결된 하수구에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밀어내게 되어, 변기에 연결된 하수구가 뚫리게 된다. 이 때, 압축시 변기뚜껑(30)을 적절한 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변기시트(20)와 변기뚜껑(30)사이로 공기가 새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밀페형 띠(미도시) 및 제2밀폐형 띠(미도시)가 구비된다.(도 7)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 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압축펌프는 설명된 접이식 압축펌프 외에 통상의 수동식 압축펌프나, 자동식 압축펌프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변기시트 및 변기뚜껑은 비데용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변기시트 또는 변기뚜껑에는 비데노즐 등이 부착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시트의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뚜껑의 하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뚜껑의 상부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압축수단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좌변기의 압축수단을 사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동작도.

Claims (6)

  1. 상부로 개방된 용기와, 하부에 하수관으로 연결되는 트랩을 포함한 본체;
    상기 본체의 용기 테두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와 접촉되는 구간에 제 1 밀폐용 띠를 포함하는 변기시트; 및
    상기 변기시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변기시트와 접촉되는 구간에 제 2 밀폐용 띠와, 상기 용기로 연결되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변기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뚜껑에는 상기 하수관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수단을 포함하는 좌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수단은 수동식 압축펌프인 좌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펌프는 접이식 압축용기, 상기 압축용기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손잡이 및 상기 압축용기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는 좌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폐용 띠 및 상기 제 2 밀폐용 띠는 폐곡형상의 띠로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수단을 덮는 뚜껑이 더 구비되는 좌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 또는 변기뚜껑에는 비데노즐이 더 구비된 좌변기.
KR1020070139588A 2007-12-28 2007-12-28 좌변기 KR10097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88A KR100973544B1 (ko) 2007-12-28 2007-12-28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588A KR100973544B1 (ko) 2007-12-28 2007-12-28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715A true KR20090071715A (ko) 2009-07-02
KR100973544B1 KR100973544B1 (ko) 2010-08-02

Family

ID=4132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588A KR100973544B1 (ko) 2007-12-28 2007-12-28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45Y1 (ko) * 2009-08-10 2011-05-16 박상호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102188386B1 (ko) * 2020-03-12 2020-12-08 장용익 변기막힘 해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097Y1 (ko) * 1992-05-20 1994-04-06 권오광 비데의 삽설장착이 가능한 좌변기용 좌판
US5600856A (en) * 1995-10-11 1997-02-11 Kang; Kyung T. Toilet blockage remo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45Y1 (ko) * 2009-08-10 2011-05-16 박상호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102188386B1 (ko) * 2020-03-12 2020-12-08 장용익 변기막힘 해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544B1 (ko) 201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469Y1 (ko) 병뚜껑 구조
CN108065810A (zh) 搅拌机
US8214930B2 (en) Toilet odor removal apparatus
AU2005318887A1 (en) Water trap for sanitary appliances
KR20070009055A (ko)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KR100973544B1 (ko) 좌변기
KR100838406B1 (ko) 막힘 제거장치를 가지는 변기
US20090288246A1 (en) Water Conservation System
KR20150131675A (ko) 철도차량의 급수시스템
US9234339B2 (en) Flush toilet with built-in unclog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66438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clogging a toilet
KR20160118677A (ko) 변기 커버
KR200453545Y1 (ko) 변기압축 기능이 부가된 좌변기
KR101162288B1 (ko) 개폐볼을 이용한 역류 방지 소변기
KR101460508B1 (ko) 절수형 양변기
JP5595851B2 (ja)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KR102251978B1 (ko)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KR102213795B1 (ko) 막힘 제거 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JP2002201690A (ja) 補助封水供給機構を備えたトラップ装置
KR20090005257U (ko) 변기 뚫음 장치
JP3586392B2 (ja) 消防用ポンプ
JP4284270B2 (ja) 消防用ポンプ
JP6327583B2 (ja) 移動式水洗装置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KR100899460B1 (ko) 좌변기용 배출관의 막힘상태 뚫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