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803A -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803A
KR20090070803A KR1020070138933A KR20070138933A KR20090070803A KR 20090070803 A KR20090070803 A KR 20090070803A KR 1020070138933 A KR1020070138933 A KR 1020070138933A KR 20070138933 A KR20070138933 A KR 20070138933A KR 20090070803 A KR20090070803 A KR 20090070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el sheet
coating composition
galvanized steel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486B1 (ko
Inventor
조현수
주재현
이영호
Original Assignee
동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4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22/00Aspects relating to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medium
    • C23C2222/20Use of solutions containing sil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나노실리카 1 내지 5 중량%, 실란 1 내지 5 중량%, 산도 조절제 0.1 내지 1 중량%, 수용성 용제 1 내지 10 중량%, 금속 방청제 0.5 내지 3.0 중량%, 소포제, 평활제 및 실리콘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0.1 내지 0.5 중량%, 및 물 75.5 내지 96.3 중량%를 포함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아연도금 강판, 및 상기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 무기, 코팅, 아연, 도금, 강판

Description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NANO INORGANIC COATING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ZINC COATED STE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에게 유해하지 않으며, 도막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코팅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아연도금 강판, 및 상기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연도금 강판은 내식성 및 내지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유기고분자 단독 또는 무기입자를 함유하는 제품으로 코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연도금강판에 유기고분자를 포함하는 제품을 코팅하게 되면 내식성과 가공성은 좋아지나, 자동차 엔진룸이나 오븐과 같은 전자제품, 주방 인테리어 등에는 열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여 사용에 제한이 있으므로 미처리 또는 크로메이트 처리가 되어 공급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아연도금 강판을 단순 도유처리 또는 크로메이트 처리 하는 방법이 널리 행하여져 왔다. 하지만, 단순 도유의 경우에는 도유된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지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고, 탈지후 내식성과 내약품성 등이 떨어지게 되며, 크로메이트는 환경 및 인체에 위해를 주고 국제적인 규제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이 있으므로 열에 강하면서도 내식성을 위하여 크롬을 사용하지 않는 무기계의 코팅 제품이 요구되어 왔다.
종래의 표면처리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10-2005-0069304에 나노실리케이트와 에폭시 실란을 이용하여 크로메이트된 아연-니켈 강판에 적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전처리로 크로메이트가 되어 있어 유해성이 존재하며 일반 도금강판에 비하여 가격이 비싼 아연-니켈 강판을 사용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04-0026022에는 실리콘 수지와 콜로이달 실리카 및 나노실리케이트와 실리콘 레벨링제를 첨가하여 작업성을 향상하여 크로메이트된 아연계 합금도금강판에 적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기술 역시 크로메이트된 강판에서의 코팅을 특징으로 하므로 유해성이 있으며 건조작업 온도도 200℃ 이상으로 너무 높아서 에너지 효율 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04-0016893에는 아연계 도금강판 표면에 산화물 미립자 및 인산 또는 인산화합물을 함유하는 복합산화물 피막을 형성한 후, 상기 피막 위에 스트레이트 실리콘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표면처리강판이 개시되어있다.  이 기술에서는 크로메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복합산화물 피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환경 유해성에서는 유리하나 이중의 코팅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롬을 포함하지 않아서 작업자에게 유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식성, 내습성, 내열성 등 도막의 물성이 개선된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내식성 및 내열성을 겸비한 고품질의 아연도금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나노실리카 1 내지 5 중량%, 실란 1 내지 5 중량%, 산도 조절제 0.1 내지 1 중량%, 수용성 용제 1 내지 10 중량%, 금속 방청제 0.5 내지 3.0 중량%, 소포제, 평활제 및 실리콘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0.1 내지 0.5 중량%, 및 물 75.5 내지 96.3 중량%를 포함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이 코팅된 아연도금 강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을 0.2~1.0g/m2 의 건조 도 막량으로 아연도금 강판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아연도금 강판의 표면온도가 70~200℃가 되도록 열풍, 유도가열 또는 NIR(Near InfraRed) 방식에 의해 건조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은 크롬을 포함하지 않아서 작업자에게 유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식성, 내습성, 내열성 등 도막의 물성이 개선되어 아연도금 강판 상에 우수한 도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아연도금 강판은 품질이 우수하고 활용도가 높다. 또한, 본 발명의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품질의 아연도금 강판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나노실리카 1 내지 5 중량%, 실란 1 내지 5 중량%, 산도 조절제 0.1 내지 1 중량%, 수용성 용제 1 내지 10 중량%, 금속 방청제 0.5 내지 3.0 중량%, 소포제, 평활제 및 실리콘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0.1 내지 0.5 중량% 및 물 75.5 내지 96.3 중량%를 포함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나노실리카는 콜로이달 형태로 미립화되어 물에 안정화되며, 미 립자의 직경이 5 내지 20nm이며 주요한 작용은 도막의 기본적인 내식성 및 실란의 건조후 점착성을 낮추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 중량% 미만인 경우,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 형성이 어렵고, 강판에 대한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란은 도막의 형성과정에서 나노실리카와의 반응성을 가지며 도막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도막의 경도와 내수성을 향상시켜 내부식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실란은 쉽게 물에 의해 가수분해가 가능하고 알콕시 그룹이 3개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실란의 예로는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 트리메톡시실란, 2-글리시딜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2-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2-우레이도알킬 트리에톡시실란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 중량%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와 결합이 형성되지 않아, 도막의 형성이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후공정에서 열분해로 인한 유기 가스가 배출될 염려가 있으며, 실란올이 잔존하여 도막의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산도 조절제는 실란의 가수분해 과정에서 촉매로 사용되어 실란의 가 수분해 분자량 및 가수분해 구조를 결정하며, 가수분해후 실란과 나노실리카의 제품 저장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산도 조절제로는 아세트산, 포름산, 락틱산, 글리코닉산 등과 같은 유기산과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도 조절제는 강판의 부식을 최소화하면서 실란의 가수분해를 도와주고 가수 분해된 실란의 저장안정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산도 조절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0.1 중량% 미만인 경우, 실란의 가수분해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제조시간이 길어지고 가수 분해된 실란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산에 의한 강판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실란의 가수분해 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반응의 제어가 어렵다.
상기 수용성 용제는 실란의 가수분해 과정에서 실란의 물에 대한 상용성을 향상시켜 가수분해된 실란의 분자량과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제품에서는 코팅 조성물의 강판에 대한 젖음성과 용액의 소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수용성 용제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2-메톡시프로판올, 2-부톡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용제는 실란의 물에 대한 상용성과 가수분해성, 처리제의 강판 젖음성을 향상시키고 도막의 건조속도를 빠르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용성 용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 중량% 미만인 경우, 실란의 물에 대한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실란의 가수분해 반응이 느려질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휘발 성분의 증가로 인한 화재와 폭발의 염려가 있다.
상기 금속 방청제는 도막형성 과정에서의 결함이나, 도막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목적과 가수분해된 실란과 실리카가 건조중에 쉽게 탈수반응이 되도록 하는 촉매로 사용된다.
상기 금속 방청제로는 금속 양이온의 부식을 억제하고 실란과 실리카의 경화를 촉진시켜주는 티타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티타늄 테트라 아이소프로필 옥사이드, 티타늄 테트라 부톡사이드, 티타늄 디-트리에타놀아민, 티타늄 디-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늄 알콕사이드, 티타늄 알카놀아민,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무기계와 유기계의 이종 결합 형태로 존재하는 그룹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티타늄 함유 화합물은 부식환경에서 합금도금강판의 금속 양이온과 이온적으로 결합하여 아연 및 철 성분의 산화를 방지하고 실란과 실리카의 건조 중에 축합 반응을 촉진하여 부식 인자에 대한 도막의 베리어(Barrier)효과를 높여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 방청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0.5 중량% 미만인 경우,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으 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금속에 함유된 화합물에 의하여 내열성 과정에서의 변색이 발생하거나, 가격이 비싸지게 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게 된다.
상기 첨가제는 소포제, 평활제 및 실리콘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분야에서 첨가제로 사용되는 공지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 중에서 소포제는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이 롤코팅으로 도금강판에 코팅되는 과정에서 조성물의 기포를 제거하여 도막 결함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며,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0.0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 중에서 평활제는 도금강판의 조도에 따르는 도막의 균일한 형성을 도우며 도막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0.05 내지 0.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 중에서 실리콘 왁스는 코팅 조성물의 윤활성을 개선하고 도막간의 접착을 방지하며 건조 후 형성된 도막이 내마모성 및 내스크레치성을 가지도록 하여 도막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외력에 의한 결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실리콘 왁스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0.05 내지 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서, 상기 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75.5 ~ 96.3 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다른 구성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조절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이 코팅된 아연도금 강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연도금 강판은 내식성, 내습성, 내열성 등 도막의 물성이 우수하여 품질이 우수하고 활용도가 높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을 0.2~1.0g/m2 의 건조 도막량으로 아연도금 강판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아연도금 강판의 표면온도가 70~200℃가 되도록 열풍, 유도가열 또는 NIR(Near InfraRed) 방식에 의해 건조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건조 도막량의 하한치가 0.2g/m2 미만일 경우 내식성이 떨어지며, 상한치가 1.0g/m2를 초과할 경우 내열성 평가시 크랙(crack) 및 변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온도의 하한치가 70℃ 미만일 경우 소부 건조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으며, 상한치가 200℃를 초과하면 실제 생산시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의 실란과 나노 실리카의 혼합된 조성을 만들어 내는 과정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과 도금강판의 결합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설명된 실란의 가수분해 과정과 가수분해된 실란과 나노 실리카의 혼합 방법 및 혼합 시기를 알 수 있으며, 혼합된 조성이 아연도금 강판에 코팅된 후 어떠한 형태로 표면의 금속과 결합 및 코팅을 형성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비교예 및 이들의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비교예 1 및 2: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의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KBM1003 3 - - 3 -
KBM403 - 4 - - -
KBM503 - - 4 - -
Noruthane 5001(30%) - - - - 20
아세트산(98%) 0.3 - 0.4 0.3 -
인산(85%) - 0.4 - - -
71.0 74.9 73.9 55.0 45.95
SNOWTEX-OUP(고형분 20%) 20 - - 40 20
LUDOX SK(고형분 30%) - 15 - - -
LUDOX SM(고형분 30%) - - 15 - 13.5
메탄올 5 5 5 - -
Tyzor AA75 0.5 - - - -
Tyzor TEA - 0.5 1.5 1.5 0.5
BYK-333 0.05 0.05 0.05 0.05 -
BYK-024 0.05 0.05 0.05 0.05 0.05
BYK-331 0.1 0.1 0.1 0.1 -
합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단위: 중량%)
표 1에서, KBM1003, KBM403 및 KBM 503(이상 제품명, 신에츠사, 일본)은 각각 실란 화합물이고, Noruthane 5001(이상 제품명, 노루페인트, 대한민국)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이다. SNOWTEX-OUP(제품명, 닛산케미컬, 일본), LUDOX SK 및 LUDOX SM(이상 제품명, 그레이스, 미국)은 나노실리카이다. Tyzor AA75과 Tyzor TEA(이상 제품명, DUPONT, 미국)은 티타늄 화합물이고 BYK-333, BYK-024 및 BYK-331(이상 제품명, BYK, 독일)은 각각 소포제, 평활제, 실리콘 왁스이다.
시험예 : 도막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및 2 각각의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을 용융 아연도금 강판에 건조 도막량이 0.2~1.0g/㎡이 되도록 도포하고 도금 강판의 온도가 70~200℃가 되도록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각 도막의 내식성, 내습성 및 내열성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도막의 내식성, 내습성 및 내열성은 다음의 기준에 따라 2단계 평가법(◎: 양호, X: 불량)에 의해 평가하였다.
*내식성: 처리된 시편을 5% NaCl 용액을 35℃의 조건에서 72시간 동안 연속분무시험하여 발청(백청 및 흑청, 적청) 면적 기준 5% 이내일 경우 양호, 5% 이상이면 불량
*내습성: 처리된 시편을 처리된 면이 맞닿도록 하고 10~50kgfcm의 조건으로 압력으로 준 상태에서 50℃, 95%의 습도 조건에서 120시간 동안 유지 후 표면의 색차 변화를 색차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E≤2이면 양호 △E>2이면 불량
*내열성: 처리된 시편을 전기저항 방식으로 1분 이내에 300~400℃로 직접 가열한 후의 색차 변화 기준은 내습성 기준과 같고, 표면의 외관 변화에 갈라짐이 없으면 양호 있으면 불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내식성 X
내습성 X
내열성 X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도막의 내식성, 내습성 및 내열성이 비교예 1 및 2의 일반 도금강판용 피복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도막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기재하였지만,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상기 실시예를 기초로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코팅 조성물에서 실란과 나노 실리카의 혼합 조성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과 아연도금 강판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Claims (10)

  1. 나노실리카 1 내지 5 중량%,
    실란 1 내지 5 중량%,
    산도 조절제 0.1 내지 1 중량%,
    수용성 용제 1 내지 10 중량%,
    금속 방청제 0.5 내지 3.0 중량%,
    소포제, 평활제 및 실리콘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제 0.1 내지 0.5 중량%, 및
    물 75.5 내지 96.3 중량%를 포함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실리카는 콜로이달 형태로 미립화되어 물에 안정화되며, 미립자의 직경이 5 내지 2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코팅 무기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란은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 트리메톡시실란, 2-글리시딜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2-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및 2-우레이도알킬 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도 조절제는 아세트산, 포름산, 락틱산, 글리코닉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용제는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2-메톡시 프로판올, 및 2-부톡시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방청제는 티타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방청제는 티타늄 테트라 아이소프로필 옥사이드, 티타늄 테트라 부톡사이드, 티타늄 디-트리에타놀아민, 티타늄 디-아세틸아세토네이트, 티타늄 알콕사이드, 티타늄 알카놀아민, 및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전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소포제 0.01 내지 0.05 중량%, 평활제 0.05 내지 0.1 중량%, 및 실리콘 왁스의 0.05 내지 0.1 중량%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8 중의 어느 한 항의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 강판.
  10. 청구항 1 내지 8 중의 어느 한 항의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을 0.2~1.0g/m2 의 건조 도막량으로 아연도금 강판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아연도금 강판의 표면온도가 70~200℃가 되도록 열풍, 유도가열 또는 NIR(Near InfraRed) 방식에 의해 건조하는 후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70138933A 2007-12-27 2007-12-27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제조 방법 KR10103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933A KR101032486B1 (ko) 2007-12-27 2007-12-27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933A KR101032486B1 (ko) 2007-12-27 2007-12-27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803A true KR20090070803A (ko) 2009-07-01
KR101032486B1 KR101032486B1 (ko) 2011-05-04

Family

ID=4132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933A KR101032486B1 (ko) 2007-12-27 2007-12-27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18B1 (ko) * 2014-02-05 2014-10-08 한국남부발전(주) 코팅층 및 코팅방법
KR101714934B1 (ko) * 2015-12-24 2017-03-10 주식회사 포스코 방청성이 우수한 Fe-Ni계 합금 금속포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0402A (ja) * 1993-01-25 1994-08-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KR100475408B1 (ko) 1996-12-18 2005-06-07 고려화학 주식회사 코팅용조성물
KR100728468B1 (ko) * 2005-12-30 2007-06-13 동부제강주식회사 고내열 특성이 부여된 크롬프리 무기계 조성물 및 이를코팅한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0816523B1 (ko) 2006-12-29 2008-03-24 (주)디피아이 홀딩스 도금강판용 피복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18B1 (ko) * 2014-02-05 2014-10-08 한국남부발전(주) 코팅층 및 코팅방법
KR101714934B1 (ko) * 2015-12-24 2017-03-10 주식회사 포스코 방청성이 우수한 Fe-Ni계 합금 금속포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486B1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1702B (zh) A non-chromium rust-preventive surface treatment agent for a metal member having a zinc surface, and a metal member having a zinc surface coated with the rust preventive coating
KR101168628B1 (ko) 내식성 도포막을 갖는 부재,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제조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
US8293332B2 (en) Rust-proof pai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ber having a rust-proof coating using the rust-proof paint composition
KR101014740B1 (ko) 비크롬 금속 표면처리제
KR100728468B1 (ko) 고내열 특성이 부여된 크롬프리 무기계 조성물 및 이를코팅한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6502905B2 (ja) 腐食防止コーティング
EP3456862A1 (en) Aqueous anti-rust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and surface-coated metal member
KR102314431B1 (ko) 우수한 내흑변성 및 내알칼리성을 부여하는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용 표면처리 용액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삼원계 용융아연합금 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10323B1 (ko) 수용화 액상 나노세라믹을 함유하는 친환경 수용성 방청코팅조성물
EP1310579B1 (en) Coating material for forming titanium oxide film, method for forming titanium oxide film and use of said coating material
EP3730675B1 (en) Solution composition for surface treatment of steel sheet and steel sheet surface-treated using same
KR20090072234A (ko) 내화학성, 내식성, 윤활성이 우수한 크롬프리 표면처리조성물 및 이를 피복한 내지문 전기아연도금강판의제조방법
KR20180002136A (ko) 불연성 또는 난연성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604B1 (ko) 도금 강판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 조성물
KR101066092B1 (ko) 수용성 방청코팅조성물을 이용한 강재의 표면처리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표면처리된 강재
KR101723329B1 (ko) 수성 친수화 표면 처리제, 친수성 피막 및 친수화 표면 처리 방법
JP2004307897A (ja) シリカ−ジルコニア系皮膜を有する表面処理金属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32486B1 (ko)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아연도금 강판의제조 방법
KR100787737B1 (ko) 내식성 및 분체 도장성 등이 우수한 환경 친화형 합금화용융아연도금 강판 제조 방법 및 그 표면처리 조성물
KR101461755B1 (ko) 내식성 및 내흑변성이 우수한 유무기복합 코팅용액 조성물 및 유무기복합 코팅 강판
KR100816523B1 (ko) 도금강판용 피복 조성물
KR20120128771A (ko) 금속표면처리용 공중합 수지, 이를 포함하는 금속표면처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연계 도금강판
KR101004817B1 (ko) 고내식성 도금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도금강판
KR101126708B1 (ko) 도금 강판용 나노 무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막 형성방법
JPH051517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325

Effective date: 201104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