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751A - 디엠비 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디엠비 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751A
KR20090070751A KR1020070138873A KR20070138873A KR20090070751A KR 20090070751 A KR20090070751 A KR 20090070751A KR 1020070138873 A KR1020070138873 A KR 1020070138873A KR 20070138873 A KR20070138873 A KR 20070138873A KR 20090070751 A KR20090070751 A KR 2009007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information
dmb
lay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서
이문성
정민성
박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해에너지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해에너지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해에너지어링
Priority to KR102007013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0751A/ko
Publication of KR2009007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DMB의 핸드오버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지원 여부에 따라 핸드오버 정보를 달리하여 수행함으로써 고속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DMB 단말기에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를 각 레이어별로 수집하는 제1단계와,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최적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최우선 레이어를 선택하여 해당 레이어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계는, 제1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 기본정보만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2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FIG 기본정보 이외에 옵션으로 제공하는 FIG 부가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3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DMB 단말기에 미리 탑재 저장된 사전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4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현재 DMB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MB, 지상파, 핸드오버, 주파수, 지역, 방송, FIC, FIG, 위치

Description

디엠비 핸드오버 방법{Method for DMB hand-over}
본 발명은 지상파 DMB의 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
지상파 DMB(T-DMB;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ITU-R의 DSB System A(Eureka-147)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으로서, 약 1.5MHz의 대역폭을 갖는 VHF 대역을 통하여, 시속 200km로 고속 주행하는 수신체에서도 비디오 CD급의 화질과 CD급의 스테레오 음질을 수신할 수 있다. 지상파 DMB(T-DMB)는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표준에서 규정한 스트림 양식을 통하여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비디오 압축 데이터, MPEG-4 BSAC(Bit-Sliced Audio Coding) 오디오 압축 데이터, 대화형 데이터 방송을 위한 MPEG-4 BIFS(Binary Format for Scenes) 데이터를 MPEG-4 SL(Sync Layer)와 MPEG-2 TS(Transport Stream)로 다중화한 후, RS(204, 188) 및 길쌈 인터리버에 의한 추가 오류 보호 메커니즘이 적용된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써 방송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지상파 DMB는 휴대폰 단말기 위주로 형성된 위성 DMB와는 달리 차량형 단말기, 전용 단말기, 휴대폰 단말기, PC용 USB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로 보급 되면서 양적 팽창을 가져왔고 시장은 성숙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수도권에 국한되었던 서비스가 지방 방송국의 시험 서비스를 시작으로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어 서비스될 예정이다.
현재의 지상파 DMB는 단일망(SFN; Single Frequency Network)으로서 수도권에서만 한정된 방송을 하고 있으나, 가까운 미래에 전국 방송을 위해서는 광역망(MFN; Multi Frequency Network)으로의 변경이 불가피하다.
그런데, 기존의 단일망(SFN)만을 고려한 기존의 단말기에서는 핸드오버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방송경계를 넘어서게 되면 방송경계 넘어서기 이전에 수신하던 방송을 계속하여 시청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거나, 전혀 다른 방송을 수신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DMB 단말기에 있어서 지역별 시청대역을 넘어선 시청자들에게 연속적인 방송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방송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고속의 정확한 핸드오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방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DMB 단말기에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를 각 레이어별로 수집하는 제1단계와,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최적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최우선 레이어를 선택하여 해당 레이어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계는, 제1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 기본정보만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2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FIG 기본정보 이외에 옵션으로 제공하는 FIG 부가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3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 어지는 경우 상기 DMB 단말기에 미리 탑재 저장된 사전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4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현재 DMB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FIG 기본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0/21(Frequency Information), FIG0/24(OE Services), FIG0/6(Service Linking Information)을 포함하며, 상기 FIG 부가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0/11(Region Definition), FIG1/3(Region Label), FIG2/3(Region Label), FIG0/22(TII Database), FIG1/1(Service Label), FIG2/1(Service Label), FIG1/5(Service Label), FIG2/5(Service Label), FIG1/0(Ensemble Label), FIG2/0(Ensemble Label)을 포함한다.
상기 사전 부가정보는, 방송사, 지역, 주파수, 앙상블 아이디인 EID, 서비스 아이디인 SID, 송출기 식별 정보 리스트인 TII 리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DMB 단말기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DMB 단말기가 제4레이어로 동작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위치정보는, GPS의 경도/위도 정보, TII의 송출기 식별 정보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PS의 경도/위도 정보는, DMB 단말기에 장착된 GPS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를 통해 획득하며, 상기 TII의 송출기 식별 정보는, 현재 방송을 송출하는 송출기에서 송신되는 동기채널(SC)을 통해 획득한다.
상기에서 현재 DMB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은, 현재 DMB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각 지역별 주파수, 서비스가 등록된 핸드오버 테이블로부터 현재 지역에 대응하는 주파수, 서비스를 추출하고, 인접 지역들의 주파수, 서비스를 후보들로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후보들을 대상으로 채널 전환을 수행하여, 상기 후보들 중에서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를 최종 핸드오버 주파수, 최종 핸드오버 서비스로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핸드오버 테이블은, 각 지역별로 앙상블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핸드오버 테이블은,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0/21(Frequency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자동 업데이트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드오버 테이블은, 현재 위치정보를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여 현재 지역의 주파수, 서비스와, 인접 지역의 주파수, 서비스를 다운로드받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역별 시청대역을 넘어선 지상파 DMB 시청자에게 연속적인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하고, 시청자들이 요구하는 방송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단말기에서의 최적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지상파 DMB 서비스의 권역망 구성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지상파 DMB(T-DMB)의 기준이 되는 Eureka-147 전송모드 1인 경우 지상파 단일망(SFN) 또는 광역망(MFN) 구성에 유리하며 주파수 범위는 375MHz이하이고 전송거리는 96Km 이다. 따라서 전국을 다수개의 권역으로 나눠 권역망(MFN)으로 구성할 시에 도 1과 같이 다수개의 단일망(SFN)을 갖는 권역망(MFN)을 구성할 수 있다.
지상파 DMB 핸드오버는 도 1과 같은 다수개의 단일망(SFN)을 갖는 권역망(MFN)으로 구성된 송수신 환경에서 지상파 DMB 서비스를 이용하는 DMB 단말기가 현재의 단일망(SFN)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 다른 단일망(SFN)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기존서비스에 대응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DMB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DMB 단말기에서 지상파 DMB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때 고속의 핸드오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즉, DMB 단말기가 제1단일망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 다른 제2단일망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때, 연속적인 방송 시청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방송채널의 기본적인 FIC 정보 이외에 부가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의 정확한 핸드오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핸드오버 동작 수행 시에 이용되는 정보들 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에 따라 고속의 핸드오버 동작을 위한 4가지 레이어(layer)의 정보들을 도 2에 도시하였는데,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DMB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이러한 4가지 레이어 중에서 가장 고속이고 정확한 최적의 레이어를 최우선 레이어로선택하여, 해당 레이어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을 이용한 핸드오버가 이루어진다.
고속정보채널(FIC)에서 제공하는 FIG 기본정보, FIG 부가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DMB 단말기는 제1레이어 또는 제2레이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DMB 단말기 내에 부가정보가 미리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FIG 기본정보, FIG 부가정보 없이 상기 부가정보만을 이용하는 제3레이어를 통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DMB단말기가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면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제4레이어를 통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따라서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최적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제4레이어로서 동작하고,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면 차순위로서, 사전 부가정보를 이용하는 제2레이어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만약 사전 부가정보도 획득할 수 없다면 그 다음 차순위로서, FIG 부가정보를 이용하는 제2레이어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만약, 고속정보채널(FIC)을 통한 FIG 부가정보도 획득할 수 없다면 FIG 기본정보를 이용하는 기본 레이어인 제1레이어로서 동작하다.
상기 제1레이어는 고속정보채널(FIC)로부터 수신되는 기본정보(mandatory information)를 가지는 FIG(Fast Information Group) 정보들이 이용되어 핸드오버 가 이루어지는 레이어이다. 이하에서는 고속정보채널(FIC)로부터 수신되는 기본정보를 'FIG 기본정보'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제2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의 FIG 기본정보 이외에 FIC채널을 통해 옵션으로 제공되는 부가정보(optional information)인 FIG 정보(이하, 'FIG 부가정보'라 함)들이 함께 이용되어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레이어이다. DMB 단말기는 제1레이어에서 제공하는 FIG 기본정보 이외에 상기 FIG 부가정보도 함께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러한 FIG 부가정보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지상파 DMB(T-DMB)의 기준이 되는 Eureka-147 전송모드 1의 규격에서 부가정보로 정의되어 있는 부분들 중에서 핸드오버를 위하여 옵션으로서 제공 가능한 정보들이다.
상기 제3레이어는 상기 제1레이어, 제2레이어와 달리 FIG 정보(FIG 기본정보, FIG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하지 않고, 제1레이어, 제2레이어의 정보 중 실제 핸드오버에 필요한 정보를 DMB 단말기가 직접 미리 탑재하고 있어 이렇게 탑재된 정보(이하, 사전 부가정보'라 함)들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레이어이다.
상기 제4레이어는 제1레이어, 제2레이어, 제3레이어의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하며, 이들 정보들과 함께 GPS 및 TII 등의 위치정보를 함께 사용하여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레이어이다. 따라서 제4레이어에서는, 제1레이어의 FIG 기본정보, 제2레이어의 FIG 부가정보, 제3레이어의 사전 부가정보들과 함께 위치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고속 및 정확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DMB 단말기는 해당 단말기 종류에 따라 지원 가능한 상기 4가지 레이어 중에 서 어느 하나의 레이어를 선택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레이어의 FIG 기본정보, 제2레이어의 FIG 부가정보, 제3레이어의 사전 부가정보, 제4레이어의 위치정보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지상파 DMB 방송(T-DMB)의 프레임 구조를 도 3과 함께 간단히 살펴본다.
우리나라 지상파 DMB인 T-DMB의 기준이 되는 Eureka-147 프레임 구조는 오디오 서비스(audio Service), 비디오 서비스(Video Service), 데이터 서비스(Data Service) 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24ms 기본 프레임 단위로 다중화하여 전송된다. 전송프레임은 도 3과 같이 동기채널(SC; Synchronization Channel), 고속정보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 주서비스채널(MSC; Main Service Channel)로 구성된다.
상기 동기채널(SC)은 널 심볼(Null symbol)과 위상기준심볼(PRS; Phase Reference Symbol)로 구성되며 송출기 식별 정보인 TII(Transmit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신호가 상기 널 심볼(Null Symbol)에 부과된다. 동기채널(SC)에는 전송모드(Stream mode, Packet mode)와 심볼 및 주파수 동기에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프레임동기, 반송주파수 동기, 채널상태추정, 기본적인 복조기능 등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주서비스채널(MSC)은 오디오 서비스와 비디오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는데 사용한다. 주서비스채널는 24ms의 프레임 단위로 4개의 CIF로 구성되며 한개의 CIF는 55296bit 크기이며, CIF의 가장 작은 단위인 CU(Capacity Unit, 64bit)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속정보채널(FIC)은 서비스정보(SI; Service Information), 고속정보 데이터채널(FIDC; 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다중화 구성 정보(MCI;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수신제한(CA; Conditional Acess)으로 구성된다. 전송모드 1에서 4개의 FIC는 각각 3개의 FIB(Fast Information Block)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FIB 개수는 12개이다. 하나의 FIB는 다수의 FIG( Fast Information Group)를 가지는데, 이러한 FIG에는 FIG 기본정보와 FIG 부가정보가 들어있어 결과적으로 고속정보채널(FIC)을 통하여 DMB 단말기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상기 FIG 기본정보는 DMB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이며, Frequency Information(FIG0/21), OE Services(FIG0/24), Service Linking Information(FIG0/6)이 있다.
상기 FIG 부가정보는 선택적인 사항으로 DMB 서비스 제공 시에 옵션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정보이며, 핸드오버 수행성능을 개선하는데 활용 가능한 보조정보이다. 상기 FIG 부가정보는 Region Definition(FIG0/11), Region Label(FIG1/3, FIG2/3), TII Database(FIG0/22), Service Label(FIG1/1, FIG2/2, FIG1/5, FIG2/5), Ensemble Label(FIG1/0, FIG2/0)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속정보채널(FIC)을 통해 수신되는 제1레이어의 FIG 기본정보, 제2레이어의 FIG 부가정보와, 미리 단말기에 탑재 저장되는 제3레이어의 사전 부가정보, 단말기에서 획득하게 되는 제4레이어의 위치정보의 예시를 설명한다.
< FIG 기본정보 >
- 동일 앙상블, 다른 주파수(FIG0/21)
- 다른 앙상블, 동일 서비스(FIG0/21, FIG0/24)
- 다른 앙상블, 관련 서비스(FIG0/21, FIG0/24, FIG0/6)
상기에서 FIG0/21은 주파수 정보(Frequency Information)로서 DAB 앙상블, FM, AM 서비스가 방송되는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FIG0/24는 OE 서비스로서 SID에 의해 구분되는 특정 서비스와 EID에 의해 구분되는 다른 앙상블간의 링크를 제공하며, FIG0/6은 서비스 링크 정보(Service Linking Information)는 다른 앙상블이나 AM/FM 전송에 관련되는 다른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FIG0/21만 수신될 경우에는 동일 앙상블, 다른 주파수를 나타내며, FIG90/21, FIG0/24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다른 앙상블, 동일 서비스를 나타내며, FIG0/21, FIG0/24, FIG0/6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다른 앙상블, 관련 주파수를 나타낸다.
< FIG 부가정보 >
- Region Definition(FIG0/11)
- TII database(FIG0/22)
상기에서 FIG0/11은 현재 지역(region)과 인접 지역의 주파수만 스캔 가능하 도록 지역 식별자와 송출기 식별 정보(TII) 리스트 간에 관련되는 크로스 레퍼런스(cross reference) 제공에 의한 지리학적인 영역이 정의되어 있으며, FIG0/22는 송출기(TII)와 경도/위도 매핑 정보로서 전체 송출기 식별 정보 리스트인 TII 리스트에 대한 정보이다.
< 사전 부가정보 >
- 방송사, 지역, 주파수, EID, SID, TIIs, 링크 서비스
상기에서 EID는 앙상블 아이디를 나타내며, SID는 서비스 아이디를 나타내며, TIIs는 송출기 식별 리스트를 나타낸다. 동일 서비스는 주 서비스 컴포너트(Primary Service Component)의 콘텐츠가 서로 동일한 서비스로서 동일 서비스들은 동일한 SID를 할당한다. 동일 앙상블은 동일 서비스들로 구성된 앙상블로서, 동일 앙상블들은 동일한 EID를 할당한다.
< 위치정보 >
- GPS의 경도/위도 정보, TII의 송출기 식별 정보 등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지역 주파수, 서비스 정보 획득
상기에서 GPS의 경도/위도 정보는 DMB 단말기에 장착된 GPS 수신기를 통해 현재의 경도/위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TII의 송출기 식별 정보는 동기채널(SC)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MB 단말기가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DMB 단말기는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를 각 레이어별로 수집(S41)한다. 즉, 제1레이어 동작에 필요한 고속정보채널을 통해 FIG 기본정보를 수신하고, 이외에 FIG 부가정보도 함께 전송되어 오면 제2레이어 동작에 필요한 FIG 부가정보도 수신한다. 아울러, DMB 단말기 내에 사전 부가정보가 미리 탑재되어 저장되어 있다면 제3레이어 동작에 필요한 사전 부가정보를 로딩하여 수집한다. 또한, DMB 단말기가 GPS 위성정보나 TII(송출기 식별정보) 등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면 제4레이어 동작에 필요한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그 후, DMB 단말기가 방송 수신하는 도중에 현재의 단일망(SFN)을 벗어나 다른 단일망으로 이동하여 수신 감도가 떨어져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DMB 단말기는 지속적인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최적의 레이어를 선택(S42)하여 해당 레이어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S43,S44,S45,S46)한다.
즉, 현재의 DMB 단말기에서 수집한 정보들 현 상태에서 이용가능한 정보를 가지고서 최적의 레이어를 선택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본 발명과 같이 제1,제2,제3,제4레이어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4레이어가 가장 최적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3레이어, 제2레이어, 제1레이어 순서로 최적의 핸드오버를 구현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경우 제4레이어가 선택(S42d)되며, 만약,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없고 사전 부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면 제3레이어(S42c)가 선택되며, 사전 부가정보도 수집할 수 없다면 FIG 부가정보를 이용하는 제2레이어(S42b)가 선택되며, FIG 부가정보도 없는 경우에는 기본적인 제1레이어가 선택(S42a)되어 동작된다.
이하, 각 레이어별로 핸드오버 수행 시에 이용되는 정보를 설명한다.
(1) DMB 단말기가 제1레이어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S43)에는, DMB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인 FIG 기본정보, 즉, Frequency Information(FIG0/21), OE Services(FIG0/24), Service Linking Information(FIG0/6)를 고속정보채널(FIC)을 통해 수신하여 핸드오버에 이용한다.
(2) DMB 단말기가 제2레이어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S44)에는, FIG 기본정보 이외에 Region Definition(FIG0/11), Region Label(FIG1/3, FIG2/3), TII Database(FIG0/22), Service Label(FIG1/1, FIG2/2, FIG1/5, FIG2/5), Ensemble Label(FIG1/0, FIG2/0) 등과 같은 FIG 부가정보도 함께 수신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러한 FIG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되면 후보 주파수 및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선별 가능하므로 핸드오버 속도가 제1레이어보다 개선된다. 상기 FIG 부가정보는 DMB 서비스 시에 옵션으로 제공되는 정보로서, 만약, 이러한 FIG 부가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DMB 단말기는 제1레이어의 FIG 기본정보만을 통해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3) DMB 단말기가 제3레이어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S45)에는, 고속정보 채널(FIC)을 통해 핸드오버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DMB 단말기 내에 탑재된 사전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제3레이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수신 상태가 불량한 지점에 위치한 수신기나 핸드오버 지점 부근에 위치한 수신기에서는 FIC 채널에서 핸드오버에 필요한 정보를 완전히 수신하기 전에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에, 위치나 상황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핸드오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와 같이 A앙상블로 구성된 A지역에서 B앙상블로 구성된 B지역으로 DMB 단말기의 이동이 있어 핸드오버가 발생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제3레이어의 사전 부가정보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설명한다.
A지역에 구성된 A앙상블(U KBS)의 EID는 OxE044를 가지고, 제공하는 서비스 SID는 U KBS Star의 SID로서 OxF1E00441를 갖고, U KBS Heart의 SID로서 OxF1E00442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한, B지역에 구성된 B앙상블(U KBS)의 EID는 OxE043를 가지고, 제공하는 서비스 SID는 U KBS star의 SID로서 OxF1E00441, U KBS Heart1의 SID로서 OxF1E00443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A지역에서 B지역으로 DMB 단말기가 이동할 경우, EID는 OxE044에서 OxE043으로 변경되어야 하고, A지역의 U KBS star(Ox1E00441)는 B지역의 U KBS star(OxF1E00441)과 핸드오버가 이루어져야 하며, A지역의 U KBS Heart(OxF1E00442)는 B지역의 U KBS Heart1(OxF1E00443)과 핸드오버가 이루어져야 한다.
DMB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SID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핸드오버될 해 당 지역별 EID, SID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제3레이어의 핸드오버 동작 시에는 이러한 정보들을 고속정보채널(FIC)을 통해 수신하지 않고 단말기 내에 미리 탑재 저장된 도 6과 같은 사전 부가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이다.
(4) DMB 단말기가 제4레이어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경우(S46)에는, 제1레이어의 FIG 기본정보, 제2레이어의 FIG 부가정보, 제3레이어의 사전 부가정보 이외에 위치정보를 별도로 수신하여 이를 함께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진행한다.
고속정보채널(FIC)을 통해 핸드오버 정보를 수신하는 제1레이어 및 제2레이어, 사전 부가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는 제3레이어는 핸드오버가 가능한 후보 주파수 및 서비스가 많은 경우에도 스캔 우선 순위 지정이 불가능하므로 순차적으로 스캔할 수 밖에 없다. 즉, A지역(서울)에서 B지역(충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2레이어나 제3레이어에서는 지역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제주도 지역의 주파수를 스캔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GPS수신기를 이용하여 경도/위도 좌표를 알 수 있거나 송출기 식별 정보인 TII 수신이 가능한 DMB 단말기는 현재 지역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4레이어로 핸드오버 동작하여, 제2레이어 또는 제3레이어와 함께 사용되어 핸드오버 후보 주파수, 서비스를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GPS의 경도/위도나 TII의 송출기 식별 정보 등의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제4레이어로 핸드오버 동작할 경우, GPS, TII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Region ID를 추출할 수 있고, 이러한 Region Id를 이용하면 FIG0/21에서 핸드오버 후보 주파 수를 압축하여 추출할 수 있으므로 모든 레이어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지는 핸드오버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4레이어로 동작할 경우, 제2레이어나 제3레이어 정보가 없는 경우에도 통신망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GPS의 경도/위도, TII의 송출기 식별 정보 등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통신 채널을 통해 핸드오버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지역의 신규 주파수 정보, 서비스 정보 등의 핸드오버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4레이어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신 품질이 좋은 주파수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먼저, 위치정보를 획득(S71)해야 하는데, GPS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도/위도 좌표를 가지고 현재 DMB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을 식별하며, TII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TII(동기채널을 통하여 현재 방송을 송출하고 있는 송출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DMB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을 식별한다.
그 후, 도 8과 같은 핸드오버 테이블을 호출(S72)하여 현재 위치 및 인접 지역에 해당하는 핸드오버 정보(주파수, 서비스)를 추출하여 후보 주파수, 후보 서비스를 추출(S73)한다. 상기 핸드오버 테이블은, 각 지역별로 앙상블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로서, 두 가지 방식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드오버 테이블은,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0/21(Frequency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자동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또한, 만약, FIG0/21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 위치정보를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여 현재 지역의 주파수, 서비스와, 인접 지역의 주파수, 서비스를 통신망으로부터 다 운로드받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핸드오버 정보에서 현재 지역 주파수, 서비스에 대응하는 인접 지역 주파수, 서비스를 후보들로 추출(S73)한 후, 상기 추출한 후보들을 대상으로 채널 전환 시도(S74)를 한다.
추출한 후보들에 대한 채널 전환을 시도(S74)하여, 수신품질이 가장 우수하고 현재 채널보다 수신 품질이 좋은 후보를 최종 핸드오버 주파수, 최종 핸드오버 서비스로 최종 결정(S75)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지상파 DMB 서비스의 권역망 구성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핸드오버 동작 수행 시에 이용되는 정보들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지상파 DMB 방송(T-DMB)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MB 단말기가 핸드오버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각 지역별 앙상블 구성된 경우 핸드오버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전 부가정보의 테이블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4레이어로 핸드오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버 테이블을 도시한 그림이다.

Claims (13)

  1. DMB 단말기에 핸드오버를 위한 정보를 각 레이어별로 수집하는 제1단계;
    핸드오버가 필요한 경우 최적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최우선 레이어를 선택하여 해당 레이어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는,
    제1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 기본정보만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2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FIG 기본정보 이외에 옵션으로 제공하는 FIG 부가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3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DMB 단말기에 미리 탑재 저장된 사전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제4레이어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경우 현재 DMB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IG 기본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0/21(Frequency Information), FIG0/24(OE Services), FIG0/6(Service Linking Inform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IG 부가정보는,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0/11(Region Definition), FIG1/3(Region Label), FIG2/3(Region Label), FIG0/22(TII Database), FIG1/1(Service Label), FIG2/1(Service Label), FIG1/5(Service Label), FIG2/5(Service Label), FIG1/0(Ensemble Label), FIG2/0(Ensemble Lab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부가정보는, 방송사, 지역, 주파수, 앙상블 아이디인 EID, 서비스 아이디인 SID, 송출기 식별 정보 리스트인 TII 리스트를 포함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MB 단말기에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DMB 단말기가 제4레이어로 동작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GPS의 경도/위도 정보, TII의 송출기 식별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GPS의 경도/위도 정보는, DMB 단말기에 장착된 GPS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를 통해 획득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TII의 송출기 식별 정보는, 현재 방송을 송출하는 송출기에서 송신되는 동기채널(SC)을 통해 획득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제4레이어에서 현재 DMB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은,
    현재 DMB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각 지역별 주파수, 서비스가 등록된 핸드오버 테이블로부터 현재 지역에 대응하는 주파수, 서비스를 추출하고, 인접 지역들의 주파수, 서비스를 후보들로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후보들을 대상으로 채널 전환을 수행하여, 상기 후보들 중에서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후보를 최종 핸드오버 주파수, 최종 핸드오버 서비스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테이블은, 각 지역별로 앙상블 아이디, 서비스 아이디, 주파수가 저장되어 있는 DMB 핸드오버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테이블은, 고속정보채널(FIC)를 통해 수신되는 FIG0/21(Frequency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자동 업데이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테이블은, 현재 위치정보를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여 현재 지역의 주파수, 서비스와, 인접 지역의 주파수, 서비스를 다운로드받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MB 핸드오버 방법.
KR1020070138873A 2007-12-27 2007-12-27 디엠비 핸드오버 방법 KR20090070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73A KR20090070751A (ko) 2007-12-27 2007-12-27 디엠비 핸드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73A KR20090070751A (ko) 2007-12-27 2007-12-27 디엠비 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751A true KR20090070751A (ko) 2009-07-01

Family

ID=4132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873A KR20090070751A (ko) 2007-12-27 2007-12-27 디엠비 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07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18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ocating programs after relocation
KR100743598B1 (ko) 전송 파라미터 정보
US8331849B2 (en) Method for service management
CN102907086B (zh) 接收装置
KR100871236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CN100471281C (zh) 提供广播业务的方法以及使用其的广播接收机
EP1742394A2 (en) Receiver for receiving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DMB) using an imaginary channel to receive broadcast services
US20070174884A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providing service number information
CN103493477A (zh) 接收装置
US8055220B2 (en) Broadcast receiver for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KR20080049015A (ko) 다수의 송신 영역이 존재할 때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프로그램의 이동 획득을 위한 방법
US20080316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Using an Interactive Channel in a Dvb-H Cbms System
KR20090070751A (ko) 디엠비 핸드오버 방법
JP2004282350A (ja) 携帯型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EP2120375A2 (en) Method for Providing Area-Based Broadcasting Service Using Digital Mutlimedia Broadcast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rea-Based Broadcasting Service according to the same
KR100979563B1 (ko) 지역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0942808B1 (ko) 도로 구간별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핸드 오버 방법 및 시스템
KR100987001B1 (ko) 방송 채널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송정보 제공장치 및 이를 구비한 dmb 단말기, 이를 이용한 방송정보 제공방법
KR20080007736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
KR10120119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지역 기반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에 따른 지역기반 방송서비스 수신 장치 및그 방법
KR100753516B1 (ko)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채널 관리 방법 및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101378783B1 (ko) 이동형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방송서비스의 정합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방송서비스 정합 핸드오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07001640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자동 채널 설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