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438A - Battery attach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attach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0438A KR20090070438A KR1020070138453A KR20070138453A KR20090070438A KR 20090070438 A KR20090070438 A KR 20090070438A KR 1020070138453 A KR1020070138453 A KR 1020070138453A KR 20070138453 A KR20070138453 A KR 20070138453A KR 20090070438 A KR20090070438 A KR 200900704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link
- main body
- battery cover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배터리 커버를 본체에 보다 견고하고 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배터리 탈착 장치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detachable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which can be more firmly and conveniently mounted on the main body by using a link structure.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 Assistants : PDA), 스마트 폰 (Smart Phone), 차세대 휴대 단말기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 한다.Generally, a mobile terminal is a personal mobile terminal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ersonal Digita Assistants: PDA), a smart phone (Smart Phone), a next-generation mobile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and It refers to a terminal that can use wireless communication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while being carried by an individual such as a WLAN terminal.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시스템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배터리는 배터리 커버에 의해 본체에 고정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커버의 결합장치에는 배터리 커버가 본체의 배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며, 배터리 커버 상단부에는 후크형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본 체에는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공이 형성되어 후크와 후크 삽입공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Such a mobile terminal must be provided with a battery so as to supply a stable power to the system, the battery is fixed to the main body by a battery cover. In general, a battery cover coupling device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main body by a sliding method, a hook-shape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cover, and a hook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main body.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sertion hole is coupled.
그러나 이와 같은 후크와 후크 삽입공의 결합구조는 작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체결력이 약화되고, 사용자가 느끼는 작동감 또한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ook and the hook insertion hol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tightening force is weakened as the number of operations increases, and the operation feeling felt by the user is also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종래의 배터리 커버 결합구조는 휴대 단말기가 바닥에 떨어졌을 경우 본체로부터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배터리 커버를 잃어버리거나 심지어 배터리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battery cover coupling structure, the battery cover and the battery ar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dropped on the floor, so that the battery cover may be lost or even the battery may be lost.
그리고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위성 또는 공중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기능을 포함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DMB 등의 시청 시, 휴대 단말기를 바닥에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요구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거치대를 따로 구매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e a trend of including a reception function of satellite or airborn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ccordingly, when viewing DMB or the like, a cradle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on the floor is required, and a user has to purchase a cradle separately as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배터리 커버를 보다 견고하고 편하게 장착 시키는 배터리 탈착 장치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detaching apparatus for mounting a battery cover more firmly and comfortably on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등을 시청 시, 휴대 단말기를 지면에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로도 활용이 가능한 배터리 탈착 장치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detachable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which can be used as a holder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on the ground when a user watches a DMB or the lik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배터리 수납홈에 배터리를 탈착하는 배터리 탈착 장치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탈착 장치는 상기 배터리 수납홈을 덮으며,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와,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서 접철 가능하게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detaching device for detaching the battery in the battery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he battery detachment device includes a battery cover covering the battery accommodating groove, the battery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t least one link member foldably inter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battery cover.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커버가 링크부재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본체에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배터리 커버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하는 배터리 커버 및 배터리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치 카세트를 여닫는 것처럼 편하게 배터리 커버를 여닫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를 여닫을 시에 느끼는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ttery cover is more firmly fixed to the main body by the link member, the battery cover and the battery generat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Since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battery cover as easily as opening and closing the casset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on feeling that the user feels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battery cove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탈착 장치는 배터리 커버와 링크부재를 이용하여 본체의 지지대로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DMB 등의 동영상을 시청할 때 별도로 거치대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detach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upport of the main body by using the battery cover and the link member, the user can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install a cradle when watching a video such as a DMB.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mmunicate withou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탈착 장치(400)를 갖는 휴대 단말기(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면(113)에 배터리 수납홈(115)이 형성된 본체(100)와, 배터리 수납홈(115)에 설치되어 배터리 수납홈(115)에 배터리(500)를 탈착하는 배터리 탈착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배터리 탈착 장치(400)는 배터리 커(200)버와 링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터리 커버(200)는 배터리 수납홈(115)을 덮으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부재(300)는 본체(100)와 배터리 커버(200) 사이에서 접철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가 개재된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nd 7, the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링크부재(30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wo
본체(100)는 제1 면(111)과, 제1 면(111)에 반대되는 제2 면(113)을 가지며, 제2 면(113)에는 배터리 수납홈(115) 및 가이드홈(1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 수납홈(115)에 근접하게 후크부(120)가 설치되어 있다.The
가이드홈(117)은 배터리 수납홈(115)의 상단에 근접한 일정영역을 절개하여 형성된다.The
후크부(120)는 가이드홈(117)을 따라 일정거리로 왕복 이송되는 슬라이더(121)와, 슬라이더(121) 측면에서 배터리 수납홈(115)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123)를 구비한다. 따라서 슬라이더(121)가 가이드홈(117)을 따라 이송될 때 후크돌기(123)도 슬라이더(121)와 일체로 배터리 수납홈(115) 상단에서 함께 이송된다. 또한 슬라이더(121)가 가이드홈(117)을 따라 일정거리로 이송된 후, 슬라이더(121)가 이송 전을 위치로 자동 복귀 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121)의 복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본체(100)는 제1 면(111)에 표시부(121)와 입력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2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통상의 표시장치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특히 이때는 위성 또는 공중파 DMB 등과 같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입력부(123)는 키패트(keypad), 터치패드(touchpad), 조그(jag) 등과 같은 통사의 입력장치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조작행위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한다.The
배터리 커버(200)는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배터리 이탈방지턱(215), 배터리 고정측벽(217), 체결홈(220), 탄성부재(230), 본체 단자((240) 및 제1 힌지축(250)을 구비한다.The
그리고 링크부재(300)는 본체(100)와 배터리 커버(200) 사이에서 접철 가능하게 개재되며, 제1 링크(311), 제2 링크(313), 고정판(315) 및 스토퍼(3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200)는 본체(100)로부터 일정각으로 회전된 후, 링크부재(300)에 의해 본체(100)와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와 배터리 커버(200)는 링크부재(300)를 매개로 보다 안정적으로 상호 결합된다.The
특히 배터리 커버(200)는 제1 면(211)과, 제1 면(211)에 반대되는 제2 면(213)를 갖는다.In particular, the
배터리 고정측벽(217)은 배터리 커버(200) 제1 면(211)의 하단과 하단에 이웃하는 양 측단에 거쳐 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battery fixing
배터리 이탈방지턱(215)은 배터리 커버(200)의 상단에서 배터리 고정측벽(217)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battery
배터리 커버(200)는 배터리 고정측벽(217)과 배터리 이탈방지턱(215) 사이에 형성되는 배터리 안착공간(219)을 가진다. 배터리 안착공간(219)은 배터리(400)를 안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배터리(500)의 하단과 측단은 배터리 고정측벽(217)에 의해 고정되며, 상단은 배터리 이탈방지턱(215)에 의해 고정된다.The
제1 힌지축(250)은 배터리 커버(200)의 양측 하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본체(100)의 하단 즉 배터리 수납홈(115)의 하단에 결합되어 배터리 커버(200)가 본체(100)로부터 회전되기 위한 중심축이 된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200)는 제1 힌지축(25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배터리 수납홈(115)을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The
체결홈(220)은 배터리 커버(200)의 제2 면(113) 상단에 구비되며, 배터리 커버(200)가 본체(100)의 배터리 수납홈(115)을 덮을때, 본체(100)의 후크돌기(123)와 결합되어 본체(100)로부터 배터리 커버(200) 상단을 결속시킨다.The
탄성부재(230)는 일단이 배터리 커버(200) 하단에 장착되고, 타단이 배터리 수납홈(115)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배터리 커버(200)와 배터리 수납홈(115)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부재(230)는 판스프링이 사용 될 수 있으며, 배터리 커버(200)가 배터리 수납홈(115)으로부터 개폐시에 배터리 커버(200)에 탄성을 부여한다.One end of the
본체 단자(240)는 배터리(500)의 배터리 단자(미도시)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배터리(500)는 휴대 단말기(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통상적인 리튬이온 전지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고정판(315)은 배터리 커버(200)의 양측면에 2개가 한쌍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The
제1 링크(311)는 2개를 한쌍으로 하여 고정판(315) 각각에 서로 대칭되게 연결되고, 고정판(315)과 제1 링크(311)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중첩되는 일정 영역에 제2 힌지축(321)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링크((311)는 고정판(315)으로부터 제2 힌지축(32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제2 링크(313)는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일측 끝단이 배터리 커버(200)와 대응되는 배터리 수납홈(115)의 양측면에 제3 힌지축(323)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2 링크(313)는 제3 힌지축(323)을 중심으로 하여 배터리 수납홈(115)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 될 수 있다.The
제4 힌지축(325)은 제1 링크(311)의 타측 끝단과 제2 링크(313)의 타측 끝단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313)는 제4 힌지축(325)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되는 각으로 회전되어, 접철 및 전개 될 수 있다.The
그리고 제2 힌지축(321), 제3 힌지축(323) 및 제4 힌지축(325)으로는 리벳이 사용 될 수 있다.In addition, rivets may be used as the
특히 제1 링크(311)의 타측 끝단과 제2 링크(313)의 타측 끝단이 연결되는 일정 영역에는 스토퍼(330)가 형성된다. 스토퍼(330)는 배터리 커버(200)가 본체(100)로부터 일정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200)와 본체(100)의 사이각이 유지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배터리 커버(200)와 본체(100)를 상호 지지한다.In particular, the
스토퍼(330)는 제4 힌지축(325)에 근접한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313)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31)와 고정턱(335)을 구비한다. 고정돌기(331)는 제1 링크의 끝단에 형성되며, 제1 링크(311)의 측면에서 제2 링크(313)의 측면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반구 형태를 갖는다. 고정턱(335)은 고정돌기(331)에 대응되게 제2 링크(313)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고정돌기(331)에 결착된다. 따라서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313)가 전개 시, 고정돌기(331)와 고정턱(335)의 결착으로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313)의 사이각은 180도 내에서 구속된다.The
사용자가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313)를 접고자 할 때에는, 고정돌기(331)가 형성되는 측에서 고정돌기(331)가 형성되는 반대 측으로 가압하여,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313)를 "Y'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을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331)는 제1 링크(311)와 일체로 하여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313)가 접하는 면을 거쳐 회전된다.When the user wants to fold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탈착 장치(400)를 갖는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 탈착 방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battery detachment method of the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배터리 커버(200)를 일정각으로 회전시켜 배터리 수납홈(115)을 개방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이때 배터리 커버(200)는 배터리 커버(200)의 양측면과 배터리 수납홈(115)의 양측면에 개재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300)에 의해서 지지된다. 링크부재(300)는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가 제4 힌지축(325)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되어 전개된 상태이며, 스토퍼(3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본체(100)의 제2 면(113)에 구비되는 배터리 수납홈(115)이 개방되고, 배터리 커버(200)의 배터리 고정측벽(217)과 배터리 이탈방지턱(215) 사이에 형성되는 배터리 안착공간(219)이 외부로 노출된다. Accordingly, the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500)를 배터리 안착공간(219)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500)는 그 하단과 측단이 배터리 고정측벽(217)에 의해 고정되고, 상단이 배터리 이탈방지턱(215)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본체 단자(도 4의 240)는 배터리(500)의 배터리 단자(미도시)와 접촉하여 전기적으 로 연결된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user may seat the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00)를 본체(100) 쪽으로 이동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배터리 수납홈(도 5의 115)에 배터리(도 5의 500)를 결합한다.Next, the user moves the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링크부재(300)를 "Z" 방향으로, 즉 링크부재(300)에 스토퍼(330)가 설치되는 측에서 스토퍼(330)가 설치되는 반대 측으로 가압하여, 스토퍼(330)의 기능을 해지시킬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user presses the
이와 같이 사용자가 링크부재(300)를 "Z"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제1 링크(311)와 제2 링크(313)가 점차 접철됨과 동시에 배터리 커버(200)는, 배터리 커버(200)와 본체(100)의 사이각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배터리 수납홈(115)을 덮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이때 사용자는 슬라이더(121)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직선상에 정렬되는 체결홈(220)과 슬라이더(121)에서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123)를 결합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00)가 본체(100)에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user moves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 탈착 장치(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7, the
즉 배터리 커버(200)는 본체(100)에 일정각으로 회전된 상태이며, 제2 면(213)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이다. 본체(100)는 지면에서 일정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100)와 배터리 커버(200) 사이에 개재되는 링크부재(30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이다. 배터리 커버(200)와 본체(100)의 사이각은 20도 내지 90도 정도가 적 당하다. 이는 배터리 커버(200)와 본체(100)의 사이각이 20도를 넘지 않을 경우에는, 배터리 커버(200)와 본체(100)의 개방 영역이 너무 협소하여 배터리 커버(100)에 배터리(500)를 안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배터리 커버(200)와 본체(100)의 사이각이 90도를 넘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배터리 커버(200)에 비해 본체(100)가 무겁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10)의 무게 중심이 본체(100)의 제1 면(111)으로 치우쳐 휴대 단말기(10)가 넘어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200)와 본체(100)의 사이각이 90도를 넘을 경우, 표시부(121)를 통하여 영상을 시청하기가 불편하다.That is, the
사용자는 표시부(121)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을 시청 하고자 할 때, 배터리 커버(200)를 펼친 후 배터리 커버(200)의 제2 면(213)이 지면에 닫게 내려놓고, 링크부재(300)를 활용하여 본체(100)를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를 들고 시청하는 데에 따른 피로감을 덜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용 거치대를 따로 구비해야하는 불편함과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When the user wants to watch a video provided from the
지금까지 실시예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탈착 장치(400)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구조를 이용한 배터리 탈착 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battery detachment apparatus using a lin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탈착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detachment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도 4는 배터리 커버가 본체로부터 일정각으로 회전되어 이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ove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way from the main body.
도 5는 배터리 커버에 배터리가 탑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is mounted on a battery cover.
도 6은 배터리 커버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cover is coupled to a main bod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탈착 장치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using a battery detachmen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휴대 단말기 100 : 본체10: mobile terminal 100: main body
115 : 배터리 수납홈 120 : 후크부115: battery receiving groove 120: hook portion
121 : 표시부 123 : 입력부121: display unit 123: input unit
200 : 배터리 커버 215 : 배터리 이탈방지턱200: battery cover 215: battery separation bump
217 : 배터리 고정측벽 219 : 배터리 안착공간217: battery fixing side wall 219: battery seating space
300 : 링크부재 311 : 제1 링크300: link member 311: first link
313 : 제2 링크 315 : 고정판313: second link 315: fixed plate
300 : 스토퍼 400 : 배터리 탈착 장치300: stopper 400: battery removal device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8453A KR20090070438A (en) | 2007-12-27 | 2007-12-27 | Battery attach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38453A KR20090070438A (en) | 2007-12-27 | 2007-12-27 | Battery attach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0438A true KR20090070438A (en) | 2009-07-01 |
Family
ID=4132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38453A KR20090070438A (en) | 2007-12-27 | 2007-12-27 | Battery attach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70438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802B1 (en) * | 2007-09-05 | 2014-07-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Battery cover opening/closing device for electronic appliances |
KR102358279B1 (en) * | 2021-08-04 | 2022-02-08 | 장승재 | Foldable hand grip for mobile terminal |
-
2007
- 2007-12-27 KR KR1020070138453A patent/KR2009007043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802B1 (en) * | 2007-09-05 | 2014-07-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Battery cover opening/closing device for electronic appliances |
KR102358279B1 (en) * | 2021-08-04 | 2022-02-08 | 장승재 | Foldable hand grip for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6852B1 (en) | Construction of a mobile device | |
JP2711784B2 (en) | Battery pack charger | |
JPH1130226A (en) | Folding type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US20130069381A1 (en) | Carrying case | |
EP1610420A2 (en) |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
CN114205430B (en) |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foldable electronic equipment | |
KR20140029824A (en) | Cover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 |
US6215985B1 (en) | Mobile communicator | |
EP2165420A2 (en) | Step hing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 |
KR20090070438A (en) | Battery attach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CN114844964A (en) | Shell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100741013B1 (en) | Swing Type Cellular Phone | |
CN101123628B (en) |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 |
KR20150139158A (en) | Display device estabi cellular phone | |
WO2009045033A2 (en) | Swing hinge for use in radio telephone | |
KR100807722B1 (en) | Slide hinge for hand-held device | |
US20060007665A1 (en) | Desktop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US20040253132A1 (en) | Crad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CN214045066U (en) | Support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device | |
WO2008136613A1 (en) | Hinge module for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 |
KR20060010166A (en) | Ability assistance type complex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2291149B1 (en) |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 |
KR200419350Y1 (en) | A terminal protection case of a folder and flip type cellular phone | |
KR20090079269A (en)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 |
KR20020010027A (en) | Battery cover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