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437A -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437A
KR20090070437A KR1020070138452A KR20070138452A KR20090070437A KR 20090070437 A KR20090070437 A KR 20090070437A KR 1020070138452 A KR1020070138452 A KR 1020070138452A KR 20070138452 A KR20070138452 A KR 20070138452A KR 20090070437 A KR20090070437 A KR 20090070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ll
communication
user
p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균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0437A/ko
Publication of KR2009007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04B1/406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with more than one transmission mode, e.g. analog and digital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04M1/215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by non-intrusive coupling means, e.g. acoustic couplers
    • H04M1/2155Acoustic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모드와 유선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접속되는 유선통신모드로 동작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 가능한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송신신호를 유선전화망에 출력하고, 상기 유선전화망의 호를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통신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 방법{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HROUGH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이동통신모드와 유선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접속되는 유선통신모드 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통신 서비스 이용자는 DCS(Digital Communications Services)/PCS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등의 이동통신망 및 공중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다. 즉, 가정과 사무실 등 실내에서는 통화품질이 양호하고 통화료가 저렴한 PSTN 단말기(일반 전화기 또는 모뎀)를 이용하고, 외출시에는 휴대가 간편한 이동 단말기(핸드폰)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처럼 대부분의 통신 서비스 이용자 서로 다른 통신망과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단말기를 구비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 접속이 모두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 가능한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송신신호를 유선전화망의 베이스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베이스 장치에 수신된 호를 통신 단말기로 출력하는 통신 중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을 모두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댁내에서 사용중인 디지털 무선 전화기(Digital Cordless Phone)의 베이스 장치(Base Station)에 통신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므로 별도의 단말기를 구비할 필요없게 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와 DCP(Digital Cordless Phone)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발신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착신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유선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의 통신을 위한 DCP(digital cordless phone) 시스템(System)은 베이스 장치(100)와 베이스 장 치(1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DCP 단말기(110A, 110B)를 포함한다. 베이스 장치(100)는 다수의 DCP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유선전화망으로 출력하고(S150), 유선전화망으로부터 호(Call)를 수신하여 출력한다(S210). DCP 단말기는 1.7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베이스 장치로 단말기 송신신호를 출력하고, 베이스 장치로부터 호를 수신받는다.
통신 단말기(200)는 이동통신모드 및 유선통신모드 운용이 가능하다. 이동통신모드는 이동통신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동통신모듈은 보코더(212), 디코더(213) 및 무선 RF모뎀을 포함한다. 보코더(vocoder)(212)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음원 부호화하여 압축된 송신 음원신호를 형성하고, 디코더(decoder)(213)는 수신 음원신호를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도 1에서 마이크 및 스피커는 생략되었다. 통신 단말기(200)는 이동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RF 모뎀(211)을 통해 송신 및 수신 음원신호를 송수신하여 이동통신모드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은 상기한 이동통신모드 외에 유선통신모드를 제공한다. 유선통신모드는 유선통신모듈을 통해 이루어지며, 유선통신모듈은 PCM(pulse code modulation) 송신기(222), PCM 수신기(223) 및 접속부(221)를 포함한다.
PCM 송신기(222)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하여 PCM 송신신호를 형성하고(S120), PCM 수신기(223)는 PCM 수신신호를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S250). 통신 단말기(200)는 평상시 이동통신모드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240)를 통하여 유선통신모드를 설정하면, 스위칭부(125)의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접속부(126)를 통해 PCM 송신 및 수신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S110).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부는 24핀 커넥터(connector),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port)등 각종 연결단자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통신 중계 장치(300)는 통신 단말기(200)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베이스 장치(100)와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다. 통신 중계 장치는 통신 단말기의 PCM 송신신호를 베이스 장치(100)를 통해 유선전화망에 출력하고, 유선전화망의 호를 통신 단말기로 출력한다. 통신 중계 장치(300)는 제어부(310), 무선통신부(320), 스피커(330) 및 LED(Light Emitting Diode)(340)를 포함한다.
제어부(131)는 통신 단말기(200)에서 PCM 송신신호를 입력받아 유선전화망(PSTN)에서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 송신신호로 변환한다(S130). 그리고, 베이스 장치(100)로부터 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호 수신을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와 호를 변환하여 통신 단말기(200)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의 PCM 수신 신호를 형성한다(S230). 이를 위해, 통신 단말에는 단말기 송신신호 변환 및 제어신호와 PCM 수신신호 형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software)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32)는 변환된 단말기 송신신호를 베이스장치(100)로 출력하고(S140), 베이스 장치(100)의 호(Call)를 수신한다(S220).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부는 1.7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로 구현되어 베이스 장치(100)와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스피커(330)와 LED(Light Emitting Diode)(340)는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소리와 빛을 이용하여 호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240).
통신 중계 장치(300)가 부착된 통신 단말기(200)는 DCP 단말기로 인식되어 베이스 장치(100)에 등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설정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설정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와 DCP(Digital Cordless Phone)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발신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착신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베이스 장치
110A, 110B: DCP 단말기
200: 통신 단말기
210: 이동통신모듈
211: 무선 RF 모뎀
212: 보코더
213: 디코더
220: 유선통신모듈
221: 접속부
222: PCM 송신기
223: PCM 수신기
230: 스위칭부
240: 사용자 인터페이스
300: 통신 중계 장치
310: 제어부
320: 무선통신부
330: 스피커
340: LED (Light Emitting Diode)

Claims (11)

  1. 베이스 장치로부터 단말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유선전화망 및 이동통신망과 통화 가능한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이동통신모듈;
    유선 전화망으로 전달될 송신신호를 형성하고, 유선 전화망의 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유선통신모듈; 및
    상기 송신신호를 상기 베이스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베이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유선전화망의 호를 상기 유선 통신 모듈로 출력하는 통신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모듈은,
    사용자의 음성을 음원 부호화하여 송신 음원신호를 형성하는 보코더(vocoder);
    수신 음원신호를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코더(decoder); 및
    상기 송신 및 수신 음원신호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RF(Radio Frequency) 모뎀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모듈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하여 PCM(pulse code modulation) 송신신호를 형성하는 PCM 송신기;
    PCM 수신신호를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PCM 수신기;
    상기 PCM 송신 및 수신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통신모드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스위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RF 모뎀으로의 송수신과 상기 접속부로의 송수신을 스위칭 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탈부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계 장치는,
    상기 PCM 송신신호를 유선전화망에서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 송신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이용 가능한 PCM 수신신호를 형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 송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호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호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1.7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인 통신 단말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24핀 커넥터(connector),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port)등 각종 연결단자 중 어느 하나인 통신 단말기.
  10. 통신 단말기의 유선전화망을 통한 통화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통신모드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스위칭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칭부가 상기 스위칭신호에 근거하여 접속부로의 송수신을 스위칭하는 단계;
    PCM 송신기가 사용자의 음성에 근거하여 PCM 송신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PCM 송신신호를 유선전화망에서 이용 가능한 단말기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무선통신부가 상기 단말기 송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베이스 장치가 상기 단말기 송신신호를 유선전화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절차와,
    베이스 장치가 유선전화망으로부터 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부가 상기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호에 근거하여 제어신호와 PCM 수신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스프커 및 LED가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호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 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PCM 수신신호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절차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유선전화망을 통한 통화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모드에 이용되는 이동통신모듈;
    유선통신모드에 이용되는 유선통신모듈;
    사용자의 통신모드 변경 요청을 입력받아 스위칭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스위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RF 모뎀으로의 송수신과 상기 접속부로의 송수신을 스위칭 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의 유선전화망을 통한 통화방법.
KR1020070138452A 2007-12-27 2007-12-27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방법 KR20090070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452A KR20090070437A (ko) 2007-12-27 2007-12-27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452A KR20090070437A (ko) 2007-12-27 2007-12-27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437A true KR20090070437A (ko) 2009-07-01

Family

ID=4132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452A KR20090070437A (ko) 2007-12-27 2007-12-27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04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5192B2 (en) 2009-09-28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5192B2 (en) 2009-09-28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8824B2 (en) Apparatus for wirelessly-coupling a bluetooth-wireless cellular mobile handset to a docking station for connecting a standard telephone set to the cellular network
US7925296B2 (en) Inter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GB2461477A (en) Intergr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0539530B1 (ko) 일체형 무선 가입자 망 단말기
EP1990982B1 (en) Inte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Bluetooth headset
CN1945994B (zh) 蓝牙手机来电自动转到固话接听的方法
CN102624963B (zh) 具有全双工无线对讲功能的手机及其实现方法
KR20090070437A (ko) 이동통신망과 유선전화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기 및방법
US9125227B2 (en) Communications device for a wireless and land-line network
US6895260B2 (en) Hands-free handset for a cordless telephone
KR100935231B1 (ko) 덱트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일반 전화 연동 어댑터
JP3691991B2 (ja) 無線通話装置
CN2798436Y (zh) 一种带无线耳机的固定电话机
KR100350224B1 (ko) 근거리 통신망과 전화 장치를 결합한 통신 시스템
JP3293597B2 (ja) Phs通信装置およびphs通信システム
KR100339335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에서의 단말기간 인터페이스 장치
CN201616852U (zh) 一种亚无绳传真机
CN2261705Y (zh) 无线电话转接器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100240280B1 (ko) 발신전용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터통신 방법
JP3104614B2 (ja) Phsを採用した簡易リピータ
CN201383879Y (zh) 一种3g电话通信系统
KR20000027438A (ko) 시티폰 겸용 피시에스 단말기
KR20000031183A (ko) 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가입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100656A (ko) 휴대단말기와 무선헤드셋 간의 회선자동선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