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050A -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050A
KR20090069050A KR1020070136890A KR20070136890A KR20090069050A KR 20090069050 A KR20090069050 A KR 20090069050A KR 1020070136890 A KR1020070136890 A KR 1020070136890A KR 20070136890 A KR20070136890 A KR 20070136890A KR 20090069050 A KR20090069050 A KR 2009006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transfer
unit
transfer unit
teller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975B1 (ko
Inventor
이희창
곽재훈
이우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975B1/ko
Priority to US12/342,372 priority patent/US8113420B2/en
Publication of KR2009006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금된 수표의 이상 유무에 따라 수표의 이송방향을 결정하는 게이트 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표입금장치는 수표가 입금되는 입금부와 상기 입금부로 입금된 수표가 적재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금부를 통하여 입금된 수표의 특성을 검사하도록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각종 검사장치가 구비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수표의 특성이 판단될 때까지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이송된 수표가 대기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의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로 적재될 수표를 상기 제2이송부에서 이송받는 제3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와 상기 제3이송부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저장부측을 향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이송부에 위치한 수표를 이송받는 제4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와 제3이송부 및 제4이송부의 연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3이송부에 위치한 수표를 상기 제4이송부로 방향전환시키는 게이트와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각 이송부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이송부가 상기 저장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입금 모듈의 높이를 축소할 수 있어, 입금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금융자동화기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게이트는 스프링 구조로 간단하게 입금과 반송을 결정할 수 있어 입금 모듈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금융자동화기기, 수표입금장치, 수표 입금 모듈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Check Deposit Devic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입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입금된 수표의 이상 유무에 따라 수표의 이송방향을 결정하는 게이트 장치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에서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에 따라 고객들도 점차 금융자동화기기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를 사용하는 빈도도 증가하게 되면서, 매번 이용하는 금융거래의 금액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출금 기능만 있는 금융자동화기기는 정해진 종류의 지폐를 입력된 액수만큼 사용자 출금부로 이송하기 때문에, 지폐의 걸림(jam) 또는 2매 전송의 경우 외에는 정상적인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입금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는 정상적인 금융 거래를 하기 위해서 지폐의 걸림 및 2매 전송 외에도 더 많은 사항들이 체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지폐 또는 위조 지폐 등이 투입되는지, 구겨지거나 손상된 지폐가 투입되는지, 입금되는 방향이 올바른지 등을 체크하여야 한다. 또한, 일반 사용자가 이용하는 만큼 실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고장이 더 자주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수표와 같이 액면가가 크면서 위조의 가능성도 높고, 현금과 다르게 부도수표(dishonored check)와 같이 경제적 상황에 의해서 가치가 변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수표를 입금 받을 때는 현금보다 주의 깊은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며, 실제로 수표를 입금 받을 때마다 수표의 일련 번호를 조회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다.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적재된 수표들을 이송할 때, 일반적으로 수표들을 낱장 단위로 이송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수표 이송장치는 픽업 롤러, 피드 롤러 및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픽업 롤러가 적재된 수표들 중 한 장을 픽업하고, 픽업된 수표는 피드 롤러 및 가이드 롤러를 통과하면서 이송로를 따라 이송하게 된다. 이송되는 수표는 이송로를 따라 저장부로 이송되며, 낱장 단위로 저장부에 차곡히 쌓이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표의 반송 또는 저장을 결정하는 금융자동화기 기(101)의 입금 모듈(110)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입금부(102)에서 입금되어 이송로(120)를 따라 이송하는 수표는 이송로(120)에 위치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CIS)와 자기 잉크 문자 인식기(MICR)를 거쳐 수표의 특성을 파악하게 되고 이송로(120) 상부의 모서리를 돌아 스택(130)에서 대기를 하게 된다. 스택(130)에서 대기를 하는 중에 수표에서 수득한 정보가 파악되어 수표에 이상이 없으면 투입로(140)로 이송하고 저장부(150)로 적재된다. 반면 수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대기 중이던 수표가 역주행을 하여 상부의 이송로(120)로 다시 이동하고 입금부(102)로 반송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수표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는 수표의 길이만큼의 공간을 차지하는 스택(130)의 높이가 필요하게 되고, 금융자동화기기는 최소한 스택(130)의 높이와 저장부(150)의 높이를 더한 만큼의 높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를 컴팩트화 또는 소형화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는 입금 모듈에서의 지폐류, 좀더 자세하게는 수표의 이송 경로를 결정하는 구조를 변경하여 입금 모듈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표가 입금되는 입금부와 상기 입금부로 입금된 수표가 적재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는, 상기 입금부를 통하여 입금된 수표의 특성을 검사하도록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각종 검사장치가 구비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단부에서 수직이송경로를 따라 연결되어 수표의 특성이 판단될 때까지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이송된 수표가 대기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의 단부에서 수직이송경로를 따라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로 적재될 수표를 상기 제2이송부에서 이송받는 제3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와 상기 제3이송부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저장부측을 향하여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연결되어 상기 제3이송부에 위치한 수표를 이송받는 제4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와 제3이송부 및 제4이송부의 연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3이송부에 위치한 수표를 상기 제4이송부로 방향전환시키는 게이트와,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각 이송부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는, 상기 제2이송부에서 상기 제3이송부로 이송되는 수표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이송부와 상기 제3이송부를 연결하는 제1통로를 형성하고, 수표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제3이송부와 제4이송부를 연결하는 제2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게이트는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어 고정되지 않은 끝단이 제3이송부보다 모듈의 외곽으로 위치하는 최초 위치를 가지고, 입금된 수표에 의하여 피보팅되어 가압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수표가 제3이송부로 이송되면 스프링의 탄성 작용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긱의 수표입금장치를 사용할 경우, 저장부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입금된 수표를 저장부에 적재하는 방법은, 입금된 수표의 특성을 검사하여 검사결과에 따라 수표의 적재 또는 반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표의 적재 결정 시에 수표를 이송시켜 이송되는 수표에 의해 게이트를 가압하는 단계와, 수표를 계속 이송시켜 게이트에 의한 가압을 해제하여 수표가 저장부로 적재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수표를 계속 이송시켜 수표가 저장부로 입금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 구조는 수표 외에도 지폐, 상품권등 다른 지폐류 또는 종이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이송부가 상기 저장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또는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입금 모듈의 높이를 축소할 수 있어, 입금 모듈 을 소형화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금융자동화기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게 된다. 게이트는 스프링 구조로 간단하게 입금과 반송을 결정할 수 있어 입금 모듈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또는 수표 입금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입금 모듈을 구체화한 사시도이며, 도 4는 게이트의 위치이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또는 수표를 입출금하기 위한 장비로서, 하나의 하우징 내에는 마그네틱 카드 리딩 모듈, 통장 정리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수표 입금 모듈(10), 출금 모듈 등과 같이 기능 단위로 구별되는 여러 개의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중 수표의 입금 모듈(10)은 외곽의 모듈 하우징(미도시)로 둘러싸여 있으며, 모듈 하우징 내에는 상부 전방에 입금부(11)와 입금부로 수표를 입금할 수 있는 셔터(미도시)가 위치하고 입금부에서 입금된 수표가 이송되는 제1이송부(20)가 입금 모듈(10)의 상부에 전방에서 후방에 걸쳐 위치한다. 입금 모듈(10)의 후방 측면에는 제1이송부(20)에서 이송된 수표가 대기할 수 있도록 제2이송부(24)가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고, 제2이송부(24)의 하단에서 게이트(30)가 존재한다. 게이트(30)는 상단이 제2이송부(24)의 하단 부근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어 수직보다 약간 기울여진 상태, 즉 게이트(30)의 하단이 게이트(30)의 상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형태로 기울여져 존재한다. 상기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게이트(30)는 수표가 지나가는 등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단이 고정된 상태로 피보팅할 수 있다. 게이트(30)의 아래에는 제2이송부(2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제3이송부(26)가 존재하고 제3이송부(26)의 상단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제4이송부(28)가 위치한다. 제4이송부(28)의 반대쪽 끝단에는 저장부(40)가 위치한다.
제1이송부(20)에는 수표의 매수 감지 센서, 진위 검사 센서, 손상 검사 센서 등이 장착된다. 특히, 수표를 입출금하는 모듈인 경우에는 수표의 일련번호를 감지하기 위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 CIS), 자기 잉크 문자 인식기(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MICR), 배서용 프린터, 이미지 스캐너 등이 장착될 수가 있다. 이렇게 금융자동화기기는 여러 센서 및 검사 장치를 통해서 수표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은행 전산망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표의 가치상태나 기타 제한 사항들을 조회할 수가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정상적인 거래에 대한 가능성이 판단되는 경우에만 입금에 대한 확인을 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거래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입금된 수표를 전체 또는 일부 반송함으로써 거래를 중단할 수가 있다.
상기의 각 이송부에는 수표의 진입 또는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의 감지 신호에 근거하여 검사장치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각 이송부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제어하게 된다.
제1이송부(20)를 따라 이송하는 수표는 CIS(21)와 MICR(22) 등의 검사장치를 거쳐 수표의 진위와 특성 등을 파악하게 된다. 제1이송부(20)를 지난 수표는 방향 을 전환하여 제2이송부(24)로 이송된다. 검사장치가 수표를 검사하는 동안 수표는 제2이송부(24)에서 대기할 수 있으며 좀더 하방으로 이동되어 게이트(30)에 접촉된 상태로 대기를 하게 될 수도 있다. 수표는 제2이송부(24), 게이트(30) 또는 제3이송부(26)에 걸쳐 위치하게 된다. 수표가 게이트(3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최초 위치(30a)에 있던 게이트는 수표에 의해 가압되어 상단을 중심으로 피보팅하여 가압 위치(30b)로 이동하여 상기 제2이송부(24)와 상기 제3이송부(26)를 연결하는 제1통로를 형성한다.
수표가 대기를 하는 중에 콘택트 이미지 센서(21) 또는 자기 잉크 문자 인식기(22)를 통해 수득한 정보가 파악되어 수표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표는 저장부(40)로 투입되어야 한다. 수표는 이송하던 방향, 즉 하방으로 조금 더 전진하게 된다. 수표에 접촉하지 않고 대기하고 있던 경우에는 수표가 전진을 하면서 게이트(30)를 가압하여 게이트는 가압 위치(30b)로 이동하여 수표가 이송될 수 있는 제1통로를 형성하고, 수표는 제1통로를 지나 제3이송부(26)로 이송된다. 수표가 제3이송부(26)로 이송되면서 수표의 상부 끝단은 게이트(30)를 벗어나게 된다. 이 때 게이트(30)에 대한 수표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수표가 누르고 있던 게이트(30)는 게이트 스프링의 영향으로 다시 기울어지게 되고, 즉 게이트(30)의 하단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게이트는 최초 위치(30a)로 복귀되고, 게이트(30)와 제4이송부(28) 사이에는 수표가 지나갈 수 있는 제2통로가 형성된다. 수표는 제3이송부에서 역주행하여 게이트(30)와 제4이송부(28) 끝단의 사이를 지나 제4이송부(28)로 이송된 후 저장부(40)로 적재된다.
수표가 대기를 하는 중에 수득한 정보에 따라 수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수표는 저장부(40)로 이송되지 않고 반송되어야 한다. 수표는 이송된 방향으로 되돌아가서 제2이송부(24)을 떠나 제1이송부(20)로 역주행하고 다시 입금부(11)로 반송된다. 수표가 역주행하여 게이트(30)에서 떨어지면, 게이트는(30) 스프링의 영향으로 다시 피보팅되어 탄성 지지되는 최초 위치(30a)에 있게 된다.
이후 입금되는 수표에 대하여 수표의 이상 유무에 따라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표의 반송 또는 저장을 결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 입금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입금 모듈을 구체화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게이트의 위치이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입금부 20: 제1이송부
21: CIS 22: MICR
24: 제2이송부 26: 제3이송부
28: 제4이송부 30: 게이트
40: 저장부

Claims (4)

  1. 수표가 입금되는 입금부와 상기 입금부로 입금된 수표가 적재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금부를 통하여 입금된 수표의 특성을 검사하도록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각종 검사장치가 구비되는 제1이송부와,
    상기 제1이송부의 단부에서 수직이송경로를 따라 연결되어 수표의 특성이 판단될 때까지 상기 제1이송부에서 이송된 수표가 대기하는 제2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의 단부에서 수직이송경로를 따라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로 적재될 수표를 상기 제2이송부에서 이송받는 제3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와 상기 제3이송부의 연결지점에서 상기 저장부측을 향하여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연결되어 상기 제3이송부에 위치한 수표를 이송받는 제4이송부와,
    상기 제2이송부와 제3이송부 및 제4이송부의 연결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제3이송부에 위치한 수표를 상기 제4이송부로 방향전환시키는 게이트와,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각 이송부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상기 제2이송부에서 상기 제3이송부로 이송되는 수표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이송부와 상기 제3이송부를 연결하는 제1통로를 형성하고,
    수표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제3이송부와 제4이송부를 연결하는 제2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송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장치.
  4. 저장부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입금된 수표를 상기 저장부에 적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금된 수표의 특성을 검사하여 검사결과에 따라 수표의 적재 또는 반송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수표의 적재 결정 시에 수표를 이송시켜 이송되는 수표에 의해 게이트를 가압하는 단계와,
    수표를 계속 이송시켜 상기 게이트에 의한 가압을 해제하여 수표가 상기 저장부로 적재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수표를 반대 방향으로 이송시켜 수표가 상기 저장부로 입금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표입금방법.
KR1020070136890A 2007-12-24 2007-12-24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KR100970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90A KR100970975B1 (ko) 2007-12-24 2007-12-24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US12/342,372 US8113420B2 (en) 2007-12-24 2008-12-23 Check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automatic teller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90A KR100970975B1 (ko) 2007-12-24 2007-12-24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050A true KR20090069050A (ko) 2009-06-29
KR100970975B1 KR100970975B1 (ko) 2010-07-20

Family

ID=4078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890A KR100970975B1 (ko) 2007-12-24 2007-12-24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13420B2 (ko)
KR (1) KR100970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6452A (zh) * 2013-06-27 2013-10-23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线性阵列图像传感器的清分机
CN103700184B (zh) * 2013-12-23 2016-04-06 华中科技大学 多光谱点验钞机多层次睡眠模式的控制方法
CN105374112B (zh) * 2014-01-14 2018-02-23 浙江众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单张纸币连续传输装置
CN105989661A (zh) * 2015-02-03 2016-10-05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和纸币输送控制方法
CN106296980B (zh) * 2016-07-29 2019-02-2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叠钞方法、系统以及金融自助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879A (ja) 2000-01-01 2001-02-27 Hitachi Ltd 手形又は小切手の受付処理方法
US6478298B1 (en) * 2000-08-03 2002-11-12 Xerox Corporation Fixed station sorter/mailbox with passive gate station entrance system
JP4200047B2 (ja) * 2003-05-30 2008-12-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及び有価証券の自動取扱装置
JP4647981B2 (ja) 2004-12-01 2011-03-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小切手入金システム
KR20070047025A (ko) * 2005-11-01 2007-05-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단일 운송로를 가진 금융자동화기기
KR101169334B1 (ko) * 2006-01-16 2012-07-3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수표 수납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13420B2 (en) 2012-02-14
US20090159664A1 (en) 2009-06-25
KR100970975B1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5788B2 (en) Check cashing banking system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KR20130011287A (ko)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
JP6369114B2 (ja) 鑑別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097097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입금 장치 및 방법
KR101112445B1 (ko) 수표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909021B1 (ko) 금융 기기
KR100980075B1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EP2565856B1 (en) Apparatus for pulling bills and checks in bundle bill and check acceptor
KR101354514B1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130138510A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041149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101002515B1 (ko) 수표이미지 처리기가 장착된 금융자동화기기
KR101969860B1 (ko)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11209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일시스택방법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KR10112245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및 지폐반송방법
KR20037427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스택장치
KR10112368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6004259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저장장치
KR20037427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저장장치
KR101631806B1 (ko) 금융 기기
JP4608814B2 (ja) 媒体処理装置
JPH0322201Y2 (ko)
KR10107632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인식장치 및 수표인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