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022A - Slide-type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022A
KR20090069022A KR1020070136860A KR20070136860A KR20090069022A KR 20090069022 A KR20090069022 A KR 20090069022A KR 1020070136860 A KR1020070136860 A KR 1020070136860A KR 20070136860 A KR20070136860 A KR 20070136860A KR 20090069022 A KR20090069022 A KR 2009006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e member
terminal
terminal body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1919B1 (en
Inventor
조중현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919B1/en
Publication of KR2009006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a portable terminal by forming a module in a shape proper to a body of the terminal. A first terminal body(1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curved backward, and a second terminal body(20) has the same curvature as the body shape of the first terminal body to slide on the first terminal body. The first terminal body includes a display unit(13), a sound output unit(14), an image input unit(16), and a manipulate unit(15).

Description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SLIDE-TYPE PORTABLE TERMINAL}SLIDE-TYP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곡선 형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type mobile terminal which is slid in a curved form.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and data storage.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and receiving a broadcast, and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have.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Many new attempts are being applied to these multimedia devices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휴대 단말기의 기구적인 형태로서, 바(bar)형, 슬라이드(slide)형, 또는 폴더(folder)형 등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중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곧바로 사용자가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를 열기 위한 동작이 간결하여 사용성이 우수한 장점 등으로 선호되고 있다.As a mechanical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a bar type, a slide type, or a folder type has been proposed, and the dual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can receive information directly through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operation for opening the mechanism is concise and has been preferred for its excellent usability.

이러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는 슬라이드 이동시킬 바디와 바디 사이에 이른바 '슬라이드 모듈'이라고 불리는 조립체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반자동 개폐를 구현한다.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implements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by additionally installing an assembly called a 'slide module' between the body to be moved and the body.

전통적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바디와 바디가 직선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되었던 것임에 반해, 인체의 형상에 맞게 곡선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예도 등장하고 있다. Conventional slide-type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opened and closed while the body and the body are moved in a straight direction, an example has been configured to move in a curve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human body.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곡선 이동 방식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드 모듈 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이 포함되므로, 완전한 곡선 형태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작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반자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오히려 두께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slide-type mobile terminal of the conventional curved movement type includes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side the slide module, it is not only difficult to manufacture a slide module having a completely curved shape, but also rather thick to realize semi-automatic. There is a problem tha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곡선 이동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를 제안하되, 바디와 바디 사이를 곡선 형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드 모듈을 바디의 형태에도 부합되도록 하고,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of the curved movement form, the slide module for coupling the slide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in a curved form to the shape of the body Its purpose is to be able to match and reduce the thickness.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외부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는 제1단말기바디에 고정되며 일정 곡률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와, 제2단말기바디에 고정되며 제1슬라이드 부재에 곡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 및,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자기작용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모듈 자체를 일정 곡률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직선 구간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슬라이드 이동시 필요한 힘을 구현할 수 있는 자기작용부를 구비하면서도 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terna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rst terminal body and formed of a certain curvature, and the first slide member is fixed to the second terminal body and the curvature of the first slide member And a second slide member slidably coupled in a direction, and a magnetic action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nd configured to apply a magnetic force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Since the slide module itself is formed to have a certain curvature, a straight section is not required, and the thickness of the module can be reduced while having a magnetic action part capable of realizing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slid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자기작용부는 제1슬라이드부에 형성되는 자극(磁極)과 제2슬라이드 부재에 배치되는 자극이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슬라이드부에 형성되는 자극(磁極)과 제2슬라이드 부재에 배치되는 자극은 상호 역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action portion may be arranged along the slide direction with the magnetic poles formed on the first slide portion and the magnetic poles disposed on the second slide member. In this case, the magnetic poles formed on the first slide portion and the magnetic poles disposed on the second slide member may b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자기작용부는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에 부착되는 영구자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은 얇은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므로 슬라이드 모듈의 두께도 감소된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ac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Permanent magnets can be manufactured in thin form,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lide modul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자기작용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 자체가 각각 자화(磁化)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모듈의 두께는 더욱 얇아질 뿐만 아니라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action par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itself are magnetized. Thus, the thickness of the slide module can be made thinner as well as reduce the number of parts.

제1단말기바디 및 제2단말기바디는 상기 곡률을 갖도록 곡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단말기바디에는 상기 곡률로 형성된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이페이퍼(e-paper) 또는 플렉시블 엘시디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o have the curvature.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a display formed with the curvature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terminal body. Such a display may be implemented by means such as e-paper or flexible LCD.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고, 제2슬라이드 부재의 양단이 절곡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을 형성하여, 슬라이드 레일에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의 양단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re formed in a plate type, and both ends of the second slide member are bent to form a slide rail,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slide member are formed on the slide rail. It can be configured to slide and move.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자기작용부에 자기력에 의하여 제1단말기바디를 제2단말기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키므로, 두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스프링을 제1슬라이드 부재와 제2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완전한 형태의 곡선형 휴대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terminal body slid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terminal body by the magnetic force in the magnetic action part, the elastic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to prevent an increase in thicknes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dis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urved portable slide module having a full shape and a slid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an be obtained.

자기작용부는 비접촉형태로 힘을 전달하면서도 슬라이드 부재에 맞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슬라이드 모듈 및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magnetic action unit can be manufactur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slide member while transmitting force in a non-contact form,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lide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이들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는 중심부가 후면쪽으로 만곡된 곡선형의 외형을 갖는 제1단말기 바디(10)와, 제1단말기 바디(10)에 제1단말기 바디(10)의 곡선 형태와 같은 곡률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2단말기 바디(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ortable terminal 1 has a first terminal body 10 having a curved shape with a central portion curved toward the rear side, and the first terminal body 10 of the first terminal body 10. The second terminal body 20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 curvature such as a curved shape.

도 1과 같이 제1단말기 바디(10)가 제2단말기 바디(20)와 완전히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제1단말기 바디(10)가 제2단말기 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stat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body 10 is disposed to completely overlap with the second terminal body 20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the first terminal body 10 may be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body 20 is exposed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휴대 단말기(1)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1 mainly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the open state, the apparatus mainly operates in a call mode or the lik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제1단말기 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terminal body 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built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11,12)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The cases 11 and 12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단말기 바디(10)에는 디스플레이부(13), 음향출력부(14), 영상입력부(16) 또는 제1조작부(15)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play terminal 13, the audio output unit 14, the image input unit 16, o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5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terminal body 10.

디스플레이부(13)는 제1단말기바디(10)의 외형이 일정 곡률로 이루어진 것처럼 그와 같은 곡률로 만곡된(곡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의 형상적인 특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모듈(도 4a, 도 4b의 40번 참조)의 곡선 형태에 기인한 것으로, 이 점에서 곡선 형태의 슬라이드 이동임에도 탄성수단을 배치하기 위해 슬라이드 모듈이 평평할 수밖에 없었던 종래의 예와 다르다.The display unit 13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curve shape) with the same curvature as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terminal body 10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shape of the display unit 13 is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slide module (see number 40 of FIGS. 4A and 4B) as described below. In this regard, the elastic means may be disposed even in the curved slide movement. This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example, in which the slide module was forced to be flat.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13)는 이페이퍼(e-paper) 또는 플렉시블 엘시디(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curved display unit 13 includes an e-paper or a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음향출력부(14)는 통화음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각종 알림음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4)는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로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14 may output not only the call sound but also various notification sounds of the system or the reproduction sound of the multimedia. The sound output unit 14 may be provided in plural so as to implement a stereo function, and may be used in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영상입력부(16)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16)는 제1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1단말기바디(10)의 후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The image input unit 1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The image input unit 16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first terminal body 10 and may also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body 10.

제1단말기 바디(10)와 마찬가지로, 제2단말기 바디(20)도 프론트 케이스(21)와 리어 케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Like the first terminal body 10, the second terminal body 20 may also include a front case 21 and a rear case 22.

제2단말기 바디(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2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body 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21.

프론트 케이스(21) 또는 리어 케이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26), 음향입력부(24)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27)가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21 and the rear case 22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manipulation unit 26, a sound input unit 24, or an external interface 27.

제1 내지 제3조작부(15,23,26)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push) 또는 터치(touch)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5)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26)는 제1영상입력부(16)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manipulators 15, 23, and 26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touch screen or a touch pad, which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a wheel or jog method or joystick that rotates a key.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manner such as to operate. In the functional aspect, the first operation unit 15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2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26 may operate as a hot-key that performs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6.

제1음향입력부(24)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2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외부 인터페이스(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가 외부 모듈(40)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2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external interface 27 is a passage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the external module 40. For example, the external interface 27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earphon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nd a wireless LAN port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external interface 27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리어 케이스(22) 측에는 휴대 단말기(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5)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5)는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 가능한 형태로 될 수 있으며, 제2단말기 바디(20)에 내장되거나 외장형의 팩키지(package)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5) 또는 제2단말기 바디(20)에는 충전용 거치대와 같은 수단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단자를 추가적으로 포 함할 수도 있다.On the rear case 22 side, a power supply unit 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 is mounted. The power supply unit 25 may be in a form that can be charged so that it can be continuously used, and may be detachably integrated in the second terminal body 20 or in an external package form. The power supply unit 25 or the second terminal body 20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terminal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 means such as a charging cradle.

제2단말기 바디(20)의 일측에는 전원공급부(25)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는 외부의 트래블 차저(travel charger) 등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I/O(Input/Output) 포트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power supply 25. The connecto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g such as an external travel charger may be inserted, and may also function as an input / output (I / O) port.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모듈(40)에 의하여 곡선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terminal body 10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20 are slid in a curve by a slide module 40 disposed therebetween.

슬라이드 모듈(40)은 제1단말기바디(10)에 고정되며 제1단말기바디(10)와 유사한 곡률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41)와, 제2단말기바디(20)에 고정되며 제1슬라이드 부재(41)에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곡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42) 및, 제1슬라이드 부재(41) 및 제2슬라이드 부재(42)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자기작용부(46,47)를 포함한다.The slide module 40 is fixed to the first terminal body 10 and is formed with a curva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terminal body 10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20 and is fixed to the first terminal body 20. A second slide member 42 coupled to the slide member 41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curvature direction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disposed on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And magnetically acting portions 46 and 47 formed to apply magnetic force in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구체적으로, 제1슬라이드 부재(41) 및 제2슬라이드 부재(42)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 모듈(40)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키기 유리하다.Specifically,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are formed in a plate type, which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lide module 40.

제2슬라이드 부재(42)는 양단은 절곡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43)을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레일(43) 또한 제2슬라이드 부재(42)가 갖는 곡선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슬라이드 레일(43)에는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양단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Both ends of the second slide member 42 are bent to form the slide rail 43. The slide rail 43 is also formed in a curved shape of the second slide member 42, and both ends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are fitted to the slide rail 43 to be slidably moved.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는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피시비(Flexible PCB)(28)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단말기바디(10)와 제2단말기바디(20)가 슬라이드 이동시 케이블 또는 플렉시블 피시비(28)의 이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제1슬라이드 부재(41)와 제2슬라이드 부재(42)에는 커팅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body 10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able or a flexible PCB 28. The first terminal member 10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20 are provided with a cutting hole in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to provide a moving space of the cable or flexible PCB 28 during the slide movement. This can be formed.

도 3에 의하면, 자기작용부(46,47)는 제1슬라이드 부재(41) 및 제2슬라이드 부재(42)에 각각 부착되는 영구자석(permanent magnet)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 경우, 영구자석은 얇은 시트 형태로 제작된 것을 제1슬라이드 부재(41)와 제2슬라이드 부재(42)에 각각 양면테잎이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magnetic action parts 46 and 47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ermanent magnets attached to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ermanent magnet may be bonded to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by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which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hin sheet.

이와 같은 영구자석 형태의 자기작용부(46,47)는 제1슬라이드 부재(41)와 제2슬라이드 부재(42)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면서도 상호간에 비접촉 형태로 힘을 전달하므로 곡선형의 슬라이드 이동에 적용시키기 용이하다. The magnetically acting portions 46 and 47 in the form of permanent magnets can be formed in the curved shape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but also transmit a force in a non-contact form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curved shape. Easy to apply to slide movement.

이외에도 자기작용부는 제1슬라이드 부재(41)와 제2슬라이드 부재(42)를 영구 자화(磁化)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슬라이드 부재(41)와 제2슬라이드 부재(42)의 해당 위를 강자성체로 조성하여 이를 자화시킴으로써 영구자석을 별도로 부착하는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모듈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과 부품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agnetic ac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permanently magnetizing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That is, by forming a ferromagnetic material on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and magnetizing them, the permanent magnet may be separately attache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slide module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simplifying assembly and parts.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닫힌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각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제1단말기바디(10), 제2단말기바디(20), 제1슬라이드 부재(41), 제2슬라이드 부 재(42) 및 디스플레이부(13)는 모두 곡선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이는 제1슬라이드 부재(41) 및 제2슬라이드 부재(42) 사이에 비접촉 형태이면서도 슬라이드 부재의 형태에 맞게 쉽게 변형시킬 수 있는 자기작용부를 적용한 결과로, 제1슬라이드 부재(41)와 제2슬라이드 부재(42) 또한 곡선형의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4A and 4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irst terminal body 10, the second terminal body 20, the first slide member 41, the second slide member 42, and the display unit 13 that constitute the portable terminal. ) Are all curved. This is a result of applying a magnetic a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that can be easily de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slide member, and thus,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42. The member 42 also facilitates the manufacture of curved shapes.

나아가, 제1단말기바디(10) 및 제1슬라이드 부재(41)에 맞게 디스플레이부(13)도 곡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부와 곡면 형태의 슬라이드 면을 갖는 단말기바디를 포함하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보다 훨씬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는 이페이퍼(e-paper) 또는 플렉시블 엘시디(flexible LCD)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display unit 13 is also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terminal body 10 and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includes a terminal body having a flat display unit and a curved slide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duce much thinner than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3 may be implemented by means such as an e-paper or a flexible LCD.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작용부에 의하여 슬라이드 모듈의 이동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이다.5A to 5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oving process of a slide module by a magnetic a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기작용부는 제1슬라이드 부재(41)에 형성되는 자극(磁極)과 제2슬라이드 부재(42)에 배치되는 자극이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1슬라이드 부재(41)에 형성되는 자극(磁極)과 제2슬라이드 부재(42)에 배치되는 자극은 상호 역평행하게 배열된다. 즉, 도 5a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 부재(42)는 위에서 아래로 S극, N극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1슬라이드 부재(41)는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N극 위치에서로부터 아래로 S극, N극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S극과 제2슬라이드 부재(42)의 N극의 인력에 의하여 닫힘상태가 유지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agnetic action portion is arranged along the slide direction with the magnetic poles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magnetic poles disposed on the second slide member 42. The magnetic poles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magnetic poles disposed on the second slide member 42 are arranged antiparallel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closed as shown in FIG. 5A, the second slide member 42 is disposed in the order of S-pole and N-pole from top to bottom, and the first slide member 41 is the first slide member 41.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S-pole and N-pole from the N pole position. Therefore, the closed state is maintained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S pole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N pole of the second slide member 42.

제1슬라이드 부재(41)를 제2슬라이드 부재(42)에 대하여 힘을 가하면 도 5b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S극은 제2슬라이드 부재(42)의 S극으로,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N극은 제2슬라이드 부재의 N극이 있는 부위로 배치된다. 이 순간이 사점이 되며, 사점을 넘어서면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N극과 제2슬라이드 부재(42)의 N극 사이의 척력 및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S극과 제2슬라이드 부재(42)의 S극 사이의 척력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이동된다. 따라서, 반자동(사용자가 어느 순간까지 힘을 가하면 그 순간 이후부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구현된다.When the first slide member 41 is applied to the second slide member 42, as shown in FIG. 5B, the S pole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is the S pole of the second slide member 42. The north pole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north pole of the second slide member is present. This moment becomes the dead point, and if it exceeds the dead point,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N pole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N pole of the second slide member 42 and the S pole and the second slide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are measured.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S poles of the member 42 continue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lide movement. Thus, semi-automatic (if the user exerts a force up to a certain moment, the slide moves automatically without applying force after that moment).

제1슬라이드 부재(41)의 N극이 제2슬라이드 부재(42)의 S극 근처에 오면 양극의 인력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열림 상태가 구현된다. When the N pole of the first slide member 41 is near the S pole of the second slide member 42, the ope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realized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anode.

다만, 제1슬라이드 부재(41)와 제2슬라이드 부재(42) 사이의 정지 위치는 조절될 수 있으며, 완전히 동일한 위치 전에 운동을 마치도록 다른 스토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stop position between the first slide member 41 and the second slide member 42 may be adjusted, and may include another stopper device to complete the movement before the exact same position.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는 무선통신 모듈(51), 조작부(15,23,26), 영상입력부(16), 음향 입력부(24), 디스플레이부(13), 음향 출력부(14), 외부 인터페이스(27), 방송수신 모듈(56), 메모리(54), 전원 공급부(25), 제어부(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the operation unit (15, 23, 26), the image input unit 16, the sound input unit 24, the display unit 13, the sound output unit 14, external And an interface 27,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56, a memory 54, a power supply unit 25, a control unit 50, and the like.

조작부(15,23,26)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50)에 제공한다. The operation units 15, 23, and 26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 to 4 to provide the control unit 50 with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제어부(5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무선통신 모듈(5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8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82)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the transmission unit 83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ing unit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82).

영상입력부(16)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16)가 사용되는 모드 즉, 촬영이나 화상통화 모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영상입력부(16)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표지들을 표시한다. The image input unit 1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When the image input unit 16 is in a used mode, that is, in a photographing or video call mode, the display unit 13 displays indicia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the image input unit 1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

영상입력부(16)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5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모듈(5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input unit 16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1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 16 is stored in the memory 5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음향 입력부(2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5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5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5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The sound input unit 24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and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in the call mod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54.

음향 입력부(2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24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3)은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13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control unit 50 displays and output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UI, or GUI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음향 출력부(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5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5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4)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The sound output unit 14 transmits to the sound data or the memory 5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tored sound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 14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 14 includes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외부 인터페이스(2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2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The external interface 27 connects a portable terminal to a mobile terminal other than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and the like.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external devices. The external interface 27 receives data or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메모리(54)는 제어부(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 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5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memory 5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50, and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do This memory 54 includes the concepts of generally known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센싱 유닛(55)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sensing unit 55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센싱 유닛(55)은 제1단말기바디(도 1의 10번)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5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5)의 전원 공급 여부, 외부 인터페이스(27)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55 senses whether the first terminal body (No. 10 in FIG. 1) is opened or closed and outputs a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5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25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external interface 27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56)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 디스플레이부(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5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56)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56)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5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6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14 and the display unit 13,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to the controller 50.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6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6 may be stored in the memory 54.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is slid and moved.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닫힌상태와 열린 상태를 각각 보인 측단면도4A and 4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losed state and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기작용부에 의하여 슬라이드 모듈의 이동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Figures 5a to 5c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process of the slide module by the magnetic action unit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6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제1단말기바디에 고정되며, 일정 곡률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 A first slide member fixed to the first terminal body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2단말기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상기 곡률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 및A second slide member fixed to a second terminal body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member in the curvature direction; And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할 수 있게 형성되는 자기작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And a magnetic action unit disposed o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and configured to apply a magnetic force in a slide movemen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기작용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자극(磁極)과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에 배치되는 자극이 상기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And the magnetic pole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magnetic pole disposed on the second slide member are arranged along the slide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자극(磁極)과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에 배치되는 자극은 상호 역평행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The magnetic pole formed on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magnetic pole disposed on the second slide member are arranged anti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기작용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에 부착되는 영구자석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The magnetic action unit is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기작용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 자체가 각각 자화(磁化)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And the magnetic action portion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themselves are magnetiz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단말기바디 및 제2단말기바디는 상기 곡률을 갖도록 곡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The first terminal body and the second terminal body is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urved shape to have the curvatur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단말기바디에는 상기 곡률로 형성된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The first terminal body is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formed with the curvature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 및 제2슬라이드 부재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고,The first slide member and the second slide member is formed in a plate type,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의 양단이 절곡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의 양단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And both ends of the second slide member are bent to form a slide rail, wherein both ends of the first slide member are fitted to the slide rail to slide.
KR1020070136860A 2007-12-24 2007-12-24 Slide-type portable terminal KR1014419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60A KR101441919B1 (en) 2007-12-24 2007-12-24 Slide-type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60A KR101441919B1 (en) 2007-12-24 2007-12-24 Slide-type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022A true KR20090069022A (en) 2009-06-29
KR101441919B1 KR101441919B1 (en) 2014-09-19

Family

ID=4099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860A KR101441919B1 (en) 2007-12-24 2007-12-24 Slide-type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91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794A (en) * 2009-09-21 201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KR20140146386A (en) * 2013-06-17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8658A (en) * 2014-01-24 201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9483078B2 (en) 2013-04-17 2016-11-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310926B2 (en) 2019-10-07 2022-04-19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649A (en) *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48885A (en) * 2005-11-07 200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794A (en) * 2009-09-21 201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US9483078B2 (en) 2013-04-17 2016-11-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40146386A (en) * 2013-06-17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8658A (en) * 2014-01-24 201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US11310926B2 (en) 2019-10-07 2022-04-19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919B1 (en)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26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29913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74447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54847A (en) Portable terminal
KR20120031830A (en) Portable terminal
US8644026B2 (en) Portable terminal
KR101441919B1 (en) Slide-type portable terminal
KR101587141B1 (en) Portable terminal
KR100983728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27514A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ntenna module and antenna setting method therefor
KR10147444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2727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72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76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95347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7444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136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45572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13304B1 (en)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KR10142727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1347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7037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1361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35B1 (en) Portable terminal
KR101587134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