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969A -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969A
KR20090068969A KR1020070136787A KR20070136787A KR20090068969A KR 20090068969 A KR20090068969 A KR 20090068969A KR 1020070136787 A KR1020070136787 A KR 1020070136787A KR 20070136787 A KR20070136787 A KR 20070136787A KR 20090068969 A KR20090068969 A KR 20090068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egree
expansion device
injection valve
refrigera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717B1 (ko
Inventor
김범석
고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7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젝션 밸브의 개방시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설정시간동안 감소시켜 상기 제 1팽창장치와 상기 인젝션 밸브 사이의 냉매량을 감소시키고 인젝션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시 시스템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시스템, 상분리기, 인젝션, 냉매, 밸브, 개도

Description

공기조화 시스템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실외기에 1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통상적인 공기조화시스템과,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사이클을 일방향으로만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만을 공급하는 냉방시스템과, 냉매사이클을 양방향으로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할 수 있는 냉난방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후,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다.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후, 상기 압축기로 흡입된다.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 냉매를 인젝션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매의 과열도와 중간압을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며 압축기 등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교축되는 제 1팽창장치와, 상기 제 1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가 교축되는 제 2팽창장치와, 상기 제 2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어 압축되는 제 1압축부와, 상기 제 1압축부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제 1팽창장치와 상기 제 2팽창장치사이에서 분기되어 인젝션되는 냉매가 함께 유입되어 압축되는 제 2압축부를 갖는 압축기와, 상기 제 1팽창장치와 제 2팽창장치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2압축부로 인젝션되는 냉매가 교축되는 인젝션 밸브와,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 전후에 설정 시간동안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2팽창장치의 개방도는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 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설정시간동안 감소시키고,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개방도를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실시간 저장하고,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 감소시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가 상기 저장된 개방도의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설정시간동안 감소시키고,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가 상기 저장된 개방도가 되도록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가 목표 개방도에 도달하면, 적어도 하나의 운전변수의 운전변수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전변수값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설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도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가 목표 개방도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도 변화량이 변하도록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가 목표 개방도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를 변화시키는 변화과정과 상기 개방도를 유지시키는 유지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젝션 밸브의 개방시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설정시간동안 감소시켜 상기 제 1팽창장치와 상기 인젝션 밸브 사이의 냉매량을 감소시키고 인젝션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시 시스템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방 운전만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가정용 냉방용 공기조화기, 난방 운전만을 수행하는 난방용 공기조화기, 냉난방 운전을 모두 수행하는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복수 개의 실내공간들을 냉/난방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구성도이고, 도 2는 공기조화기(100)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압축기(110), 실내 열교환기(120), 실외 열교환기(130), 제 1팽창밸브(141), 제 2팽창밸브(142), 상분리기(150) 및 사방밸브(16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는 냉방운전시 증발기로 작용하고, 난방운전시 응축기로 작용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는 냉방운전시 응축기로 작용하고, 난방운전시 증발기로 작용한다. 상기 압축기(110)는 유 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시킨다. 상기 압축기(110)는 제 1압축부(111)와 제 2압축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압축부(111)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고, 상기 제 2압축부(112)는 상기 제 1압축부(111)에서 나온 냉매와,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사이에서 분기되어 인젝션되는 냉매를 혼합하여 압축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압축기(110)가 3단 이상의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방밸브(160)는 냉난방시 냉매의 흐름을 절환하는 유로 절환 밸브로서, 상기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방시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로 안내하고, 난방시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로 안내한다. 상기 사방밸브(160)와 상기 압축기(110)는 제 1연결배관(171)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연결배관(171)에는 상기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토출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축기 출구온도 센서(181) 및 토출압력 센서(182)가 배치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는 실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방밸브(160)와 제 2연결배관(172)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 센서(185)가 설치된다.
상기 상분리기(150)는 유입되는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여, 액상 냉매를 상기 증발기로 보내고, 기상 냉매를 제 2압축부(112)로 보낸다. 상기 상분리기(150)의 제 1연결부(151)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는 제 3연결배관(173)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연결부(151)는 냉방운전시 액상냉매 토출관이고, 난방운전시 냉매 유입관이다.
상기 제 1팽창밸브(141)는 상기 제 3연결배관(173)상에 배치되며, 냉방운전 시 상기 상분리기(150)로부터 유입되는 액상 냉매를 교축하는 제 2팽창장치이고, 난방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로부터 유입되는 액상냉매를 교축하는 제 1팽창장치이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는 실외에 배치되고, 상기 상분리기(150)의 제 2연결부(152)와 제 4연결배관(174)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 센서(186)가 설치된다. 상기 제 2연결부(152)는 냉방운전시 냉매 유입관이고, 난방운전시 액상냉매 토출관이다.
상기 제 2팽창밸브(142)는 제 4연결배관(174)상에 배치되며, 냉방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로부터 유입되는 액상냉매를 교축하는 제 1팽창장치이고, 난방운전시 상기 상분리기(150)로부터 유입되는 액상냉매를 교축하는 제 2팽창장치이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는 상기 사방밸브(160)와 제 5연결배관(175)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사방밸브(160)와 압축기(110)의 유입배관은 제 6연결배관(176)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6연결배관(176)상에는 상기 압축기(110)의 입구측 온도를 측정하는 압축기 입구온도센서(184)가 배치된다.
상기 제 2압축부(112)는 상기 상분리기(150)의 제 3연결부(153)와 인젝션 배관(180)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3연결부(153)는 냉방 및 난방운전시 기상냉매 토출관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인젝션 배관(180)상에는 인젝션 밸브(143)가 배치된다. 상기 인젝션 밸브(143)는 상기 상분리기(150)로부터 상기 제 2압축부(112)로 인젝션되는 냉매량 및 냉매 압력을 제어한다. 상기 인젝션 밸브(143)가 개방되면, 상기 상분리기(150) 내의 기상냉매가 상기 인젝션 배관(180)을 통하여 상기 제 2압축부(112)로 유입된다. 상기 인젝션 배관(180)상에는 인젝션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인젝션 온도센서(183)가 배치된다.
상기 제 1,2팽창밸브(141)(142)와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도량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00)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3은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의 냉매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는 상기 사방밸브(160)를 거쳐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내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기상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응축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 1팽창밸브(141)에서 교축된 후, 상기 상분리기(160)로 유입된다. 상기 상분리기(160)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 2팽창밸브(142)에서 다시 교축된 후,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에서 냉매는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증발하고,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 1압축부(111)로 유입된다.
난방운전중에 가스 인젝션의 작동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를 개방한다. 상기 인젝션 밸브(143)가 개방되어, 상기 상분리기(160)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가 상기 인젝션 배관(180)을 통해 상기 제 2압축부(112)로 인젝션된다. 상기 제 2압축부(112)에서는 인젝션된 냉매와 상기 제 1압축부(111)에서 나온 냉매가 혼합된 후, 압축된다. 상기 제 2압축부(112)에서 압축된 냉매는 다시 상기 사방밸브(160)로 순환한다.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의 냉매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는 상기 사방밸브(160)를 거쳐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에서 상기 기상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응축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 2팽창밸브(142)에서 교축된 후, 상기 상분리기(150)로 유입된다. 상기 상분리기(150)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 1팽창밸브(141)에서 다시 교축된 후,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냉매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증발하고,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 1압축부(111)로 유입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를 차폐시켜, 상기 상분리기(150)에서 나온 기상냉매가 상기 제 2압축부(112)로 인젝션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방운전시에도 상기 상분리기(150)에서 나온 기상냉매가 상기 제 2압축부(112)로 인젝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모드시, 제 1,2팽창밸브와 인젝션 밸브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실내공간을 냉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기조화기(100)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어부(200)는 구동 명령을 감지한다.
구동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2팽창밸브(141)(142)와 상기 인젝션 밸브(143)를 초기화하게 된다.(S1)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2팽창밸브(141)(142)를 완전히 개방하고, 상기 인젝션 밸브(143)는 차폐시킨다. 상기 인젝션 밸브(143)를 차폐시킴으로써, 구동 초기에 상기 압축기(110)로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가스 인젝션의 작동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를 개방시킨다.(S2)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 이전에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 1팽창밸브(141)가 냉매의 중간압을 조절하는 제 1팽창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모드시, 제 1,2팽창밸브와 인젝션 밸브의 개도시간에 따른 개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 전후에, 설정시간동안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감소시킨다.(S3) 상기 인젝션 밸브(143)가 닫혀있다가 갑자기 열리기 시작되면, 상기 상분리기(150)의 토출압이 높아지게 되면서 상기 인젝션 배관(180)으로 액냉매가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시 상기 제 1팽창밸브(141)를 일부 닫아주면, 상기 상분리기(150)내의 냉매량이 감소되어 상기 상분리기내(150)의 압력을 낮아지고, 상기 인젝션 배관(180)으로 액냉매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이 시작되면,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 직전에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감소시킬 때,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가 미리 저장된 개방도의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제어한다.(S3) 일 예로서,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가 상기 저장된 개방도의 50%가 되도록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감소시킨 후, 감소된 개방도를 유지시킨다.(S4)
이후,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면,(S5)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다시 증가시킨다.(S6)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증가시에는 미리 저장된 개방도에 도달하도록 개방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증가시킨 후에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가 완전히 개방될때까지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유지한다.(S7)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 전후에 상기 제 2팽창밸브(142)의 제어를 중지하고, 상기 제 2팽창밸브(142)의 개방도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시 상기 제 1팽창밸브(141)는 일부 닫고, 상기 제 2팽창밸브(142)의 개방도는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상분리기내의 냉매량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분리기내의 토출압력이 상승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도가 미리 설정된 목표 개방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도를 변화시키는 변화과정과, 변화된 상기 개방도를 유지시키는 유지과정을 복수회 반복한다. 즉,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도를 변화시킨 후, 변화된 개방도를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 시키는 과정을 복수회 반복한다. 매회 개도 변화량은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도시간에 따라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도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개도 변화량도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도 초기에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를 조금씩 열어주어, 상기 압축기(110)의 토출압력이 갑자기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도 변화량을 증가시켜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도가 상기 목표 개방도에 신속하게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도가 상기 목표 개방도에 도달하면,(S8)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팽창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상기 상분리기내의 압력을 조절한다.(S9) 상기 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운전변수의 운전변수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전변수값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설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도량을 제어한다.
상기 운전변수들은 냉매가 상기 제 2압축부(112)로 인젝션되는 가스인젝션 작동여부와, 상기 압축기(110)의 주파수와,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실내외 온도차이, 압축기(110)의 토출압력, 압축기(110)의 토출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변수들의 운전변수값에 대한 상기 설정값은 미리 정해져서 상기 제어부(200)에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된다. 상기 압축기(110)의 주파수에 대한 설정값은 가스 인젝션 작동여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운전변수값들에 대한 설정값들을 상기 테이블로부터 구한다.
상기 설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목표 개방도를 결정한다. 상기 운전변수값들에 대한 설정값들은 독립적으로 상기 목표 개방도를 변화시킨다.
그에 따른 상기 목표 개방도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목표 개방도 = F(A1,A2,A3,A4,A5.....)
여기서, A1~A5는 상기 운전변수값들이다. 상기 F(A1,A2,A3,A4,A5.....)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목표 개방도는 상기 운전변수값들에 대응되는 설정값들을 서로 곱하여 구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식이 사용될 수 있다.
F(A1,A2,A3,A4,A5.....) = C*f(A1)*f(A2)*f(A3)*f(A4)*f(A5)*.....
여기서, C는 비례상수이고, f(A1),f(A2),..는 A1,A2,..에 대한 설정값들이다.
상기 운전변수들은 독립적으로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목표 개방도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각 운전변수에 대한 설정값을 구하기가 용이해지고, 제어가 용이하다. 한편,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목표 개방도는 상기 각 설정값들을 서로 더하거나 기타 다른 조합 등에 의해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현재 개방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저장한다. 상기 현재 개방도와 상기 목표 개방도가 다를 경우, 상기 현재 개방도와 상기 목표 개방도의 차이에 따라 개도 변화량을 결정한다. 상기 개도 변화량은 상기 현재 개방도와 상기 목표 개방도의 차이에 따라 미리 정해져서 상기 제어부(200)에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된다. 상기 테이블로부터 상기 개도 변화량을 구한다. 상기 개도 변화량이 결정되면,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상기 개도 변화량만큼 변화시킨다.
이후,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현재 개방도를 재감지하고,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현재 개방도와 상기 목표 개방도를 다시 비교한다. 상기 현재 개방도와 상기 목표 개방도가 다를 경우, 그 차이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개도 변화량을 재결정한다. 상기 개도 변화량이 재결정되면,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재결정된 상기 개도 변화량만큼 변화시킨다.
이후,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현재 개방도가 상기 목표 개방도와 일치하거나 오차범위 이내일때까지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도량 제어시,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현재 개방도를 고려하고,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점차 증가시키거나 점차 감소시키기 때문에, 시스템이 보다 안정화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상태에 따라 제어모드의 전환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0)가 냉방운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 1팽창밸브(141)가 상기 제 2팽창장치역할을 하고, 상기 제 2팽창밸브(142)가 상기 제 1팽창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이 시작되면, 상기 제 2팽창밸브(142)의 개방도를 설정시간동안 감소시킨 후,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는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시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도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이 시작되면,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감소시킨 후 감소된 개방도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개방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다시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방도는 시스템이 안정화될 수 있는 개방도로 실험에 의해 구해질 수 있으며, 상기 인젝션 밸브(143)를 완전히 개방시키기 위한 목표 개방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젝션 밸브(143)의 개방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개방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 1팽창밸브(141)의 개방도를 기 저장된 개방도로 증가시킴으로써, 시스템이 보다 신속하게 안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모드시, 제 1,2팽창밸브와 인젝션 밸브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모드시, 제 1,2팽창밸브와 인젝션 밸브의 개도시간에 따른 개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공기조화기 110: 압축기
120: 실내 열교환기 130: 실외 열교환기
141: 제 1팽창밸브 142: 제 2팽창밸브
143: 인젝션 밸브 150: 상분리기
160: 사방밸브 180: 인젝션 배관
200: 제어부

Claims (8)

  1.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교축되는 제 1팽창장치와;
    상기 제 1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가 교축되는 제 2팽창장치와;
    상기 제 2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어 압축되는 제 1압축부와, 상기 제 1압축부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제 1팽창장치와 상기 제 2팽창장치사이에서 분기되어 인젝션되는 냉매가 함께 유입되어 압축되는 제 2압축부를 갖는 압축기와;
    상기 제 1팽창장치와 제 2팽창장치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2압축부로 인젝션되는 냉매가 교축되는 인젝션 밸브와;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 전후에 설정 시간동안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2팽창장치의 개방도는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설정시간동안 감소시키고,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개방도를 다시 증가시키는 공기조화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실시간 저장하고,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 감소시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가 상기 저장된 개방도의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설정시간동안 감소시키고, 상기 설정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가 상기 저장된 개방도가 되도록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증가시키는 공기조화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가 목표 개방도에 도달하면,
    적어도 하나의 운전변수의 운전변수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운전변수값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설정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가 목표 개방도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도 변화량이 변하도록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가 목표 개방도에 도달할때까지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를 변화시키는 변화과정과 상기 개방도를 유지시키는 유지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시스템.
  8.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교축되는 제 1팽창장치와;
    상기 제 1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가 교축되는 제 2팽창장치와;
    상기 제 2팽창장치를 통과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가 유입되어 압축되는 제 1압축부와, 상기 제 1압축부를 통과한 냉매와 상기 제 1팽창장치와 상기 제 2팽창장치사이에서 분기되어 인젝션되는 냉매가 함께 유입되어 압축되는 제 2압축부를 갖는 압축기와;
    상기 제 1팽창장치와 제 2팽창장치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2압축부로 인젝션되는 냉매가 교축되는 인젝션 밸브와;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시, 상기 인젝션 밸브의 개방도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 1팽창장치의 개방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 2팽창장치의 개방도는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20070136787A 2007-12-24 2007-12-24 공기조화 시스템 KR10146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87A KR101460717B1 (ko) 2007-12-24 2007-12-24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787A KR101460717B1 (ko) 2007-12-24 2007-12-24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969A true KR20090068969A (ko) 2009-06-29
KR101460717B1 KR101460717B1 (ko) 2014-11-13

Family

ID=4099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787A KR101460717B1 (ko) 2007-12-24 2007-12-24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7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0870B2 (ja) 2000-09-08 2007-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4408413B2 (ja) 2004-12-22 2010-02-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凍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7178042A (ja) 2005-12-27 2007-07-12 Mitsubishi Electric Corp 超臨界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およびこれを用いる冷暖房空調設備と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2007232259A (ja) 2006-02-28 2007-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ボ冷凍機及びそのホットガスバイパ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717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22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90082733A (ko) 공기조화 시스템
US955151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EP2325578B1 (en) Heat pump
JP3864980B2 (ja) 空気調和機
AU2009219540B2 (en) Refrigeration system
EP2873934A1 (en) Heat-pump-type heating device
KR102372489B1 (ko) 증기 분사 사이클을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36720B1 (ko) 공기조화 시스템
CN109869941B (zh) 热泵系统、吸气过热度及气液分离器积液蒸发控制方法
EP326079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ir conditioning control progra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KR10145054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2975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13002668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2455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90068972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2154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2975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90069915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90068969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397660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266287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69914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535676B1 (ko)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397658B1 (ko) 공기조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