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686A -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686A
KR20090068686A KR1020070136398A KR20070136398A KR20090068686A KR 20090068686 A KR20090068686 A KR 20090068686A KR 1020070136398 A KR1020070136398 A KR 1020070136398A KR 20070136398 A KR20070136398 A KR 20070136398A KR 20090068686 A KR20090068686 A KR 20090068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ret key
genetic information
microarray
individu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683B1 (ko
Inventor
안태진
박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683B1/ko
Priority to US12/232,398 priority patent/US8811610B2/en
Publication of KR2009006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G16B20/20Allele or variant detection, e.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det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5/00ICT specially adapted for hybridisation;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 or protein ex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scan)하여 개인의 유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secret key)를 생성하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개인의 유전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Encrypting/Deciphering Information of Microarray}
본 발명은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DNA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의 종류는 현재 칩(chip) 위에 올려지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DNA(deoxyribonucleic acid) 칩, 단백질 칩, 세포 칩, 신경세포 칩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여기서, DNA 마이크로어레이는 염기서열을 알고 있는 DNA 분자를 소형 기판 위에 고밀도로 배열해놓은 것으로, 구체적으로, 작은 조각의 유리, 나일론, 실리콘, 또는 실리카 위의 정해진 위치에 프로브(probe)를 부착시켜 미세집적(microarray)시킨 것을 통칭한다.
이러한 DNA 마이크로어레이에 분석하고자 하는 표적 DNA(target DNA) 단편을 결합시키면, DNA 마이크로어레이에 부착되어 있는 프로브들과 표적 DNA 단편 상의 염기서열의 상보적인 정보에 따라 각기 다른 혼성화 결합(hybridization)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를 광학적인 방법 또는 방사능 화학적 방법 등을 통해 관찰 해석 함으로써 표적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할 수 있다(sequencing by hybridization).
DNA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은 수 만개의 유전자 조각들을 하나의 마이크로어레이에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유전체에 대한 정보를 한번의 실험에서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DNA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은 몇 개의 유전자만을 대상으로 하던 기존 기술과는 달리 상당히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이크로어레이에 포함된 개인의 유전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 및 시스템, 및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마이크로어레이에 포함된 개인의 유전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된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 및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은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scan)하여 개인의 유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상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secret ke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는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하여 개인의 유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상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 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은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은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하여 개인의 유전 정보를 획득하는 유전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상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는 비밀키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시스템은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비밀키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 는 복호화부를 포함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은 유전 정보 획득부(genetic information acquiring unit, 11), 비밀키 생성부(secret key generating unit, 12), 및 암호화부(encrypting unit, 13)를 포함한다.
유전 정보 획득부(11)는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하여 유전 정보를 획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전 정보 획득부(11)는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수치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유전 정보 획득부(11)는 스캐너(scanner)일 수 있다.
도 2a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유전 정보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유전 정보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수치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이미지 데이터는 개인의 유전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이미지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평문(plain text)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컴퓨터 등으로 전송할 경우 개인의 유전 정보가 본인의 동의 없이 유출될 수 있으므로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수치 데이터는 도 2a에 도시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바이너리(binary) 데이터이며, 이러한 수치 데이터도 개인의 유전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수치 데이터도 암호화하지 않고 평문 수치 파일의 형태로 전송할 경우 개인의 유전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비밀키 생성부(12)는 유전 정보 획득부(11)에서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secret key)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밀키 생성부(12)는 획득한 유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marker)의 유전자형(genotype)으로부터 개인 식별자(personal 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생성된 개인 식별자로부터 비밀키를 생성한다.
여기서, 비밀키는 공개되지 않은 키로서, 대칭키 또는 비밀키 암호방식(symmetric or secret key crytography)에서 비밀 메시지를 교환하는 상대끼리만 아는 암호를 의미한다. 비밀키 암호시스템은 송수신자가 동일한 비밀키에 의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한 통신을 하고자 하는 양측이 서로 똑 같은 비밀키를 소유하여 메시지의 송신자가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것을 수신자가 제공받아서 비밀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표지는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획득한 유전 정보 중에서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획득한 다수의 유전 정보 중 대부분은 샘플에 관계없이 동일하지만, 특정 부분은 샘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부분을 표지로 이용하여 샘플을 구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표지를 선별하는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지의 선별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첫째로, 기존에 개인 식별용으로 연구된 유전자 다형성(polymorphism)을 나타내는 표지 중 마이크로어레이에 포함되어 있는 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형성이란 같은 종의 생물이면서 어떤 형태나 형질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샘플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형태나 형질은 다형성을 나타내는 표지를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둘째로, 마이크로어레이의 데이터 중 일부 또는 전체를 대상으로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 마이닝은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내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마이닝은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데이터들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어레이의 데이터 중 일부 또는 전체에서 데이터들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표지를 선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비밀키 생성부에서 개인 식별자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3을 참조하여 표지를 선별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no'는 78개의 SNP를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고, 'rs(reference SNP)'는 각 SNP에 대응하는 유전자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일 염기 다형성)는 세포핵 속의 염색체가 갖고 있는 30억 개의 염기 서열 중 개인의 편차를 나타내는 한 개 또는 수십 개의 염기 변이를 말한다. 여러 사람들의 DNA 염기 순서를 비교하며 수백 염기 서열을 읽으면 흔히 다른 염기가 같은 위치에서 발견되는데 이러한 다형성을 SNP라고 한다. SNP는 대략 1000개의 염기마다 1개 꼴로 나타난다.
사람의 경우 염기 쌍이 30만개이기 때문에 적어도 100만개의 변이를 갖는다. 인간은 99.9% 유전자가 일치하지만 0.1%의 SNP 차이 때문에 키와 피부색 등이 달라지게 된다. 대부분의 SNP는 유전적 근접성을 알려주는 지표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SNP의 패턴을 분석하면 어떤 유전적 형질일 때 어떤 병이 많은지, 같은 병이라도 발병 원인이 왜 다른지, 이에 따라 효과적인 약물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에 연구된 유전자 다형성을 나타내는 표지(예를 들어, SNP) 중 소정의 표지를 선별할 수 있다. 기존에 연구된 유전자 다형성을 나타내는 표지는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 미국 표준 과학 연구소)에서 제안한 표지와 각종 논문에서 사용된 표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지의 개수는 샘플의 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표지의 개수가 적으면 구별 가능한 샘플의 수가 적어지고, 표지의 개수가 많으면 구별 가능한 샘플의 수가 많아진다. 다시 말해, 샘플의 수가 많은 경우 표지의 개수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샘플의 개수는 마이크로어레이가 분석 가능한 프로브의 개수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비밀키 생성부에서 생성된 개인 식별 자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4를 참조하여 비밀키 생성부에서 개인 식별자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SAMPLE ID'는 샘플 식별자를 나타내고, 'PID(Personal Identification)'는 각 샘플에 따른 개인 식별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밀키 생성부(12)는 각 SNP의 유전자형(genotype)의 조합으로 개인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전자형은 생물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유전자의 조합을 의미한다. 하나의 SNP에서 유전자형은 2개 문자로 나타나므로, 하나의 SNP에 대응되는 유전자형은 AA, BB, AB로 표기할 수 있다. 따라서, 78개의 SNP를 표지로 이용할 경우 3^78(+1.64e37)명의 샘플을 구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밀키 생성부(12)는 78개의 SNP를 순서대로 조합하여 개인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1 + SNP2 + SNP3 + … + SNP78는 개인 식별자는 'AAAABB…BB'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비밀키 생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5를 참조하여, 비밀키 생성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510 단계에서 비밀키 생성부(12)는 획득한 유전 정보 중 표지의 유전자형으로 개인 식별자(PID)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표지는 78개일 수 있으며, 각 표지의 유전자형은 AA, BB, 및 AB로 표현될 수 있고, 유전자형 AA는 숫자 0, BB는 숫자 1, AB는 숫자 2로 대응시킬 수 있다. 511은 78개의 표지의 유전자형으로 생성된 개인 식별자를 나타내고, 512는 각 표지의 유전자형을 78개의 숫자 로 대응시킨 것이다.
520 단계에서 비밀키 생성부(12)는 생성된 개인 식별자에서 대표 값을 추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식별자는 78개의 숫자(512)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 중 대표 값을 추출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개인 식별자에서 대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해싱(hashing)은 하나의 문자열을 원래의 것을 상징하는 더 짧은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짧은 해시 키를 사용하여 항목을 찾으면 원래의 값을 이용하여 찾는 것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해싱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항목들을 색인하고 검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530 단계에서 비밀키 생성부(12)는 추출된 대표 값을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합하도록 수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된 대표 값의 크기를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합한 크기로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대표 값이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합한 128 비트인지 확인하고,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합한 크기가 아닌 경우 128 비트로 크기를 수정한다. 또한, 전체 샘플 중 추출된 대표 값과 같은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샘플에 따라 표지의 유전자형으로 생성된 개인 식별자는 다르지만, 개인 식별자로부터 추출된 대표 값은 동일한 값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540 단계에서 비밀키 생성부(12)는 수정된 대표 값으로부터 비밀키를 생성한다. 여기서, 541은 128 비트의 비밀키를 나타낸다. 이로써, 비밀키는 암호화 알고리즘에 적합하게 된다.
도 6a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암호화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b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암호화부에 적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6a, 및 6b를 참조하여, 암호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서 p는 평문 데이터(plain text data)를 나타내며, 유전 정보 획득부(11)에서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치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k는 키(key)를 의미하며, 비밀키 생성부(12)에서 생성된 비밀키를 나타낸다.
암호화부(13)는 비밀키 생성부(12)에서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암호화부(13)는 생성된 비밀키 및 획득한 유전 정보에 대하여 대칭키 암호방식에 따른 암호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대칭키 암호방식은 공지의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칭키 알고리즘은 AES(American Encryption Standard) 암호화 알고리즘일 수 있다. AES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 Publication 197(November 26, 2001, NIST, USA)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전 정보 획득부(11)에서 획득한 유전 정보는 이미지 데이터 및 수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부(13)는 생성된 비밀키 및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치 데이터에 대하여 공지의 대칭키 알고리즘을 이용한 암호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치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도 7a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암호화부에서 출력되는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b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암호화 부에서 출력되는 암호화된 수치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도 7a에 도시된 이미지 데이터는 도 2a에 도시된 이미지 데이터와 비밀키 생성부(12)에서 생성된 비밀키의 암호화 연산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개인의 유전 정보가 본인의 동의 없이 유출될 수 없으므로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수치 데이터는 도 2b에 도시된 수치 데이터와 비밀키 생성부(12)에서 생성된 비밀키의 암호화 연산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된 수치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수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개인의 유전 정보가 본인의 동의 없이 유출될 수 없으므로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복호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호화 시스템은 데이터 획득부(81), 비밀키 획득부(82), 및 복호화부(83)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81)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암호화된 데이터는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암호화된 수치 데이터일 수 있다.
비밀키 획득부(82)는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획득한다. 이하에서는, 비밀키 획득부(82)가 비밀키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밀키 획득부(82)는 개인의 유전 정보를 기초로 독립적인 실험에 의해 비밀키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호화 단계에서 비밀키 획득부(82)는 특정 개인의 혈액을 채취하고, 채취된 혈액으로부터 유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유전 정보를 기초로 비밀키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밀키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비밀키 생성부(12)에서 비밀키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암호화에 이용된 비밀키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 복호화시에 비밀키를 다시 생성하여 복호화 알고리즘에 이용함으로써, 개인의 유전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비밀키 획득부(82)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암호화 과정에 사용된 비밀키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밀키는 소수의 특정 관계자에게만 분배함으로써 개인의 유전 정보의 유출을 최대한 방지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복호화부(83)는 획득한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호화부(83)는 비밀키 획득부(82)에서 획득한 비밀키 및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대칭키 복호방식에 따른 복호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호화부(83)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유전 정보의 암호화 방식에 따른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칭되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암호화 및 복 호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91)는 제1 비밀키(92)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암호화된 정보(93)가 생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91)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치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비밀키(92)는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해 획득한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생성된 것으로, 제1 비밀키(92)는 개인마다 다르므로, 제1 비밀키(92)를 이용하여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할 수 있다.
암호화된 정보(93)는 암호화에 이용된 제1 비밀키(92)와 동일한 제2 비밀키(94)를 이용하여 복호화되어 복호화된 정보(95)가 생성된다. 여기서, 제2 비밀키(94)는 복호화 과정에서 독립적인 실험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제2 비밀키(94)는 암호화 과정에 이용된 비밀키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은 대칭키 또는 비밀키 암호방식에 대한 것이다. 즉, 송수신단이 서로 똑 같은 비밀키를 소유하여 메시지의 송신자가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것을 수신자가 받아서 비밀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101)는 공개키(102)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암호화된 정보(103)가 생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101)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치 데이터일 수 있다.
암호화된 정보(103)는 암호화 과정과 달리 비밀키(104)를 이용하여 복호화되 어 복호화된 정보(105)가 생성된다. 여기서, 비밀키(104)는 복호화 과정에서 독립적인 실험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의 유전 정보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생성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이용된 키와 다른 비밀키(104)를 복호화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타인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은 공개키 암호방식에 대한 것이다. 공개키 암호 시스템은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암호 방식 중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비대칭 방식을 의미한다. 비밀키의 경우 안전하게 전송하고 보관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은 공개키 암호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암호화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암호화 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의 암호화 방법에도 적용된다.
1100 단계에서 유전 정보 획득부(11)는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
1110 단계에서 유전 정보 획득부(11)는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1120 단계에서 비밀키 생성부(12)는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개인의 고유성 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한다.
1130 단계에서 암호화부(13)는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치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100 내지 1130 단계는 스캐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캐너에서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수치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1100 및 1110 단계는 스캐너에서 이루어지고, 1120 및 1130 단계는 컴퓨터 등의 처리 장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캐너에서 출력되는 평문 이미지 데이터 또는 평문 수치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고, 컴퓨터 등의 처리 장치에서 평문 이미지 데이터 또는 평문 수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복호화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8에 도시된 복호화 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의 복호화 방법에도 적용된다.
1200 단계에서 데이터 획득부(81)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암호화된 데이터는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암호화된 수치 데이터일 수 있다.
1210 단계에서 비밀키 획득부(82)는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획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밀키 획득부(82)는 독립적인 실험에 의해 비밀키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비밀키 획득부(82)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암호화 과정에 사용된 비밀키를 수신할 수 있다.
1220 단계에서 복호화부(83)는 획득한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하여 개인의 유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생성하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개인의 유전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어레이의 실험 결과물을 개인 정보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개할 수 있는바, 연구 결과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정보 공유를 통한 지식 재생산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 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유전 정보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유전 정보 획득부에서 출력되는 수치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비밀키 생성부에서 개인 식별자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표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비밀키 생성부에서 생성된 개인 식별자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비밀키 생성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암호화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b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암호화부에 적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암호화부에서 출력되는 암호화된 이미지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b는 도 1의 암호화 시스템에 포함된 암호화부에서 출력되는 암호화된 수 치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복호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21)

  1.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scan)하여 개인의 유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상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secret ke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수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수치 데이터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고,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수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marker)의 유전자형(genotype)으로부터 개인 식별자(personal identification)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자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어레이가 분석 가능한 프로브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의 개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자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자로부터 대표 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대표 값의 크기를 상기 유전 정보의 암호화 연산에 적합한 소정의 크기로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된 크기의 대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자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대표 값이 개인의 고유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비밀키 및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에 대하여 대칭키 암호방식에 따른 암호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
  8.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scan)하여 개인의 유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상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secret key)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의 유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의 유전자형으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어레이의 암호화 과정에 이용된 비밀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유전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비밀키 및 상기 암호화된 유전 정보에 대하여 대칭키 복호방식에 따른 복호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암호화된 유전 정보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
  13.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scan)하여 개인의 유전 정보를 획득하는 유전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로부터 상기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secret key)를 생성하는 비밀키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정보 획득부는
    상기 마이크로어레이를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수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비밀키 생성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기 수치 데이터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며,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생성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상치 수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 생성부는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marker)의 유전자형(genotype)으로부터 개인 식별자(personal identification)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자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개인 식별자로부터 대표 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표 값의 크기를 상기 유전 정보의 암호화 연산에 적합한 소정의 크기로 수정하고,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수정된 크기의 대표 값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부는
    상기 생성된 비밀키 및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에 대하여 대칭키 암호방식에 따른 암호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획득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 시스템.
  19.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가 암호화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개인의 고유성을 식별하기 위한 비밀키를 개인의 유전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비밀키 획득부; 및
    상기 획득한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 획득부는
    상기 개인의 유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의 유전자형으로부터 상기 비밀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키 획득부는
    상기 마이크로어레이의 암호화 과정에 이용된 비밀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복호화 시스템.
KR1020070136398A 2007-12-24 2007-12-24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420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398A KR101420683B1 (ko) 2007-12-24 2007-12-24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
US12/232,398 US8811610B2 (en) 2007-12-24 2008-09-17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encrypting and/or decrypting information of microar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398A KR101420683B1 (ko) 2007-12-24 2007-12-24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686A true KR20090068686A (ko) 2009-06-29
KR101420683B1 KR101420683B1 (ko) 2014-07-17

Family

ID=4099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398A KR101420683B1 (ko) 2007-12-24 2007-12-24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11610B2 (ko)
KR (1) KR1014206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527A (ko) * 2011-11-04 2013-05-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정보 및 분석기술을 보호하는 유전정보 분석방법
US9639704B2 (en) 2013-12-24 2017-05-02 Kt Corporation Biogenetic information security
KR102030800B1 (ko) * 2019-03-21 2019-10-10 주식회사 마크로젠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WO2023003196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체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4321B2 (en) * 2010-11-25 2016-07-05 Portable Genomics, Inc. Organization, visualization and utilization of genomic data on electronic devices
WO2012158640A1 (en) * 2011-05-15 2012-11-22 Portable Genomics, A Limited Liability Company Method for a key generation using genomic data and its applicaton
CN103114127B (zh) * 2011-11-16 2014-07-16 中国科学院华南植物园 一种基于dna芯片的密码系统
US10069627B2 (en) 2015-07-02 2018-09-04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eneration of cryptographic keys from a biometric
KR20200046456A (ko) * 2018-10-24 2020-05-07 비에이지노믹스(주) 개인의 유전자 표현형이 적용된 컬러드 코인
CN110677247B (zh) * 2019-10-09 2022-06-24 广州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基因芯片的加密方法、基因芯片的解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1145B1 (en) * 1999-04-08 2005-05-31 Lucent Technologies Inc. Generation of repeatable cryptographic key based on varying parameters
JP2002024385A (ja) 2000-06-30 2002-01-25 Coreflow Technologies:Kk 遺伝子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JP2002175280A (ja) 2000-12-08 2002-06-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遺伝子情報利用システム、及びidカード
DE10065089A1 (de) * 2000-12-21 2002-07-18 Olek Alexander Schmuckgegenstand mit genetischem Fingerabdruck
JP2002215028A (ja) * 2001-01-22 2002-07-31 Ntt Data Technology Corp 遺伝子情報の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とプログラム
EP1515268A3 (en) * 2001-03-01 2007-12-12 NTT Data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dividual authentication and digital signature utilizing article having DNA based ID information mark
US20040059924A1 (en) 2002-07-03 2004-03-25 Aurora Wireless Technologies, Ltd. Biometric private key infrastructure
US7526114B2 (en) * 2002-11-15 2009-04-28 Bioarray Solutions Ltd. Analysis, secure access to, and transmission of array images
US20040185481A1 (en) * 2003-02-06 2004-09-23 Canon Kabushiki Kaisha Testing method using DNA microarray
US20050053968A1 (en) * 2003-03-31 2005-03-1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in DNA
KR100546775B1 (ko) 2003-11-27 2006-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서 발급 및 인증 방법
JP2006277541A (ja) 2005-03-30 2006-10-12 Toshiba Corp 医療機関における個人情報保護システム
JP4822842B2 (ja) * 2005-12-28 2011-11-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データ 匿名化識別情報生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10192A1 (en) * 2007-10-30 2009-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encrypting patient data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527A (ko) * 2011-11-04 2013-05-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정보 및 분석기술을 보호하는 유전정보 분석방법
US9639704B2 (en) 2013-12-24 2017-05-02 Kt Corporation Biogenetic information security
KR102030800B1 (ko) * 2019-03-21 2019-10-10 주식회사 마크로젠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US11004544B2 (en) 2019-03-21 2021-05-11 Macrogen, Inc. Method of providing biological data, method of encrypting biological data, and method of processing biological data
WO2023003196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유전체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20230015713A (ko) 2021-07-23 2023-01-31 울산과학기술원 유전체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1610B2 (en) 2014-08-19
KR101420683B1 (ko) 2014-07-17
US20090252322A1 (en)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683B1 (ko) 마이크로어레이의 정보 암호화/복호화 방법 및 시스템
US11122017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ncrypting genetic information
US20210194686A1 (en) Encoding and decoding information in synthetic dna with cryptographic keys generated based on polymorphic features of nucleic acids
US10013575B2 (en) Method to manage raw genomic data in a privacy preserving manner in a biobank
Al-Harbi et al. Security analysis of DNA based steganography techniques
CN106372519A (zh) 一种信息加密方法及装置
JP2005055900A (ja) 核酸分子を利用して特定メッセージを暗号化及び解読する方法
Anwar et al. Message transmission based on DNA cryptography
Tulpan et al. HyDEn: a hybrid steganocryptographic approach for data encryption using randomized error-correcting DNA codes
Sreeja et al. DNA for information security: A Survey on DNA computing and a pseudo DNA method based on central dogma of molecular biology
Lambert et al. Maskal: Privacy preserving masked reads alignment using intel sgx
Zhang et al. A DNA‐Based Encryption Method Based on Two Biological Axioms of DNA Chip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Techniques
Zakeri et al. Multiplexed sequence encoding: a framework for DNA communication
JP6175453B2 (ja) 核酸を用いる暗号化および復号化方法
TWI614678B (zh) 一種使用浮水印技術保護dna序列內容之方法
KR101093287B1 (ko) 개인유전정보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한 매체
KR20230015713A (ko) 유전체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Vinay et al. Implementation of DNA cryptography based on dynamic DNA sequence table using cloud computing
US9223939B2 (en) Key generation method
Bazli et al. Data encryption using bio-molecular information
Kairi et al. Decoding the future using a novel DNA-based cryptosystem
WO2020259847A1 (en)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privacy preserving storage of raw genome data
Adithya et al. Deoxyribonucleic Acid (DNA) computing using Two-by-six complementary and color code cipher
Nabi et al. Information Embedding Using DNA Sequences for Covert Communication
Gao et al. DNA computing in crypt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