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335A - 통신 클라이언트, 시그널링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제품 및 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통신 클라이언트, 시그널링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제품 및 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335A
KR20090068335A KR1020097007805A KR20097007805A KR20090068335A KR 20090068335 A KR20090068335 A KR 20090068335A KR 1020097007805 A KR1020097007805 A KR 1020097007805A KR 20097007805 A KR20097007805 A KR 20097007805A KR 20090068335 A KR20090068335 A KR 20090068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ing
communication client
business card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패트릭 르그랑
요한 다이그레몽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09006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와 하나 이상의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B, C) 사이의 "PPT" 타입 통신 세션을 확립하고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의 논리적 어드레스와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 또는 클라이언트들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인 "INVITE"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N)용 SIP 타입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개시한다. 이 프로토콜은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가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의 사용자와 관련된 비즈니스 카드를 더 포함한다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Description

통신 클라이언트, 시그널링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제품 및 통신 네트워크{ENRICHMENT OF THE SIGNALLING IN A COMMUNICATION SESSION OF “PUSH TO TALK” TYPE BY INSERTING A BUSINESS CARD}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특히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타입의 통신 세션을 셋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인비테이션(invitation)에 관한 것이다.
"PTT"(Push to Talk) 서비스는 파티(party)들이 쌍방으로 그러나 비동시에 통신하도록 하는 "반이중방식(half duplex)" 타입의 통신 서비스이다.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커맨드(버튼, 키 등)는 클라이언트를 수신 모드에서 전송 모드로, 또는 그 역으로 전환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되어 왔으며 두문자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가 주어졌다.
이러한 서비스는 현재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진행된다. 이것은 예로서 문서 "Push to talk over Cellular(PoC)-Architecture"(OMA-AD_PoC-V1_0-20060609-A) 및 "OMA PoC Control Plane"(OMA-TS-PoC-ControlPlane-V1_0-20060609-A) 내에 기술 및 명시되었다. 이들 두 개의 문서는 2006년 6월 9일에 공개되었다.
이러한 표준화된 명세에 따라, "PoC" 타입 통신 세션을 시작하기를 원하는 클라이언트는 인비테이션 메시지를 PoC 통신 서버로 전달한다.
인비테이션 메시지는 SIP "Invite" 요청이다. 이러한 타입의 요청은 "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라는 제목의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 3261에 주로 명시되었다.
이러한 인비테이션 메시지는, 인비테이션을 수신하는 클라이언트(들)뿐 아니라, 인비테이션을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다시 말하면 "PoC"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원하는 전송자들)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알려진 논리적 어드레스(logical address)를 포함한다.
PoC 통신 서버의 역할들 중 하나는 전송(또는 호출) 클라이언트로부터 초대되는(또는 호출된) 클라이언트(들)로 수신되는 인비테이션을 인비테이션 메시지 내에 포함된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초대된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 특히 셀룰러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형태인, 인비테이션과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뷰잉 리소스(viewing resource)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는 인비테이션을 수용할지 또는 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 있다.
OMA의 명세는 인비테이션 메시지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거의 확인하지 않는 다. SIP 프로토콜은 헤더들의 세트(a set of headers)를 확인한다. 이러한 헤더들은 호출 클라이언트의 논리적 어드레스(URI)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된다. 따라서 초대된 통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스크린 상에 이러한 논리적 어드레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논리적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호출된 사용자에게 알려진다면, 이것은 디렉토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디렉토리에 포함된 정보는 논리적 어드레스에 추가되거나 또는 논리적 어드레스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예로서 특허 요청 US2005/0287997에 기술되었다. OMA 표준 작업과 무관하게, 이것은 호출자와 관련된 정보("호출자 ID")가 시그널링 메시지에 삽입되고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에 의해 어드레스 북과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추가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최신 기술은 매우 만족스럽지 않다.
첫번째 기술의 경우에서, 논리적 어드레스는 사용자가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수용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적절한 결정을 내리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사실, 논리적 어드레스가 매우 알기 쉽다고 할 수는 없다(이것이 항상 호출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이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논리적 어드레스가 클라이언트에 의해 국부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와 관련되는 두번째 기술에 있어서, 이는 단지 인비테이션 메시지가 알려진 통신인으로부터 전달된 것일 때에만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통신인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호출된 사용자가 결정을 내리는 데에 도움을 주는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PoC 애플리케이션 내에서의 추가 정보의 전달을 허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왔다. 예로서 특허 요청 US2006/0046755, US2006/0121927 및 US2006/0040686에 기술된 바와 같이 "PoC" 세션 중에 통신 이미지의 수단을 셋아웃(set out)하는 방법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은 호출된 클라이언트가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수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정보의 전송을 허용하지 않는다.
사실, 예로서 요청 US2006/0040686에서, 통신 세션은 최신 기술에 따라 계속 셋업되며 이러한 세션이 셋업되는 것은 오직 한번이고, 호출된 클라이언트가 호출을 수용하면, 서버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미지는 인커밍 호출을 수용할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없다.
그 결과, 최신 기술을 향상시키고 호출된 클라이언트가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타입의 통신 세션으로의 초대를 수용할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요구되는 정보를 이용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 다운스트림 통신 채널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보음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 회로 및 업스트림 통신 채널 상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향 획득 회로와,
- 시그널링 채널 상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시그널링 인터페이스 -시그널링 메시지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클라이언트와의 통신 세션을 셋업하기 위한 것임- 와,
-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수단 및 "PTT(Push to Talk)" 타입 통신 세션이 셋업되었을 때 마이크로폰이 활성화되는 전송 모드와 마이크로폰이 활성화되지 않는 수신 모드 사이의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와,
- 수신된 시그널링 메시지의 일부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클라이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클라이언트는,
- 통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와 관련되고 하나 이상의 인비테이션 메시지에 의해 다른 클라이언트(들)로 전송되는 비즈니스 카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 디스플레이 수단은 수신된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비즈니스 카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는 SIP 프로토콜에 따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클라이언트와의 통신 세션을 셋업하기 위한 "Invite" 시그널링 메시지 내의 비즈니스 카드를 전송할 수 있다.
비즈니스 카드는 "Invite" 시그널링 메시지의 SDP 부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르면, 비즈니스 카드는 "vCard" 포맷에 따를 수 있다.
선택으로서, 비즈니스 카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는 각각이 사용자 및 사용자 프로파일과 관련되는 비즈니스 카드들의 세트(set)도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 클라이언트는 시그널링 메시지 내에서의 전송에 앞서 이러한 세트로부터 하나의 비즈니스 카드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와 하나 이상의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 사이의 "PPT" 타입 통신 세션을 셋업하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네크워크용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의 논리적 어드레스와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들)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그널링 프로토콜은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가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와 관련된 비즈니스 카드도 포함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는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에 의해 통신 서버로 전송되고, 어드레스(들)에 기초하여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들)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르면, 시그널링 메시지는 SIP 표준을 따르는 복수-부분 "Invite" 메시지일 수 있으며, 비즈니스 카드는 SDP 프로토콜에 따른 부분에 포함된다.
선택으로서, 이러한 비즈니스 카드는 vCard 포맷을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코드는 필요하면 통신 클라이언트 상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되는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그널링 메시지를 형성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특징은 아래의 구현 설명에서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의 예시에서, 통신 클라이언트(A)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N)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GSM, UMTS, CDMA 등과 같은 유형의 셀룰러 네트워크이다. 이것은 이동 서브네트워크 및 고정 서브네트워크를 포함하고 고정 및 이동 통신 클라이언트 모두의 통신을 허용하는 수렴형 네트워크(convergent network)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3GPP 및 TISPAN에 의해 표준화된 IMS(Internet Multimedia Subsystem) 아키텍처를 따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 클라이언트(A)는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클라이언트들(B, C)과 통신할 수 있다.
원래 알려진 방식으로, 통신 단말은 통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음성, 비디오 등)의 통신 네트워크(N)로의 전송을 가능케 하는 업스트림 채널, 네트워크로부터의 (그리고 간접적으로는 일반적으로 다른 통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가능케 하는 다운스트림 채널 및 통신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N) 사이의 시그널링 메시지의 쌍방향 전송을 가능케 하는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 접속될 수 있다.
통신 클라이언트들은 일반적으로 "음성" 타입 통신 세션이 셋업되도록 하는 음향 생성 및 획득 회로를 갖는 통신 단말이다. 이들은 또한 스크린, 카메라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비디오 등)이 셋업되도록 하는 더욱 향상된 리소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생성 회로는 일반적으로 다운스트림 통신 채널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보음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확성기 또는 헤드셋이다.
음향 획득 회로는 일반적으로 업스트림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마이크로폰이다.
통신 클라이언트(A, B, C)는 또한 그들을 통신 네트워크(N)로 접속시키는 시그널링 채널 상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 3261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SIP 프로토콜을 따를 수 있으며 만약 이러한 SIP 프로토콜의 연장이 필요하면 IETF 또는 다른 표준화 바디에 의해 이후에 규정된다.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타입의 통신 세션을 셋업하기 위해, 통신 클라이언트(A)는 통신 네트워크(N)로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를 전송한다.
통신 클라이언트(A)는 신호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이러한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의 전달을 트리거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는 전형적으로 키들의 세트로 이루어지며,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명령하고 통신 클라이언트를 제어할 수 있도록 추가로 터치 스크린, 스크롤 휠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PoC" 타입의 통신 세션의 인비테이션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일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는, "PTT"(Push to Talk) 통신 세션이 셋업되었을 때 수신 모드와 전송 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수단(키, 스크롤 휠 등)을 구비한다. 수신 모드에서, 음향 획득 회로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전송 모드에서, 음향 생성 회로는 일반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는다.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는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 서버(SC)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서버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의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에 기초하여 메시지를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B, C)로 전송한다.
도 2는 SIP 프로토콜 및 "PoC" 서비스용 OMA의 표준화된 명세사항을 따르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를 형성하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러한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는 IETF의 RFC 3261에 의해 규정되는 "INVITE" 메시지이다.
이것은 SIP 헤더의 세트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파트 ESIP를 포함한다. 이러한 헤더는 적어도 통신 클라이언트(A)의 사용자의 논리적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인비테이션 메시지가 통신 서버(SC)로 라우팅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INVITE" 시그널링 메시지는 또한 셋업될 통신 세션을 기술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의한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협상을 허용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파트(P1)를 포함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예로서 구현될 미디어 흐름의 인코딩 등과 관련될 수 있다.
원래 알려진 방식으로, 이러한 파트는 SDP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을 따른다.
MI 시그널링 메시지는 또한 파트(P2)를 포함하며, 전술된 표준 문서에서 기술되고 OMA로부터 획득되는 이러한 SDP 프로토콜을 따른다. 이러한 파트(P2)는 초대된 통신 클라이언트의 논리적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아래의 코드는 SIP 프로토콜 및 OMA의 명세사항을 따르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의 예시이다. 제 1 발췌문은 이러한 인비테이션 메시지의 ESIP 헤더를 나타낸다. 굵은 글씨는 SIP 프로토콜 문법에서의 핵심어를 나타내고 읽기 쉽도록 형식화되었다.
인비테이션 메시지(MI)가 "복수-부분(multi-part)" 메시지임을 의미하는 헤더 "Content-Type: multipart/mixed"는 SDP 프로토콜을 따르는 복수의 부분들(P1, P2 및 이후에 기술될 P3)을 포함함을 인지하여라.
Figure 112009023007511-PCT00001
SDP 프로토콜을 따르는 파트(P1)는 아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3007511-PCT00002
역시 SDP 프로토콜을 따르는 파트(P2)는 아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3007511-PCT00003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파트(P2)는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B, C)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sip:PoC-UserB@networkB.com" 및 "sip:PoC-User@networkC.com").
통신 서버(SC)는 이러한 메시지 내에 포함된 어드레스("sip:PoC-UserB@networkB.com" 및 "sip:PoC-User@networkC.com")에 기초하여 통신 클라이언트(B, C)로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의 예시에서, 메시지(MI)가 복제되어 MIB 메시지는 통신 클라이언트(B)로 전송되고 MIC 메시지는 통신 클라이언트(C)로 전송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트(P3) 역시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에 의해 전송되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에 삽입된다.
이러한 파트(P3)는 사용자의 비즈니스 카드를 포함한다. 이것은 통신 클라이언트 내에 이러한 용도의 메모리에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 클라이언트는 이러한 저장된 비즈니스 카드를 전송되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 내에 자동으로 삽입하고자 할 수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사용자로부터의 확인이 요청될 수 있거나, 또는 자동 삽입이 이러한 통신 클라이언트에 대한 구성 선택의 대상일 수 있다.
만약 단일 통신 클라이언트가 몇몇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들에 의해 사용되고자 한다면, 메모리는 여러 개의 비즈니스 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송되는 비즈니스 카드는 사용자가 통신 클라이언트에 접속할 때("로그인")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단일 사용자에 있어서, 예로서 업무용 비즈니스 카드, 개인용 비즈니스 카드 등의 서로 다른 프로파일들에 해당하는 여러 개의 비즈니스 카드가 계획 및 저장될 수 있다.
모든 경우에서, 통신 클라이언트는 시그널링 메시지(MI)의 전송에 앞서 저장된 모든 비즈니스 카드로부터 하나의 비즈니스 카드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비즈니스 카드는 vCard 포맷을 따를 수 있다. 이러한 vCard 포맷은 이메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는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애플리케이션과 그것을 사용하는 서비스 사이뿐 아니라 인비테이션 메시지와 이메일 사이에서도 정보 처리 상호 운용을 허용한다.
이러한 vCard("versitcard") 포맷은 각각 "A MIME Content-Type for Directory Information" 및 "vCard MIME Directory Profile"이라는 제목의 IETF의 RFC 2425 및 2426에 의해 버전 3.0에서 표준화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비즈니스 카드 명세사항 또한 가능하다.
비즈니스 카드는 사용자 이름 또는 성, 전자 주소, 물리적 주소, 전화번호, 직함 및/또는 직업 등과 같은 통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와 관련된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DP 프로토콜에 따라, 비즈니스 카드를 포함하는 이러한 파트(P3)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09023007511-PCT00004
시그널링 메시지(MI)에 포함된 이러한 파트(P3)는 시그널링 메시지(MIB, MIC) 내에 보존되어, 각각이 통신 서버(SC)에 의해 통신 클라이언트(B, C)로 전송된다.
통신 서버(B, C)는 특히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한다. 비즈니스 카드 내에 포함된 정보는 이러한 스크린 상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에게 초대를 수 용할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가의 정보를 제공한다.
어떤 정보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반면(호출자 이름 등), 다른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한 동작 후에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어드레스 등). 이러한 분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크기에 따를 수 있다.
통신 클라이언트(A)의 사용자를 알지 못한다 해도, 통신 클라이언트(B, C)의 사용자에게 통신 클라이언트(A)의 사용자의 이름, 회사, 주소 등이 알려지며, 이러한 정보는 결정을 내리기에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B, C)는 어떤 인커밍 호출은 필터링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요청되지 않은 "스팸(spamming)" 인비테이션을 거절한다.
또한 이들은 인커밍 호출에 대해 (폴더, 서류 등을 꺼냄으로써) 심리적, 육체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통신 클라이언트에 의해 수신되는 이러한 비즈니스 카드는 이러한 용도의 메모리에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어드레스 북" 타입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내의 저장 및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이들 접촉을 관리하고 통신인의 흔적을 유지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르면, 비즈니스 카드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가 아닌 시그널링 메시지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메시지는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B)에 의해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 및/또는 다른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C)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클라이언트(B)의 사용자의 비즈니스 카드를 포함하는 이러한 시그널링 메시지는 통 신 클라이언트(A, C)가 이러한 개인적 정보를 찾는 것을 허용하고 필요하다면 그들의 접촉 중에 이러한 비즈니스 카드를 저장한다.

Claims (15)

  1. 통신 클라이언트(A)로서,
    다운스트림 통신 채널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보음을 생성하는 음향 생성 회로 및 업스트림 통신 채널 상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향 획득 회로와,
    시그널링 채널 상에서 시그널링 메시지(MI)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시그널링 인터페이스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클라이언트(B, C)와의 통신 세션을 셋업(set up)하기 위한 인비테이션 메시지(invitation message)임- 와,
    상기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수단 및 "PTT(Push to Talk)" 타입 통신 세션이 셋업되었을 때 상기 마이크로폰이 활성화되는 전송 모드와 상기 마이크로폰이 활성화되지 않는 수신 모드 사이의 전환에 사용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와,
    수신된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의 일부에 포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통신 클라이언트의 사용자와 관련되고 하나 이상의 인비테이션 메시지에 의해 상기 다른 통신 클라이언트(들)로 전송되는 비즈니스 카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수신된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비즈니 스 카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통신 클라이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는 상기 SIP 프로토콜에 따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통신 클라이언트와의 상기 통신 세션을 셋업하기 위한 "Invite" 시그널링 메시지 내의 상기 비즈니스 카드를 전송하는
    통신 클라이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니스 카드는 상기 "Invite" 시그널링 메시지의 SDP 부분 내에 삽입되는
    통신 클라이언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니스 카드는 "vCard" 포맷에 따르는
    통신 클라이언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즈니스 카드를 저장하는 상기 메모리는 각각이 사용자 및 사용자 프로파일과 관련되는 비즈니스 카드들의 세트(set)도 저장하며,
    시그널링 메시지(MI) 내에서의 전송에 앞서 이러한 세트로부터 하나의 비즈니스 카드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클라이언트.
  6. 이동 통신 네트워크(N)용 시그널링 프로토콜로서,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와 하나 이상의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B, C) 사이의 "PPT" 타입 통신 세션을 셋업하고 상기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의 논리적 어드레스와 상기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들)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를 포함하되,
    상기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는 상기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의 사용자와 관련된 비즈니스 카드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는 상기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에 의해 통신 서버(SC)로 전송되고, 상기 어드레스(들)에 기초하여 상기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들)(B, C)로 전송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는 SIP 표준을 따르는 복수-부분(multi-part) "Invite" 메시지이며, 상기 비즈니스 카드는 SDP 프로토콜에 따른 부분에 포함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니스 카드는 vCard 포맷을 따르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제품.
  11. 이동 통신 네트워크(N)용 시그널링 프로토콜로서,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와 하나 이상의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B, C) 사이의 통신 세션을 셋업하고 상기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의 논리적 어드레스와 상기 피호출 통신 클라이언트(들)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를 포함하되,
    상기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MI)는 상기 호출 통신 클라이언트(A)의 사용자와 관련된 비즈니스 카드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니스 카드는 vCard 포맷을 따르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는 SIP 표준을 따르는 "Invite" 메시지인
    시그널링 프로토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니스 카드는 상기 인비테이션 시그널링 메시지의 SDP 프로토콜을 따르는 부분에 포함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클라이언트를 구현하는 통신 네트워크.
KR1020097007805A 2006-10-18 2007-09-11 통신 클라이언트, 시그널링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제품 및 통신 네트워크 KR20090068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54332 2006-10-18
FR0654332A FR2907621B1 (fr) 2006-10-18 2006-10-18 Enrichissement de la signalisation dans une session de communication de type "push to talk" par insertion d'une carte de vis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335A true KR20090068335A (ko) 2009-06-26

Family

ID=3800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805A KR20090068335A (ko) 2006-10-18 2007-09-11 통신 클라이언트, 시그널링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제품 및 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69821B2 (ko)
EP (1) EP1921835A1 (ko)
JP (1) JP2010507302A (ko)
KR (1) KR20090068335A (ko)
CN (1) CN101166314A (ko)
FR (1) FR2907621B1 (ko)
WO (1) WO2008046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5881B2 (en) * 2009-02-12 2012-10-23 Alcatel Lucent Virtual card (VCARD) container for creating and sending electronic business cards
CN101951702A (zh) * 2010-08-19 2011-01-19 浙江元亨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终端实现单工通信的方法
FR2984663B1 (fr) 2011-12-15 2014-11-21 Oberthur Technologies Procede d'initiation d'une conversation
CN107277284A (zh) 2017-04-26 2017-10-20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基于VoLTE的语音通话方法和系统、存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9925A1 (en) * 2003-04-30 2004-11-04 Motorola, Inc. Image data transfer over a dispatch voice channel
KR100575978B1 (ko) * 2004-08-17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US7725119B2 (en) * 2004-08-24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graphics data in a push-to-talk system
KR100626218B1 (ko) * 2004-12-08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피티티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1835A1 (fr) 2008-05-14
US20080096599A1 (en) 2008-04-24
JP2010507302A (ja) 2010-03-04
CN101166314A (zh) 2008-04-23
FR2907621B1 (fr) 2009-01-23
US7869821B2 (en) 2011-01-11
FR2907621A1 (fr) 2008-04-25
WO2008046697A1 (fr) 200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6023B2 (en) Real-time messaging method and apparatus
EP1806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push-to-talk sessions between outside services and user equipment
US8849927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real-time voice messaging on a server node
US8688789B2 (en) Progressive messag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upporting near real-time communication
US8645477B2 (en) Progressive messag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upporting near real-time communication
US88257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rver for real-time communication of time-based media
MX2007002723A (es) Detalles de grupo de servicios de grupo.
ZA200702827B (en) Group details of group services
US20100198923A1 (en) Methods for using the addressing, protocols and the infrastructure of email to support near real-time communication
EP178104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type service
US11943186B2 (en) Real-time messag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90068335A (ko) 통신 클라이언트, 시그널링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제품 및 통신 네트워크
AU20093387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near real-time communication
EP2391076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of real-time media
AU20132026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near real-tim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