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763A -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763A
KR20090066763A KR1020070134448A KR20070134448A KR20090066763A KR 20090066763 A KR20090066763 A KR 20090066763A KR 1020070134448 A KR1020070134448 A KR 1020070134448A KR 20070134448 A KR20070134448 A KR 20070134448A KR 20090066763 A KR20090066763 A KR 2009006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aterproof sheet
heat
waterproof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수
한경희
윤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Priority to KR102007013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763A/ko
Publication of KR2009006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건축물의 옥상과 같이 직사일광을 받는 부위에 시트를 사용하는 노출방수공사에서 마감부위의 시공방법을 간편하게 개선하고, 방수시트와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축열층을 마련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스하게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기능을 부여한 건축물의 축열시트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 공법은 부직포의 일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도포 또는 함침하여 된 베이스시트(40)를 상기 바닥(10)에 덮는 단계와, 제2방수시트(52)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상기 베이스시트(40)와 함께 바닥(10)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방수시트(52)를 복수매 구비하여 각각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고정된 인접한 제2방수시트(52)에 열융착시키고 각각의 타측단부를 고정못으로 바닥(10)에 고정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 공법은 베이스시트는 인간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범위에서 열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보다 높게 상승하는 경우 축열을 하여 온도상승을 지연하고, 낮은 온도로 하강하는 경우 축열된 열을 방출하여 온도하강을 지연하여 인간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로 장시간 유지하여 주거환경을 쾌적하게 유도`한다.
방수, 옥상, 축열, 고정못, 상변환물질(PCM), 파라핀

Description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A method of construction for a waterproof}
본 발명은 외기에 노출되어 직사일광을 받는 부위 즉, 건축물의 옥상, 발코니, 베란다 또는 개방복도 등의 방수를 필요로 하는 부분의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층과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축열층을 마련하여서 쾌적한 실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과 같이 직사일광을 받는 부위에 시트를 사용하는 노출방수공사에서 마감부위의 시공방법을 간편하게 개선하고, 방수시트와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축열층을 마련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스하게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기능을 부여한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기에 노출되는 건축물의 옥상, 발코니, 베란다 또는 개방복도 등의 바닥은 동절기의 극심한 냉기와 하절기의 직사일광의 영향으로 방수층이 조기에 수명을 다하게 된다.
또한 최상층의 바닥은 외벽면 보다 눈, 비, 태양의 영향으로 냉기와 열기가 더욱 크게 작용하여 최상층에 면한 거주자의 주거환경을 해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된 건축물의 옥상은 하절기에 직사일광을 받을 경우 표면온도가 약 60∼80℃까지 상승하며, 이는 옥상에 면한 최상층의 실내 온도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바닥의 온도변화는 벽면보다 변화의 폭이 크게 진행된다. 또한 동절기에는 차가운 한기의 영향을 받거나 쌓인 눈이 얼어 실내온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특히 노후된 건축물은 단열재의 성능이 떨어져 단열효과가 감소되어 외기의 영향은 더욱 크게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단열은 열의 유입이나 손실을 줄여 냉/난방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겨울철의 냉기와 여름철 뜨거운 열기가 실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극고온이나 극저온상태에서의 난방부하를 줄이는 기능을 한다.
건축물에 열이 전달되는 방식은 복사열, 전도열, 대류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열전달 방식에 따라 단열재의 종류도 저항형단열재, 반사형단열재, 용량형단열재로 분류하고 있다. 저항형단열재는 전도열의 이동을 억제하며, 반사형단열재는 복사열의 이동을 억제하며, 용량형단열재는 축열에 의한 시간 지연 및 열이동을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저항형단열재는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효율이 좋은 제품이며, 저항형 단열재의 효율을 높이는 가장 우수한 재료는 정지된 공기로 상온 20℃에서 열전도율이 0.0220㎉/mh℃로 어느 단열재보다 좋다. 따라서 기존의 저항형단열재 대부분이 내부가 미세한 공기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반사형단열재는 얇은 알루미늄박판을 들 수 있으며, 복사의 형태로 열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여름철 직사일광의 열을 반사하여 외부의 복사열을 차단하거나 겨울철의 실내난방복사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건축물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어 최근 저항형단열재와 복합구조를 형성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량형단열재는 열을 저장하는 열량을 높여 단열효과를 얻는 것이다. 벽체의 열용량은 단위면적당 질량(표면밀도, ㎏/㎡)과 재료의 비열(J/㎏℃)의 곱으로 표시한다. 건물의 내부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외부의 온도변화가 커질 경우 열용량이 큰 중량벽은 열을 흡수하여 내부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철재 건물과 같이 열용량이 낮은 건물은 태양이 내리쬘 때 온도가 급속히 상승하지만, 거대한 돌로 된 성은 열용량이 높아 주변의 열을 저장하여 높은 외기온이나 직사일광에서도 쾌적한 상태를 장시간 지속한다.
즉, 건물의 열용량을 높이면 여름철에 건물 내부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건물의 열용량을 높이는 방법에는 건물에 잠열을 저장할 수 있는 재료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에 신축된 건축물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열성능이 우수한 재료로 시공하기 때문에 열의 이동이 최소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최상층에 면한 세대의 실내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상의 난간벽에서의 우수(雨水)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난간벽에서의 마감시공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한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도포 또는 함침하여 된 베이스시트를 상기 바닥에 덮는 단계와, 제2방수시트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상기 베이스시트와 함께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방수시트를 복수매 구비하여 각각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고정된 인접한 제2방수시트에 열융착시키고 각각의 타측단부를 고정못으로 바닥에 고정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박막의 알루미늄 시트가 부착된 열반사 단열재의 배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된 베이스시트를 상기 바닥에 덮는 단계와, 제2방수시트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상기 베이 스시트와 함께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방수시트를 복수매 구비하여 각각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고정된 인접한 제2방수시트에 열융착시키고 각각의 타측단부를 고정못으로 바닥에 고정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는 난간벽을 가지며, 얇은 강판과 방수시트가 서로 일체가 된 형상의 고정판을 난간벽 상부의 외측 끝단에 대고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방수시트의 일측단부를 상기 고정판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난간벽의 상면부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의 상면부를 연질의 덮개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과 바닥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에 고정된 제2방수시트의 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의 단부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방수시공방법은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는 난간벽을 가지고, 상기 난간벽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저면에 물끊기홈이 형성된 방수턱이 형성되며, 유연한 재질의 제1방수시트의 일측단부에 고정판을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방수시트가 열융착된 상기 고정판을 상기 방수턱 아래부분의 난간벽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난간벽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의 상면부를 덮개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과 바닥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에 고정된 제2방수시트의 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의 단부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도포 또는 함침하여 된 베이스시트를 상기 건축물 바닥에 깔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상면에 제2방수시트를 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박막의 알루미늄 시트가 부착된 열반사 단열재의 배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된 베이스시트를 상기 건축물 바닥에 깔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상면에 제2방수시트를 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시공방법은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는 난간벽을 가지며,
유연한 재질의 제1방수시트의 일측단부에 고정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판에 부착된 제1방수시트의 상면에 덮개를 열융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판을 상기 난간벽의 상면부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과 바닥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에 고정된 제2방수시트의 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의 단부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의 가장자리에는 난간벽을 가지고, 상기 난간벽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저면에 물끊기홈이 형성된 방수턱이 형성되며,
유연한 재질의 제1방수시트의 일측단부에 고정판을 열융착하여 부착는 단계와, 상기 제1방수시트가 열융착된 상기 고정판을 상기 방수턱 아래부분의 난간벽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난간벽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의 상면부를 덮개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과 바닥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에 고정된 제2방수시트의 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의 단부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베이스시트는 인간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범위에서 열을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보다 높게 상승하는 경우 축열을 하여 온도상승을 지연하고, 낮은 온도로 하강하는 경우 축열된 열을 방출하여 온도하강을 지연하여 인간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로 장시간 유지하여 주거환경을 쾌적하게 유도한다.
둘째, 난간벽의 상면에 금속판을 고정시키고 제2방수시트를 이 금속판에 열접합으로 부착시키며, 유연한 재질의 덮개로 난간벽의 외벽면과 상면을 마감시킴으로써, 난간벽의 외벽이 울퉁불퉁 하더라도 덮개에 의해서 틈새발생을 방지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 등의 습기의 침투를 방지한다.
세째, 방수시트의 고정을 접착제가 아닌 고정못을 사용하므로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바닥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의 유동이 원활해져 액상의 도료를 사용하는 도막방수공법의 문제점인 도막의 들뜸이나 배부름현상이 없다.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직사일광 및 눈, 비의 영향을 직접 받는 부위 즉, 옥상, 발코니, 베란다 또는 개방복도 등의 바닥에 적용되는 방수공법으로, 발명이 실시되는 구체적인 대상은 공장에서 제작한 방수시트를 이용한 난간벽(11) 주변의 방수시트시공방법과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기 위하여 바닥(10)에 축열층을 마련하는 방법에 있다.
우선, 난간벽(11) 주변의 방수시트 시공방법은 도 1과 같이 난간벽 상부에 수평으로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제1실시예와, 도 7과 같이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한 구조물 즉, 방수턱(13) 하부에 수직으로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제2실시예로 구분한다.
[제1실시예]
제 1 실시예의 방수공법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얇은 강판(30b)과 방수시트(30a)가 서로 일체가 된 형상의 고정판(30)을 난간벽(11) 상부의 외측 끝단에 대고 고정못(31)으로 물리적인 고정을 한다.
고정판(30)을 고정못(31)으로 고정하기 전에 고정상태를 견고하기 하기 위해 난간벽(11) 상부에 고탄성의 접착제(32)를 도 1에서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서와 같이 제1방수시트(51)를 난간벽(11)에 설치한 고정판(30) 위에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한다. 이때 제1방수시트(50)는 열가소성(熱可塑性)을 갖는 수지로 열융착 방식에 의한 접착은 수지의 융점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열을 가하여 시트를 용융한 후 고정판(30)을 압착하여 접착하는 방식이다.
이어서, 도 4에서와 같이, 난간벽(11) 상부와 고정판(30) 사이에 빗물이 스며들 우려가 있으므로 제1방수시트(5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된 덮개(20)를 제1방수시트(50)의 윗면에 열융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난간벽(11)의 상단 가장자리가 요철이 많거나 곡선형으로 처리된 부위가 있는 경우에 유연한 탄성을 갖는 덮개(20)가 요철이나 곡선에 따라 밀착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우수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실한 마감처리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제1방수시트(51)의 단부에 고정판(30)을 열융착으로 접합시킨 다음 난간벽(11)에 시공하는 방법은, 고정판(30)을 난간벽(11)에 설치한 다음 제1방수시트(51)를 열융착하여 마무리하는 방법보다 곡선이나 요철의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시트의 구김이나 뒤틀림을 줄여줄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11)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11)과 바닥(10)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10)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1방수시트(51)가 덮어지지 아니한 상기 바닥(10)에 베이스시트(40)를 덮는다.
이어서 제2방수시트(52)의 일측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51)의 타측단부에 열융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2방수시트(52)의 타측 단부를 상기 베이스시트(40)와 함께 고정못으로 바닥(10)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방수시트(52)를 복수매 구비하여 각각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고정된 인접한 제2방수시트(52)에 열융착시키고 각각의 타측단부를 고정못으로 바닥(10)에 고정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방수시트의 고정을 접착제가 아닌 고정못을 사용하므로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바닥(10)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의 유동이 원활해져 액상의 도료를 사용하는 도막방수공법의 문제점인 도막의 들뜸이나 배부름현상이 없다.
[제2실시예]
도 7 및 도 8과 같이 난간벽(11) 상부에 빗물을 차단하기 위한 즉, 방수턱(13)이 설치되어 수직으로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경우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난간벽(11) 내부의 물끊기(12)까지 유연한 재질의 제1방수시트(5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우선 유연한 재질의 제1방수시트(51)를 난간벽(11) 주변을 마감할 수 있는 정도의 적정 길이로 재단한 다음 도 2에서와 같이 재단한 제1방수시트(51)의 한쪽 끝단에 고정판(30)을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한다.
이때 고정판(30)이 부착되는 부위는 도 8과 같이 물끊기(12) 바로 아래가 된다.
이어서 제1방수시트(51)의 고정판(30)이 부착된 부분을 난간벽(11)의 상단인 물끊기(12) 있는 지점 바로 아래에 고정못(31)으로 고정한다. 이때 고정판(31)이 난간벽(11)면을 향하고 제1방수시트(51)가 표면에 노출되도록 한다.
제1방수시트(51)를 고정한 다음 제1방수시트(51)위로 노출된 고정못(31)은 제1방수시트(51)와 동일한 재질의 덮개(20)로 열융착방식으로 부착하여 마감한다.
여기서, 고정판(30)을 난간벽(11)의 상부의 물끊기(12) 바로 아래지점에 고정못(31)으로 고정한 다음 제1방수시트(51)를 열융착하는 경우에는, 방수턱(13)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협소하며 불안전한 자세로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제2실시예의 개선방법은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조건이 개선되고 마감상태가 미려하게 처리된다.
난간벽(11)에 제1방수시트(51)를 시공한 후 바닥(10)에 베이스시트(40) 및 제2방수시트(52)를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2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시트(40)는 상변화물질이 도포 또는 함침되어 축열성을 갖도록 하였다.
상기 베이스시트(40)를 시공할때에는 상변화물질이 다량 도포된 부위가 바닥(10)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방수시트(51)(52)의 고정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한쪽 면을 고정못(31)으로 고정하고,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이음은 약 4∼15㎝가 겹치도록 하여 열융착 한다. 도 6에서 참조부호 'A'는 열융착부분을 나타낸다.
베이스시트(40)는 통상의 부직포나 연질형시트로 제작된 단열재에 상변환물질(PCM)이라는 축열재료를 도포 또는 함침한 것으로서, 바닥(10)과 방수시트(52) 사이에서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나타내기도 하며, 바닥(10)의 미세한 요철을 흡수하여 방수시트의 표면마감상태가 고르게 되도록 조정한다.
상기 베이스시트(40)는 부직포의 일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도포 또는 함침하여 제작하였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캡슐형으로 제작한 상변환물질과 배합재료(접착제 등)를 통상의 부직포 한쪽면에 도포함에 있어 상변환 물질에 포함된 순수한 파라핀 양이 단위면적 즉 1평방미터에 약 100g 이상이 계량되도록 제작하였다.
상기 베이스시트(40)의 다른 제작방법은 얇은 막의 알루미늄 시트가 부착된 발포폴리에스터시트의 통상의 열반사 단열재의 배면 즉, 알루미늄시트가 부착된 반대편에 캡슐형으로 제작한 상변환물질을 도포하여 제작하였다.
도포 또는 함침된 상변환물질(PCM)은 일정한 온도영역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본 특성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온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한다. 베이스시트(40)에 도포되는 상변화 물질의 단위사용량은 건축물의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베이스시트(40)는 잠열특성을 갖는 상변환 물질이 도포 및 첨가되어 있다.상변환물질은 일정한 온도구간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물리적 특성이 있어 외부의 온도가 극심한 변화를 나타내도 실내온도를 항상 쾌적한 조건으로 유도해준다. 인간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범위는 21.2∼26.5℃로 여름철의 경우 26∼28℃, 겨울철의 경우 18∼20℃의 실내온도를 유지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건축물의 실내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변환 물질은 21.2∼26.5℃의 온도에서 열을 흡수하고,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축열을 하고, 낮은 온도에서는 열을 방출하여 실온이 급격히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지연시켜 준다.
이러한 소재는 단순히 보온성을 증가시키는 것 뿐 아니라 주거공간의 실온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기능으로서, 외기의 온도를 적절히 흡열, 축열, 방열하여 인간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범위에서 오랜 시간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 공간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본 발명의 차별화된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축열재료는 물질의 상변화 시 많은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해 준다.
예를 들어 물은 고체, 액체, 기체의 3가지 형태로 형상이 변화한다. 고체에서 액체, 또는 액체에서 기체의 다른 형상으로 변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해야 한다. 예를 들어 물의 온도를 1℃ 높이는 데는 1㎈ 열량이 소요된다. 그러나 동일한 온도조건인 0℃의 얼음이 0℃의 물로 변화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에너지는 약 80㎈로 0℃의 물을 80℃로 올리는 것과 동일한 양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축열층은 태양열을 적정 온도 범위에서 흡열, 축열, 방열하는 기능이 있어 인간이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범위에서는 열을 흡수한다. 즉, 잠열반응을 통한 에너지 흡수를 하며, 쾌적감을 느끼는 온도범위보다 높은 경우 흡수한 에너지를 보유하고,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는 열을 방출하여 실내온도가 일정한 조건이 되도록 유도한다.
축열재료의 주원료는 파라핀으로 상변화가 진행될 경우 7ton의 상변환물질(PCM)은 200ton의 콘크리트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변화가 진행되는 온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변화물질(PCM)은 온도가 증가하면 선형적으로 뜨거워지는 기존의 용량형 단열재나, 열의 이동을 차단하는 저항형 또는 반사형 단열재보다 훨씬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변화물질(PCM)은 단순히 보온성을 증가시키는 것 뿐 아니라 실내온도가 과열되거나 냉각될 때에 내부온도를 완충하는 작용을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Claims (8)

  1.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도포 또는 함침하여 된 베이스시트(40)를 상기 바닥(10)에 덮는 단계와,
    제2방수시트(52)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상기 베이스시트(40)와 함께 바닥(10)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방수시트(52)를 복수매 구비하여 각각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고정된 인접한 제2방수시트(52)에 열융착시키고 각각의 타측단부를 고정못으로 바닥(10)에 고정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2.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박막의 알루미늄 시트가 부착된 열반사 단열재의 배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된 베이스시트(40)를 상기 바닥(10)에 덮는 단계와,
    제2방수시트(52)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상기 베이스시트(40)와 함께 바닥(10)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방수시트(52)를 복수매 구비하여 각각의 일측단부를 고정못으로 고 정된 인접한 제2방수시트(52)에 열융착시키고 각각의 타측단부를 고정못으로 바닥(10)에 고정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에는 난간벽(11)을 가지며,
    얇은 강판(30b)과 방수시트(30a)가 서로 일체가 된 형상의 고정판(30)을 난간벽(11) 상부의 외측 끝단에 대고 고정못(31)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일측단부를 상기 고정판(30)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난간벽(11)의 상면부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상면부를 ㅇㅕ연질의 덮개(20)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11)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11)과 바닥(10)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10)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10)에 고정된 제2방수시트(52)의 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51)의 단부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에는 난간벽(11) 을 가지고, 상기 난간벽(11)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저면에 물끊기홈(12)이 형성된 방수턱(13)이 형성되며,
    유연한 재질의 제1방수시트(51)의 일측단부에 고정판(30)을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방수시트(51)가 열융착된 상기 고정판(30)을 상기 방수턱(13) 아래부분의 난간벽(11)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난간벽(11)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상면부를 덮개(20)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11)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11)과 바닥(10)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10)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10)에 고정된 제2방수시트(52)의 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51)의 단부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5.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의 일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이 도포 또는 함침하여 된 베이스시트(40)를 상기 건축물 바닥(10)에 깔고,
    상기 베이스시트(40)의 상면에 제2방수시트(52)를 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6.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에 있어서,
    박막의 알루미늄 시트가 부착된 열반사 단열재의 배면에 상변환물질로서 파라핀이 수용된 캡슐과 에멀젼 형태의 접착제가 혼합된 액상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된 베이스시트(40)를 상기 건축물 바닥(10)에 깔고,
    상기 베이스시트(40)의 상면에 제2방수시트(52)를 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에는 난간벽(11)을 가지며,
    유연한 재질의 제1방수시트(51)의 일측단부에 고정판(30)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판(30)에 부착된 제1방수시트(51)의 상면에 덮개(20)를 열융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판(30)을 상기 난간벽(11)의 상면부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11)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11)과 바닥(10)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10)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10)에 고정된 제2방수시트(52)의 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51)의 단부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10)의 가장자리에는 난간벽(11)을 가지고, 상기 난간벽(11)은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저면에 물끊기홈(12)이 형성된 방수턱(13)이 형성되며,
    유연한 재질의 제1방수시트(51)의 일측단부에 고정판(30)을 열융착하여 부착는 단계와,
    상기 제1방수시트(51)가 열융착된 상기 고정판(30)을 상기 방수턱(13) 아래부분의 난간벽(11)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난간벽(11)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상면부를 덮개(20)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와,
    일측단부가 상기 난간벽(11)에 고정된 상기 제1방수시트(51)의 타측단부를 상기 난간벽(11)과 바닥(10)의 경계부에 인접한 상기 바닥(10)에 고정못으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바닥(10)에 고정된 제2방수시트(52)의 단부를 상기 고정못으로 고정된 제1방수시트(51)의 단부에 열융착하여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KR1020070134448A 2007-12-20 2007-12-20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KR20090066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448A KR20090066763A (ko) 2007-12-20 2007-12-20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448A KR20090066763A (ko) 2007-12-20 2007-12-20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763A true KR20090066763A (ko) 2009-06-24

Family

ID=4099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448A KR20090066763A (ko) 2007-12-20 2007-12-20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7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4900A (zh) * 2017-02-21 2017-06-16 潍坊市宏源防水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高分子防水材料的预装式构件及使用方法
CN114787465A (zh) * 2021-09-16 2022-07-22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无尘室设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4900A (zh) * 2017-02-21 2017-06-16 潍坊市宏源防水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高分子防水材料的预装式构件及使用方法
CN114787465A (zh) * 2021-09-16 2022-07-22 日立环球生活方案株式会社 无尘室设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6420A (en) Heat retention wall system
CN106760245A (zh) 一种倒置法节能屋面系统及其施工方法
CN108951941A (zh) 一种降温墙体结构
CN100357538C (zh) 框填体保温隔热板块及施工方法
CN107129250A (zh) 一种节能环保材料
CA2716737A1 (en) Layered construction with tube system
CN107386562A (zh) 一种盒状金属装饰保温一体板及墙体结构
KR20090066763A (ko) 축열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방수시공방법
Kumar et al. Advances in the building materials for thermal comfort and energy saving
CN109882921A (zh) 一种蓄热式地暖系统
Binyaseen Improving thermal performance of existing uninsulated RC domes through passive cooling measures using polyurethane foam in double skin layer in hot climate.
CN103628634B (zh) 坡屋面保温通风节能干法结构及其施工方法
CN206538957U (zh) 硅藻土防火保温板薄抹灰外墙保温系统
CN111472469A (zh) 一种纳米气凝胶外墙保温系统及施工方法
CN207660191U (zh) 一种保温隔热屋顶结构
CN213204786U (zh) 防火节能装饰一体板
CN217604212U (zh) 一种相变蓄能室内供暖层
CN208280645U (zh) 能够提升窗下墙热工性能的结构
CN206800671U (zh) 高反射隔热型内外组合保温系统
CN206888374U (zh) 一种屋面系统
CN213204787U (zh) 复合保温装饰一体板
CN214995313U (zh) 一种屋顶防水保温结构
CN205421659U (zh) 一种应用太阳能毛细管顶板辐射采暖系统的3l热隔断屋顶
CN213654013U (zh) 一种节能屋面结构
CN103711263B (zh) 太阳能集热器的坡屋面安装系统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