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513A -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513A
KR20090066513A KR1020070134076A KR20070134076A KR20090066513A KR 20090066513 A KR20090066513 A KR 20090066513A KR 1020070134076 A KR1020070134076 A KR 1020070134076A KR 20070134076 A KR20070134076 A KR 20070134076A KR 20090066513 A KR20090066513 A KR 20090066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communication
smart bag
cloth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김용준
조현승
황은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513A/ko
Publication of KR2009006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Econo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에 구비된 통신 모듈과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와의 초단거리 저전력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도록 해 주는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주머니는 일측이 개방된 주머니형상을 가지면서, 소정 통신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주머니의 일측에 형성되고, 주머니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됨과 더불어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이 구비되어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스마트주머니 내부에서 초단거리 무선통신(Wireless connectivity)을 통해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하고, 또한 역으로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무선신호를 무선모듈이 수신하여 상기 커넥터로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은 상기 스마트주머니를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킴과 더불어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와 주머니 내부에서 초단거리 무선통신(Wireless connectivity)을 통해 무선결합시켜 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결과를 무선통신단말기를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의류의 통신모듈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 주머니, 통신 의류, 안테나 의류

Description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Smart pocket and cabless connection system of cloth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에 구비된 통신 모듈과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와의 초단거리 저전력 무선통신기능을 수행하도록 해 주는 스마트주머니 및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중화되어 있는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무선통신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자체내에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이 안테나를 통해 외부의 다른 통신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각종 통신기기의 편리성 및 휴대성을 위하여 통신기기를 의복에 장착하여 입는 형태로 된 일명 "스마트 의류"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상기 스마트의류는 일반적으로 통신기기(ipod)를 전기적 연결선을 통해 의복상에 고정된 컨트롤 버튼과 결합시키고, 이 컨트롤 버튼을 사용하여 통신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마트 의류"에 대해서는 외부와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 의류에 안테나 등의 기기가 장착되어 통신기기가 입은 채로 구동되도록 하는 방안들이 제안되어지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01821호(발명의 명 칭: 휴대용 디바이스 안테나)와,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81401호(발명의 명칭: 의복안테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04-7016372호(발명의 명칭: 직물안테나의 선택적인 차폐를 위한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04-7012974호(발명의 명칭: 직물안테나를 구비하는 RFID 트랜스폰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한국공개특허는 첫째, 휴대용 기기의 안테나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의류상에서 제공하도록 된 것으로, 의류내부의 여러기기(통신모듈)간의 연결방안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둘째, 휴대용 기기의 휴대 편리성 외에 사용자에게 다른 개선된 효과가 없다. 셋째, 무선통신을 위한 의복 내에 병합되는 안테나의 경우, 그 방법적으로는 의복의 내부 또는 표면에 기워진 유연성있는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고, 위치적으로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소매 끝부위나 다리 내부 안감 등으로 위치가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자유로운 통신 모듈(각종 휴대용기기) 착용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넷째, 의복에서 무선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옷마다 의복안테나가 각각 부착되어 있어야 하는 소비성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의류에 포함되는 의류내 여러기기(통신모듈) 들과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와의 무선연결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스마트주머니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스마트주머니를 다수의 의복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스마트주머니는 물품 수납을 위한 주머니형상을 가지면서, 통신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주머니의 일측에 형성되고, 주머니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됨과 더불어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이 구비되어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하고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커넥터로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은 감지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모듈이 장착된 의류와, 표시수단과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대응되도록 표시수단으로 그 결과정보를 표시출력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물품 수납을 위한 주머니형상을 가지면서,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주머니의 일측에 형성되고, 주머니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무선모듈에서 의류의 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주머니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은 감지신호를 근거로 동작상태를 변화시키는 통신모듈이 장착된 의류와, 정보입력수단과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출력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물품 수납을 위한 주머니형상을 가지면서,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주머니의 일측에 형성되고, 주머니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무선모듈에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의류의 통신모듈로 제공하는 스마트주머니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과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간의 의류내 무선연결을 수행하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수 의류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스마트주머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주머니를 통해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표시출력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를 근거로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은 스마트주머니(100)가 통신모듈(210)이 구비된 의류(200) 및, 무선통신단말기(300)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스마트주머니(100)는 상기 의류에 구비된 통신모듈(210)과 무선통신단말기(300)간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주머니(100)는 통신모듈(210)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함과 더불어, 무선통신단말기(300)와 초단거리 무선통신, 예컨대 Wireless connectivity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주머니(100)와 통신모듈(210) 간의 유선통신 프로토콜 또는 무선통신 프로토콜과, 스마트주머니(100)와 무선통신단말기(300) 간의 초단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미리 정의되어 있을 것이다.
상기 스마트주머니(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면서 물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마트주머니(100)와 초단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무 선통신단말기(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주머니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주머니(100)는 그 후면에 의류(200)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단추나 벌크로테이프 등과 같은 소정 체결수단(11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의류(20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주머니(100)의 체결수단(110)에 대응되는 제2 형상의 체결수단(220)이 구비되어 스마트주머니(100)가 의류(200)에 탈부착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체결수단(110,220)은 스냅단추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주머니(100)는 일측에는 상기 의류(200)의 통신모듈(210)과 결합하기 위한 소정 커넥터(120)가 구비되고, 이 커넥터(120)는 스마트주머니(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무선모듈(130)과 유선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주머니(100)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직물소재(A) 사이에 전자파 차폐소재(B)가 배치된 다층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20)는 통신모듈(220)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주머니(100)의 외측으로 일측이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120)는 스마트주머니(100)의 외관을 고려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Flat) 케이블(C)을 통해 무선모듈(13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20)와 결합되기 위한 커넥터(211)는 플랫(Flat) 케이블(C)을 통해 상기 의류(200)에 구비된 통신모듈(210)과 결합된다.
한편, 상기 무선모듈(13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131)와 무선처리부(132) 및 안테나(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신호처리부(131)는 커넥터(120)를 통해 통신모듈(2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중 특정 대역의 신호만 을 필터링하는 필터(131a)와, 필터(131a)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는 증폭기(131b), 증폭기(131b)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131c) 및, A/D컨버터(131c)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무선처리부(132)로 제공하는 신호분석제어부(13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처리부(132)는 상기 신호처리부(13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33)를 통해 무선통신단말기(300)로 무선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무선처리부(132)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300)와 초단거리 무선통신(Wireless connectivity)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1에서 의류(200)에 장착되는 통신모듈(210)은 각종 센서이거나 건강용만보계와 같은 휴대용 기기 등과 같이 소정 감지정보를 제공하는 각종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도1에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3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마트주머니(200)와 초단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처리블럭과 정보출력을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무선처리블럭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대응되도록 표시수단으로 그 결과정보를 표시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각종 형태의 통신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300)의 제어수단은 분석결과정보를 표시수단을 통해 문자출력하거나 또는 그래프형태로 출력하거나 색상변화 등의 방법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스마트주머니(100)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동작을 도7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적용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주머니(100)를 통신모듈(210)이 장착된 의류(200)상에 부착한다. 그리고, 스마트주머니(100)의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120)에 의류(200)의 통신모듈(210)이 결합된 커넥터(211)를 체결한다. 또한, 무선통신단말기(300)는 스마트주머니(100) 내에 배치된 무선모듈(130)과 10-20cm 이내의 초단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스마트주머니(100)의 내에 수납된다. 즉, 무선통신단말기(300)가 스마트주머니(100) 외부에 있을 때에는 의류에 부착된 통신모듈(210)과의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고, 무선통신단말기(300)가 스마트주머니(100)에 수납된 상태에서만 무선통신단말기(300)와 통신모듈(210)과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의류(200)의 통신모듈(220)이 동작상태로 되어, 예컨대, 의류(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하고(ST1), 통신모듈(220)에서 그 측정정보를 커넥터(211)를 통해 스마트주머니(100)로 제공한다(ST2). 예컨대, 상기 통신모듈(220)은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감지센서나 심전도감지센서 또는 체지방측정을 위한 전극 등과 같은 감지수단으로 인가되는 측정신호를 그 신호에 대응되는 레벨의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스마트주머니(100)로 제공한다.
스마트주머니(100)의 무선모듈(130)은 커넥터(120)를 통해 상기 통신모듈(220)로부터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분석하여 결과정보를 생성한다(ST3). 이때, 상기 스마트주머니(100)의 무선모듈(130)은 커넥터(120)로부터 인가되는 일정 레벨의 전압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한 후 이를 분석하여 해당 전압 레벨에 대응되는 표시출 력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어, 상기 스마트주머니(100)의 무선모듈(130)은 분석된 측정결과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단말기(300)로 제공한다(ST4).
무선통신단말기(300)는 스마트주머니(100)로부터 무선수신된 측정결과정보를 근거로 해당 결과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게 된다(ST5). 즉, 상기 무선통신단말기(300)는 스마트주머니(100)로부터 무선수신된 측정결과정보, 예컨대 건강상태정보를 문자메시지형태나 또는 그래프형태 또는 색상 등 각종 표시출력방법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의류(200)에 장착되는 통신모듈(2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무선통신단말기(300)를 통해 표시출력하도록 실시하였으나, 무선통신단말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근거로 통신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주머니(400)의 무선모듈(410)은 무선통신단말기(30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 무선신호에 대응되는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커넥터(420)를 통해 의류(200)에 장착된 통신모듈(2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210)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의류의 상태, 예컨대 색상이나 밝기를 변화시키도록 된 광섬유모듈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섬유모듈은 본 출원인이 2005년 6월 21일자 출원한 특허출원 제 10-2005-0053500호(발명의 명칭: 색상변화기능을 갖는 광섬유직물제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9에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3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초단거리 무선모듈과 소정 정보입력수단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300)는 PDA 등과 같은 각종 개인휴대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단말기(300)는 정보입력수단으로서 MP3플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단말기(300)는 MP3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되는 노래의 음률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스마트주머니(400)로 제공하거나, PDA로 구성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스케쥴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스마트주머니(4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10은 상기 도9에 도시된 스마트주머니(400)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도11은 도10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적용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주머니(400)를 의류(200)에 부착하고, 스마트주머니(400)의 커넥터(420)와 의류(200)의 통신모듈(220)이 결합된 커넥터(211)를 체결한다. 그리고, 무선통신단말기(300)는 스마트주머니(400) 내에 배치된 무선모듈(410)과 초단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스마트주머니(400)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무선통신단말기(300)에서 통신모듈(220)의 동작을 위한 소정 감지신호가 스마트주머니(400)로 제공된다(ST11). 예컨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300)는 소정 음률정보 또는 스케쥴정보를 스마트주머니(400)로 제공한다.
스마트주머니(400)의 무선모듈(410)은 무선통신단말기(30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분석정보를 생성한다(ST12).
이어, 스마트주머니(400)의 무선모듈(410)은 상기 ST12단계에서 생성된 분석정보를 커넥터(420)를 통해 통신모듈(220)로 제공한다(ST13).
그리고, 통신모듈(220)에서는 상기 스마트주머니(400)로부터 제공되는 분석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T14). 즉, 통신모듈(220)은 스마트주머니(400)로부터 인가되는 음률정보 또는 스케쥴정보에 대응되도록 의류(200)의 색상 또는 밝기를 변화시키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과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간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되, 의류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수 의류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스마트주머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주머니를 통해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로 표시출력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를 근거로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스마트의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개요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마트주머니(10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스마트주머니(100)가 의류(200)에 장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2에 도시된 스마트주머니(100)의 재질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2에 도시된 커넥터(120)와 무선모듈(130), 커넥터(120)와 통신모듈(210)에 결합되는 커넥터(211)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도2에 도시된 무선모듈(13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7은 도1에 도시된 스마트주머니(100)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8은 도7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적용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주머니(400)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개요도.
도10는 도8에 도시된 스마트주머니(400)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11은 도10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적용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스마트주머니, 110 : 체결수단,
120 : 커넥터, 130 : 무선모듈,
200 : 의류, 210 : 통신모듈,
300 : 무선통신단말기.

Claims (14)

  1. 물품 수납을 위한 주머니형상을 가지면서,
    통신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주머니의 일측에 형성되고,
    주머니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됨과 더불어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이 구비되어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하고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커넥터로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의류상에 장착되고,
    상기 주머니의 후면에는 상기 의류상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된 체결수단이 형성되면서, 상기 주머니의 커넥터는 상기 통신모듈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는 일반 직물소재 사이에 전자파차폐소재가 배치된 다층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
  4. 감지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모듈이 장착된 의류와,
    표시수단과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대응되도록 표시수단으로 그 결과정보를 표시출력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물품 수납을 위한 주머니형상을 가지면서,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주머니의 일측에 형성되고, 주머니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무선모듈에서 의류의 통신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주머니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와 스마트주머니는 초단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일측에는 제1 형상의 제 1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주머니의 후면에는 상기 제1 체결수단에 대응되는 제2 형상의 제2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상기 스마트주머니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문자메시지나 그래프나 색상 중 하나의 방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은 사용자의 건강상태감지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9. 감지신호를 근거로 동작상태를 변화시키는 통신모듈이 장착된 의류와,
    정보입력수단과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정보입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출력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물품 수납을 위한 주머니형상을 가지면서, 의류에 장착된 통신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주머니의 일측에 형성되고, 주머니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와 결합됨과 더불어 사용자의 무선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무선모듈에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커넥터를 통해 의류의 통신모듈로 제공하는 스마트주머니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와 스마트주머니는 초단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일측에는 제1 형상의 제 1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주머니의 후면에는 상기 제1 체결수단에 대응되는 제2 형상의 제2 체결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에 장착되는 통신모듈은 의류의 색상이나 밝기를 변화시키도록 된 광섬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정보입력수단은 MP3 플레이어로서, 제어수단은 플레이되는 음률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스마트주머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PDA로서, 제어수단은 기 설정된 스케쥴정보를 무선신 호로 변환하여 스마트주머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주머니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KR1020070134076A 2007-12-20 2007-12-20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KR20090066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076A KR20090066513A (ko) 2007-12-20 2007-12-20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076A KR20090066513A (ko) 2007-12-20 2007-12-20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513A true KR20090066513A (ko) 2009-06-24

Family

ID=4099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076A KR20090066513A (ko) 2007-12-20 2007-12-20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5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36B1 (ko) * 2009-09-07 2013-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복형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직물기반 자기장 인터페이스 의복 및 휴대 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736B1 (ko) * 2009-09-07 2013-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복형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직물기반 자기장 인터페이스 의복 및 휴대 단말
US8509470B2 (en) 2009-09-07 2013-08-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xtile-based magnetic field interface clothes and mobile terminal in wearable compu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0092C (zh) 具有可变结构的血液生理信号检测装置
US9792787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685805B2 (en) Assemble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10470A2 (en) A sensing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142430U (ja) 腕時計型携帯電話
CN205458646U (zh) 穿戴式装置
CN108135480A (zh) 用于手表壳体的显示器布置
US20190258322A1 (en) Flip cover wireless keyboard which utilizes wireless protocols for harvesting power and communicating with digital apparatus
CN105852829A (zh) 一种穿戴式设备
CN110740792A (zh) 具有可拆卸模块的可穿戴物品
TWI621932B (zh) 一種具有溫差充電功能的手錶
CN110022763A (zh) 一种手表腕带
KR20130126760A (ko) 인체 착용밴드에서의 직물형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RU2012116245A (ru) 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CN204133451U (zh) 超薄便携式无显示屏电子血压计
KR20170062864A (ko) 스마트 와치
EP3093732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090102645A1 (en) Adding social networking to devices
KR101754483B1 (ko) 젠더 모듈 및 젠더 모듈과 연동하는 단말기기의 동작방법
CN104545841A (zh) 健康手环
KR20090066513A (ko) 스마트주머니와 이를 이용한 의류내 무선연결시스템
WO2018176611A1 (zh) 一种显示方法和电子设备
KR20170047771A (ko) 웨어러블 단말기
WO201913123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213365270U (zh) 一种基于北斗导航系统的腕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