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255A -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255A
KR20090066255A KR1020090031355A KR20090031355A KR20090066255A KR 20090066255 A KR20090066255 A KR 20090066255A KR 1020090031355 A KR1020090031355 A KR 1020090031355A KR 20090031355 A KR20090031355 A KR 20090031355A KR 20090066255 A KR20090066255 A KR 20090066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grating
closing plate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김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용 filed Critical 김창용
Priority to KR102009003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255A/ko
Publication of KR2009006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배수구 상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개폐수단을 통해 배수가 필요할 때에만 자동적으로 그레이팅의 하측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쓰레기 등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수구내 악취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하측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부와, 상기 외곽프레임 중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곽프레임부 하측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자체회동을 통해 하측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31355
배수구, 개폐, 냄새차단

Description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A grating with opening and shutting means}
본 발명은 배수구 상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그레이팅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개폐수단을 통해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평상시 쓰레기가 투입되거나 하수구 내 악취가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나 차도상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에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일반적인 그레이팅(10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부(10) 내부에 지지프레임(20)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배수구(1000)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부(1100)에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그레이팅(100)은 배수가 필요 없는 평상시에도 항상 상하측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행자가 던진 쓰레기나 오물 등이 각 지지프레임(20)사이를 통해 배수구(1000)내로 들어가 배수관이 자주 막히고 이로 인해 우천 시 배수로내 물이 외부로 역류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또한 배수로내 유기성 물질의 부패에 의한 냄새가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불쾌감을 주는 현상도 자주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그레이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레이팅 상에 별도의 개폐수단을 구비시켜 그레이팅 하측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가 필요 없는 평상시에는 그레이팅 개방부를 차단하여 쓰레기 등이 그레이팅을 통해 배수구 내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하수구내 악취가 외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폐수단이 그레이팅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 빗물이 그레이팅 내에 일정량 집수되면 개폐수단이 젖혀져 그레이팅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배수가 원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설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상하측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부와, 상기 외곽프레임 중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를 포함하되,
상기 외곽프레임부 하측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자체회동을 통해 하측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은 중간 지점이 분리되어 일단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 2개폐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이부는 제1,2개폐판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 개폐판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회동축 형태로 이루어지되, 각 개폐판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개폐판은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개폐판의 상부면에는 흡수성 재질이 구비된 점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배수여부에 따라 개폐수단이 그레이팅의 하측개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항시 그레이팅을 차단하여 쓰레기의 투입과 하수구 내 냄새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빗물이 그레이팅 내에 일정량 집수되면 개폐수단이 자동으로 젖혀져 그레이팅을 개방함으로써 배수가 자동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외곽프레임부(10)와 지지프레임(20), 개폐수단(2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외곽프레임부(10)는 그레이팅(100)의 전체 뼈대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내부를 비롯해 상하측이 개방된 사각링 형태를 갖는다.
이때 외곽프레임부(10)의 전후면 하단에는 후술하는 개폐판의 설치를 위한 통공(12)이 형성된다. 추후에 설명하겠지만 접이부(2200)를 외곽프레임부(10)에 용접설치할 경우 상기 통공(12)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외곽프레임부(10)의 내부에는 지지프레임(20)이 설치되는데, 지지프레임(20)은 외부와 배수구(1000) 사이의 칸막이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 사각막대 형태를 띠며 양단부가 외곽프레임부(10)의 양측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각 지지프레임(20)은 상호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각 지지프레임(20)사이 간극부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구조는 일반적인 그레이팅과 동일한 구조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그레이팅(100)에 별도의 개폐수단(20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2000)은 그레이팅(100)의 하측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다시 개폐판(2100)과 접이부(2200), 탄성수단(2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개폐판(2100)은 실질적으로 그레이팅(100)의 개폐기능을 갖는 부분으로, 그레이팅(100)의 하측개방부와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제작되며 재질은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비 투수(透水)성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폐판(2100)은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좌우 분할되어 추후 상호 별개로 회동되는 제1개폐판(2110)과 제2개폐판(2120)으로 나뉜다.
이때 제1개폐판(2110) 중 제2개폐판(2120)쪽 단부 전후면에는 축공(2112)이 관통 형성되고 중간지점에는 제2개폐판(2120)과의 접합을 위한 결합홈(2114)이 형성되며 결합홈(2114) 전후측에는 후술하는 탄성수단(2300)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2116)이 절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2개폐판(2120) 중 제1개폐판(2110)을 향하는 단부 중간지점에는 제1개폐판(2110)의 결합홈(2112)에 삽입되는 결합편(2122)이 돌출 형성되고 결합편(2122)전후에도 축공(2124)이 관통 형성된다.
이렇게 제1, 2개폐판(2110)(2120)은 [도 3] 및 [도 5]처럼 결합편(2122)이 결합홈(2112)에 삽입됨에 일단부가 상호 접합된 상태가 되며 각 개폐판(2110)(2120)의 축공(2116)(2124)은 상호 연통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1, 2개폐판(2100)(2200)은 별도의 접이부(22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상호 연결되는데, 접이부(2200)는 단순 축 형태로 이루어지며 연통된 각 축공(2116)(2124)을 동시에 관통 삽입됨에 따라 제1, 2개폐판(2110)(2120)이 접이부(2200)를 중심으로 각각 별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각 개폐판(2110)(2120)마다 회동 후 원위치로의 복원력을 부여 하기 위한 탄성수단(230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수단(2300)은 일반적인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형태, 즉 중간의 코일부를 중심으로 양측 상 하단에 토션바아(torsion bar)(2310)가 좌우로 인출된 형태이다.
이러한 탄성수단(2300)은 제1개폐판(2110)의 전후 설치홈(2116)마다 위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이부(2200)를 관통시키기 이전에 각 탄성수단(2300)을 먼저 해당 설치홈(2116)마다 위치시킨 후 접이부(2200)가 각 개폐판(2110)(2120) 및 탄성수단(230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각 탄성수단(2300)의 상하 토션바아(2310)는 각각 제1개폐판(2110)과 제2개폐판(2120) 상에 밀착된다.
참고로 탄성수단(2300)을 토션스프링 형태로 구현하였을 때 설치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처럼 제2개폐판(2120)의 결합편(2122)상에 설치홈(2116)을 형성시켜 탄성수단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현된 본 발명의 개폐수단(2000)은 접이부(2200)의 전후단부가 외곽프레임부(10)에 형성된 전후 통공(12)에 끼워지거나 통공을 형성시키지 않고 상호 용접하여 연결한다.
따라서 [도 3] 및 [도 5]와 같이 제1, 2개폐판(2110)(2120)이 외곽프레임부(10)의 하측개방부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와 같이 각 개폐판(2110)(2120)에 의해 그레이팅(100)의 하단이 차단 됨에 따라 우천 시 빗물은 곧바로 배수구로 들어가지 못하고 일단 그레이팅 내부에 집수된다.
집수량이 늘어나면 집수된 빗물의 하중에 의해 [도 6]과 같이 각 개폐판(2110)(2120)은 접이부(2200)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그레이팅의 하측이 개방되어 빗물이 배수구로 배수된다.
이렇게 각 개폐판(2110)(2120)이 회동하게 되면 탄성수단(2300)의 각 토션바아(2310)도 함께 젖혀지게 되고 배수가 완료되어 각 개폐판(2110)(2120)에 가해지던 하중이 사라지면 탄성수단(2300)의 탄성력이 각 토션바아(2310)를 통해 각 개폐판(2110)(2120)에 전달됨에 따라 각 개폐판(2110)(2120)은 각자 원위치로 회동되어 [도 5]와 같이 다시 그레이팅(100) 하단을 차단하게 된다.
그후 빗물이 일정량 다시 집수되면 앞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배수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비가 내리지 않아 배수가 필요 없을 때에는 도면과 같이 항시 그레이팅(100)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투척된 쓰레기 등은 배수로로 들어가지 못하고 개폐판(2100)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주변을 청소할 때 그레이팅(100) 내 쓰레기를 주워 처리하면 되므로 쓰레기가 배수로 내로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판(2100)이 그레이팅(100)을 차단함에 따라 배수관 내 악취가 그레이팅을 통해 외부로 올라오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우천 시 배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배 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배수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항시 그레이팅을 차단하여 배수로 내에 쓰레기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배수관 내 악취가 외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핵심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폐수단(2000) 중 특히 탄성수단(2300)의 구조는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는데, [도 7]및 [도 8]은 변형된 구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개폐수단의 기본 구성은 동일하되, 탄성수단을 토션스프링이 아닌 밴드스프링(band spring)형태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반원형태의 각 밴드스프링(2300a) 양단부를 설치홈(2116)상에 노출된 접이부(2200) 상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도 8]처럼 각 개폐판(2110)(2120)이 회동되면 각 밴드스프링(2300a)도 접이부(2200)과의 고정부위를 중심으로 젖혀져 추후 각 개폐판(2110)(2120)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밴드스프링을 별개의 반원 형태로 구현하지 않고 하나의 원형태로 제작하여 중간지점을 접이부(2200) 상에 고정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밴드스프링은 토션스프링보다 저항력이 낮기 때문에 그레이팅 내부에 집수되는 빗물의 양이 적더라도 각 개폐판(2110)(2120)이 쉽게 회동되어 개방할 수 있으므로 배수간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탄성 수단을 일반적인 인장스프링(2300b)형태로 구현한 것에 차이가 있다.
설치구조를 설명하면 [도 9]와 같이 각 인장스프링(2300b)의 상단부는 외곽프레임부(10) 내측면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각 개폐판(2110)(2120)의 일측 상부면 상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각 개폐판(2110)(2120)이 아래쪽으로 회동되면 각 인장스프링(2300b)도 따라서 인장되고, 배수가 완료되면 각 인장스프링(2300b)의 수축력에 의해 각 개폐판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도 11]은 개폐판(2110)(2120)상에 별도의 흡수성 부재(3000)를 부착시킨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앞의 여러 실시예에서는 탄성수단(2300)의 자체 응력에 의해 개폐판(2100)이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빗물이 그레이팅(100) 내에 일정량 이상 집수되어야지만 개폐판(2100)이 회동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개폐판(2100) 상에 흡수성부재(3000)를 구비함에 따라, 흡수성부재(3000)가 내리는 빗물을 그대로 흡수하여 개폐판(2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빨리 증가되므로 빗물이 그레이팅(100)내에 집수되기 전에 개폐판(2100)이 회동되어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탄성수단 종류 및 설치구조는 상기 실시예들 외에도 회동된 각 개폐판에 복원력을 전달 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적용 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 전체적인 특징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일반적인 그레이팅에 별도의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배수가 필요할 때에는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차단하여 쓰레기 유입이나 배수구 냄새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1 은 종래 그레이팅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 는 전체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개폐판과 그레이팅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4 는 탄성수단의 설치위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개폐판이 그레이팅 하측개방부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개폐판이 회동하여 그레이팅 하측개방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 은 탄성수단을 밴드스프링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 은 탄성수단을 인장스프링 형태로 변형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 은 개폐판 상에 별도의 흡수성 부재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Claims (4)

  1. 상하측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틀 형태의 외곽프레임부와, 상기 외곽프레임 중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하측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자체회동을 통해 하측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외곽프레임부 하측개방부 상에 설치되어 하측개방부를 차단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외곽프레임부를 연결하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차단부재가 회동하여 외곽프레임부의 하측개방부가 개방되는 접이부와,
    상기 개폐판 상에 설치되어 회동된 개폐판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중간 지점이 분리되어 일단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 2개폐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이부는 제1,2개폐판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 개폐판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회동축형태로 이루어지되, 각 개폐판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개폐판의 상부면에는 흡수성 재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KR1020090031355A 2009-04-10 2009-04-10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KR20090066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55A KR20090066255A (ko) 2009-04-10 2009-04-10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355A KR20090066255A (ko) 2009-04-10 2009-04-10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255A true KR20090066255A (ko) 2009-06-23

Family

ID=4099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355A KR20090066255A (ko) 2009-04-10 2009-04-10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2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85973A1 (en) * 2016-02-15 2020-12-10 Infiltrator Water Technologies, Llc Safety grating for riser of a septic tank
KR102368996B1 (ko) * 2021-07-14 2022-03-02 김해성 배수용 그레이팅 방충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85973A1 (en) * 2016-02-15 2020-12-10 Infiltrator Water Technologies, Llc Safety grating for riser of a septic tank
US11725361B2 (en) * 2016-02-15 2023-08-15 Infiltrator Water Technologies, Llc Safety grating for riser of a septic tank
KR102368996B1 (ko) * 2021-07-14 2022-03-02 김해성 배수용 그레이팅 방충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383Y1 (ko) 오물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KR101558325B1 (ko) 악취방지 및 해충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KR100562712B1 (ko) 악취방지용 덮개
KR100759995B1 (ko) 악취 역류 방지판을 가지는 그레이팅
KR20120003026U (ko) 맨홀 악취방지 덮개
KR100825374B1 (ko) 그레이팅 개폐장치
KR100822433B1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20090066255A (ko) 개폐수단이 구비된 그레이팅
KR200434184Y1 (ko) 하수도의 악취차단장치
KR20100061784A (ko) 도로 배수로의 집수구 그래이팅
KR20130030069A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100614912B1 (ko) 하수도용 커버
KR101515297B1 (ko) 맨홀덮개용 경첩
KR20110025595A (ko) 개폐식 배수구 덮개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181401B1 (ko) 도로 또는 교량 배수로의 집수구 그래이팅
KR20130033544A (ko) 회전력을 이용한 자동 개·폐식 다목적 하수도 빗물받이 뚜껑
KR20110062809A (ko) 측면터널 형태의 배수구가 형성된 기능성 그레이팅
KR100801979B1 (ko) 그레이팅
KR102210560B1 (ko) 배수용 그레이팅 방충망
KR102136488B1 (ko) 무게추 보호실이 구비된 악취차단 그레이팅
KR20050015310A (ko) 스프링덮개를 이용한 그레이팅 자동개폐장치
KR20050103147A (ko) 보 차도용 하수도 빗물받이
KR100923020B1 (ko) 하수 배출 장치
KR100807073B1 (ko) 하수구용 맨홀의 악취 차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