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034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034A
KR20090066034A KR1020070133626A KR20070133626A KR20090066034A KR 20090066034 A KR20090066034 A KR 20090066034A KR 1020070133626 A KR1020070133626 A KR 1020070133626A KR 20070133626 A KR20070133626 A KR 20070133626A KR 20090066034 A KR20090066034 A KR 20090066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guide
sl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034A/en
Publication of KR2009006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0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A connector assembly is provided to efficiently combine and separate a first and second connector by rotating a lever easily. An inner space is formed in a first connector(10). A bottom side of the first connector is connected with the inner space.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to penetrate a terminal hole(12').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to project a rotation shaft(13) at both sides.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to insert an insert guide(24) at both upper ends. A lever(20) is installed and rotated at the rotation shaft. The lever forms a concave guide slit(23) at both inner sides. A second connector(3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The second connector forms a connection boss(34) guided by the guide slit at both outer sides.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를 사용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using a lever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in engagement with the mating connector.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최근에 많은 수의 터미널이 하우징에 설치되면서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위해 큰 결합력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레버를 사용하여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수행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제공되었다.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and generally,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Recently, a large number of terminals have been installed in the housing, which requires a large coupling force for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For this purpose, a lever type connector is provided, which performs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using a lever using the lever principle.

도 1에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1)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터미널공(2')이 다수개 형성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general,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1 are formed by the housing 2. The housing 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2 'are formed therein in which a terminal (not shown)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2)의 일측면에는 상기 터미널공(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페이서홀(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홀(3)에는 상기 터미널공(2')에 설 치된 터미널을 고정시키는 스페이서(5)가 결합된다.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2 is formed so that the spacer hole 3 penetrat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erminal hole 2 ′. The spacer hole 3 is coupled to the spacer 5 for fixing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terminal hole (2 ').

상기 하우징(2)의 양측면에는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되는 회전축(7)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7)에는 상기 커넥터(1)와 상기 커넥터(1)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고정시키는 레버(9)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Both sides of the housing 2 ar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7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amount. The rotary shaft 7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lever 9 for fixing the connector 1 and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coupled to the connector 1.

도 1의 커넥터(1)를 상대커넥터(미도시)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버(9)를 상기 상대커넥터를 향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레버(9)의 일측이 상대 커넥터에 걸어져 상대 커넥터를 잡아당겨줌에 의해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When the lever 9 is rotated toward the mating connector while the connector 1 of FIG. 1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one side of the lever 9 is engaged with the mating connector to hold the mating connector. By pulling, a complete coupling is achieved.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하우징(2)과 상대 커넥터가 서로 결합될 때,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9)의 회전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게 되어, 상기 레버(9) 또는 커넥터(1)에 파손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housing 2 and the mating connecto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large force is required. Therefore, the excessive force is entered into the rotation of the lever 9,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damage to the lever 9 or the connector (1).

또, 상기 하우징(2)을 상대 커넥터에서 분리할 때에는 상기 레버(9)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려야 하는데, 상기 커넥터(1)의 주변 공간이 협소한 경우 상기 레버(9)를 손으로 잡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의 분리작업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ousing 2 is detached from the mating connector, the lever 9 needs to be lifted by hand. When the peripheral space of the connector 1 is narrow, it is difficult to hold the lever 9 by hand. .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housing 2 becomes inconveni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 커넥터의 결합을 위한 힘이 레버 전체에 골고루 배분되도록 구성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distribute the force for coupling both connectors evenly across the le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의 타측을 누름으로써 결합시에 눌러지는 레버의 일측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양 커넥터가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separate both connectors by rotating one side of the lever pressed in engag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lev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그 저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터미널이 설치되는 터미널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양측면에 회전축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양측 상단에 삽입가이드가 요입되게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양측 내면에 가이드슬릿이 각각 요입되게 형성되는 레버와;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the bottom surfac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the terminal hole is installed through the terminal is formed, the rotating shaft on both sides A first connector formed to protrude and having insertion guides recessed at upper ends of both sides; A lever installed rotatably on a rotation shaft of the first connector and formed with guide slit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thereof;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양측 외면에 상기 레버의 가이드슬릿에 걸어져 안내되는 결합보스가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o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slit of the lever.

상기 레버는, 판형상으로 되고,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그 내면에 상기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바아형상으로 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주고, 회전을 위한 힘이 전달되는 제1 및 제2연결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ver has a plate shape, a pair of plates are formed so that the shaft hole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is inserted, the guide sl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Bar-shap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 which connects both ends of the plate, respectively, and transmits a force for rotation.

상기 가이드슬릿은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삽입구간과,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결합보스를 안내하는 결합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guide slit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section in which the coupling boss is inserted,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to guide the coupling boss when the lever rotates.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하기 전의 상기 삽입가이드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슬릿의 삽입구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uide befor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coupled is s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ection of the guide slit.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축공에는 삽입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축공의 삽입부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rojection protruding and the shaft hole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slit concave, the fix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haft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양단에 제1연결바아와 제2연결바아가 구비되어 레버의 회전시에 레버 전체에 골고루 힘이 분배된다. 따라서 레버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 분리가 효율적으로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ever so that the force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lever when the lever is rot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otate the lever has the effect that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s effici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제1연결바아 또는 제2연결바아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양 커넥터의 결합 또는 분리가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를 잡기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커넥터어셈블리의 사용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connectors can be coupled or separated by pressing the first connecting bar or the second connecting bar of the lever. Therefore,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have enough space to hold the lever,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lever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ase of use of the connector assembly.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using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configuration of the lever that constitutes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따르면, 제 1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30)가 삽입되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저면에는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공(12')이 다수개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se drawing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re formed by a housing 1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housing 11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n inner space 12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o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housing 11. The bottom of the housing 1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12 ') for the terminal is inserted.

상기 하우징(11)의 양측면에는 회전축(13)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은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3)은 후술할 레버(2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축(13)의 외주면 선단에는 고정돌기(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3')는 상기 회전축(13)에서 레버(2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Both sides of the housing 11 ar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13. The rotating shaft 1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protrude a predetermined amount. The rotary shaft 13 is a portion in which the lever 20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e. A fixing protrusion 13 ′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ip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13. The fixing protrusion 13 ′ prevents the lever 20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rotation shaft 13.

또한, 상기 하우징(11)의 양측 상단에는 삽입가이드(24)가 소정깊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가이드(24)는 후술할 제2커넥터(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삽입되는 동안 후술할 제2커넥터(30)의 결합보스(34)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uide 24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11 to be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The insertion guide 24 serves to guide the coupling boss 34 of the second connector 3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the second connecto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0.

상기 하우징(11)의 회전축(13)에는 레버(2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버(2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후술할 제2커넥터(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지렛대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The lever 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13 of the housing 11. The lever 20 serves as a lever for firmly fixing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to be described later.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20)는 크게 한 쌍의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27)와 제2연결바(28)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에는 축공(21a)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21)는 상기 축공(21a)이 상기 회전축(13)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4, the lever 20 is composed of a pair of plates 21 and a first connecting bar 27 and a second connecting bar 28 connecting the plates 21. The plate 21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haft hole 21a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plate 21 is coupled to each of the shaft holes 21a so as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1 through the rotation shaft 13.

상기 축공(21a)의 일단에는 삽입홈(21b)이 소정량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1b)을 상기 회정축(13)의 고정돌기(13')가 통과하여 상기 회전축(13)이 상기 축공(21a)에 삽입된다. One end of the shaft hole 21a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21b is recessed in a predetermined amount. The rotation protrusion 13 is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21a through the fixing protrusion 13 'of the gray shaft 13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21b.

상기 플레이트(21)의 내면에는 가이드슬릿(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3)은 상기 플레이트(21)의 내면에 소정량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3)은 후술할 제2커넥터(30)의 결합보스(34)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슬릿(23)은 크게 삽입구간(23a)와 결합구간(23b)로 구분된다. Guide slits 23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21. The guide slit 23 is formed to be recess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21. The guide slit 23 is a portion to which the coupling boss 34 of the second connecto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guided. The guide slit 23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sertion section 23a and a coupling section 23b.

상기 삽입구간(23a)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너 초기에 결합보스(34)가 상기 가이드슬릿(23)으로 삽입되는 구간이다. 상기 삽입구간(23a)의 일측은 상기 결합구간(23b)과 연통된다.The insertion section 23a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is a section in which the coupling boss 34 is initially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23. One side of the insertion section 23a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pling section 23b.

상기 결합구간(23b)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간(23b)은 상기 레버(20)의 회전시 상기 결합보스(34)가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레버(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보스(34)가 상기 결합구간(23b)을 통해 안내되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된다. The coupling section 23b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coupling section 23b is a portion in which the coupling boss 34 is guided when the lever 20 is rotated. When the coupling boss 34 is guided through the coupling section 23b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20,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moved closer to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21)는 제1 및 제2연결바아(27,28)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아(27,28)는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21)의 양단은 각각 연결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아(27,28)는 상기 플레이트(21)를 연결시키고, 상기 레버(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연결바아(27)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눌러지는 부분이고, 상기 제2연결바아(28)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눌러지는 부분이다. The pair of plates 21 are connected by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27, 28.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27 and 28 are formed in a rectangular column shape, and both ends of the plate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27 and 28 connect the plate 21 and a portion to which a driving force for transmitting the lever 20 is transmitted. More precisely, the first connection bar 27 is a portion press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28 is the first connector ( 10) is press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econd connector 30.

제2커넥터(30)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은 몸체(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3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31)의 상하를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공(31')이 다수개 형성된다.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space 12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second connector 30 are formed by the body 31. The body 31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31 ′ through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31.

상기 제2커넥터(30)의 양측 외면에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보스(3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34)는 상기 제2커넥터(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삽입될 때 상기 레버(20)의 가이드슬릿(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결합보스(34)는 상기 가이드슬릿(23)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2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슬릿(23)에 의해 안내된다.Coupling bosses 34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re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connector 30, respectively. The coupling boss 34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30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23 of the lever 20 when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0. . The coupling boss 34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23 and guided by the guide slit 23 when the lever 20 rotates.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이 장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5 to 6 illustrat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는 먼저 제1커넥터(10) 및 제2커넥터(30)의 터미널공(31')에 터미널 (도시되지 않음)을 각각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2커넥터(30)를 상기 제1커넥터(10)의 내부공간(12)에 삽입한다. The operator first installs terminals (not shown) in the terminal holes 31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respectively. In this state, the worker inserts the second connector 30 into the internal space 12 of the first connector 10.

상기 제2커넥터(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삽입되면, 레버(20)의 가이드슬릿(23)에 결합보스(34)가 삽입된다. 좀 더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슬릿(23)의 삽입구간(23a)에 상기 결합보스(34)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구간(23a)을 따라 삽입되는 상기 결합보스(33)는 상기 삽입구간(23a)과 결합구간(23b)의 경계부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0, the coupling boss 34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23 of the lever 20. More precisely, the coupling boss 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ection 23a of the guide slit 23. The coupling boss 33 inserted along the insertion section 23a is located at a boundary between the insertion section 23a and the coupling section 23b. This state i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레버(20)의 제1연결바아(27)에 힘을 가하여 상기 레버(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아(27)에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30)의 결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2연결바아(28)에는 상기 제1연결바아(27)에 가하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쉽게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아(27, 28)를 각각 검지와 엄지로 쥐고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레버(2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1연결바아(27)와 제2연결바아(28)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상기 레버(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아(28) 두 부분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0)의 회전을 위한 일의 양이 줄어 상기 레버(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operator rotates the lever 20 by applying a force to the first connecting bar 27 of the lever 20. In this case,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bar 27 to the second connection bar 28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a force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30 to the first connection bar 27.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forc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27 and 28 are gripped by the index finger and the thumb, respectively, and the lever 20 is rotated 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5. Since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27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28 in opposite directions, the force for rotating the lever 20 is distribu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28 in two parts. do. Therefore, the amount of work for the rotation of the lever 20 is reduced, so that the lever 20 can be easily rotated.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아(28)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레버(20)는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슬릿(23)의 삽입구간(23a)에 위치한 상기 결합보스(34)는 상기 레버(20)의 회전시 상기 삽입구간(23a)에서 결합구간(23b)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간(23b)을 따라 안내된다.As such,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28 in opposite directions, the lever 20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13.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boss 34 located in the insertion section 23a of the guide slit 2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ection 23b from the insertion section 23a when the lever 20 is rotated, the coupling section Guided along 23b.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레버(20)를 완전히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보스(34)는 상기 결합구간(23b)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커넥터(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완전히 삽입된다. 상기 제2커넥터(3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완전히 삽입되면, 각각에 설치된 터미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lever 20 completely in this state, the coupling boss 34 is positioned at the deepest portion of the coupling section 23b, and the second connector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Is fully inserted into). When the second connector 3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0, the terminals installed on each of them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state is shown in FIG.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레버(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레버(20)의 제1 및 제2연결바아(28)를 모두 손으로 쥔 상태에서 상기 레버(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레버(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아(28)에 분산되므로 상기 레버(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일의 양은 줄어든다. Next, in order to separate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the lever 20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the operator may rotate the lever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hold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28 of the lever 20 by hand. At this time, since the force for rotating the lever 20 is distribu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 28, the amount of work for rotating the lever 20 is reduced.

하지만, 주변 공간이 협소하여 상기 제1 및 제2연결바아(28)를 손으로 쥘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연결바아(28)를 눌러 상기 레버(20)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when the surrounding space is narrow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ars 28 cannot be lifted by hand, the lever 20 may be rotated by pressing the second connection bar 28.

상기 제2연결바아(28)를 누르는 것만으로 상기 레버(20)가 도 6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레버(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보스(34)는 상기 가이드슬릿(23)의 결합구간(23b)을 빠져나와 삽입구간(23a)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제2커넥터(30)는 상기 제1커넥터(10)에서 분리되어 다시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보스(34)가 상기 삽입구간(23a)을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상기 제2커넥터(30)를 상기 제1커넥터(10)로부터 완전히 탈거시킬 수 있다. Only by pressing the second connecting bar 28, the lever 20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As the lever 20 is rotated, the coupling boss 34 exits the coupling section 23b of the guide slit 23 and is positioned at the insertion section 23a, and the second connector 30 I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10 and returns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5.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 since the coupling boss 34 may completely exit the insertion section 23a, a worker may completely remove the second connector 30 from the first connector 10. .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5 to 6 is a working state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제 1 커넥터 11 : 하우징10: first connector 11: housing

13 : 회전축 13': 고정돌기13: rotation axis 13 ': fixed projection

20 : 레버 21 : 플레이트20: lever 21: plate

21a: 축공 21b: 삽입홈21a: shaft hole 21b: insertion groove

23 : 가이드슬릿 23a: 삽입구간23: guide slit 23a: insertion section

23b: 결합구간 27 : 제1 연결바아23b: engaging section 27: first connecting bar

28: 제 2 연결바아 30 : 제 2 커넥터28: second connection bar 30: second connector

31 : 몸체 33 : 결합보스31: Body 33: Combination Boss

Claims (5)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그 저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터미널이 설치되는 터미널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양측면에 회전축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양측 상단에 삽입가이드가 요입되게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An inner space is formed,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hole through which the terminal is installed, the rotating shaft protrudes on both sides, the insertion guide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both sides; ; 상기 제 1 커넥터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양측 내면에 가이드슬릿이 각각 요입되게 형성되는 레버와;A lever installed rotatably on a rotation shaft of the first connector and formed with guide slit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thereof;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양측 외면에 상기 레버의 가이드슬릿에 걸어져 안내되는 결합보스가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nd a second connector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having a coupling bos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or and guided by a guide slit of the le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ver is 판형상으로 되고,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그 내면에 상기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A pair of plates which ar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shaft holes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are formed, and the guide slits are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바아형상으로 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주고, 회전을 위한 힘이 전달되는 제1 및 제2연결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The bar assembly has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 which connects both ends of the plate, respectively, and transmits a force for rota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은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삽입구간과,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결합보스를 안내하는 결합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uide slit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including an insertion section into which the coupling boss is inserted,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to guide the coupling boss when rotating the lever A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하기 전의 상기 삽입가이드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슬릿의 삽입구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4.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guide befor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is s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ection of the guide sl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축공에는 삽입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축공의 삽입부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nd the shaft hole is formed so that the insertion slit concave, the fixing projection penetrates through the insertion sl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haft hole Characterized by a connector assembly.
KR1020070133626A 2007-12-18 2007-12-18 Connector assembly KR200900660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26A KR20090066034A (en) 2007-12-18 2007-12-18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26A KR20090066034A (en) 2007-12-18 2007-12-18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034A true KR20090066034A (en) 2009-06-23

Family

ID=4099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626A KR20090066034A (en) 2007-12-18 2007-12-18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03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730B1 (en) * 2010-12-30 2012-06-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onnector assembly having easy insertion of waterproof p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730B1 (en) * 2010-12-30 2012-06-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onnector assembly having easy insertion of waterproof p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4566B2 (en) Memory card adapter
JP3889983B2 (en) connector
TWI418101B (en) Terminal unit
US9979126B2 (en) Lever type connector
US11394160B2 (en) Signal communication socket
US8480441B2 (en) Connection member and lead terminal seat structure with the connection member
JP2008071593A (en) Lever type electric connector
JP2020087562A (en) connector
CN108110496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TWM556423U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90066034A (en) Connector assembly
EP3799218B1 (en) Connector
EP3790115B1 (en) Connector and connecting method
TWI669871B (en) Crimping hand tool
JP3671619B2 (en) Outlet
KR101537417B1 (en) Socket connector
KR100814936B1 (en) Lever type connector
JP2018014165A (en) Lever fitting type connector
US20050032405A1 (en) Power cable plug assembly having replaceable plug
TW200418238A (en) Plug connecto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and plug connector with the locking mechanism using the same
KR20090022965A (en) Connector assembly
KR101170713B1 (en) A wiretape connector
KR101378702B1 (en) Electric connector
US5980292A (en) Card edge connector
GB2083715A (en)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