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737A -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737A
KR20090065737A KR1020070133206A KR20070133206A KR20090065737A KR 20090065737 A KR20090065737 A KR 20090065737A KR 1020070133206 A KR1020070133206 A KR 1020070133206A KR 20070133206 A KR20070133206 A KR 20070133206A KR 20090065737 A KR20090065737 A KR 2009006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file
phone book
data
phone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385B1 (ko
Inventor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13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IC카드에 구비된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IC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IC카드는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 및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이 포함되는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카드에 구비된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IC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IC카드, IC카드, 전화번호부, 인식, UICC

Description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honebook Data}
본 발명은 IC 카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된 IC카드에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부(즉, 전화번호부, phonebook) 기능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이름, 해당 전화번호 등의 데이터(이하, '전화번호부 데이터'라 칭함)를 전화번호부에 미리 저장하고, 추후에 이를 열람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 시장에서 IC카드의 사용이 기본 사양 중 하나로 결정되면서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IC카드에 저장되고,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저장된 IC카드를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교체 시 기존 단말기에서 사용되던 IC카드를 새로운 단말기에 삽입하여 전화번호부 데이터 등의 개인정보를 새롭 게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IC카드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입자 식별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사용자 식별모듈(UIM: User Identity Module), 광역가입자식별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등이 있다.
이러한 IC카드의 파일 구조는 루트 파일(Root File)에 해당하는 하나의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 IC카드의 서비스 및 응용에 따라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파일(Dedicated File: DF) 및 IC카드의 서비스를 위한 자료, 정보 등이 저장되는 요소파일(Elementary File: EF)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저장된 IC카드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IC카드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하여 마스터 파일과 전화번호부 데이터와 관련된 전용 파일을 경유하여 요소 파일들에 접근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요소 파일인 전화번호부 레퍼런스(PBR : Phone Book Reference) 파일을 읽어 이동 단말에 현재 삽입된 IC카드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구성을 파악한 후, 전화번호부(ADN :Abbreviated dialing numbers) 파일을 경유하여 인덱스 파일(IAP : Index Administration Phone book) 파일에 링크된 이메일(Email) 파일, 애칭(SNE : Second Name Entry) 파일, 추가 전화번호부(ANR : Additional Number) 파일 등의 요소 파일(EF, Elementary File)들을 독출한다. 물론, 인덱스 파일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인덱스 파일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애칭,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은 전화번호부 파일과 직접 매핑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각 요소파일들은 IC카드에 구비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전화번호부 파일은 간략하게 전화번호부 데이터로 저장하기를 원하는 사람(이하, '대상자'라 칭함)들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저장되기 위한 요소 파일이고, 애칭 파일은 전화번호부 파일에 저장된 사람들의 성(family name) 또는 애칭(Second Name)이 저장되기 위한 요소 파일이며, 추가 전화번호 파일은 전화번호부 파일에 저장된 전화번호 이외의 추가적인 전화번호가 저장되기 위한 요소 파일이다.
그런데, 국제 표준(3GPP TS 31.102)에 따르면, 전화번호부 레퍼런스에는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들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국제 표준에 따르면,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파일들이 정의된 경우, 각 요소파일에 할당된 레코드의 크기 및 개수는 동일하여야 한다.
그런데, 사용자들은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경우, 동일인에 대한 기본전화번호 및 하나의 추가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복수개의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이 정의된 경우, 제2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 및/또는 제3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에 할당된 저장 공간은 잉여의 저장 공간으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의 한 사람에 대한 2개의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전화번호부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2 개의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이 정의되어 있다면, 1개의 전화번호는 전화번호부 파일에 저장되고, 나머지 1개의 전화번호는 하나의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에 저장될 것이다. 따라서, 나머지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에 할당된 저장 공간은 사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IC카드에 구비된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 파일에 정의된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파일들에 할당된 레코드의 개수를 달리하여 IC카드에 구비된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에 있어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 및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이 포함되는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에 상이한 개수의 레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에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이 포함되는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에 상이한 개수의 레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IC 카드;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IC 카드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IC 카드 통신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시각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IC 카드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IC 카드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이 포함되는 파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카드에 구비된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IC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번호부 파일에 정의된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파일들에 할당된 레코드의 개수를 달리하여 IC카드에 구비된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IC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카드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장치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카드의 기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디스플레이부(140), IC카드 통신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각종 신호 또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특히,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버튼을 조작하면, 당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화번호부 실행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전화번호부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100)가 전화번호부 데이터 입력 모드로 동작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번호부 데이터 입력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부(110) 조작에 따라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text data)를 전화번호부데이터로서 구비된 저장부(120) 및/또는 IC카드(160)에 저장하기 위한 동작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부 데이터 입력 모드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텍스트데이터는 이름정보(즉, 대상자의 이름에 대한 텍스트정보), 이메일 정보(즉, 대상자의 이메일 주소에 대한 텍스트정보), 애칭정보, 기본 전화번호 정보, 추가 전화번호 정보 및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부 데이터 입력 모드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화번호부 저장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버튼 등을 조작할 수 있고, 입력부(110)는 이에 상응하여 전화번호부 저장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기타 다양한 신호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저장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IC카드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특히,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물론, 저장부(120)에는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 관련 데이터들이 더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저 장부(120)는 반도체 메모리로서, NAND형 메모리일 수 있다.
IC카드 통신부(130)는 IC카드(160)와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IC카드 통신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IC카드(160)에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추가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접속되어 있는 IC카드(160)로 전송한다. 또한 IC카드 통신부(130)는 IC카드(160)로부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동작 활성화되거나 구동 종료될 수 있으며,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시각(視覺)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로부터 입력 받은 전화번호부 출력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시각 정보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LCD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40)의 구성 및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하기 위한 추가 구성 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입력부(110) 조작에 따른 각종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필요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전화번호부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생성된 텍스트데이터가 IC카드(16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부(150)는 생성된 텍스트데이터를 IC카드 통신부(130)를 통하여 IC카드(16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화번호부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전화번호부 저장 명령과 함께 입력된 텍스트데이터(text data)를 국제표준에 따른 파일 유형으로 전화번호부(즉, IC카드(160)에 전화번호부데이터 저장을 위해 할당된 저장 공간)에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도 1b를 참조하여 IC카드 통신부(130)를 통해 연결되는 IC카드(160)의 각 기능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IC카드의 기능부 구성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IC카드(160)는 통신부(170), IC저장부(180) 및 IC제어부(190)를 포함한다.
통신부(170)는 IC카드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IC카드 통신부(130)로부터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추가 요청 신호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IC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IC카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IC제어부(190)는 IC통신부(17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IC카드(100)의 필요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IC제어부(190)는 통신부(170)로부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추가 요 청 신호 및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면,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IC저장부(180)로 전송하고, IC저장부(180)가 전화번호부에 추가하도록 제어한다.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전화번호부에 추가하는 과정은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IC카드(160)는 전화번호부를 구성하기 위해 특정의 파일 구조를 사용한다. 파일구조는 국제 표준(3GPP TS 31.102)에 따라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국제표준에 따른 폰복 데이터 저장을 위한 UICC의 파일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폰복 데이터 저장을 위한 UICC의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UICC의 논리적인 파일 구조는 크게 하나의 MF(마스터 파일: Master File)와 필수 요소 파일로 구성된다.
도 2에 예시된 파일 구조에서 MF(205)는 UICC 파일 구조의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용 파일(Dedicated File)-여기서, 전용 파일은 응용 전용 파일을 포함함- 및 요소 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MF(205)는 하나의 ADF_USIM(210)을 포함할 수 있다. ADF_USIM(220)는 USIM application 관련된 파일을 저장하는 전용 파일의 일종으로 기능상의 그룹을 형성하며, 하위 수준의 전용 파일 및 요소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용 파일은 응용별 동일 그룹의 요소 파일 및 요소 파일의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DF_USIM(220)는 전용 파일인 DF_PHONEBOOK(230)을 포함할 수 있다.
EF_PBR(230)은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으로써, DF_PHONEBOOK(230)에 정의되는 전화번호부 관련 파일들의 파일 식별자(FID : File Identifier)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EF_PBR(230)는 3가지의 전화번호부 엔트리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3가지의 전화번호부 엔트리의 조합은 다음과 같다.
- Type 1 files: Reference파일과 Master파일(전화번호부 파일)이 동일한 수의 레코드 개수를 포함하고 record number 기준으로 링크가 되는 형태의 파일
- Type 2 files: Master파일보다 개수가 적으면서 index administration file (EF_IAP)에 저장되는 포인터를 통하여 링크되는 형태의 파일
- Type 3 files: 레코드 내에 존재하는 Record identifier로 링크되는 형태의 파일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부 엔트리 조합은 type 2 파일로 복수개의 EF_ANR 파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EF_PBR(230)에 추가 전화번호 관련 파일로 복수개의 추가 전화번호 파일을 인덱스 파일을 통해 매핑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국제표준에 따른 파일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 것으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니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C카드(160)는 상술한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부를 구성하고 전화번호부의 구성에 따라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IC저장부(180)에 저장한다. 이하에서 도 2의 파일 구조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입력부(110) 조 작에 의하여 생성된 이름 및 기본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 파일인 EF_ADN(250)에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추가 전화번호를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인 EF_ANR1(270), EF_ANR2(280) 및 EF_ANR3(29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부팅 시 EF_PBR(240)파일을 읽어 전화번호부 구조를 파악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IC카드(16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IC카드(16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화번호부 데이터(폰북 데이터) 입력모드를 동작한다.
단계 310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추가 전화번호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31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생성된 기본 전화번호 및 이름을 전화번호부 데이터로서 저장하기 위하여 IC카드(160)의 MF(210)에 접근하여 ADF_USIM(220)을 선택한다.
단계 320 내지 단계 32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ADF 파일 선택에 대한정 상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IC카드(160)로부터 정상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DF_PHONEBOOK(230)을 선택한다.
단계 330 내지 단계 33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DF_PHONEBOOK(230) 파일 선택에 대하여 IC카드(160)으로부터 정상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전화번호부 데이터로서 저장하고자 하는 당해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요소파일(EF)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추가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해 EF_ANR1(270) 파일(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340 내지 단계 34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추가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요소파일 선택에 대하여 IC카드(160)으로부터 정상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요소파일에 추가 전화번호 저장 요청 신호를 IC카드(160)로 전송한다.
단계 350에서, IC카드(160)는 추가 전화번호를 선택된 요소파일의 빈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정상 응답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단계 35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EF_IAP(260)을 선택한다.
단계 360 내지 단계 365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추가 전화번호 저장에 대하여 정상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추가 전화번호를 저장한 레코드 번호를 EF_IAP(260)에 저장하도록 IC카드(160)에 EF_IAP 저장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370 내지 단계 375에서 IC카드(160)는 EF_IAP 저장 신호를 수신되면, EF_IAP(260)에 추가 전화번호를 저장한 레코드 번호를 저장한 후, 정상 응답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 때, 추가 전화번호를 저장한 레코드 번호를 저장할 EF_IAP(260)의 레코드 번호는 동일인에 대한 기본전화번호가 저장된 EF_ADN(250)의 레코드 번호와 같다.
상술한 과정에서는 추가 전화번호 하나를 저장하기 위한 과정을 예시하였으나, EF_ANR1(270), EF_ANR2(280) 및 EF_ANR3(290)를 이용하여 동일인에 대한 2개 이상의 추가 전화번호를 추가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IC카드(160)가 저장하고 있는 요소 파일의 레코드 개수는 국제 표준에 따라 미리 지정된다. 특히, EF_IAP(260)에 저장되는 포인터를 통하여 링크되는 형태의 전화번호부 엔트리 조합(즉 type 2)에서는 도 2에 예시된 파일 구조와 같이 EF_PBR(240)에 포함된 동일한 유형의 요소파일의 레코드 개수 및/또는 크기는 서로 동일하도록 국제 표준에서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동일인에 대한 기본전화번호 및 하나의 추가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3개의 추가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파일 구조는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동일한 유형의 요소파일의 레코드 개수를 상이하게 설정한다. 이하에서, IC카드(160)에서 효율적인 저장 공간 사용을 위한 레코드 개수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국제 표준에 따른 파일 구조 및 지정된 레코드가 예시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가 인식하는 파일 구조 및 지정 된 레코드가 예시된 도면이다.
국제표준에 따르면 하나의 EF_PBR(240)이 동일한 유형의 요소파일 복수개를 정의할 때 각 요소파일에는 동일한 개수 및/또는 크기의 레코드가 지정되어야 한다고 정해져 있다. 따라서 EF_ANR1(270), EF_ANR2(280) 및 EF_ANR3(290)는 같은 유형의 추가 전화번호부 요소 파일이기 때문에 국제표준에 따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EF_ANR1(270), EF_ANR2(280) 및 EF_ANR3(290)에는 서로 동일한 200개의 레코드가 포함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물론, 도 4에는 하나의 EF_ANR에 200개의 레코드가 포함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였으나, 하나의 EF_ANR에 포함되는 레코드의 개수 및/또는 크기는 IC카드(160)의 제조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도 4의 EF_ANR1(270), EF_ANR2(280) 및 EF_ANR3(290)에 상응하는 레코드들(즉, 430, 440, 450)이 이용되어 전화번호부가 구성될 경우,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추가 전화번호를 복수개 등록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EF_ANR2(280) 및 EF_ANR3(290)에 할당된 저장 공간은 전부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EF_ADN(250)에 저장되어 있는 이름(즉, 전화번호부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의 주체가 되는 사람(또는 법인, 사업체)의 이름(명칭, 상호 등)) 중 추가 전화번호가 등록되지 않은 이름이 100개, 추가 번호 1개가 등록된 이름이 50개, 추가 번호 2개가 등록된 이름이 20개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각각의 EF_ANR 에 설정된 레코드의 개수가 200개이면, EF_ANR1(270), EF_ANR2(280) 및 EF_ANR3(290)에 설정된 모든 레코드들(즉, 도 4의 430, 440, 450)중 전혀 사용되지 않은 레코드 수만해도 550개에 육박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C카드(160)의 각 요소파일의 레코드 개수를 설정함에 있어서, 국제 표준에 따른 제약에서 벗어나 EF_PBR파일에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 복수개를 정의할 때 각 요소 파일에 상응하는 레코드 개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EF_ANR2(280)에 할당된 레코드 개수는 100개, EF_ANR3(290)의 레코드 개수는 50개인 경우가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IC카드(16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설정된 범위 외의 레코드에 해당하는 여유 메모리는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 이외의 다른 종류의 파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의 레코드로 사용된 메모리를 에스엠에스 파일(EF_SMS 파일)의 레코드로 지정하여 SMS 메시지 저장 개수를 20개에서 100개로 늘릴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내용에서는 추가 전화번호부 요소 파일과 추가 전화번호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요소 파일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EF_PBR(240)에 복수개의 애칭(SNE) 파일가 지정될 경우, 상술할 경우와 같이 각 애칭 파일에 상이한 레코드 개수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부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IC카드의 기능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폰복 데이터 저장을 위한 UICC의 파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국제 표준에 따른 파일 구조 및 지정된 레코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인식하는 파일 구조 및 지정된 레코드를 나타낸 도면.

Claims (4)

  1.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기능이 구비된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에 있어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어 신호 및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이 포함되는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 및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에 상이한 개수의 레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은 추가 전화번호부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카드.
  3.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에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에 있어서,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이 포함되는 파일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에 상이한 개수의 레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 저장 방법.
  4.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IC 카드;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IC 카드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IC 카드 통신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시각 정보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IC 카드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IC 카드에 저장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전화번호부 레퍼런스 파일에 복수개의 동일한 유형의 요소 파일들이 포함되는 파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133206A 2007-12-18 2007-12-18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6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206A KR100962385B1 (ko) 2007-12-18 2007-12-18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206A KR100962385B1 (ko) 2007-12-18 2007-12-18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737A true KR20090065737A (ko) 2009-06-23
KR100962385B1 KR100962385B1 (ko) 2010-06-10

Family

ID=4099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206A KR100962385B1 (ko) 2007-12-18 2007-12-18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3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6085A1 (fr) * 2005-05-20 2006-11-24 Gemplus Sa Acces a des fiches de contact d'un terminal mobile depuis un autre terminal 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385B1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341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의 데이터 리드 속도 개선 방법 및 장치
US742128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use-history information
JP6035443B2 (ja) 記憶媒体
CN101416539B (zh) 附加移动通信任务到用户信息模块卡的方法以及并入该方法的移动通信装置
JP6181214B2 (ja) モバイル機器
KR100540241B1 (ko) 메시지 관리방법
EP25709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menu items in android menu
US200701910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inguishing selected line information among multi line information providing alternate line service
US20020169004A1 (en) Method of manag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an SIM card of a mobile equipment
US7941185B2 (en) Mobile terminal and data display method by individual SIM cards
JP5011738B2 (ja) Icカード、プログラム
US7599684B2 (en) Automatic setting method for terminal information us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KR100962385B1 (ko)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
CN1610435B (zh) 移动终端和使用移动终端的管理数据接收的方法
US816119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exchangeable recording medium
KR100906771B1 (ko) Ic 카드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폰북데이터기록 방법
JP2009177361A (ja) 通信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624176A1 (en) Menu assembly method, menu assembly system and terminal
KR100962386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KR100662448B1 (ko) 심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환경정보 통합 관리 방법
KR100885393B1 (ko) 웹 또는 음성정보에 의한 ota 기반의 usim 카드정보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24119B1 (ko)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13207116A (zh) 虚拟卡系统及自适应虚拟卡方法
KR100640530B1 (ko) 타 통신방식에 사용되는 식별카드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EP2061219A1 (en) Method of selecting a set of phonebook entries in a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