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386B1 -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386B1
KR100962386B1 KR1020070078649A KR20070078649A KR100962386B1 KR 100962386 B1 KR100962386 B1 KR 100962386B1 KR 1020070078649 A KR1020070078649 A KR 1020070078649A KR 20070078649 A KR20070078649 A KR 20070078649A KR 100962386 B1 KR100962386 B1 KR 10096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file
identification number
smart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585A (ko
Inventor
구영균
임헌문
천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78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의 따르면,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는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탑재 가능한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와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하여 단말기 변경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단말기가 변경된 경우, 저장된 파일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파일 독출부; 및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 실행하여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상기 단말기에 설치하는 파일 설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스마트 카드, USIM 카드

Description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TERNINAL, METHOD AND SMART CARD FOR MANAGIN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스마트 카드로 전송하여 관리하는 단말기, 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달 및 이동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하여 사회 활동이 가능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단말기는 단말기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의 요구에 부응하여 단순한 음성 통신 수단이라는 차원에서 벗어나 이동 통신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매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한편, 단말기는 유선 전화기를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가정 및 사무실에서도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과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해 유선 전화기보다 개별적으로 가지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종래의 IS-95A/B, CDMA 1X, 1X EV-DO 망에서는 고객 정보와 단말 정보는 같은 개념이었다. 따라서, 고객의 단말 정보는 기기 변경이라는 프로세서를 통해서만 변경될 수 있었다. 하지만, WCDMA 망에서는 단말기에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을 삽입하여 사용함에 따라 고객 정보와 단말 정보가 분리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스마트 카드의 일종으로 WCDMA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및 정보의 저장, 연산 처리가 가능한 카드이다.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 Micro-Processor Unit), 메모리, 카드 운영 체제(COS: Card Operation System), 보안 알고리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내장하고 있어 자체 연산 처리 및 대용량 저장의 기능을 갖춘 COB(Chip On Board) 형태의 카드를 말한다.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로는, GSM 단말기에 삽입되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CDMA 단말기에 삽입되는 UIM(User Identity Module) 및 WCDMA 단말기에 삽입되는 USIM 카드(110)가 있다.
USIM 카드(110)에는 USIM 카드(110)의 ID, 위치 정보, 암호화 키, 데이터 서비스 변수 값, 사용자 식별 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기능 및 환경 변수 값, 서비스 망 정보, 서비스 테이블, 가입자 인증 키, PIN, 통화 시간 및 요금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USIM 카드(110)를 분리하여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삽입시킴으로써, 새로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자신의 USIM 카드(110)를 다른 단말기에 부착시켜 이용하는 경우, 자신이 사용하던 플랫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변경된 단말기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플랫폼 등의 파일 정보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의 변경한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변경된 단말 정보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변경된 단말 정보에 따른 최적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배터리가 없는 등의 경우, 타인의 단말기에 자신의 USIM 카드(110)를 이용하여 자신의 단말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단말 정보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USIM 카드(110) 이용현황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설치 파일이 저장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파일을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여 통신망에서 단말 정보에 따른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여 통신망에서 스마트 카드의 이동 현황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따르면,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는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탑재 가능한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와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하여 단말기 변경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단말기가 변경된 경우, 저장된 파일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파일 독출부; 및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 실행하여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상기 단말기에 설치하는 파일 설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따르면,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는 스마트 카드에 착탈식으로 탑재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전송하는 단말 정보 제어부;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단말기 변경 판단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추출된 단말 정보에 따라 독출된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의 실행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하는 설치 파일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설치하는 파일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정보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와 상기 단말기의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가 비교된 단말기 변경 여부 판단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탑재 가능한 스마트 카드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말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와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하여 단말기 변경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단말기가 변경된 경우, 저장된 파일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 실행하여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상기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스마트 카드가 탑재된 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말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와 상기 단말기의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가 비교된 단말기 변경 여부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단말기 변경 판단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 기 추출된 단말 정보에 따라 독출된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의 실행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설치 파일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신의 플렛폼 등 설치 파일을 스마트 카드에 저장함으로써, 단말기의 교체 등 단말기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도 자신의 플랫폼을 현재 이용하는 단말기에 최적화된 플랫폼 등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 정보가 스마트 카드, 예를 들어 USIM 카드(110) 내에 저장됨으로써 단말기의 교체 등 단말기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도 단말기는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 내에 단말 정보가 저장됨으로써 통신 사업자는 스마트 카드의 이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카드는 내부에 CPU, 비휘발성 메모리 및 활성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 카드는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정보를 가공하거나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연산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스마트 카드는 WCDMA 기술에서 사용되는 USIM 카드(110), CDMA 기술에서 사용되는 UIM 카드 또는 R-UIM 카드, GSM 기술에서 사용되는 SIM 카드 및3가지 모두의 기술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기술에서 사용되는 UICC(Universal IC Card) 카드를 포함할 수 있는 명칭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이하 USIM 카드(110)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USIM 카드(110)가 탑재되어 있는 단말기(140)를 현재 단말기로 칭하고, USIM 카드(11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되는 단말기를 원본 단말기라 칭한다. 따라서, 현재 단말 정보 및 현재 단말 식별 번호는 USIM 카드(110)가 탑재된 단말기(140)의 단말 정보 및 단말 식별 번호이다. 원본 단말 정보 및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는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단말 정보 및 단말 식별 번호로서 USIM 카드(110)에 기 저장된 정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110)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110), 단말기(140), 컨텐츠 제공 서버(120), 통신망(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40)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단말기(140)를 예로 들어 설명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 서비스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14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스마트 카드의 일종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정보 및 부가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USIM 카드(110)가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단말기(140)에 삽입되는 경우, USIM 카드(110)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인증 받아 다른 단말기(140)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단말기(140)에 내장되어 사용되며, 특정의 단말기(140)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단말기(140)에 이용될 수 있는 호환성 및 이동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USIM 카드(110)는 단말기(14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단말 정보를 통신망(13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망(130)으로 통하여 단말 정보에 따른 컨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컨텐츠 정보는 단말 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파일 설치와 관련하여 USIM 카드(110)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컨텐츠를 접속한 단말기(140)에 제공하는 서버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서버(120)는 네이버, 야후, 매직앤, 소리나라, 그림나라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WCDMA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모든 유무선 통신망(13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WCDM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WCDMA 망은 무선 기지국(RTS: Radio Transceiver Subsystem, 이하 'RTS'라 칭함), 무선 제어국(RNC: 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를 포함할 수 있다. WCDMA 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4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메모리부(230), 출력부(240), 단말 정보 제어부(250), 설치 파일 제어부(260), 파일 정보 제어부(270) 및 USIM 카드(110) 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40)의 근거리 통신망(130) 또는 이동 통신망(130)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210), 단말기(140)의 입력 제어를 위한 키패드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22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30),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240)는 단말기(140)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말 정보 제어부(250)는 USIM 카드(110)와의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관리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제어부(250)는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제어부(250)는 추출된 단말 정보를 USIM 카드(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정보는 플랫폼 파일, 브라우저 파일, 단말 식별 번호, LCD사이즈 정보, 메모리 용량 정보, MP3 지원 여부, 카메라 탑재 여부, 지원 컬러 정보 및 단말기 기종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정보는 LCD사이즈 정보일 수 있다. LCD사이즈는 2인치, 3인치 등의 LCD 화면 크기 정보일 수 있다. LCD사이즈 정보는 USIM 카드(110)로 컨텐츠 제공 서버(120)로 전송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즉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및 MSISDN(Mobile Station Integrated System Digital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IMSI는 단말기(140)에 할당되는 고유 15자리 식별 번호로서, 국가 코드, 네트워크 코드, 가입자 식별 번호 및 국가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MSISDN은 네트워크에서의 전화번호로서, 국가코드, 네트워크 코드 및 디렉토리 번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제어부(250)는 스마트 카드(110)로부터 단말기(140) 변경 여부에 관한 판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110)는 저장된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와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이로써, 스마트 카드(110)는 현재 접속된 단말기(140)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탑재된 단말기(140)를 통하여 통신망(13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40) 사용자는 WCDMA 시스템 하에서 자신의 USIM 카드(110)를 다른 단말기(140)에 탑재시켜 손쉽게 단말기(140)를 변경하여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USIM 카드(110)는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단말 정보 제어부(250)가 추출한 단말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USIM 카드(110)는 플랫폼 파일 정보 등의 파일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설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등은 설치 파일에 의하여 단말기에 설치될 파일일 수 있다. 또한, 설치 파일은 플랫폼 파일 및 브라우저 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파일일 수 있다. 즉, 설치 파일은 실행되어 설치 파일에 대응되는 플랫폼 파일 등의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플랫폼 파일은 단말기(140)의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기초를 이루는 시스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플랫폼은 단말기(140)의 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은 단말기(140)의 메뉴 화면이나 문자 메시지 전송 툴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반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은 메뉴 화면의 형태, 배열 또는 틀을 나타내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설치 파일을 저장하고,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는 경우, 이를 현재 단말기(14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플랫폼 등을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USIM 카드(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대, USIM 카드(110)는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독출된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설치 파일을 실행시켜 단말기(140)에 설치 할 수 있다. 이 경우, USIM 카드(110)는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최적화하여 단말기(140)에 플랫폼 등의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IM 카드(110)는 플랫폼 및 브라우저 등의 파일 정보 및 이에 해당하는 설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140)는 가로 화면 혹은 세로 화면일 수 있다. 기존의 가로 화면 단말기(140)를 사용하던 사용자가 하나의 USIM 카드(110)를 이용하여 세로 화면의 단말기(140)로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USIM 카드(110)를 이용하여 동일한 플랫폼 및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교체된 단말기(14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세로 화면에 적합한 플랫폼 등의 파일을 단말기(140)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단말기(140)에 최적화된 동일한 플랫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설치 파일 제어부(260)는 USIM 카드(110)로부터 설치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파일 제어부(260)는 USIM 카드(110) 내에 저장된 설치 파일을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설치 파일 제어부(260)는 USIM 카드(110)로부터 독출된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의 실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설치 파일은 단말기에 플랫폼 파일 등의 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설치 파일 제어부(260)는 설치 파일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파일 정보 제어부(270)는 USIM 카드(110)로부터 독출된 파일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설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 정보 제어부(270)는 설치 파일 제어부(260)로부터 설치 파일을 전송 받아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 정보 제어부(270)는 USIM 카드(110)에 저장된 단말 정보에 따라 독출된 파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파일 정보 제어부(270)는 수신한 파일을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14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에 설치되는 파일은 플랫폼 또는 브라우저 파일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USIM 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110)는 판단부(310), 단말 정보 관리부(320), 파일 독출부(330), 파일 설치부(340) 및 저장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310)는 단말기(140)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310)는 단말기(140)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단말기(140)로부터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판단부(310)는 USIM 카드(11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번호 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판단부(310)는 추출된 현재 단말 식별 번호와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하여 단말기(140)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40) 식별 번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ESN(Electroic Serial Number)일 수 있다. IMEI는 단말 제조사, 모델 및 시리얼 넘버를 기술할 수 있다. IMEI는 단말기(140)를 식별할 수 있는 번호로 단말기(140)마다 고유한 번호이다. 또한, ESN은 단말기(140)를 구분할 수 있는 32비트의 고유 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40)에 전원이 인가되면, 단말기(140)는 탑재된 USIM 카드(110)로 IMEI 등의 현재 단말 식별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판단부(310)는 저장된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 식별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판단부(310)는 추출한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 및 수신된 현재 단말 식별 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판단부(310)는 비교결과, 양 단말 식별 번호가 다른 경우,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판단부(310)는 단말 식별 번호를 갱신할 수 있다. 즉, 판단부(310)는 현재 단말 식별 번호를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로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판단부(310)는 판단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 정보 관리부(320)는 접속된 현재 단말 정보를 단말기(140)를 통하여 통 신망(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정보 관리부(320)는 판단부(310)의 판단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는 판단이 있는 경우, 단말 정보 관리부(320)는 단말기(140)로부터 현재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정보 관리부(320)는 수신된 현재 단말 정보를 통신망(13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14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추출된 단말 정보를 통신망(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관리부(320)는 통신망(130)으로 전송되는 사용자 식별 번호와 함께 단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혹은, 단말 정보 관리부(320)는 컨텐츠 제공 요청 신호와 함께 단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파일 독출부(330)는 저장된 파일 정보 중에서 특정 조건에 맞는 파일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독출되는 파일 정보는 현대 단말 정보에 최적화된 파일 정보일 수 있다. 즉, 파일 독출부(330)는 수신된 현재 단말 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파일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SIM 카드(110)가 브라우저 화면의 형태 또는 작성 언어가 다른 다수의 브라우저 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USIM 카드(110)는 단말기(140)로부터 현재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복수의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에서 수신된 현재 단말 정보에 적합한 브라우저 파일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파일 설치부(340)는 저장된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140)에 플랫폼 등의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 설치부(340)는 설치 파일을 실행 하여 단말기(140)에 저장된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설치되는 파일이 플랫폼 및 브라우저 설치 파일을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경우, 설치되는 파일은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파일일 수 있다.
파일 설치부(340)는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는 경우, 단말기(140)에 사용자가 원하는 플랫폼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파일 설치부(340)는 판단부(310)로부터 단말기(140)의 변경 여부의 판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판단 정보는 단말기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는 단말기 변경 판단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일 설치부(340)는 단말기(140)의 일정한 저장 영역에 독출된 파일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 설치부(340)는 독출된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설치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단말기(140)의 일정한 기록 영역에 파일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40)는 전원이 인가되는 때마다 기록영역의 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로써, 파일 설치부(340)는 단말기 상에 독출된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SIM 카드(110)가 플랫폼 파일 등의 파일 및 설치 파일을 저장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는 경우, USIM 카드(110)는 단말기(140)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 할 수 있다. 파일 독출부(330)는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른 최적화된 파일을 독출할 수 있다. 파일 설치부(340)는 독출된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 실행하여 상기 독출된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설치부(340)는 단말기(140)에 저장된 플랫폼 등의 파일을 갱신할 수 있다. 즉, 파일 설치부(340)는 단말기(140)에 설치된 플랫폼 등 파일을 삭제할 수 있으며, 파일 설치부(340)는 USIM 카드(110)에 저장된 파일을 단말기(14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파일 설치부(340)는 단말기(140)의 플랫폼 등의 파일을 설치 파일을 실행시켜 갱신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접속된 단말기(140)의 단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상술한 플랫폼 등의 파일 정보 및 설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SIM 카드(110)의 저장부는 MF(Master File), DF(Dedicated File) 및 EF(Elementary File)를 포함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ISO 7816-4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MF, DF, EF의 계층적 구조를 갖는 파일 구조로 이루어진다. MF는 USIM 카드(110) 저장부(340) 내 파일 구조의 루트(root)일 수 있다. 또한, MF의 하부 계층으로 다수의 파일을 묶어 분류하는 폴더 개념의 DF가 존재할 수 있으며, DF의 하부 계층으로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EF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F 계층 중에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제1 DF가 존재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이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DF의 하부 계층으로 제1, 제2 EF는 각각 사용자 식별 번호,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F 계층 중에서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제2 DF가 존재할 수 있다. 단말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브라우저 파일 정보, 단말 식별 번호, LCD사이즈 정보, 메모리 용량 정보, MP3 지원 여부, 카메라 탑재 여부, 지원 컬러 정보 및 단말기 기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DF의 하부 계층으로 있는 제3 EF는 상술한 원본 단말 정보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접속된 단말기(140)의 단말 정보, 즉 현재 단말 정보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F 계층 중에서 설치 파일을 저장하는 제3 DF가 존재할 수 있다. 제3 DF의 하부 계층으로 제4 및 제5 EF는 각각 플랫폼 등 파일 정보에 해당하는 설치 파일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USIM 카드(110)가 단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플랫폼 등의 파일을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140)에 설치하는 것이다.
USIM 카드(110)는 미리 플랫폼 등의 파일 정보 및 이에 해당하는 설치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40)는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브라우저 파일 정보, 단말 식별 번호, LCD사이즈 정보, 메모리 용량 정보, MP3 지원 여부, 카메라 탑재 여부, 지원 컬러 정보 및 단말기 기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말기(140)에 전원이 인가 되면, 단말기(140)와 단말기(140) 탑재된 USIM 카드(11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협상할 수 있다. 이 경우, USIM 카 드(110)는 구동을 위한 필요 전원의 강도 등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단말기(140)로부터 단말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0).
USIM 카드(110)는 수신된 단말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단말기(140)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USIM 카드(110)는 수신된 현재 단말 식별 번호와 저장된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USIM 카드(110)는 양 단말 식별 번호가 상이한 경우, 단말기(140)가 변경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S420).
USIM 카드(110)는 수신된 단말 정보에 따라 최적화된 파일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S430). 보다 상세하게는 USIM 카드(110)는 파일 정보 및 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을 저장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USIM 카드(110)는 저장된 파일 정보 중에서 단말 정보에 따른 파일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이 때, 독출된 파일 정보는 LCD사이즈 정보 등에 적합한 플랫폼 등의 파일 정보일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플랫폼 등의 파일을 단말기(140)에 설치할 수 있다(S440). 보다 상세하게는 USIM 카드(110)는 설치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설치 파일을 실행시켜 단말기(140)에 단말 정보에 따른 플랫폼 등의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USIM 카드(110)는 단말기(140)의 저장 영역에 파일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로써, USIM 카드(110)는 단말기(140) 상에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단말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USIM 카드(110)의 이동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현황 파악은 가입자 정보 또는 현재 단말 식별 번호를 선택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등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110)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단말기(140)의 변경이 있는 경우 변경된 단말기(140)가 USIM 카드(110)에 저장된 설치 파일을 이용하여 플랫폼 등의 파일을 최적화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단말기(140)는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510). 이 때, 단말 정보는 플랫폼 파일, 브라우저 파일, 단말 식별 번호, LCD사이즈 정보, 메모리 용량 정보, MP3 지원 여부, 카메라 탑재 여부, 지원 컬러 정보 및 단말기 기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단말기(140)에 전원이 인가 되면, 단말기(140)와 단말기(140) 탑재된 USIM 카드(11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협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40)는 USIM 카드(110)로부터 구동을 위한 필요 전원의 강도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40)는 단말 식별 번호를 포함한 단말 정보를 USIM 카드(110)로 전송할 수 있다(S520).
또한, 단말기(140)는 단말기(140)의 변경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30). 단말기(140)은 수신된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40)의 변경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S540). 이 때, USIM 카드(110)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와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하여 단말기(140) 변경 여부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140) 변경 판단 정보가 수신된 경우, 단말기(140)는 추출된 단말 정보에 따라 독출된 파일 정보에 설치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S550). 또한, 단말기(140)는 설치 파일의 실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50).
이 경우, 단말기(140)는 USIM 카드(110) 내의 플랫폼 등의 파일 정보를 독출하여 단말기(140)에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S560).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140)는 수신된 설치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단말기(140)는 단말 정보에 해당하는, 즉 최적화된 플랫폼 등의 파일을 단말기(14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40)의 지원 컬러 정보가 10만 화소라고 가정하자. USIM 카드(110)는 현재 단말 정보 중 지원 컬러가 10만 화소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USIM 카드(110)는 플랫폼을 단말기(140)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10만 화소 화면에 해당하는 플랫폼 파일 정보을 독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40)는 플랫폼 등의 파일을 갱신할 수 있다. 즉, 플랫폼 등의 파일이 미리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40)는 미리 저장된 플랫폼 등의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이 후, 단말기(140)는 USIM 카드(110)로부터 수신된 플랫폼 등의 파일을 단말기(14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삭제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설치 파일의 갱신여부 신호를 입력 받아 이에 따라 설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USIM 카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USIM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USIM 카드 120: 컨텐츠 제공 서버
130: 통신망 140: 단말기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메모리부 240: 출력부
250: 단말 정보 제어부 260: 설치 파일 제어부
270: 파일 정보 제어부 310: 판단부
320: 단말 정보 관리부 330: 파일 독출부
340: 파일 설치부 350: 저장부

Claims (18)

  1.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탑재 가능한 스마트 카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가 접속된 단말기의 전원 인가에 상응하여 상기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 및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변경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단말기가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파일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파일 독출부; 및
    상기 설치 대상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치하는 파일 설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설치 대상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번호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MSISDN(Mobile Station Integrated System Digital Network)이며,
    상기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 및 상기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또는 ESN(Electroic Serial Nu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브라우저 파일 정보, 단말 식별 번호, LCD사이즈 정보, 메모리 용량 정보, MP3 지원 여부, 카메라 탑재 여부, 지원 컬러 정보 및 단말기 기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UICC(Universal IC Card),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및 UIM(User Identity Modul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드.
  6. 스마트 카드를 착탈식으로 탑재 가능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전송하는 단말 정보 제어부;
    상기 단말 정보에 따른 설치 대상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대상 파일의 실행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설치 파일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하는 설치 파일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치하는 파일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설치 대상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브라우저 파일 정보, 단말 식별 번호, LCD사이즈 정보, 메모리 용량 정보, MP3 지원 여부, 카메라 탑재 여부, 지원 컬러 정보 및 단말기 기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UICC, USIM, SIM 및 UIM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
  11.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탑재 가능한 스마트 카드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말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전원 인가에 상응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를 수신받는 단계;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 및 상기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를 비교하여 단말기가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저장된 파일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 정보에 따라 설치 대상 파일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 대상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상기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번호는 IMSI 또는 MSISDN이며,
    상기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 및 상기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는 IMEI 또는 ES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브라우저 파일 정보, 단말 식별 번호, LCD사이즈 정보, 메모리 용량 정보, MP3 지원 여부, 카메라 탑재 여부, 지원 컬러 정보 및 단말기 기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15. 스마트 카드가 착탈식으로 탑재 가능한 단말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말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사용자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와 상기 단말기의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가 비교된 단말기 변경 여부 판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단말기 변경 판단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설치 대상 파일 정보에 상응하는 대상 파일의 설치를 위한 제어 신호 및 설치 파일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치 대상 파일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및 브라우저 파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 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번호는 IMSI 또는 MSISDN이며,
    상기 현재 단말기 식별 번호 및 상기 원본 단말기 식별 번호는 IMEI 또는 ES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플랫폼 파일 정보, 브라우저 파일 정보, 단말 식별 번호, LCD사이즈 정보, 메모리 용량 정보, MP3 지원 여부, 카메라 탑재 여부, 지원 컬러 정보 및 단말기 기종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KR1020070078649A 2007-08-06 2007-08-06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KR10096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49A KR100962386B1 (ko) 2007-08-06 2007-08-06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49A KR100962386B1 (ko) 2007-08-06 2007-08-06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85A KR20090014585A (ko) 2009-02-11
KR100962386B1 true KR100962386B1 (ko) 2010-06-10

Family

ID=4068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649A KR100962386B1 (ko) 2007-08-06 2007-08-06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076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uicc를 지원하는 단말의 imei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076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uicc를 지원하는 단말의 imei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06083B1 (ko) 2021-11-26 2023-11-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복수의 uicc를 지원하는 단말의 imei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85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5443B2 (ja) 記憶媒体
US742128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use-history information
CN102088691B (zh) 手机移动互联网应用用户认证识别系统和方法
US9686290B2 (en)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and performing of a post issuance process on a secure element
CN104168557A (zh) 操作系统的升级方法和操作系统的升级装置
CN109462848A (zh) 接入Wi-Fi热点设备的方法、Wi-Fi热点设备和用户设备
KR20050011013A (ko) 메시지 관리방법
JP2006195728A (ja) 端末機器に装着される電子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20030181219A1 (en) Method of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f a mobile terminal
US7941185B2 (en) Mobile terminal and data display method by individual SIM cards
CN101516087A (zh) 移动终端的存储系统和访问控制方法
CN100425092C (zh) 利用sim卡的移动通信终端的数据管理方法
KR100962386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단말 정보를 관리하는 단말기,방법 및 그 스마트 카드
US20080057946A1 (en) Mobile terminal
CN101389093A (zh) 切换手持装置网络连接的系统及方法
US2005009028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88173B1 (ko) 특정 그룹내에서만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9177361A (ja) 通信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169820A (zh) 一种有效用户识别卡的识别方法
TWI386015B (zh) 切換手持裝置網路連接的系統及方法
KR1007546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160361B1 (ko) 이동 단말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24119B1 (ko)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01772204B (zh) 一种访问ngms卡的方法及设备
KR100640530B1 (ko) 타 통신방식에 사용되는 식별카드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