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424A - 가상 낙서 - Google Patents

가상 낙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424A
KR20090064424A KR1020097006835A KR20097006835A KR20090064424A KR 20090064424 A KR20090064424 A KR 20090064424A KR 1020097006835 A KR1020097006835 A KR 1020097006835A KR 20097006835 A KR20097006835 A KR 20097006835A KR 20090064424 A KR20090064424 A KR 20090064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ent
image
graphical user
user interface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하 아라스부오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6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1Input by recognition or interpretation of visible user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2Other manual input means, e.g. digitisers or writing tab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는데, 이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으로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으로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이미지 콘텐츠 수신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는 통신 장치, 상응하는 방법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을 이행하기 위한 시스템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상 낙서{Virtual graffiti}
본 발명은 이미지 콘텐츠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에 제공하고 그것으로부터 호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통신 장치,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에 관련된다.
많은 통신 장치들은 사용자가 장치와 대화하게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한다. GUI를 개인화하기 위한 많은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를테면 개인화된 배경 이미지 또는 테마이다. 그러나, 개인화에 의해 GUI를 개선할 필요는 여전히 존재한다.
위와 같은 바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논의된 문제들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줄이는 것이다. 특히, 하나의 목적은 GUI를 개인화하는 사회적 양태(aspect)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원격 이미지 제공 장치로부터 이미지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이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는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view) 속에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viewer)를 더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에 호출할 수 있는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한다.
이미지 콘텐츠는 개인용 태그(personal tag)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는 상기 뷰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에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에 호출할 수 있는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상기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에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를 더 포함한다.
이미지 제공 모듈은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미지 편집기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 대화 가능형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이미지 콘텐츠의 표현(representation)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원격 이미지 제공 장치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에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를 더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전송기 및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에 호출할 수 있는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기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콘텐츠는 개인용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는 상기 뷰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에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르면, 전송기 및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에 호출할 수 있는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기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는 이미지 콘텐츠의 표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원격 이미지 제공 장치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를 더 포함한다.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는 개인용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제공 모듈은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미지 편집기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 대화 가능형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르면, 이미지 콘텐츠를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에 호출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뷰를 보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미지 콘텐츠의 호출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르면,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뷰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할 수 있게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준비하는 단계는 이미지 콘텐츠를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로부터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된 이미지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대화식으로(interactively) 생성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르면,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에 호출하는 것 그리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를 보이는 것에 의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실행가능 컴포넌트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이미지 콘텐츠의 호출을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르면,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할 수 있게 준비하는 것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에 의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에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컴포넌트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준비하는 것을 위한 명령어들은 이미지 콘텐츠를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로부터 액세스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액세스된 이미지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준비하는 것을 위한 명령어들은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대화식으로 생성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양태에 따르면, 원거리 통신망과 상기 원거리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상기 원거리 통신망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호출(invokation) 서비스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 호출 서비스를 다루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호출 서비스 센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따라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 호출 서비스 센터에 연관된 이미지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 호출 서비스 센터와 상기 원거리 통신망을 상호접속시키는 이미지 콘텐츠 호출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여기서 명시적으로 다르게 정의된 것을 제외하면 기술분야에서의 그것들의 통상의 의미에 따라 해석되는 것이다. 하나의/이/그 [요소, 기기, 컴포넌트(구성요소),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참조들은, 명시적으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요소, 기기, 컴포넌트(구성요소),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실례를 말하는 열린 해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어느 방법이라도 그것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면, 개시된 순서로 정확히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첨부된 종속항들로부터, 뿐만 아니라 도면들로부터 나타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위의, 그리고 부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유사한 요소들을 위해 사용될 것인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다음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은 이미지 콘텐츠를 수신용 통신 장치의 GUI 뷰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4는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의 GUI 뷰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기본 동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5는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의 GUI 뷰에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6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의 GUI 뷰에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7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가지는 컴 퓨터 실행가능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사례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케이션(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애플리케이션(100)은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102)은 손으로 그린 것처럼 보일 수 있는 태그와 같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장치로부터, 예컨대 친구의 이동 전화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이 이행되는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으로,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호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호출(invokation)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웰페이퍼"라고도 불리는 배경 이미지상에 그려진 예를 들면 태그일 수 있다. 이것은 개인의 통신 장치의 GUI 상에 전자방식으로 사인(sign)을 남기는 것에 의해 누군가에게 주목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소재(neat)를 실행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이미지 콘텐츠의 수신기는 바람직하게는 통신 장치상의 이 유형의 이미지 콘텐츠를 어느 누군가에게, 또는 이미지 콘텐츠의 송신기들의 선택된 그룹에게 허용하였다.
애플리케이션(100)은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104)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102) 및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104) 둘 다 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들(102, 104) 중의 어느 것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104)은 102와 같은 유사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호출 가능하게 이미지를 준비하기 위한 것이지만 다른 원격 장치상에 있는 이미지 편집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104)은 준비된 이미지 콘텐츠를, 예컨대 애플리케이션(100)이 이행되는 장치의 어느 이용 가능한 장치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미지의 준비는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104)의 생성 기능에 의한 스크래치(scratch)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을 보유하고 결국에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되는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106)를 액세스하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거나, 및/또는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에 의해 송신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통신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202)을 포함하는데, 이 애플리케이션은 도 1에 관하여 기술된 유형들 중의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수신기(20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수신기는 이미지 콘텐츠의 표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신호는 무선으로 통신 장치에, 예컨대 수신기(204)에 연결된 안테나(206)에 전해진다. 이미지 콘텐츠는 그렇게 추출되어 애플리케이션(202)에 제공되고 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203)에 의해 다루어지는데, 이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도 1에 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예컨대 이미지 콘텐츠를 GUI(206)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으로 호출하는 것에 의해 통신 장 치(200)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206)의 뷰에서 이미지 콘텐츠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200)는 전송기(208)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전송기는 위의 무선의 예에서는 안테나(205)에 연결되고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미도시)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콘텐츠를 수신하고 호출할 수 있거나, 또는 이미지 콘텐츠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하고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장치(200)는 이런 능력들 둘 다를 가지고, 이 능력들의 실시는 사용자로 제어된다. 이 전송기(208)에는 애플리케이션(202)의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209)로부터 이미지 콘텐츠가 제공된다.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209)의 특징들은 도 1의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을 위해 설명된 것들과 유사하고, 도 1의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116)에 유사한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2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전송기(208)에 의해 송신되는 이미지 콘텐츠는 바람직하게는, 수신되고 원격 통신장치의 GUI 뷰 속으로 호출될 수 있는 소정의 포맷으로 된다. 통신 장치(200)는 예를 들면 이동 전화기, 개인휴대 정보단말(PDA), 또는 GUI를 이용하는 임의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도 3은 이미지 콘텐츠를 수신용 통신 장치의 GUI 뷰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미지 콘텐츠는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다(300). 그 후, 이미지 콘텐츠는 GUI 뷰 속으로 호출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와 현존하는 GUI 뷰, 예컨대 GUI의 배경 이미지를 병합하는 것에 의해 수신용 통신 장치의 그래픽 메커니즘에 의해 수행된다. 병합 동작의 목 적은 이미지 콘텐츠를 현존하는 GUI 뷰에 그려지거나 붙여지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다. 병합된 GUI 뷰는 그 후 현존하는 GUI 뷰가 디스플레이되었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304).
도 4는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통신 장치의 GUI 뷰에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기본 동작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미지 콘텐츠는 원격 통신 장치의 GUI 뷰 속으로 호출가능하게 되도록 준비된다(400).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원격 통신 장치의 그래픽 메커니즘이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와 현존하는 GUI 뷰, 예컨대 GUI의 배경 이미지를 병합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병합 동작의 목적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통신 장치의 현존하는 GUI 뷰에 그려지거나 붙여지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미지 콘텐츠가 준비된 때에, 그것은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된다(402). 이것은 예를 들면 단거리 통신 링크, 이를테면 블루투스, IrDA 등을 통해, 또는 통신망, 이를테면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통신 장치의 GUI 뷰에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미지 콘텐츠는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로부터 액세스된다(500). 이미지 콘텐츠는 그 후 예컨대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개인적 터치를 생성하도록 편집된다(502). 이미지 콘텐츠는 또한 원격 통신 장치의 GUI 뷰 속으로 호출가능하게 되도록 준비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원격 통신 장치의 그래픽 메커니즘이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와 현존하는 GUI 뷰, 예컨대 GUI의 배경 이미지를 병합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병합 동작의 목적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장치의 현존하는 GUI 뷰에 그려지거나 붙여지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 드는 것이다. 이미지 콘텐츠가 준비된 때에, 그것은 도 4에 관하여 기술된 일반적인 이미지 제공 방법을 위해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된다(504).
도 6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장치의 GUI 뷰에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미지 콘텐츠는 사용자와의 대화식으로 생성된다(600). 이미지 콘텐츠는 또한 원격 통신 장치의 GUI 뷰 속으로 호출가능하게 되도록 준비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원격 통신 장치의 그래픽 메커니즘이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와 현존하는 GUI 뷰, 예컨대 GUI의 배경 이미지를 병합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병합 동작의 목적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통신 장치의 현존하는 GUI 뷰에 그려지거나 붙여지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미지 콘텐츠가 준비되면, 그것은 도 4에 관하여 기술된 일반적인 이미지 제공 방법을 위해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된다(602).
도 7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기(7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가지는 컴퓨터-실행가능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7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기기(702)는 예를 들면 셀 전화기, 개인휴대 정보단말(PDA), 개인용 컴퓨터, 또는 연락처 정보 서버일 수 있다. 명령어들은 기기가 도 3 내지 도 6에 관하여 논의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본 발명은 피어-투-피어 레벨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사용자가 예컨대 단거리 기법, 이를테면 블루투스 기술을 통하여, 또는 셀룰러 통신망을 통하여 태그 또는 다른 이미지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뷰 속으로 넣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800)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가 도 8에 보이고 있다. 홈 위치 레지스터(HLR; 802)가 원거리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관련된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를 담고 있다. CCITT 지정 네트워크(804)는 시스템(800)의 개별 부분들을 상호접속한다. 광고 게이트웨이(806)가 이동 통신 장치(808-812)에 광고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스위칭 유닛이다. 광고 서비스 센터(ASC; 814)와 광고 게이트웨이(806)가 ASC(814)와 네트워크(804) 사이에서 광고 메시지들을 다루고 라우팅한다. 네트워크(804)로부터, 이미지 콘텐츠 메시지들은 이동전화 교환국(MSC; 816) 내지 기지국 제어기(BSC; 817)와 송수신기지국(BTS; 820, 821), 또는 무선망 제어기(RNC; 818)와 노드 B(822)를 경유하여 이동 통신 장치들(808-812)에 라우팅된다.
대신에, 이미지 콘텐츠 메시지들은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826, 828) 내지 BSC(817)와 BTS(820, 821), 또는 RNC(818)와 노드 B(822) 각각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장치들(808-812)에 라우팅된다. BTS(820, 821) 또는 노드 B(822)는 이동 통신 장치들(808-812)에 에어 커넥션(air connection)을 확립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콘텐츠 서버(824)를 다루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또는 다른 제3자 회사는 이미지 콘텐츠 호출을 위한 이미지 콘텐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어떤 특징을 지원하는 이미지 콘텐츠 서버(824)를 가질 수 있는데, 이 특징은 "송신기"가 예를 들면 태그를 제공할 수 있고 "수신기"가 그것들의 이동 통신 장치들(808-812)로부터 이미지 콘텐츠 서버(824)에 호출 승인을 송신할 수 있고 호출 승인과 교환하여 송신기가 되 는 능력이 그것들에 제공되고 태그가 다른 수신기들에 제공된다는 것이다. 자동으로 이 이미지 콘텐츠 서버(824)는 유사한 승인을 이미지 콘텐츠 서버(824)에 송신하는 사람을 "태깅 그룹" 또는 "낙서 벽(grafitti wall)"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 9는 제1사용자(좌측)가 이미지 콘텐츠를 현존하는 GUI 뷰(우측상부)를 갖는 통신 장치를 가지는 제2사용자(우측)에게 제공하는 사용사례를 도시한다. 제1사용자는 이미지 콘텐츠(좌측상부)를 생성하고, 제1사용자가 이미지 콘텐츠에 만족할 때, 그 이미지 콘텐츠를 제2사용자에게 송신한다(좌측하부). 그러면 제2사용자의 통신 장치의 GUI 뷰는 이미지 콘텐츠를 현존하는 GUI 뷰 속으로 호출하고 병합된 GUI 뷰(우측하부)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은 주로 몇 가지 실시예들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에 의해 쉽사리 이해될 바와 같이, 위에서 개시된 것들과는 다른 실시예들이 첨부의 특허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동등하게 가능하다.

Claims (32)

  1. 원격 이미지 제공 장치로부터 이미지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이 애플리케이션을 가지는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에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에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는 개인용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는 상기 뷰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으로 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5.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에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상기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에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는 개인용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 모듈은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기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대화가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애플리케이션.
  10. 통신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로서, 상기 신호는 이미지 콘텐츠의 표현을 포함하는 수신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원격 이미지 제공 장치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으로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전송기; 및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으로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기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는 개인용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는 상기 뷰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으로 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통신 장치는,
    전송기; 및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제공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제공 모듈은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으로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편집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기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이미지 콘텐츠 수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이미지 콘텐츠의 표현(representation)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원격 이미지 제공 장치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콘텐츠 수신 모듈은 수신된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 속으로 호출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는 개인용 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 모듈은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에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기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생성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대화가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이미지 콘텐츠를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뷰를 보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호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 가능한 이미지 콘텐츠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하는 단계는,
    이미지 콘텐츠를 이미지 콘텐츠 라이브러리로부터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된 이미지 콘텐츠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대화식으로 생성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컴퓨터-실행가능 컴포넌트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실행가능 컴포넌트들은,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에 호출하는 것, 그리고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를 보이는 것에 의하여 이미지 콘텐츠를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호출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의 현존하는 배경 이미지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6. 컴퓨터-판독가능 컴포넌트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판독가능 컴포넌트들은, 이미지 콘텐츠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할 수 있게 준비하는 것 및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원격 통신 장치에 송신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원격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에 제공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하는 것을 위한 명령어들은
    이미지 콘턴츠 라이브러리로부터 이미지 콘텐츠를 액세스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액세스된 이미지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하는 것을 위한 명령어들은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콘텐츠를 대화식으로 생성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29. 원거리 통신망과 상기 원거리 통신망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1 및 제2 통신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거리 통신망은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이미지 콘텐츠를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뷰 속으로 호출하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호출(invokation) 서비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 호출 서비스를 다루기 위한 이미지 콘텐츠 호출 서비스 센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 호출 서비스 센터에 연관된 이미지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콘텐츠 호출 서비스 센터와 상기 원거리 통신망을 상호접속시키는 이미지 콘텐츠 호 출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97006835A 2006-10-03 2007-09-21 가상 낙서 KR20090064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41,799 2006-10-03
US11/541,799 US20080079751A1 (en) 2006-10-03 2006-10-03 Virtual graffit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424A true KR20090064424A (ko) 2009-06-18

Family

ID=3922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835A KR20090064424A (ko) 2006-10-03 2007-09-21 가상 낙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079751A1 (ko)
EP (1) EP2070307A2 (ko)
JP (1) JP2010505173A (ko)
KR (1) KR20090064424A (ko)
CN (1) CN101523886A (ko)
WO (1) WO20080411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4111A1 (en) * 2007-12-21 2010-08-26 Motorola, Inc. Mobil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090237328A1 (en) * 2008-03-20 2009-09-24 Motorola, Inc. Mobil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US8350871B2 (en) * 2009-02-04 2013-01-0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virtual graffiti in a mobil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US8769442B2 (en) * 2009-07-07 2014-07-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digital graffiti objects and canvasses
US9569100B2 (en) * 2012-07-22 2017-02-14 Magisto Ltd. Method and system for scribble based editing
WO2014186955A1 (en) * 2013-05-22 2014-11-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remote control
US10338793B2 (en) 2014-04-25 2019-07-02 Timothy Isaac FISHER Messaging with drawn graphic input
KR102457143B1 (ko) * 2015-08-10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7128B1 (en) * 1996-04-18 2001-11-13 Silicon Graphic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nti-interference outlines for enhanced variably-transparent applications
US20010040551A1 (en) * 1999-07-29 2001-11-15 Interlink Electronics, Inc. Hand-held remote computer input peripheral with touch pad use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entry on a separate display
US6304898B1 (en) * 1999-10-13 2001-10-16 Datahouse,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sending graphical email
US6564249B2 (en) * 1999-10-13 2003-05-13 Dh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sending handwritten or handdrawn messages
US6763373B2 (en) * 1999-10-13 2004-07-13 Datahouse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sending handwritten or handdrawn messages
US20020051262A1 (en) * 2000-03-14 2002-05-02 Nuttall Gordon R. Image capture device with handwritten annotation
US7224991B1 (en) * 2000-09-12 2007-05-29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ing
US7003308B1 (en) * 2000-09-12 2006-02-21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handwritten electronic messaging
US6681107B2 (en) * 2000-12-06 2004-01-20 Xybernau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ccessing and recording messages at coordinate way points
US7346841B2 (en) * 2000-12-19 2008-03-18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borative annotation of a document
US20030163525A1 (en) * 2002-02-22 2003-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k instant messaging with active message annotation
US7373590B2 (en) * 2003-05-19 2008-05-13 Microsoft Corporation Shared electronic ink annotation method and system
EP2136516B1 (en) * 2004-03-23 2011-01-19 NDS Limited Personalized multimedia messaging system
US7284192B2 (en) * 2004-06-24 2007-10-16 Avaya Technology Corp. Architecture for ink annotations on web documents
KR100705027B1 (ko) * 2005-03-23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화면에 메시지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메시지 표시 방법
KR101244300B1 (ko) * 2005-10-31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서데이터를 인식하여 전송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79751A1 (en) 2008-04-03
EP2070307A2 (en) 2009-06-17
WO2008041101A2 (en) 2008-04-10
WO2008041101A3 (en) 2008-05-29
CN101523886A (zh) 2009-09-02
JP2010505173A (ja)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4424A (ko) 가상 낙서
US86880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dle screen service
EP1261180A2 (en) System for personal messaging
US20090216840A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to user interfaces
CN1984413A (zh) 使用消息服务发送和接收内容的移动终端及其方法
WO2014014215A1 (ko) Rcs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간 스크린 쉐어 방법
EP1694089A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media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215864A2 (en)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data onto display of mobile station
JP2002063120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US7720494B2 (en) Method of applying for communication ser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US7502621B2 (en) Method for relay-transmitting messages amo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40218736A1 (e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provid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KR20070066661A (ko) Mms 데이터 통신방법
KR10105154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신메시지 표시방법
JP2004080818A (ja) デジタル無線電話による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
KR100993323B1 (ko)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01107B1 (ko) 전자명함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KR101163486B1 (ko)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110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데이터 서비스 장치
JP200802249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437285B1 (ko) 셀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을 이용한 티커 서비스 방법
KR101015678B1 (ko) 이동통신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5915578A (zh) 一种关注内容的显示方法和系统
KR101093750B1 (ko) 모바일 맵 광고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4216B1 (ko) 음성설명이 포함된 mms서비스 구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