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311A - Sewing recorder of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Sewing recorder of sew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311A
KR20090064311A KR1020080125180A KR20080125180A KR20090064311A KR 20090064311 A KR20090064311 A KR 20090064311A KR 1020080125180 A KR1020080125180 A KR 1020080125180A KR 20080125180 A KR20080125180 A KR 20080125180A KR 20090064311 A KR20090064311 A KR 20090064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wing machine
sewing
rotational spe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지 카마쿠라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3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6Physical exchange of memor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A sewing record unit of a sewing machine based on sewing time and rotation speed of a main shaft is provided to analyze an operation pattern of an operator easily and to recognize driving time of the sewing machine conveniently. A sewing record unit of a sewing machine comprises the followings: measuring unit of rotation speed measuring rotation speed of a main shaft; a measuring unit(30) of accumulating time; a drawing up unit(31) of the total data corresponding to the total time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 speed; and a displaying unit(41) displaying the total data.

Description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SEWING RECORDER OF SEWING MACHINE}Sewing recorder for sewing machine {SEWING RECORDER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 및 봉제시간에 기초하여 봉제상황을 기록하는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a sewing machine for recording the sewing status based on the rotation speed and sewing time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종래, 재봉기의 봉제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봉제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봉제작업의 향상을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봉제작업중인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의 추이를 계측하는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a sewing machine for a sewing machine for measuring a change in the rotational speed of a sewing machine spindle during sewing is known from the viewpoint of grasping the sewing situation of an operator who performs sewing work of the sewing machine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상기 종래의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는, 봉제작업중인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며, 검출된 회전속도를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마다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기록된 소정 시간 경과시마다의 추이를, 도 9와 같이 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로서 조작패널(41)에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The sewing machine of the conventional sewing machine is configured to detec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during the sewing operation, and to record the detected rotational speed every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n, the recorded trends for each time elapsed are displayed on the operation panel 41 as a graph of time versus rotational speed as shown in FIG.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6-167069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167069

여기서, 작업자의 봉제작업의 향상을 도모한다는 관점에서는,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마다의 재봉기의 구동시간을 파악함으로써, 각 작업자 고유의 봉제작업의 작업패턴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He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sewing work of the work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working pattern of the sewing work unique to each worker by grasping the driving time of the sewing machine for each rotation speed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그러나, 종래의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 따르면,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그래프가 조작패널(41)에 표시될 뿐이며, 분석자는 상기 그래프만 보면서 작업자 고유의 작업패턴(습관이나 버릇)을 분석하여 봉제작업의 개선을 위한 착안점을 찾아낼 필요가 있어, 분석에 시간 및 수고가 소요되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sewing machine of the conventional sewing machine, only a graph of the temporal change 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s main shaft is displayed on the operation panel 41, and the analyst looks at the graph only, and the worker's own work pattern (habit or habit). Analysis of the need to find the focus point for the improvement of sewing work, there was a problem that a very difficult task that takes time and effort in the analysis.

본 발명은 작업자 고유의 작업패턴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making it easy to analyze the work patterns unique to the work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의 특징은,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계측하는 회전속도 계측수단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회전속도마다, 상기 계측된 회전속도가 각 기준회전속도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을 각각 누계하여, 상기 각 기준회전속도마다의 누계시간을 산출하는 누계시간 산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기준회전속도와 상기 산출된 상기 누계시간을 대응시킨 대비 누계데이터를 작성하는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과, 상기 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초한 그림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다는 점에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in shaft of the sewing machine, and each of the preset reference rotational speed, the measured rotational speed is each Accumulated time calculating means for accumulating time exceeding a reference rotational speed, respectively, and calculating cumulative time for each reference rotational speed; and cumulative data compari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al speeds with the calculated cumulative time; And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picture based on the above contrast data.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 따르면, 회전속도 계측수단에 의해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계측하고, 누계시간 산출수단에 의해 복수의 기준회전속도마다의 재봉기의 구동시간을 누계하며,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에 의해 복수의 기준회전속도와 누계시간을 대응시킨 대비 누계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된 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초한 그림(도형, 도표)을 표시할 수가 있다. 이로써, 봉제작업하는 작업자는 자동적으로 누계시간 대 기준회전속도를 취득하며, 그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를 이용하여 작업패턴을 파악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in shaft of the sewing machine is measured by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and the running time of the sewing machin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al speeds is accumulated by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By accumulating data creation means, it is possible to generate contrast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al speeds and cumulative time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display a figure (figure or chart) based on the created contrast data. In this way, the worker working on the sewing operation automatically acquires the cumulative time versus the reference rotation speed, and can grasp the work pattern by using the cumulative time versus the rotation speed.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 따르면, 누계시간 대 기준회전속도를 대응시킨 대비 누계데이터를 표나 그래프 등의 형식으로 표시함으로써, 예컨대, 어떤 작업자는 소정의 저속 이하로 재봉기를 구동하는 시간이 다른 작업자의 2배나 길다는 등, 각 작업자 고유의 작업패턴을 정량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마다의 작업패턴을 분석하여 봉제작업의 개선을 위한 착안점을 찾아낼 수 있다. 그 결과, 각 작업자의 봉제작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by displaying the cumulati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umulative time versus the reference rotational speed in the form of a table or a graph, for example, a worker may not be able to drive the sewing machine at a predetermined low speed or less. The worker's own work patterns, such as twice as long as other workers, can be easily quantitatively identified. Accordingly, the work patterns for each worker can be analyzed to find a focus for improving the sewing work. As a result, the sewing work efficiency of each worker can be improved.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 따르면, 작업자마다의 대비 누계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구항 1의 기재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동시에, 작업자마다의 작업패턴을 보다 용이하게 취득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2, since the cumulative data for each worker can be automatically acquired,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in claim 1 can be obtained, and the work pattern for each worker can be obtained more easily. You can do 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 대한 일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1)에서의 재봉기 본체에는 바늘대(3)에 지지된 바늘(5)이 구비되어 있으며, 바늘대(3)에는 도시되지 않은 재봉기 주축이 연결되고, 바늘대(3)에 지지된 바늘(5)은 주축모터(7)의 구동에 의한 재봉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wing machine main body of the sewing machine 1 is provided with a needle 5 supported by the needle bar 3, and the needle bar 3 is connected to a sewing machine spindle (not shown), and the needle bar 3 is connected to the needle bar 3. The needle 5 suppor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needle 5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driven by the main shaft motor 7.

또한, 재봉기 주축의 풀리에는 엔코더(9)가 부착되어 있으며, 엔코더(9)는 재봉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에 비례한 주파수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n encoder 9 is attached to the pulley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and the encoder 9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ulse signal having a frequency proportional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또, 재봉기(1)에는 페달(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재봉기(1)는 봉제 작업자가 페달(10)을 앞밟기 조작함에 따라 주축모터(7)를 회전시켜 봉제를 개시하고, 페달(10)을 뒤밟기 조작함에 따라 실을 절단하여 봉제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pedal 10 is installed in the sewing machine 1, and the sewing machine 1 rotates the main shaft motor 7 to start sewing as the sewing operator steps on the pedal 10. ), The thread is cut to finish sewing.

재봉기(1)는 재봉기 제어장치(11)를 가지며,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재봉기(1)의 봉제 전체를 제어하는 CPU(12), 연산된 데이터나 검출,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수단으로서의 EEPROM, EPROM 등으로 이루어진 메모리(13), 봉제프로그램 등을 저장한 ROM(15), 및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RAM(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재봉기 제어장치(11)는, 메모리(13)나 ROM(15) 등에 기록된 봉제 파라미터, 봉제 데이터, 기타 각종 명령에 따라서 페달(10)의 밟기량에 따라 봉제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The sewing machine 1 has a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and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includes a CPU 12 for controlling the whole sewing of the sewing machine 1, and recording means for storing calculated data or detected and measured data. It consists of a memory 13 composed of an EEPROM, an EPROM, etc., a ROM 15 storing a sewing program, and the like, a RAM 16 providing a work area, and the like.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controls sewing according to the step amount of the pedal 10 in accordance with sewing parameters, sewing data, and other various commands recorded in the memory 13 or the ROM 15.

그리고, 재봉기 제어장치(11)는 페달(10)의 앞밟기조작이 이루어졌음을 검출하면, 재봉기 기동명령을 저장하여 재봉기(1)의 주축모터(7)를 구동시킴으로써 바늘(5)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바늘(5)의 상하이동에 따라 바탕천을 소정의 천 이송피치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바탕천을 봉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재봉기 제어장치(11)는 각종 센서(17)로부터의 신호, 메모리(13)에 저장된 봉제 데이터나 조정 데이터 등에 따라 주축모터(7)나, 전자밸브 및 모터 등의 각종 액추에이 터(18)의 구동을 제어하여 봉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재봉기 제어장치(11)는 페달(10)의 뒤밟기 조작이 이루어졌음을 검출하면, 실 절단명령을 저장하여 실을 절단하고 봉제를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Whe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detects that the pedal 10 is pressed down, the sewing machine starting command is stored to drive the needle 5 by moving the main shaft motor 7 of the sewing machine 1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the base fabric is sewn by transferring the base fabric to a predetermined cloth feed pitch along the shanghai east of the needle 5. At this time,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according to signals from the various sensors 17, sewing data or adjustment data stored in the memory 13, etc., various actuators 18 such as the main shaft motor 7, the solenoid valve and the motor. The sewing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drive. Whe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detects that the pedal 10 is pressed dow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stores the thread cutting instruction to cut the thread and finish sewing.

또,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엔코더(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계측하는 회전속도 계측수단(29)을 구비하며, 재봉기 제어장치(11)에서 재봉기 기동명령을 저장하여 재봉기(1)의 주축모터(7)가 구동되면, 소정 시간의 경과시마다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계측하여, 회전속도 기록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메모리(13)에 그 회전속도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further includes a rotation speed measuring means 29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based on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encoder 9, and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starts the sewing machine. When the main shaft motor 7 of the sewing machine 1 is stored by storing a comm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ewing machine spindle is measured every time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the rotation speed data is recorded in the memory 13 serving as the rotation speed recording means. It is supposed to.

또한, 재봉기(1)는 시간계측수단으로서의 타이머(19)를 구비하고, 재봉기 제어장치(11)는 타이머(19)에 의해 재봉기 기동명령이 발생하고 나서 실 절단명령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 및 실 절단명령이 발생하고 나서 다음의 실 절단명령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여, 이들 계측된 시간의 데이터를 메모리(13)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wing machine 1 is provided with a timer 19 as a time measuring means, and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is a time from when the sewing machine start command is generated by the timer 19 until a thread cutting command occurs, and The time from when the actual cutting command is generated until the next actual cutting command is generated is measured, and data of these measured times is recorded in the memory 13.

더욱이, 재봉기(1)는 재봉기의 봉제 작업자를 특정하는 작업자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자데이터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재봉기(1)의 각종 조작을 설정하는 조작장치(20)를 구비하고, 조작장치(20)에는 액정표시패널로 이루어지는 표시부(21)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1)에는, 투명한 터치패널식 조작버튼(22)이 겹쳐 설치되어 있으며, 표시부(21)의 주변부분에는 다수의 기능버튼(23)이 설치되어 있다.Furthermore, the sewing machine 1 has an operating device 20 which functions as worker data input means for inputting worker data specifying a sewing worker of the sewing machine and sets various operations of the sewing machine 1, and the operating device 20 ) Is provided with a display portion 21 mad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 display unit 21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touch panel operation button 22, and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23 are provided at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unit 21.

조작장치(20)는 CPU(25),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수단으로서의 EEPROM, EPROM 등으로 이루어진 메모리(26), ROM(27) 및 RAM(28)을 가지며, CPU(25)는 조작버튼(22)이나 기능버튼(23)을 조작함으로써 입력된 신호에 따라, 각종 연산 혹은 설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The operation device 20 has a CPU 25, a memory 26 made up of EEPROM, EPROM, or the like as a recording means for storing measured data, a ROM 27, and a RAM 28, and the CPU 25 has operation buttons. By operating the 22 or the function button 23, various operations or settings a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또, 조작장치(20)는 재봉기 제어장치(11)의 메모리(13)에 기록된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회전속도에 대해, 회전속도 계측수단(29)에 의해 계측된 회전속도가 각 기준회전속도를 상회하고 있는 시간을 각각 누계하여 각 기준회전속도마다의 누계시간을 산출하는 누계시간 산출수단(30)과, 상술한 복수의 기준회전속도와 누계시간 산출수단(30)에 의해 누계된 누계시간을 대응시킨 대비 누계데이터를 작성하는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과, 표시부(21)와 함께 기능하며 작성된 대비 누계데이터를 누계시간 대 상기 기준회전속도의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부(21)에 표시하는 표시수단(41)을 구비한다. 더욱이, 조작장치(20)는 시간계측수단으로서의 타이머(32)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device 20 is provided to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29 for a plurality of preset reference rotational speeds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data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recorded in the memory 13 of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for calculating the accumulated time for each reference rotational speed by accumulating the time at which the rotational speed measured is higher than each reference rotational speed, respectively, and calculati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al speeds and the cumulative time described above. Contrast cumulative data generating means 31 for producing contrast cumulati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umulative total accumulated by the means 30 and the display unit 21 are displayed. Display means 4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21 in the form of a graph. Moreover, the operating device 20 is provided with a timer 32 as a time measuring means.

그리고, 재봉기 제어장치(11)와 조작장치(20)는, 각각 인터페이스(33,35)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서로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조작장치(20)로부터 입력된 조작장치(20)에서 설정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주축모터(7)나 각종 액추에이터(18)를 제어하여 봉제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and the operation device 2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faces 33 and 35 so that various data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and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operates. According to the data set by the operating device 20 input from the device 20, the main shaft motor 7 and the various actuators 18 are controlled and sewn.

더욱이, 조작장치(20)는 다른 인터페이스(36)를 통해, 외부의 컴퓨터(37)와 서로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술한 대비 누계데이터도 상기 인터페이스(36)를 통해 외부의 컴퓨터(37)에 출력할 수가 있다. 더욱이 다른 인터페이스(38)를 통해 외부의 기억매체로서 기능하는 착탈식 기록매체(39)와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착탈식 기록매체(39)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는 동시에, 조작장치(20)의 상술한 대비 누계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데이터를 착탈식 기록매체(39)에 기록하여 보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장치(20)는 상술한 대비 누계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device 20 is capable of exchanging various data with the external computer 37 through another interface 36, and the above-described accumulated data is also provided through the interface 36. It can output to (37). In addition, communication with the removable recording medium 39 which functions as an external storage medium via the other interface 38 enable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ata recorded on the removable recording medium 39 can be read. Various data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umulative total data of (20) can be recorded and stored on the removable recording medium 39. Therefore, the operation device 20 also functions as an output means for outputting the above-mentioned accumulated total data to the outside.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재봉기(1)의 봉제기록장치(2)에 의한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에 대한 계측에 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시간경과 대 재봉기주축의 회전속도로서 설명하도록 한다.Next, measurement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in shaft of the sewing machine by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2 of the sew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speed of the sewing machine spindle will be described as the time-lapse versus the rotation speed of the sewing machine spindl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에 의해 재봉기(1)의 전원 스위치(8)가 ON이 되면,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조작장치(20)의 표시부(21)에서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동시에 각종 데이터의 초기화를 실시한다(ST 1).As shown in FIG. 3, when the power switch 8 of the sewing machine 1 is first turned on by an operator,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simultaneously displays an initial screen on the display unit 21 of the operating device 20. Various data is initialized (ST 1).

이어서,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작업자에 의해 페달(10)이 앞밟기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하며(ST 2), 앞밟기조작을 검출하였을 경우에는(ST 2에서 Yes) 재봉기 기동명령을 저장하고(ST 3), 주축모터(7)를 구동함으로써 재봉기 주축을 회전시킨다(ST 4).Subsequently,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monitors whether the pedal 10 has been stepped on by the operator (ST 2), and if the front step is detected (Yes at ST 2), the sewing machine start command is stored. (ST 3), the main shaft motor 7 is driven to rotate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ST 4).

한편, 앞밟기조작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ST 2에서 No), 조작장치(20)의 조작버튼(22)이나 기능버튼(23)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조작장치(20)의 조작버튼(22)이나 기능버튼(23)의 조작에 따라 작업자데이터가 입력되어 작업자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5). 여기서,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작업자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5에서 Yes), 변경된 작업자의 작업자데이터를 메모리(13)에 저장한다(ST 6). 그리고,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작업자데이터를 메모리(13)에 저장한 후(ST 6), 또는 작업자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ST 5에서 No), 계속해서 조작장치(20)의 조작버튼(22)이나 기능버튼(23)의 조작에 의해 작업공정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7).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stepping operation is not detected (No at ST 2),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device 20 is detected by detecting whether the operation button 22 or the function button 23 of the operation device 20 has been operated. The operator data is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22 or the function button 23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or has been changed (ST 5). Here, whe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determines that the worker is changed (Yes at ST 5),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stores the worker data of the changed worker in the memory 13 (ST 6). The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stores the worker data in the memory 13 (ST 6),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has not been changed (No at ST 5),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continue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ork process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22 or the function button 23 (ST 7).

여기서, 작업공정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7에서 Yes), 변경된 작업공정의 작업공정 데이터를 메모리(13)에 저장한다(ST 8). 그리고,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작업공정 데이터를 메모리(13)에 저장한 후(ST 8), 또는 작업공정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ST 7에서 No), 앞밟기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계속해서 감시한다(ST 2).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 process is changed (Yes in ST 7), the work process data of the changed work process is stored in the memory 13 (ST 8). The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stores the work process data in the memory 13 (ST 8),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No at ST 7), whether the stepping operation is performed. Continues to be monitored (ST 2).

또한,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재봉기 주축을 회전시킨 후(ST 4), 페달(10)의 앞밟기조작이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하며(ST 9), 앞밟기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ST 9에서 Yes), 재봉기 주축을 계속해서 회전시키면서(ST 4), 앞밟기조작이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감시를 반복한다(ST 9). 한편, 재봉기 제어장치(11)가 앞밟기조작이 종료되었음을 검출하였을 경우에는(ST 9에서 No), 기동정지명령을 저장하고(ST 10), 재봉기 주축의 회전을 정지시킨다(ST 11). 그리고, 재봉기 제어장치(11)는 재봉기 주축의 회전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 페달(10)의 뒤밟기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감시하며(ST 12), 뒤밟기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ST 12에서 No), 페달(10)의 앞밟기조작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시한다(ST 2). 한편, 뒤밟기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ST 12에서 Yes), 실 절단명령을 메모리(13)에 저장하고(ST 13), 실을 절단하며(ST 14) 봉제를 종료하며, 작업자에 의해 재봉기(1)의 전원스위치(8)가 OFF가 될 때까지 작업자에 의해 페달(10)이 앞밟기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T 2).In addition, after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rotates the sewing machine spindle (ST 4), it monitors whether or not the front stepping operation of the pedal 10 is continued (ST 9), and if the front stepping operation is continued, (Yes in ST 9), while continuously rotating the sewing machine spindle (ST 4), monitoring whether or not the front stepping operation is continued is repeated (ST 9).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detects that the front stepping operation is completed (No at ST 9), the start stop command is stored (ST 10), and the rotation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is stopped (ST 11). Then,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monitors whether or not the pedal 10 is stepped down while the sewing machine spindle stops rotating (ST 12), and if the stepped step is not performed (ST 12). No at 12), it is monitored whether the front stepping operation of the pedal 10 has been performed (ST 2).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pping operation is performed (Yes in ST 12), the thread cutting instruction is stored in the memory 13 (ST 13), the thread is cut (ST 14), and sewing is finished, and the sewing machine ( The operator monitors whether the pedal 10 is stepped on by the operator until the power switch 8 of 1) is turned off (ST 2).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 제어장치(11)의 회전속도 계측수단(29)은 작업자에 의해 재봉기(1)의 전원스위치(8)가 ON되면, 정기적인 개입(interrupt) 처리에 의해 재봉기 주축이 회전중인지 여부를 감시한다(ST 20). 여기서, 회전속도 계측수단(29)은 재봉기 주축이 회전중인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20에서 Yes),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에 대한 계측을 개시하고(ST 21), 회전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소정의 계측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22). 상기 소정 시간이란, 봉제상황을 기록할 때의 기준단위시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00msec로 한다. 그리고, 회전속도 계측수단(29)은 소정의 계측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22에서 Yes), CPU(12)에 의해 엔코더(9)로부터의 펄스신호를 입수함으로써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산출하여, 계측된 회전속도를 메모리(26)에 기록한다(ST 23).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29 of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when the power switch 8 of the sewing machine 1 is turned on by the operator, the periodic interruption (interrupt) processing Monitor whether the sewing machine spindle is rotating (ST 20). 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wing machine spindle is rotating (Yes in ST 20),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29 starts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ST 21), and determines a predetermined speed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measurement time of has been reached (ST 22). The said predetermined time is a reference unit time at the time of recording sewing conditions, and is 100 msec in this embodiment. When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29 determines that the predetermined measurement time has been reached (Yes at ST 22), the CPU 12 receives the pulse signal from the encoder 9 to rotate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The speed is calculated and the measured rotational speed is recorded in the memory 26 (ST 23).

한편, 회전속도 계측수단(29)은 재봉기 주축이 회전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ST 20에서 No), 또는 회전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소정의 계측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ST 22에서 No)에는,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에 대한 계측을 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회전속도 계측수단(29)에 의해 재봉기 주축의 회전을 감시하는 처리나, 재봉기 주축이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그 회전속도를 계측하는 처리는, 작업자에 의해 재봉기(1)의 전원스위치(8)가 OFF로 될 때까지 계속해서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tion speed measuring means 29 determines that the sewing machine spindle is not rotating (No at ST 20)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measurement time for measuring the rotation speed has not been reached (at ST 22). No) ends the process without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The process of monitoring the rotation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by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29, or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when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is rotating,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by the power switch 8 of the sewing machine 1; Execution continues until it is turned off.

다음으로, 기록된 회전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봉기(1)의 회전속도마다의 구동시간을 누계한 대비 누계데이터를 작성하고, 작성된 대비 누계데이터를 그래프로서 표시하는 공정에 관해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FIGS. 5 through 8 illustrate a process of creating accumulated total data in which the driving time for each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 1 is accumulated using the recorded rotational speed data, and displaying the created total accumulated data as a graph. Use it to explain.

또, 본 실시형태에서 도 5에 나타낸 누계시간 산출수단(30)에 의한 누계시간의 산출은, 도 3의 ST 14에 나타낸 실 절단이 이루어질 때마다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장치(20)의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전 회의 실 절단 후에 개시된 봉제작업의 작업자데이터 및 작업공정데이터를 메모리(13)로부터 읽어들이고(ST 30), 읽어들인 작업자데이터 및 작업공정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작업자의 작업공정의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을 작성한다(ST 31).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calculation of the cumulative time by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shown in FIG. 5 shall be performed automatically whenever the thread cutting shown in ST14 of FIG. 3 is made. First, as shown in FIG. 5,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of the operating device 20 reads out the worker data and the work process data of the sewing operation started after the last chamber cutting from the memory 13 (ST 30). On the basis of the read worker data and the work process data, a total data recording area of the work process of the worker is prepared (ST 31).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이란,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이 산출한 누계시간에 기초하여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이 작성한 대비 누계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기준회전속도로서,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 100rpm로부터, 회전속도 500rpm이후, 회전속도 5500rpm까지 매 500rpm의 단위로 기준회전속도가 각각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에 미리 설정되어, 각각의 기준회전속도에 대한 누계시간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trast total data recording area is an area for recording the contrast total data created by the contrast total data creating means 31 based on the accumulated time calculated by the total time calculating means 30.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reference speeds, the reference rotation speeds are preset in the total accumulated data recording area in units of every 500 rpm from the rotational speed 100 rpm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to the rotational speed 5500 rpm after each rotational speed of 500 rpm.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cumulative time for the reference speed.

계속해서,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재봉기 제어장치(11)의 메모리(13)로부 터 회전속도 데이터가 저장된 순서에 따라서 읽어들이며(ST 32), 먼저,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의 수치가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의 최소의 기준회전속도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3). 그리고,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최소의 기준회전속도보다 크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33에서 Yes),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에서의 최소의 기준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시간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준단위시간을 가산한다(ST 34). 이와 같이,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에서의 각 기준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시간대비 누계데이터에는, 메모리(13)로부터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각 기준회전속도보다 클 경우에 기준단위시간이 가산된다.Subsequently,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reads the rotational speed data from the memory 13 of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in the order in which it is stored (ST 32).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larg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rotational speed of the contrast accumulated data recording area (ST 33). When the accumulated time calculating means 30 determines that the read rotation speed data is great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rotation speed (Yes at ST 33),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ference rotation speed in the comparison cumulative data recording area is determined. The reference unit time is added to the accumulated total data (ST 34). In this way, the reference unit time is added to the accumulated time data corresponding to each reference rotation speed in the contrast accumulated data recording area when the rotation speed data read from the memory 13 is larger than each reference rotation speed.

더욱이,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에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T 35),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35에서 Yes),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6). 그리고,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36에서 Yes), 해당되는 기준회전속도에 대응하는 시간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준단위시간을 가산한 후(ST 34),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에 다시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5).Further,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the next largest reference rotational speed in the contrast accumulated data recording area (ST 35), and if it determines that there is the next largest reference rotational speed (at ST 35). Y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d speed data is greater than the next reference speed (ST 36). When the accumulated time calculating means 30 determines that the read rotation speed data is greater than the next largest reference rotation speed (Yes in ST 36), the accumulated time calculation means 30 is applied to the accumulated data over tim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rotation speed. After adding the reference unit time (ST 34),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ext largest reference rotational speed is again present in the accumulated total data recording area (ST 35).

한편,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의 최소의 기준회전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해당 기준회전속도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ST 33에서 No),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ST 35에서 No), 또는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ST 36에서 No), ST 32에서 읽어들인 회전속도에 대한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의 처리를 종료하고, ST 37∼ST 41에서 실행되는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의 처리를 이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ccumulated time calculating means 30 determines that the read rotation speed data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inimum reference rotation speed in the comparison accumulated data recording area (No in ST 33), the next larger criter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otation speed (No at ST 35), or if the rotation speed data read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next larger reference rotation speed (No at ST 36), the rotation speed read from ST 32 The processing of the accumulated total time calculating means 30 is ended, and the processing of the contrast accumulated data creating means 31 executed in ST 37 to ST 41 is executed.

여기서,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은, 메모리(13)에 더욱 저장된 회전속도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7). 회전속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37에서 Yes), 작업자(봉제작업자) 또는 작업공정(봉제작업공정)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8). 그리고,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은 메모리(13)에 작업자데이터 및 작업공정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작업자 또는 작업공정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38에서 Yes), 읽어들인 작업자데이터 및 작업공정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작업자의 작업공정의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9). 그리고,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은, 각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ST 39에서 Yes), 대비 누계데이터의 기록영역을 해당하는 작업자의 그 작업공정의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으로 변경한다(ST 40). 한편, 해당하는 작업자의 그 작업공정의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ST 39에서 No), 그 작업자의 그 작업공정의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을 새롭게 작성한다(ST 41).Here, the contrast total data creating means 3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otation speed data further stored in the memory 13 exists (ST 3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al speed data exists (Yes at ST 3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orker (sewing worker) or the work process (sewing work process) has been changed (ST 38).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data and the work process data are stored in the memory 13 and the worker or the work process is changed (Yes at ST 38), the contrast data accumulation means 31 stores the read worker data and On the basis of the work process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cumulative data recording area for the work process of the worker (ST 39). In contrast, when it is determined that each of the accumulated total data recording areas exists (Yes in ST 39), the contrast accumulated data creating means 31 compares the accumulated total data of the work process of the worker corresponding to the recorded accumulation area of the contrast accumulated data. Change to the recording area (ST 40).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mulative data recording area of the work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worker does not exist (No in ST 39), the cumulative data recording area of the work process of the worker is newly created (ST 41). .

또,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은, 작업자 또는 작업공정이 변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ST 38에서 No),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대상을 변경한 경우(ST 40), 또는 소정의 회전속도별로 작업자 및 작업공정마다의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을 새롭게 작성한 경우에는(ST 41), 다시 ST 32로부터 개시되는 누계시간 산출수단(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그 후, 조작장치(20)는 다시 메모리(13)로부터 회전속도 데이터를 읽어들이고(ST 32), ST 33∼ST 36, ST 37∼ST 41의 공정을 다시 반복한다.In addition, the comparison total data creating means 31 determines that the worker or the work process has not been changed (No in ST 38), when the target for comparing the read rotation speed data is changed (ST 40), or When a new cumulative total data recording area for each worker and work process is created at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s (ST 41), the processing is shifted to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starting from ST 32 again. Thereafter, the operating device 20 reads the rotational speed data from the memory 13 again (ST 32), and repeats the processes of ST 33 to ST 36 and ST 37 to ST 41 again.

한편, 메모리(13)에 추가적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는(ST 37에서 No),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의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no additional rotational speed data exists in the memory 13 (No in ST 37), the process of the contrast accumulating data creating means 31 is termin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은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을 통해 대비 누계데이터를 작성하며, 결과적으로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에는 봉제작업자마다 또는 작업공정마다 복수의 기준회전속도와 산출된 누계시간을 대응시킨 대비 누계데이터(Ds, 도 6)가 작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ast running total data generating means 31 creates the running total running data through the running time calculating means 30, and as a result, a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al speeds for each sewing worker or working process in the running total running data recording area. And cumulative total data Ds (FIG. 6)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cumulative time are generated.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재봉기 제어장치(11)의 메모리(13)에 저장된 각 데이터에 기초하여 회전속도마다의 구동시간을 누계할 경우,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화살표 S로 나타낸 실 절단명령이 입수된 시점에서, 먼저, 전 회의 실 절단 후에 최초로 입력된 작업자데이터 및 작업공정데이터를 읽어들이고(ST 30), 읽어들인 작업자데이터 및 작업공정데이터에 대한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D)을 작성한 후(ST 31), 도 6에 도시된 재봉기 제어장치(11)의 메모리(13)에서 재봉기 기동명령의 다음에 저장된 회전속도 112rpm을 읽어들이며(ST 32),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최소의 기준회전속도 100rpm보다 큰 지 여부를 비교한다(ST 33). 그리고, 누 계시간 산출수단(30)은 회전속도 100rpm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여(ST 33에서 Yes), 기준회전속도 100rpm에 대응하는 시간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준단위시간인 100msec를 가산한다(ST 34).For example, when accumulating the driving time for every rotational speed based on each data stored in the memory 13 of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shown in FIG. 6,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cuts the thread shown by the arrow S. FIG. At the time when the command is received, first, the worker data and the work process data inputted after the previous chamber cutting are first read (ST 30), and the accumulated data recording area (D) for the read worker data and work process data is read. After the preparation (ST 31), the rotation speed 112 rpm stored after the sewing machine start command is read from the memory 13 of th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11 shown in Fig. 6 (ST 32), and the read rotation speed data is the minimum. Compare whether the reference speed is greater than 100rpm (ST 33). Then,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determines that the rotational speed is greater than 100 rpm (Yes at ST 33), and adds 100 msec, which is the reference unit time, to the cumulative data for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otational speed 100 rpm (ST 34). ).

계속해서,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최소의 기준회전속도 100rpm의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T 35에서 Yes), 최초로 읽어들인 회전속도 112rpm이, 최소의 기준회전속도 100rpm의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 500rpm보다 큰 지 여부를 비교한 결과, 500rpm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고(ST 36에서 No), 500rpm에 대응하는 시간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준단위시간을 가산하지 않으며, 이어서,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은 메모리(13)에 더욱 저장된 회전속도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7).Subsequently,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determines that there is the next larger reference rotational speed after the minimum reference rotational speed 100rpm (Yes at ST 35), and the first rotational speed 112rpm is read as the minimum reference rotational speed 100rpm. As a result of comparing whether the reference speed is greater than 500rpm,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maller than 500rpm (No at ST 36), and the reference unit time is not added to the accumulated time data corresponding to 500rpm. The accumulated data creating means 3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otation speed data further stored in the memory 13 exists (ST 37).

그리고,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은, 메모리(13)에서 회전속도 112rpm의 회전속도 데이터보다 뒤에 추가적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다음의 회전속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T 37에서 Yes). 더욱이,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은 회전속도 112rpm의 회전속도 데이터의 다음에 작업자데이터 및 작업공정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작업공정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며(ST 38에서 No), 이어서,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이 다음의 회전속도 데이터인 회전속도 1523rpm을 메모리(13)로부터 읽어들인다(ST 32).In addition, since the additional rotational speed data exists after the rotational speed data of the rotational speed 112 rpm in the memory 13, the comparison total data creating means 31 determines that the next rotational speed data exists (at ST 37). Yes). Furthermore, the contrast total data creating means 31 determines that the operator or the work process has not changed since there is no worker data and the work process data following the rotation speed data of the rotation speed 112 rpm (No at ST 38).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reads the rotational speed 1523 rpm, which is the next rotational speed data, from the memory 13 (ST 32).

계속해서,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읽어들인 회전속도 데이터가 회전속도 100rpm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고(ST 33에서 Yes), 기준회전속도에서의 회전속도 100rpm에 대응하는 시간대비 누계데이터에 100msec를 가산한다(ST 34). 이로써, 대비 누계데이터 기록영역에서의 기준회전속도 100rpm에 대응하는 시간대비 누계데이터가, 먼저 읽어들인 회전속도 112rpm일 때의 기준단위시간과 합산되어 200msec가 된다. 이렇게 하여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각 기준회전속도마다의 구동시간을 누계한다.Subsequently,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determines that the read rotation speed data is larger than the rotation speed 100 rpm (Yes at ST 33), and 100 msec to the accumulated time data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peed 100 rpm at the reference rotation speed. Is added (ST 34). As a result, the cumulative data for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rotational speed of 100 rpm in the comparative cumulative data recording area is added to the reference unit time at the rotational speed of 112 rpm, which is read first, to be 200 msec. In this way,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accumulates the driving time for each reference rotational speed.

또,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읽어들인 회전속도 1523rpm이 먼저의 100rpm 다음으로 큰 기준회전속도 500rpm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고, ST 36에서 Yes일 때 ST 34에 있어서 기준단위시간(도 6 누계데이터)을 가산하며, 다시 다음의 기준회전속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5).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은, 상기 ST 35∼ST 36의 각 공정을 기준회전속도 1500rpm까지 반복한 후, 읽어들인 회전속도가 회전속도 2000rpm보다 큰 지 여부를 비교한 결과, 2000rpm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하며, 그 후,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31)이 메모리(13)에 더욱 저장된 회전속도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T 37). 또한, 도 6의 재봉기 제어장치의 메모리를 나타내는 도면에는, 화살표 S로 나타낸 실 절단명령 후에도 회전속도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나, 화살표 S 이후의 데이터는 화살표 S의 실 절단명령의 입수시에 실행된 누계시간 산출수단(30)의 처리 후에 취득된 회전속도 데이터로서, 이들 회전속도 데이터에 대해서도 실 절단명령의 취득시마다 누계시간의 산출, 및 대비 누계데이터의 작성이 수행된다.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determines that the read speed 1523 rpm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peed 500 rpm which is the next larger than the first 100 rpm, and when the time is Yes in ST 36, the reference unit time in ST 34 (Fig. 6 accumulated). Data), and it is again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next reference rotational speed (ST 35).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30 repeats the above steps of ST 35 to ST 36 to a reference rotation speed of 1500 rpm, and compares whether or not the read rotation speed is larg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2000 rpm. Thereafter, the contrast accumulating data creating means 3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otation speed data further stored in the memory 13 exists (ST 37). In addition, in the figure showing the memory of the sewing machine control apparatus of FIG. 6, the rotational speed data is recorded even after the thread cutting instruction indicated by arrow S, but the data after arrow S is accumulated in the execution of the thread cutting instruction of arrow S. As the rotational speed data obtained after the processing of the time calculating means 30,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on and the comparison data generation are performed for each of the rotational speed data at each acquisition of the actual cutting instruction.

다음으로, 조작장치(20)의 표시수단(4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장치(20)의 표시수단(41)은, 작업자에 의해 소정의 기능버튼(23)이 조작되어 표시수단(41)에 의한 누계시간 대 기준회전속도(누계시간 대 회전속도라 고도 기재함)의 그래프 표시의 지시가 주어지면(ST 51에서 Yes), 현재 작업중인 작업자 및 작업공정의 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초한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도형)를 생성하여 표시부(21)에서 표시한다(ST 52).Next, the display means 41 of the operating device 2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means 41 of the operating device 20 has a predetermined function button 23 operated by an operator so that the accumulated time versus reference rotational speed by the display means 41 (accumulated time versus rotation). Given the instruction of graph display of speed (also described as altitude) (Yes at ST 51), the display unit 21 generates a graph of cumulative time vs. rotational speed (figure)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of the work and the work process. ) Is displayed (ST 52).

계속해서, 표시수단(41)은 소정의 조작버튼(22)의 조작에 의한 작업자 및 작업공정의 변경지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T 53), 작업자 및 작업공정의 변경지시가 있으면(ST 53에서 Yes), 대응하는 작업자 및 작업공정의 대비 누계데이터 기억영역으로부터 해당되는 대비 누계데이터를 읽어들인다(ST 54).Subsequently, the display means 4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hange instruction of the worker and the work process by the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button 22 (ST 53), and if there is a change instruction of the worker and the work process (ST 53). Yes), the corresponding cumulative total data is read from the corresponding cumulative data storage area of the corresponding worker and the work process (ST 54).

또한, 표시수단(41)은 작업자 및 작업공정에 대한 변경지시가 없는 경우, 또는 변경된 작업자 및 작업공정의 대비 누계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소정의 조작버튼(22)의 조작에 의한 그래프표시를 종료하는 지시의 유무를 판정하며(ST 55), 종료지시가 없는 경우에는(ST 55에서 No), 변경된 작업자 및 작업공정에 대응하는 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초한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도형)를 생성하여 표시부(21)에서 표시한다(ST 52). 한편, 종료지시가 있는 경우(ST 55에서 Yes)에는, 표시수단(41)의 처리를 종료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means 41 ends the graph display by the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button 22 when there is no change instruction for the worker and the work process or after reading the cumulative data for the changed worker and the work proces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nstruction to perform (ST 55), and if there is no termination instruction (No at ST 55), generate a graph (figure) of cumulative time versus rotational speed based on the accumulated cumulative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worker and work process. Display on the display unit 21 (ST 52).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n end instruction (Yes in ST 55), the processing of the display means 41 is terminated.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장치(20)는 회전속도 계측수단(29)에 의해, 정기적인 개입처리에 따라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계측하고, 회전속도 계측수단(29)에서 회전속도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회전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누계시간 산출수단(30)에 의해 복수의 기준회전속도마다 각 기준회전속도를 초과하는 시간을 각각 누계하며, 각 기준회전속도마다의 누계시간을 산출하고, 대비 누계데이터 작 성수단(31)에 의해 복수의 기준회전속도와 산출된 누계시간을 대응시킨 대비 누계데이터를 작성하며, 표시수단(41)에 의해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를 생성할 수가 있다. 이로써, 봉제작업하는 작업자는 재봉기(1)의 조작장치(20)에서의 소정의 기능버튼(23)을 조작함으로써,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를 자동적으로 취득하며 그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작업패턴을 파악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ng device 20 measur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 spindle by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29 according to the periodic intervention process, and records the rotational speed data in the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29.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on means 30 accumulates the time exceeding each reference rotational spe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al speeds, and calculates the accumulated time for each reference rotational speed based on the rotational speed data. The cumulative data generating means 31 generates the accumulated cumulative 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al speeds and the calculated cumulative time, and the display means 41 can generate a graph of cumulative time versus rotational speed. Thus, the worker working on the sewing machine automatically acquires a graph of cumulative time versus rotational speed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button 23 in the operating device 20 of the sewing machine 1, and displays the cumulative time versus rotational speed. Work patterns can be identified using.

따라서, 각 작업자 고유의 작업패턴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각 작업자의 작업패턴을 분석하여 봉제작업의 개선을 위한 착안점을 찾아낼 수가 있다. 그 결과, 작업자의 봉제작업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work pattern unique to each worker, thereby analyzing the work pattern of each worker can find the focus point for improving the sewing work.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er's sewing wor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It can variously change as needed.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 누계시간 산출수단은, 계측된 회전속도가 각 기준회전속도를 초과하는 시간을 누계하지만, 계측된 회전속도가 각 기준회전속도 이상인 시간을 누계하여도 무방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accumulates the time when the measured rotational speed exceeds each reference rotational speed, but may also accumulate the time when the measured rotational spe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each reference rotational speed.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 표시수단(41)은,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도형)를 작성하여 표시하지만, 도 6의 Ds로 나타낸 기준회전속도에 대한 누계시간의표(도표)를 그대로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형과 도표를 총칭하여 그림이라 한다.Incidentally,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play means 41 prepares and displays a graph of the cumulative time versus the rotational speed (figure), but displays the table (the diagram) of the cumulative tim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rotational speed indicated by Ds in FIG. 6 as it is. You can also do that. The figures and diagrams are collectively call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가 이용된 재봉기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ewing machine using a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 의한 재봉기 구동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FIG. 3 is a flowchart showing each process of sewing machine driving by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 의한 재봉기 주축의 회전을 감시하기 위한 정기적인 개입처리의 각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FIG. 4 is a flowchart showing each step of periodic intervention processing for monitoring the rotation of the sewing machine spindle by the sewing recording device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의 누계시간 산출수단 및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의 각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FIG. 5 is a flowchart showing each step of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and the comparison cumulative data generating means of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도 6은 도 5의 누계시간 산출수단이 누계시간을 산출하고,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이 대비 누계데이터를 작성할 때의 설명도이다.6 is an explanatory diagram when the 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of FIG. 5 calculates the cumulative time, and the contrast cumulative data creating means creates the contrast cumulative data.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의 표시수단이 도 6에 도시된 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초하여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를 표시하는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display means of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1 displays a graph of cumulative time versus rotational speed based on the accumulated total data shown in FIG.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의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된 누계시간 대 회전속도의 그래프이다.8 is a graph of cumulative time versus rotational speed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of the sewing recording apparatus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도 9는 종래의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에서 조작패널에 표시되는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raph showing the transition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wing machine main shaft displayed on the operation panel in the sewing machine of the conventional sewing machin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재봉기 2 : 봉제기록장치1: sewing machine 2: sewing recording device

3 : 바늘대 5 : 바늘3: needle bar 5: needle

6 : 재봉기 주축 7 : 주축모터6: sewing machine spindle 7: spindle motor

11 : 재봉기 제어장치 12 : CPU11: sewing machine controller 12: CPU

13 : 메모리 19 : 타이머13: memory 19: timer

20 : 조작장치 21 : 표시부20: operating device 21: display unit

22 : 조작버튼 23 : 기능버튼22: operation button 23: function button

25 : CPU 26 : 메모리25 CPU 26 Memory

29 : 회전속도 계측수단 30 : 누계시간 산출수단29: 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30: cumulative time calculation means

31 :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 41 : 표시수단31: comparison data creation means 41: display means

Claims (2)

재봉기 주축의 회전속도를 계측하는 회전속도 계측수단과,Rotational speed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in shaft of the sewing machine,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회전속도마다, 상기 계측된 회전속도가 각 기준회전속도를 초과하고 있는 시간을 각각 누계하여, 상기 각 기준회전속도마다의 누계시간을 산출하는 누계시간 산출수단과,Cumulative time calculating means for accumulating time for which the measured rotation speed exceeds each reference rotation spe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set reference rotation speeds, and calculating cumulative time for each reference rotation speed; 상기 복수의 기준회전속도와 상기 산출된 상기 누계시간을 대응시킨 대비 누계데이터를 작성하는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과,Contrast accumulating data creating means for creating contrast data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ference rotational speeds and the calculated cumulative time; 상기 대비 누계데이터에 기초한 그림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And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picture based on the accumulated total dat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재봉기의 봉제작업자를 특정하는 작업자데이터를 입력하는 작업자데이터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대비 누계데이터 작성수단은, 상기 입력된 작업자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비 누계데이터를 봉제작업자마다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봉제기록장치.And worker data input means for inputting worker data specifying a sewing worker of the sewing machine, wherein the accumulated total data creating means generates the total accumulated data for each sewing worker based on the inputted worker data. Sewing recorder of the sewing machine.
KR1020080125180A 2007-12-14 2008-12-10 Sewing recorder of sewing machine KR200900643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3190 2007-12-14
JPJP-P-2007-323190 2007-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311A true KR20090064311A (en) 2009-06-18

Family

ID=4076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180A KR20090064311A (en) 2007-12-14 2008-12-10 Sewing recorder of sewing machi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9160391A (en)
KR (1) KR20090064311A (en)
CN (1) CN101457445A (en)
DE (1) DE102008062884A1 (en)
TW (1) TW200940771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6600B2 (en) * 2009-09-07 2014-10-29 Juki株式会社 Sewing skill judgment device for sewing machine
CN103361892B (en) * 2013-07-19 2015-07-01 广州春晓信息科技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optimum sewing rotation speed
CN103631196B (en) * 2013-12-02 2017-05-24 广州丰捷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Standard sewing time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CN104372530A (en) * 2014-10-30 2015-02-25 上海鲍麦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Industrial sewing machine and sewing method
CN104762758A (en) * 2015-04-26 2015-07-08 周盈裕 Novel automatic trimming concealed sewing machine
CN110241517B (en) * 2018-03-08 2021-03-12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Sewing machine timing method/system, storage medium, sewing machine and timing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7990A (en) * 1987-07-31 1989-02-08 Juki Kk Sewing control apparatus of sewing machine
JP2006167069A (en) 2004-12-15 2006-06-29 Juki Corp Sewing recorder for sewing machine
JP2006198395A (en) * 2004-12-21 2006-08-03 Juki Corp Production controller for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7445A (en) 2009-06-17
TW200940771A (en) 2009-10-01
DE102008062884A1 (en) 2009-07-23
JP2009160391A (en)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4311A (en) Sewing recorder of sewing machine
US7971543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JP5560356B1 (en) Press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press machine
JP5329113B2 (en) sewing machine
TWI443241B (en) Automatic sewing of sewing machines
KR101384296B1 (en) Sewing machine
KR20060067846A (en) Sewing recorder for sewing machine
KR20080089249A (en) Production management device of sewing machine
JP2800556B2 (en) sewing machine
JP5130091B2 (en) Cloth cutting device
CN108277581B (en) Sewing machine
JP5384956B2 (en) sewing machine
JP4782469B2 (en) Sewing control device for sewing machine
JP2009000373A (en) Production management device of sewing machine
TWI605166B (en) Sewing machine
US10767292B2 (en) Sewing machine
KR101205284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sewing in sewing machine
JP6010357B2 (en) sewing machine
CN111752224B (en) Numerical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4920967B2 (en) Sewing recor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2009142609A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for sewing machine
KR100447570B1 (en) Method of indication rpm of automatic embroidery apparatus and apparatus of thereof
JP2001334085A (en) Sewing machine
KR20130109891A (en) Embroidering machine
JP2009225860A (en) Production control device of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