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947A -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947A
KR20090063947A KR1020070131486A KR20070131486A KR20090063947A KR 20090063947 A KR20090063947 A KR 20090063947A KR 1020070131486 A KR1020070131486 A KR 1020070131486A KR 20070131486 A KR20070131486 A KR 20070131486A KR 20090063947 A KR20090063947 A KR 20090063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identif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일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13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947A/ko
Publication of KR20090063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바일 플랫폼용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읽어 들이는 아이디 인식 단계,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컨텐츠 서버에서 다운로드받아야할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 메모리에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 단계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동통신사업자나 이동통신단말기를 변경하는 경우에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에 종래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통신단말기, USIM, 어플리케이션, 이동성

Description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METHOD OF APPLICATION MANAGEMENT BY US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IN MOBILE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세대 이상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USIM)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내려 받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하며, 어플리케이션들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구입되어 다운로드 되며 이동통신단말기 상에 존재하는 모바일 플랫폼(platform) 상에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대표적인 어플리케이션들로는 게임,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뷰어, 주식투자 어플리케이션 등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의 동작 기반이 되는 모바일 플랫폼으로서 세계적으로 이용되는 방식으로는 크게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방식 및 자 바(JAVA) 기반의 MIDlet 방식을 들 수가 있고, 그 외에 퀄컴(Qualcomm) 사의 BREW, 노키아(Nokia)의 Symbian, 일본 내에서 이용되는 NTT 도코모의 i-Mode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이 가급적 다양한 기종의 이동통신단말기들에서 동작 가능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개발되기 위해서는 가급적 국가적으로 동일한 모바일 플랫폼의 채용을 강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플랫폼의 사용은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떠한 모바일 플랫폼을 채용할 것인지는 이동통신사업자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에, 한국무선인터넷표준화포럼에서는 WIPI라는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규격을 확정 발표한 바 있으며, 국내의 이동통신사업자 및 이동통신단말기 제조 업체들은 상기 WIPI 규격을 따르는 모바일 플랫폼의 채용이 정보통신부에 의하여 2005년 4월부터 의무화되고 있다.
한편,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제 3세대 이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수적인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간 USIM 카드의 이동성(mobility)은 물론, 하나의 USIM 카드로 이동통신사업자 이동성도 보장하고 있다. USIM 카드는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종래의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된 형태로써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
또한 USIM 카드는 일종의 저장 장치의 역할을 하는 작은 메모리로서, 이동통신 가입자 정보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의 개인 저장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이동통신단말기를 교체하여도 상기 개인 저장 정보를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에 새로이 기록할 필요 없이 사용 USIM 카드의 내용을 그대로 이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로 변경을 원하는 경우에도 해당 이동통신사업자를 통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와 자신이 사용하던 USIM 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타 이동통신사업자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USIM 카드를 유지한 채 자유롭게 이동통신사업자를 변경하여 다른 업체의 이동통신망에 가입을 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해지는데, 이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이 사용하던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 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들의 이동성 문제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변경이나 통신사업자를 변경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 들은 포기하여야 한다. 즉, 동일한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업자간의 이동이나, 한 사업자 내에서 이동통신단말기만을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전에 사용하던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 받아서 이용하던 어플리케이션들은 포기하고, 다시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매하여 다운로드 받아야 되는 경제적, 시간적 낭비가 따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사업자나 이동통신단말기를 변경하는 경우에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하여 기존에 이용하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컨텐츠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입수하고 다운로드 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선택 단계, 상기 이동통신망을 거쳐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다운로드 받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내에 저장하는 아이디 저장 단계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는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자바 기반 모바일 플랫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WIPI 기반 모바일 플랫폼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읽어 들이는 아이디 인식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컨텐츠 서버에서 다운로드받아야할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 메모리에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 단계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는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자바 기반 모바일 플랫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WIPI 기반 모바일 플랫폼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운로드 단계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무선으로 다운로드 하거나,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옮겨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고유 아이디를 저장하여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내에 기록함으로써, 이동통신사업자나 이동통신단말기를 변경하는 경우에 새로운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들을 다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USIM)의 사용제한(lock)이 해제되어 이동통신사업자나 이동통신단말기를 변경할 경우에도 기존에 자신이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연속성 있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 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선택 단계(S110),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단계(S120) 및 아이디 저장 단계(S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서 예시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방법의 순서도는 도 2에서 예시되는 개념도와 함께 설명된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선택 단계(S110)는 이동통신망(210)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통신망(210)에 접속된 컨텐츠 서버(contents server; 23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입수하고 다운로드 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동통신망(mobile network)이라 함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1세대 내지 3세대 이후의 모든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사용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또는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IM) 카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표준에 의하여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가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은 모두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230)는 이동통신망(210)을 운영하는 이동통신사업자나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통 업체가 운영하는 컨텐츠 서버(contents server)를 의미한다. 컨텐츠 서버는 이동통신 망(210)에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단계(S120)는 상기 이동통신망(210)을 거쳐 상기 컨텐츠 서버(230)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다운로드(download)받는 단계이다.
이동통신망(210)으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단말기(220)에 탑재된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모바일 플랫폼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WAP 방식 및 자바 기반의MIDlet 방식일 수 있으며, 그 외에 퀄컴(Qualcomm) 사의 BREW, 노키아(Nokia)의 Symbian, 일본에서 이용되는 i-mode 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 다운로드 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가급적 다양한 이동통신사업자가 채용하는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대한 다양한 이동통신사업자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되는 모바일 플랫폼 용의 어플리케이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이동통신사업자의 변경이나 이동통신단말기를 변경할 경우에도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연속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동통신사업자나 이동통신단말기가 변경될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compatibility)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에는, 이동통신업체들이 같은 모바일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하여 국가적 낭비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위피(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모바일 플랫폼을 대상으로 한 어플리케 이션들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방법의 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단계(S110)에서는 이동통신망(21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다운로드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고유하게 특정 지을 수 있는 식별값, 즉 아이디(identification)을 함께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때, 아이디는 범용 단일 식별자(UUID: Universal Unique Identifier) 형식으로 작성된 고유 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아이디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업체/유통업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가능한 기초가 되는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은 고유한 아이디를 부여 받게 되며,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파일에도 상기 고유한 아이디가 기록되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아이디 저장 단계(S120)는 상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225)내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2세대 이전의 이동통신에서 이용되었던 사용자 식별 모듈(SIM), 3세대 이후의 이동통신에서 이용되는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USIM) 및 사용자 이동성을 위해 개인 정보 저장용으로 앞으로 등장하게 될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특히, USIM 카드는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논리적인 구조 개념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데, 파일의 종류는 크게 MF(Master File), DF(Dedicated File) 및 EF(Elementary File)로 나뉜다. 이 중 EF는 헤더(header)와 바디(body)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 파일 형태로서, 세부적으로 Transparent EF, Linear fixed EF, Cyclic EF의 세 종류로 나누어진다. 각 EF는 고유 ID(identifier)를 가지며 각각 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는 USIM 카드 내에 EF형태로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내의 메모리 용량(현재는 대부분 64KB EEPROM이 적용)이 충분할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1기가 바이트(gigabyte) 이상의 메모리 용량을 가지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소위, mega-SIM)가 널리 확산된다면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내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고유하게 특정 지을 수 있는 아이디를 사용자식별모듈카드 내에 저장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규정한 것이다. 한편, 일단 사용자 식별 모듈카드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들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이동성을 가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관리방법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3세대 이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 는 데 필수적인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간 USIM 카드의 이동성은 물론, 하나의 USIM 카드로 이동통신사업자 이동성도 보장하고 있다. 따라서, USIM을 유지한 채 이동통신사업자를 변경하였거나 이동통신단말기를 변경한 경우에도 3을 통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이 수행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은 아이디 인식 단계(S310),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S320) 및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단계(S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서 예시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방법의 순서도는 도 4에서 예시되는 개념도와 함께 설명된다. 한편, 도4에서 도 2를 통하여 설명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먼저, 아이디 인식 단계(S310)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225)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읽어 들이는 단계이다.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225) 및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에 대한 정의는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아이디 인식 단계(S310)를 통하여 이동통신사업자나 이동통신단말기가 변경된 경우에 종래 사용자 가 다운로드 받아서 이용하고 있던 어플리케이션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S3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컨텐츠 서버(230)에서 다운로드받아야할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S320)에서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225)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들과 변경된 이동통신단말기내에 다운로드 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의 고유 아이디들을 대비하여,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에는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저장되어 있으나 이동통신단말기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파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S320)에서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225)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상기 컨텐츠 서버(230)에 통보하여, 통보된 아이디를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컨텐츠 서버(230)내에 존재하는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바일 플랫폼에서도 실행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서버(230)에는 저장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과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되는 아이디들을 연관 지어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운로드 단계(S33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S320)에서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 메모리에 다운로드 받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S320)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 기(220)와 컨텐츠 서버(230) 간의 통신은 도 1 및 도 2에서 예시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망(21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유선 통신망(24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일단 한번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과금되는 정보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240)에 접속될 수 있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다음,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정의 케이블 연결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로 옮겨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21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구입 비용을 다시 과금할 것인지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데 필요한 통신망 사용료(즉, 정보료)를 다시 과금할 것인지는 이동통신사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210: 이동통신망
220: 이동통신단말기 225: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230: 컨텐츠 서버

Claims (11)

  1.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컨텐츠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입수하고 다운로드 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선택 단계;
    상기 이동통신망을 거쳐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다운로드 받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내에 저장하는 아이디 저장 단계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는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자바 기반 모바일 플랫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WIPI 기반 모바일 플랫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6.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읽어 들이는 아이디 인식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컨텐츠 서버에서 다운로드받아야할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인식 단계; 및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 메모리에 다운로드 받는 다운로드 단계를 포함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는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모바일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자바 기반 모바일 플랫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플랫폼은 WIPI 기반 모바일 플랫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단계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무선으로 다운로드 하거나,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옮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KR1020070131486A 2007-12-14 2007-12-14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KR20090063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486A KR20090063947A (ko) 2007-12-14 2007-12-14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486A KR20090063947A (ko) 2007-12-14 2007-12-14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047A Division KR100921150B1 (ko) 2008-09-29 2008-09-29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947A true KR20090063947A (ko) 2009-06-18

Family

ID=4099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486A KR20090063947A (ko) 2007-12-14 2007-12-14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39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7798B2 (en) Terminal device having subscriber identity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profile thereof
KR100921150B1 (ko)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CN103503036B (zh) 用于输出和输入Javacard应用数据的方法
KR102144430B1 (ko) 프로비져닝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를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6033852B2 (ja) モバイルオペレータ識別方法、モバイル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記憶媒体
CN102308561B (zh) 通过uicc进行的me网络参数配置
KR102122803B1 (ko) eUICC에 SIM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62881B2 (en) Method of managing shared files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subscriber by using same
KR100735341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의 데이터 리드 속도 개선 방법 및 장치
CN102170633A (zh) 基于移动运营商定标应用
ES2857674T3 (es) Creación de archivos implícita en secuencias de comandos APDU
KR101580419B1 (ko)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시스템
JP2009159573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事業者サーバ、並びに、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835088A (zh) 将移动通信设备锁定和标记至网络的系统和方法
WO20161697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gical channels for accessing several virtual profiles in a secure element
CN102111487B (zh) Gsm终端访问3g usim卡的方法及装置
CN105430738A (zh) 一种发起注册的方法及装置
KR20090056019A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프로그램 로딩 방법 및 그 장치
CN101938737A (zh) 版本更新方法及终端
KR20090054824A (ko) 대용량 메모리를 가지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신용카드결제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63947A (ko)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US10117091B2 (en) Method for administering life cycles of communication profiles
CN108401252A (zh) 终端制式获取方法和智能卡
KR20090056277A (ko) 이동통신 사업자 변경 방법 및 이동통신 사업자 설정 정보제공 방법
KR1007546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서버에 저장 및다운로드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