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298A -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298A
KR20090063298A KR1020070130586A KR20070130586A KR20090063298A KR 20090063298 A KR20090063298 A KR 20090063298A KR 1020070130586 A KR1020070130586 A KR 1020070130586A KR 20070130586 A KR20070130586 A KR 20070130586A KR 20090063298 A KR20090063298 A KR 20090063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deo
terminal
cal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5684B1 (ko
Inventor
이진근
우상우
하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3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6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성통화중에 영상전화기의 영상채널을 미디어 서버와 연결함으로써, 영상전화기 사용자가 음성전용 전화기 사용자와 통화하는 경우에,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하면서 미디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영상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통화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영상정보, 자막정보, 통화형, 맞춤형, 방송형, 영상전화기

Description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which displays video information to the screen of the videophone while on line with voice call}
본 발명은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통화중에 영상전화기의 영상채널을 미디어 서버와 연결함으로써, 영상전화기 사용자가 음성전용 전화기 사용자와 통화하는 경우에,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하면서 미디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영상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영상전화기 사용자가 타 영상전화기 사용자와 영상통화하는 경우에, 상대방과 영상통화를 하면서 자막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또는 영상통화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취향(통화형, 맞춤형, 방송형, 위치기반형 등)에 맞는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일측의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를 전송한다. 이에 대응되어, 일측의 영상전화기[인터넷(Internet) 또는 광대역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환경에서 사용될 IP 기반의 영상전화기(멀티미디어 단말 또는 영상 단말)]와 음성통화중인 타측의 '음성전용 전화기'는, '영상을 지원하지 않고 음성만을 지원'(예로서, 2G 이동통신 단말기, PSTN(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음성 전화기 등)하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전화기 사용자가 영상통화를 원하는 않아 음성 모드로 설정된'(예로서, SIP/H.323/H.324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 음성통화 전화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일측의 영상전화기로 자막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대응되어, 일측의 영상전화기와 영상통화중인 타측의 '영상전화기' 역시,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모드로 설정된'(예로서, SIP/H.323/H.324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 영상전화기이다.
그리고, 음성통화시 제공되는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기업체 광고/홍보, 기타 정보(생활, 지역, 취미, 뉴스, 날씨 등)가 전화라는 특성상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로 제공되거나, 자막정보와 함께 제공 가능하다. 또한, 영상통화시 제공되는 '자막정보'의 제공 형태는, 기업체 광고/홍보, 기타 정보(생활, 지역, 취미, 뉴스, 날씨 등)로 제공 가능하다.
여기서, 순수 영상정보는 영상전화기와 음성전용 전화기간에 음성통화시 영상전화기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자막정보는 영상전화기와 영상전화기간에 영상통화시 상대방 영상과 함께 영상전화기로 제공되도록 하거나, 영 상전화기와 음성전용 전화기간에 음성통화시 영상전화기로 상기 순수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순수 영상정보 및 자막정보는 위치기반의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여기서, '영상정보/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으로는, 통화하고 있는 상대방이 제공하는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자신의 속성(예로서, 가정, SOHO) 및 시간(예로서, 아침, 저녁, 명절, 입학, 졸업 등), 또는 관심분야(예로서, 생활, 지역, 취미 등)를 선택하게 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TV 방송 광고/홍보와 유사하게 동일 광고/홍보를 여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지역 광고/홍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등이 그 일 예가 될 수 있다. 다만,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자막정보는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즉, 위치기반 영상정보/자막정보의 일 예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 굳이 영상정보와 자막정보를 구분하여 표기하지 않은 경우에, 영상정보는 순수 영상정보와 자막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종래의 전화망(PSTN)이나 이동통신망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나, 근래에 보급되고 있는 IP 기반의 영상전화기, 영상통화폰 등은 음성 뿐만 아 니라, 영상 및 데이터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주요 서비스로 제공한다.
음성 전화 서비스와는 달리, 영상 전화 서비스는 화면상에서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영상 제공의 특성은 활용도나 확장성,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기대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통상, 영상 전화 서비스에서는 통화를 연결하는 중에 영상/음성 코덱과 채널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포트와 같은 채널 정보를 서로 주고 받는다. 이러한 통화 연결 과정이 끝나면, 상대방의 채널로 영상/음성의 미디어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하기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서는 발신측이 영상전화기인 경우이고, 도 2에서는 착신측이 영상전화기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양측이 영상전화기인 경우의 영상통화 절차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이 영상전화기A이고 착신측이 음성전용 전화기B인 경우에, 영상전화기A는 통화연결 요청을 위해 자신의 음성채널 및 영상채널 정보를 소프트 스위치(SSW)를 통해 음성전용 전화기B로 보내고, 이에 대해 음성전용 전화기B는 영상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연결 요청 수락시 자신의 음성채널 정보만을 소프트 스위치(SSW)를 통해 영상전화기A로 응답함으로써, 발/착신 전화기 간에 음성통화만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이 음성전용 전화기A이고 착신측이 영상전화기B인 경우에, 음성전용 전화기A는 영상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연결 요청시 자신의 음성채널 정보만을 소프트 스위치(SSW)를 통해 영상전화기B로 보내고, 이에 대해 영상전화기B는 통화연결 요청 수락시 자신의 음성채널 및 (영상채널) 정보를 소프트 스위치(SSW)를 통해 음성전용 전화기A로 응답함으로써, 발/착신 전화기 간에 음성통화만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착신측이 영상전화기인 경우에는 발신측으로부터의 통화연결 요청시 영상채널 정보가 없기 때문에, 비록 착신측이 영상을 지원한다 하더라도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통화연결 요청 수락)시 영상정보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사항을 영상정보에 대한 괄호 표시로 나타내었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음성전용 전화기는 PSTN 전화기/2G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PSTN 전화기/2G 이동통신 단말기는 직접 IP망과 연결될 수 없기 때문에 IP망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게이트웨이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음성전용 전화기가 PSTN 전화기/2G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IP망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현재의 영상 전화 서비스에서는 아직 영상전화기가 많이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영상전화기를 사용하더라도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STN 전화기/2G 이동통신 단말기처럼 음성만을 지원하는 음성전용 전화기와 통화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음성만을 지원하는 음성전용 전화기와 통화하는 경우에, 영상전화기의 화면표시장치는 통화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음성통화중에는 화면표시장치가 활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음성통화중에 영상전화기 자체적으로 이용자 본 인의 화면을 보여 주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만, 이는 화면을 임시로 채우는 방편에 불과할 뿐, 멀티미디어 매체인 영상전화기를 충분히 활용하는 방법은 결코 아니다. 따라서, 상기 도 1 및 도 2의 구성에 따르면, 영상통화 광고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다른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영상 전화 서비스에서는 통화 서비스 개념에 치중하여 단말-단말간 연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측과 착신측이 영상전화기인 경우에, 발신측 영상전화기A는 통화연결 요청시 자신의 음성채널 및 영상채널 정보를 소프트 스위치(SSW)를 통해 착신측 영상전화기B로 보내고, 이에 대해 착신측 영상전화기B는 통화연결 요청 수락시 자신의 음성채널 및 영상채널 정보를 소프트 스위치(SSW)를 통해 발신측 영상전화기A로 응답함으로써, 발/착신 영상전화기 간에 음성 및 영상통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도 3에서, 영상전화기는 SIP/H.323/H.324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도 3에서는 영상채널과 음성채널이 발신 영상전화기A와 착신 영상전화기B 사이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제3의 장치가 개입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수 없다.
즉, 상기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음성 채널을 하나의 상대방 전화기와 동시에 연결하는 방식으로만 영상 전화 서비스를 구성하게 되면, 영상 전화 서비스에서 영상채널과 음성채널을 분리할 수 있다는 유연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 가/응용서비스를 만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도 3의 구성에 따르면, 영상통화 광고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한편, 기존 PSTN 등에서의 음성통화 광고 서비스는 음성멘트 형태로 광고를 미리 듣고 진행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야기하고 이용자가 별도의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공되는 광고 역시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음성통화 광고 서비스를 영상 전화 서비스에 도입하여 영상통화 광고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영상 전화 서비스에 맞는 새로운 영상통화 광고 서비스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영상전화기의 특성을 반영하여(음성통화중에 사용되지 않는 영상전화기의 화면표시장치를 활용함) 음성 또는 영상통화하면서 동시에 유용한 정보나 광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면 영상 전화 서비스에 보다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음성 또는 영상통화시 사용자들의 취향(통화형, 맞춤형, 방송형, 위치기반형 등)에 맞는 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상전화 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영상전화의 활용도를 높이고, 정보 컨텐츠 활용 확대 및 광고 시장을 넓혀 다양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영상전화기의 영상채널을 미디어 서버와 연결함으로써, 영상전화기 사용자가 음성전용 전화기 사용자와 통화하는 경우에,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하면서 미디어 서버에서 제공하는 영상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영상전화기 사용자가 타 영상전화기 사용자와 영상통화하는 경우에, 상대방과 영상통화를 하면서 자막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또는 영상통화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취향(통화형, 맞춤형, 방송형, 위치기반형 등)에 맞는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통화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맞춤형/방송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음성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위치기반의 맞춤형/방송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음성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통화형 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자막정보 관리 서버; 및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영상통화시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상대측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맞춤형/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자막정보 관리 서버; 및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영상통화시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 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자막정보 관리 서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및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영상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상대측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위치기반의 맞춤형/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자막정보 관리 서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및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영상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통화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맞춤형/방송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 해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통화중에 위치기반의 맞춤형/방송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 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통화형 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영상통화시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형으로 결정된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상대측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맞춤형/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영상통화시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형으로 결정된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 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영상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형으로 결정된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상대측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중에 위치기반의 맞춤형/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영상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형으로 결정된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영상전화기가 음성통화의 용도로만 사용될 때, 그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정보를 사용자(발신자 또는/및 착신자)에게 보여주어 영상전화기의 화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전화기 본래의 용도로 사용될 때에도(상대방 영상 디스플레이), 상대방 영상과 함께 자막정보를 사용자(발신자 또는/및 착신자)에게 보여주어 영상전화기의 화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발/착신자) 또는 상대측(착/발신자)으로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를 제공함으로써, 음성통화시 유익한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여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정보 획득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광고주들에게는 새로운 광고 시장을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 또는 상대측으로 자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상통화시 유익한 자막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정보 획득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광고주들에게는 새로운 광고 시장을 제공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사업자들에게 통화료 이외에 광고 수익을 추가로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수익을 통해 영상정보/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유익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하거나 수익의 일부를 환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발/착신자) 또는 상대측(착/발신자)으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위치기반의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가 적용되는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은, 영상전화기(예로서, SIP 영상 단말)(30)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와, 영상전화기(30)로부터 호가 발신되거나 영상전화기(30)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발/착신자)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이면 호를 응용 서버(11)에게 전달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치(20)와, IP망을 통해 음성 및 영상 통화 가능하며, 음성 또는 영상통화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영상전화기(30)와, 통신망(예로서, 이동통신망, IP망, 전화망(PSTN) 등) 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간(예로서, 이동통신망-IP망, 전화망(PSTN)-IP망)에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게이트웨이(40)와, 게이트웨이(4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60)로 연결해주기 위한 CDMA(Code Division Mulitple Access)망 교환기(50)와, CDMA망 교환기(50)를 통해 음성 또는 영상통화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2G/3G 이동통신 단말기)(60)와, 게이트웨이(4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PSTN 전화기(유선 전화기)(80)로 연결해주기 위한 전화망(PSTN) 교환기(60)와, 전화망(PSTN)을 통해 음성통화가 가능한 PSTN 전화(유선 전화기)(80)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영상전화기(SIP 영상 단말)(30)로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할 때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넷(Internet) 또는 광대역통합망(BcN) 환경에서 사용될 IP 기반의 영상전화기(멀티미디어 단말 또는 영상단말)(30)를 사용해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할 때, 영상전화기(30)의 화면표시부(LCD)에 영상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영상정보는, 기업체 광고/홍보, 기타 정보(생활, 지역, 취미, 뉴스, 날씨 등)가 전화라는 특성상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로 제공되거나 자막정보 형태로 제공 가능하다. 이중 순수 영상정보는 가입자 영상전화기(30)와 상대방 음성전용 전화기(예로서, 영상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PSTN 전화기)(60,80)가 음성통화할 때, 가입자 영상전화기(30)로 제공된다. 또한, 자막정보는 가입자 영상전화기(30)와 상대방 영상전화기(30)가 영상통화할 때 상대방 영상과 함께 가입자 영상전화기(30)로 제공되거나, 가입자 영상전화기(30)와 상대방 음성전용 전화기(30,60,80)가 음성통화할 때 가입자 영상전화기(30)로 순수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그리고, 순수 영상정보는,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그에 맞는 영상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통화하고 있는 상대방이 제공하는 통화형 영상정보, 가입자의 속성(예로서, 가정, SOHO) 및 시간(예로서, 아침, 저녁, 명절, 입학, 졸업 등), 또는 관심분야(예로서, 생활, 지역, 취미 등)를 선택하게 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영상정보, TV 방송 광고/홍보와 유사하게 동일 광고/홍보를 여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형 영상정보, 가입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영상정보[예로서, 가입자의 위치('서초구')에 기반한 지역생활정보(예로서, 만리장성, 맥도날드, 치킨점 등)]를 제공하는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는 방송형 영상정보, 통화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가 가능하다.
또한, 자막정보는, 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그에 맞는 자막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통화하고 있는 상대방이 제공하는 통화형 자막정보, 가입자의 속성(예로서, 가정, SOHO) 및 시간(예로서, 아침, 저녁, 명절, 입학, 졸업 등), 또는 관심분야(예로서, 생활, 지역, 취미 등)를 선택하게 하여 제공하는 맞춤형 자막정보, TV 방송 광고/홍보와 유사하게 동일 광고/홍보를 여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형 자막정보, 가입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자막정보[예로서, 가입자의 위치('서초구')에 기반한 지역생활정보(예로서, 만리장성, 맥도날드, 치킨점 등)]를 제공하는 위치기반형 자막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는 방송형 자막 정보,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가 가능하다. 다만, 자막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통화시 순수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거나, 영상통화시 상대방 영상과 함께 제공될 것이다.
이와 같이 영상전화기(30)에 제공되는 영상정보(/자막정보)의 효과는 사용자들의 취향에 따라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상전화 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영상전화의 활용도를 높이고, 정보 컨텐츠 활용 확대 및 광고 시장을 넓혀 다양한 수익 창출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P망에서 통화수단 신호 프로토콜로 사용하고 있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를 구현해야 하며,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를 위한 서버들(예로서, 영상정보 관리 서버(12), 응용 서버(11), 미디어 서버(13), 위치정보 관리 서버(15) 등) 및 서버 내의 요소 기술들을 정의해야 한다.
즉, 인터넷 및 BcN의 IP 기반 망에서 전화 서비스를 위해서는, CDMA 이동통신망, 전화망(PSTN) 등의 교환기(50,70)에 해당하는 소프트 스위치(20)가 있어야 한다. 이 소프트 스위치(20)는 통합망인 BcN 또는 인터넷과 같은 IP망에서 영상전화의 호를 연결시켜 준다. 환언하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영상 전화는 영상정보 전달을 위해 IP망을 사용하는데, 패킷 기반의 IP망에서 전화 서비스를 위해서는 호 라우팅을 해주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소프트 스위치(20)라는 패킷 스위치를 사용한다. 그리고, 기본적인 호 라우팅 이외에, 응용 서비스들을 제 어하기 위해 응용 서버(11), 미디어 서버(13) 등이 필요하다. 이때, 응용 서버(11)는 가입자들의 정보를 관리하고 미디어 서버(13)에 어떤 영상정보를 송출할 것인지를 판단해 주고,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전화기(30)와 영상 세션(영상채널)을 열어서 영상전화기(30)로 영상정보를 송출해준다. 그리고, 영상정보를 이러한 구조상에서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관리하기 위한 영상정보 관리 서버(12),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컨텐츠 DB(14) 등이 필요하다. 이때, 컨텐츠 DB(14)에는 각종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영상정보 관리 서버(12)는 컨텐츠 DB(14)를 관리하고, 응용 서버(11)에 해당 영상정보를 전달해준다.
영상통화와 관련된 응용 서비스들은 소프트 스위치(20)와 연동되어야 하며,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응용 서비스들과 연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에서, 응용 서비스들을 제어하는 응용 서버(11)에는 영상정보 제공에 필요한 로직이나 기능이 추가되어야 하고,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미디어 서버(13)에 어떤 영상정보를 송출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전화기(30)와 영상 세션을 열어서 영상전화기(30)로 영상정보를 송출하되, 이때 통상 미디어 서버(13)에서 제공되는 음성/영상 미디어에서 영상 부분만을 추출하여 송출하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 또한,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에는 이와는 별도의 서버들이 필요한데, 영상정보를 보관하는 컨텐츠 DB(14)와, 컨텐츠 DB(14)를 관리하고 응용 서버(11)에 영상정보를 전달해주는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와, 위치기반 영상정보 서비스(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서비스,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서비스, 위치기반의 통화 형 영상정보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관리 서버(15)가 그 예이다.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응용 서버(11), 영상정보 관리 서버(12), 미디어 서버(13), 컨텐츠 DB(14), 위치정보 관리 서버(1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상호 연동을 통해서 영상정보를 해당 사용자(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된다(이때, 위치기반의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이를 살펴보면, 영상전화기(30)에서 SIP를 통해 소프트 스위치(20)로 신호가 전달되고, 소프트 스위치(20)에서는 해당 조건에 맞으면(예로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응용 서버(11)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해야 함을 SIP 메시지를 통해 알려 준다. 이후, 응용 서버(11)는 어떤 영상정보를 제공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미디어 서버(13)로 전달하고, 미디어 서버(13)는 컨텐츠 DB(14)에서 해당 영상정보(통화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등)를 가지고 와서 영상전화기(30)와 실시간전송프로토콜(RTP) 채널을 형성하여 송출해준다. 이때,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정보 제공시 자막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자막정보는 발/착신 전화기간의 음성통화시 일측의 영상전화기(30)로 제공되는 순수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되거나, 발/착신 전화기간의 영상통화시 양측의 영상전화기(30)로 제공되는 상대방 영상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제공되는 방법에는 자막정보를 데이터 채널로 따로 할당하여 영상전화기(30)에서 상대방 영상에 합성하거나, 미디어 서버(13)가 영상정보에 자막정보를 삽입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IP 도메인 상의 교환기에 해당하는 소프트 스위치(20)는 패킷(예로서, SIP에 정의된 INVITE 메시지)의 특정 필드[예로서, SIP 영상 단말 식별번호(전 화번호)]를 확인하고(번호 번역 기능),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발/착신자 가능)이면 호를 응용 서버(11)에게 전달한다[SIP의 호 처리]. 그리고, 응용 서버(11)에는 가입자별로 제공해야 할 영상정보의 타입(통화형, 맞춤형, 방송형, 위치기반형 등)이 정의되어 있어 이에 따라 어떤 영상정보를 송출할 것인지를 판단하며, 응용 서비스들의 호를 제어하는 기능이 있다[호 제어]. 또한,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전화기(30)와 영상 세션을 열어서 해당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각종 영상정보를 스트림 형태로 재생]. 또한, 영상정보 관리 서버(12)는 컨텐츠 DB(14)를 갱신ㆍ관리하고, 응용 서버(11)에게 필요한 영상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영상전화기(30)를 통해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시, 영상전화기(30)의 화면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영상전화 사용자에게 통화중에 유익한 정보나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영상전화 사용자는 전화를 하는 동안에도 여러 유용한 정보와 광고 등을 별도의 시간 할애 없이 볼 수 있어서 정보 획득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광고주에게는 새로운 광고 시장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영상전화기(30)에 적합한 광고 형태들을 제작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사업자는 일반적인 통화료 이외에 추가로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수익을 통해 유익한 정보(예로서, 뉴스, 날씨 등)를 제공하거나 영상정보 가입자에게 할인 혜택을 주어 수익의 일부를 환원할 수도 있다. 또한, 단순 음성전용 전화기에 비해 영상전화기(30)의 화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서 단순 음성통화에 비해 여러모로 다른 부가가치를 창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통화 이전 단계에서 서비스되는 링고, 컬러링, 영상 링고 등과 같은 서비스들과의 연계도 서비스 간 충돌없이 제공 가능하다.
정리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음성통화중에 통화형 영상정보를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한다[제1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될 수 있음)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통화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통화형 영상정보와 함께 자막정보(예로서,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대측 단말은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이며, 상대측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지 않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음성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전용 전화기(30,60,80)가 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14)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발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여,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13)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미디어 서버(13)와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음성통화시 상대측 단말로 제공 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11)와,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영상채널을 통해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통화형 영상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음성통화중에 맞춤형 영상정보 또는 방송형 영상정보를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한다[제2 실시예].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될 수 있음)로 맞춤형/방송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맞춤형/방송형 영상정보와 함께 자막정보(예로서,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이며,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지 않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음성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전용 전화기(30,60,80)이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14)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발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여,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13)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미디어 서버(13)와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음성통화시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11)와,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맞춤형 영상정보,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음성통화중에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를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한다[제3 실시예].
상기 제3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될 수 있음)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와 함께 자막정보(예로서,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대측 단말은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이며, 상대측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지 않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음성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전용 전화기(30,60,80)가 된 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14)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와,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15)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발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여,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13)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미디어 서버(13)와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고,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음성통화시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11)와,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영상채널을 통해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음성통화중에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를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한다[제4 실시예].
상기 제4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 또 는 둘 모두가 될 수 있음)로 맞춤형/방송형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위치기반의 맞춤형/방송형 영상정보와 함께 자막정보(예로서,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이며,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지 않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음성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전용 전화기(30,60,80)이다.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14)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와,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15)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발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여,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13)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미디어 서버(13)와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고,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음성통화시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11)와,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영상채널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미디어 서버(13)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실시예에서,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 미디어 서버(13)는, 응용 서버(11)로부터 음성통화시 재생될 영상정보의 컨텐츠 ID 또는 VXML URL을 전달받아, 컨텐츠 ID를 바탕으로 컨텐츠 DB(14)에 질의 및 응답받아 해당 영상정보를 재생하거나, VXML URL을 바탕으로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영상정보를 영상채널을 통해 재생한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영상통화중에 통화형 자막정보를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한다[제5 실시예].
상기 제5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될 수 있음)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통화형 자막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대측 단말은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이며, 상대측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60)가 된다.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엄밀하게는, 자막정보 서비스 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14)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 로 스위칭 제어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발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여, 발/착신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영상통화시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대측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11)를 포함한다.
상기 제5 실시예에서, 상대측 단말은,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한다.
또한,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통화형 자막정보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영상통화중에 맞춤형 영상정보 또는 방송형 영상정보를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한다[제6 실시예].
상기 제6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될 수 있음)로 맞춤형/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이며,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60)가 된다.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엄밀하게는 자막정보 서비스 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14) 및 영 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발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여, 발/착신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영상통화시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11)를 포함한다.
상기 제6 실시예에서,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한다.
또한,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영상통화중에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를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한다[제7 실시예].
상기 제7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될 수 있음)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대측 단말은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이며, 상대측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60)가 된다.
상기 제7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엄밀하게는 자막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14)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와,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15)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발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여, 발/착신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영상통화시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대측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11)를 포함한다.
상기 제7 실시예에서, 상대측 단말은,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한다.
또한,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영상통화중에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를 서비스 가입자 단말 로 제공한다[제8 실시예].
상기 제8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입자 단말(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될 수 있음)로 위치기반의 맞춤형/방송형 자막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이며,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30,60)가 된다.
상기 제8 실시예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엄밀하게는, 자막정보 서비스 장치)(10)는,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14)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와,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15)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고,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발신 단말로 스위칭 제어하여, 발/착신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영상통화시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11)를 포함한다.
상기 제8 실시예에서,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에 요청 및 응답 받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한다.
또한,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자막정보 서비스 장치)(10)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용 서버(11)는 소프트 스위치(20)와 연결하기 위한 SIP 신호 처리부(113)와, 영상정보(/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들의 각종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가입자 DB(114)와, SIP 메시지를 통해 소프트 스위치(20)로부터 발신 혹은 착신시 영상정보(/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구분해 영상정보 제공 여부와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예로서, 순수 영상정보, 자막정보) 및 컨텐츠 유형[예로서,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가입자별 영상정보 제공 로직부(111)와, 미디어 서버(13)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12)와 연결하기 위한 서버 연동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13)는 응용 서버(11)와 연결하기 위한 서버 연동부(131)와, 컨텐츠 DB(14)에 저장된 영상정보[예로서,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 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컨텐츠 DB 호출부(132)와, 컨텐츠 DB(14)로부터 읽어들인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재생시키기 위한 미디어 재생부(133)와, 여러 개의 미디어 채널(영상채널, 음성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RTP 채널 관리 로직부(134)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정보 관리 서버(12)는 광고 제공자의 계정 또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영상정보 제공자 관리 로직부(121)와,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시간, 컨텐츠 유형에 관한 영상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편성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편성 관리부(122)와, 컨텐츠 DB(14)에 영상정보를 기록 및 삭제하기 위한 컨텐츠 DB 제어부(123)와, 응용 서버(11)로 영상정보의 구성 또는 신규 영상정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연동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DB(14)는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순수 영상정보, 자막정보) 및 컨텐츠 유형(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별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NAS(Network Attached Storage)의 형태로 구성하거나, 미디어 서버(13)의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영상통화로 및 음성통화로를 보여주는 일실시 예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전화기(30)의 영상통화로(영상채널)는 영상 전화기(30)와 IP망 내의 미디어 서버(12) 간에 생성되고, 영상 전화기(30)의 음성통화로(음성채널)는 게이트웨이(40)를 통해 영상전화기(30)와 음성전용 전화기(예로서, PSTN 전화기, 2G/3G 이동통신 단말기, 영상전화기)(30,60,80) 간에 생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 영상통화로(영상채널) 및 음성통화로(음성채널) 각각이 서로 독립적인 채널, 예컨대 데이터 채널 및 음성 채널을 통해 각각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해,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시에 사용자가 통화하기 전, 또는 통화 중, 또는 통화 이후에도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정보 서비스'는 유무선 인터넷 접속 또는 ARS 등을 통해 서버의 접속 안내에 따라 적정한 가입 절차후 자신의 취향(통화형, 맞춤형, 방송형, 위치기반형 등)에 맞는 영상정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화형 영상정보[도 12c 참조]'는 통화하고 있는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형 영상정보를 선택한 경우에, 서비스 가입자는 통화중에 제공될 정지영상 혹은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영상정보가 통화중에 상대측(서비스 가입자가 발신자인 경우 착신측 전화기, 서비스 가입자가 착신자인 경우 발신측 전화기가 됨)에 제공된다. 통화형 영상정보 가입자로는 기업의 콜센터, 전화방 사업, 기업의 사내 전화 등 발/착신자의 영상 화면 대신에 영상정보를 대신 제공할 수 있는 곳에 이용 가능하다. 이 경우, 서비스 가입자의 발/착신 단말기는 굳이 영상전화기(30)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대측의 착/발신 단말기는 반드시 영상전화기(30)이어야만 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맞춤형 영상정보[도 12b 참조], 방송형 영상정보[도 12a 참조],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도 12d 참조]의 경우에, 서비스 가입자는 영상을 굳이 선택할 필요가 없다. 다만, 맞춤형 영상정보[도 12b 참조]의 경우에는 자신의 속성(예로서, 가정, SOHO) 및 시간(예로서, 아침, 저녁, 명절, 입학, 졸업 등), 또는 관심분야(예로서, 생활, 지역, 취미 등) 등을 등록해 두면, 이에 따른 영상정보가 통화중에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가 방송형 영상정보[도 12a 참조]를 선택한 경우에는, TV 방송 광고/홍보와 유사하게 동일 광고/홍보가 여러 서비스 가입자에게 동일하게 제공된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가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도 12d 참조]를 선택한 경우에는, 위치기반의 지역 광고/홍보가 제공된다. 이때, 가입자의 위치(예컨대, 동단위)는 영상전화기(30)의 전화번호, IP 주소를 기반으로 파악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 설정 시간 역시 서비스 가입자가 임의 지정/해제 가능하고, 특히 본 발명에서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방법은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정보를 변경하여 제공 가능하며, 하기에서 자막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SIP의 "INFO"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가정하였으나, "NETANN" 같은 다른 방식으로 대체 가능하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나타 낸 일실시예 설명도로서, 도 12a에는 방송형 영상정보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b에는 맞춤형 영상정보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c에는 통화형 영상정보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d에는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화면(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화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화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화면이 될 수 있음)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방송형 영상정보는, '방송형 영상정보 서비스'에 동의한 가입자가 음성통화시에,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 전화기(30)로 방송 광고와 유사하게 다양하고 유익한 광고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방송형 영상정보(이를 상기에서는 자막정보와 구별하여 순수 영상정보라 한 바 있음)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공되고 있는 순수 영상정보와 관련없는 실시간 뉴스(예컨대, '17대 총선 결과 00당이 압승' 등)와 같은 자막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자막정보는 순수 영상정보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자막정보는 영상통화중에 상대방 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송형 영상정보는 실질적인 광고 제공 뿐만 아니라 요금 할인 등의 혜택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며, 광고 제공자는 방송형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광고/홍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맞춤형 영상정보는, '맞춤형 영상정보 서비스'에 동의한 가입자가 음성통화시에,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 전화기(30)로 가입자의 관심 분야인 '영화'에 대한 광고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맞춤형 영상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제공되고 있는 순수 영상정보와 관련없는 예컨대 '가수 채언 드라마 출연'이라는 자막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역시, 자막정보는 순수 영상정보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영상통화중에 상대방 영상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맞춤형 영상정보는 가입자가 음성통화시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광고 제공자는 맞춤형 영상정보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광고/홍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c에 도시된 통화형 영상정보는 음성전용 단말기(영상전화기, 2G/3G 이동통신 단말기, PSTN 전화기 등)(30,60,80)를 사용하는 사업자나 개인 등이 신청 가능한 것으로, '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에 동의한 가입자의 전화기(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통화 가능한 단말기이면 족함)로 전화를 건 발신자의 전화기 또는 전화를 받은 착신자의 전화기가 영상을 지원하는 경우, 통화형 가입자('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에 동의한 서비스 가입자)가 제공하는 영상정보(보험회사의 순수 영상정보)와 함께 순수 영상정보와 관련된 자막정보('신상품 보험' 등)를 상대측 영상전화기(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순수 영상정보와 무관한 자막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자막정보는 영상통화중에 상대방 영상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통화형 영상정보의 경우, 통화형 영상정보 가입자는 음성통화시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정보를 발신자/착신자에게 광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d에 도시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 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가 될 수 있음)는,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서비스'에 동의한 가입자가 음성통화시에,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 전화기(30)로 가입자의 위치에 기반한 '지역정보(예로서, 치킨집)'에 대한 광고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제공되고 있는 순수 영상정보와 관련된 자막정보('신상품 올리브유 치킨 홍보' 등)를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순수 영상정보와 무관한 자막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자막정보는 영상통화중에 상대방 영상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등)는 가입자가 음성통화시 자신의 위치에 기반한 지역생활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광고 제공 뿐만 아니라 요금 할인 등의 혜택을 가입자에게 제공하며, 광고 제공자는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위치기반의 광고/홍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 및 '맞춤형 영상정보 서비스'(또는 '방송형 영상정보 서비스' 또는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서비스') 등과 같이 이종의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들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서비스 충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서비스 방식에 우선순위를 두거나, 서비스 가입시의 정책(사전동의) 등에 따라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시에 '맞춤형 영상정보 서비스'에 동의를 했지만 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와의 음성통화시에는 '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 에 동의를 하게 되면, 맞춤형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는 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와의 음성통화시에 통화형 영상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물론, '맞춤형 영상정보 서비스', '방송형 영상정보 서비스',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서비스' 중 동일한 종류의 서비스 또는 이종의 서비스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방식대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면 된다.
그리고, '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에 가입한 서비스 가입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역시, 상대측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영상정보를 제공하면 된다.
상기에서, '통화형 영상정보 서비스'는 상대측으로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대측의 동의를 얻어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특히,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는 방송형 영상정보, 통화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데, 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가 가능하다.
그럼,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대해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음성통화중에 발신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순수 영상정보[예로서, 방송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등]를 제공한다[순수 영상정 보 제공시 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도 7 참조]. 또한, 음성통화중에 착신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순수 영상정보[예로서, 방송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등]를 제공한다[순수 영상정보 제공시 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도 8 참조].
도 7 및 도 8에서, 일측의 가입자 영상전화기(발신 또는 착신 단말)(30)와 음성통화하는 상대측의 전화기(착신 또는 발신 단말)(30,60,80)는 음성전용 전화기이면 족하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발/착신자 모두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서비스 및 이종의 서비스 간에도 서비스 충돌없이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방식대로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측의 가입자 영상전화기(발신 또는 착신 단말)(30)와 음성통화하는 상대측의 전화기(착신 또는 발신 단말)(30,60,80)를 음성전용 전화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통화형 영상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의 경우에는, 음성통화중에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순수 영상정보를 상대측의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로 제공한다[순수 영상정보 제공시 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도 8 참조]. 또한, 통화형 영상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의 경우에는, 음성통화중에 착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순수 영상정보를 상대측의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로 제공한다[순수 영상정보 제공시 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도 7 참조].
도 8 및 도 7에서, 상대측의 영상전화기(착신 또는 발신 단말)(30)와 음성통 화하는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기(발신 또는 착신 단말)(30,60,80)는 음성전용 전화기이면 족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영상통화중에 발신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상대방 영상과 함께 자막정보[예로서, 방송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등]를 제공한다[도 9 참조]. 또한, 영상통화중에 착신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상대방 영상과 함께 자막정보[예로서, 방송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등]를 제공한다[도 10 참조].
도 9 및 도 10에서, 일측의 가입자 영상전화기(발신 또는 착신 단말)(30)와 영상통화하는 상대측의 전화기(착신 또는 발신 단말)(30)는 영상전화기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발/착신자 모두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서비스 및 이종의 서비스 간에도 서비스 충돌없이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방식대로 자막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측의 가입자 영상전화기(발신 또는 착신 단말)(30)와 영상통화하는 상대측의 전화기(착신 또는 발신 단말)(30)를 영상전화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통화형 자막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의 경우에는, 영상통화중에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자막정보를 상대측의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로 제공한다[도 10 참조]. 또한, 통화형 자막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의 경우에는, 영상통화중에 착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자막정보를 상대측의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로 제공한다[도 9 참조].
도 10 및 도 9에서, 상대측의 영상전화기(착신 또는 발신 단말)(30)와 영상통화하는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기(발신 또는 착신 단말)(30)는 영상전화기이다.
상기에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자막정보)는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데, 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는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의 제공 역시 가능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럼, 음성 또는 영상통화시 발/착신 서비스 가입자에 따라 영상정보 및/또는 자막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중 음성통화중에 발신측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음성통화중에 발신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순수 영상정보[예로서, 방송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등]를 제공한다[순수 영상정보 제 공시 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이때, 발신 서비스 가입자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와 음성통화하는 상대측의 전화기(착신 단말)(30,60,80)는 음성전용 전화기[즉, '영상을 지원하지 않고 음성만을 지원'(예로서, 2G 이동통신 단말기, PSTN 음성 전화기 등)하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전화기 사용자가 영상통화를 원하는 않아 음성 모드로 설정된'(예로서, SIP/H.323/H.324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 음성통화 전화기]이면 족하다.
또한, 통화형 영상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의 경우에는, 음성통화중에 착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순수 영상정보를 상대측의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로 제공한다[순수 영상정보 제공시 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이때, 상대측의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와 음성통화하는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기(착신 단말)(30,60,80)는 음성전용 전화기이면 족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이 임의의 착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 전화를 시도하여 발신 단말(Caller A)(30)에서 발신 소프트 스위치(oSSW)(20)로 발신 단말(Caller A)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설정해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보내면,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수신된 INVITE 메시지 내의 서비스 코드[예로서, SIP 영상 단말 식별정보(전화번호, 장치번호, IP 주소, MAC 주소 등)]를 확인하여 발신자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하고, 발신 응용 서버(oAS)(11)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해준다(701). 이는 영상정보 서비스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방송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가입자가 통화형 영상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를 선택한 경우,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INVITE 메시지 내의 서비스 코드를 확인하여 착신자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한다.
물론, 지능망에 있어 발신 소프트 스위치(20)가 SIP 호 연결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발신 소프트 스위치(20)에서는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통한 음성통화로 연결 요구를 받은 경우에 INVITE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포워딩시켜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이 어떠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문의해서 해당 가입 서비스, 예컨대 영상정보 서비스의 호 처리 절차를 따르도록 그 호를 발신 응용 서버(11)에게 넘길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신 응용 서버(11)는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다시 발신 소프트 스위치(20)으로 보내고(702),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착신 단말(Callee B)(30,60,80)이 있는 곳으로 교환기(50,70) 또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한다(703). 그러면, 착신 단말(Callee B)(30,60,80)은 INVITE 메시지(offer SDP A)에 대한 응답으로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교환기(50,70) 또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로 전달하고(704),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릴레이하고(705), 발신 응용 서버(11)는 다시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전달하여 통화 대기를 알린다(706).
이후, 착신 벨이 울려 착신자가 응답(Hook-off)하는 경우, 착신 단말(Callee B)(30,60,80)은 음성 모드로 설정 또는 영상을 지원하지 않은 단말이라 음성전용으로 응답을 하며, 이때 200 OK 메시지를 이용한다(707). 즉, 착신 단말(Callee B)(30,60,80)은 착신 단말의 SDP를 설정해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교환기(50,70) 또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로 전달하고(707),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릴레이하고(708), 발신 응용 서버(11)는 다시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전달한다(709). 이에 대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메시지를 받았음을 확인하는 "ACK" 메시지를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응용 서버(11)로 전송하고(711), 발신 응용 서버(11)는 "ACK" 메시지를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교환기(50,70) 또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착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 전송한다(713). 이때, "ACK" 메시지는 음성통화로(음성채널)가 열림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발신 응용 서버(11)가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전달하여(709), 이에 대한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부터의 "ACK" 메시지를 착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 전송함에 있어서(711,713), 발신 응용 서버(11)는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서비스를 위해 발신번호(또는 발신 단말의 IP 주소)를 기준으로 위치정보 관리 서버(15)로 지역코드를 문의하여(710), 위치정보 관리 서버(15)로부터 해당 지역코드(예로서, 동코드)를 받 아둔다(712). 즉, 위치정보의 획득은 "ACK" 메시지가 착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 전송되기 전에 획득해 두면 된다. 이 과정은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를 위한 것이다.
이후,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과 착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 간에 음성 RTP 채널(음성통화로)이 형성되어 발/착신자 간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진다(714).
한편, 음성통화중에 발신 응용 서버(11)는 영상 제공을 위해 SDP 정보가 없는 "RE-INVITE(no SDP)" 메시지를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한다(715). 이에 대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발신 단말의 SDP를 설정해서 "200 OK(offer SDP A)" 메시지를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응용 서버(11)로 전달한다(716).
이후, 발신 응용 서버(11)는 미디어 서버(13)로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의 SDP 정보를 새로운 INVITE(offer SDP video A) 메시지에 실어 미디어 서버(13)로 전송하고(717), 미디어 서버(MS)(13)는 미디어 서버의 SDP 정보를 "200 OK(answer SDP video MS)" 메시지를 통해 발신 응용 서버(11)로 응답한다(718). 이에 대해, 발신 응용 서버(11)는 "ACK"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13)로 전송하고(719),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부터의 "200 OK"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시지를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하여 영상 SDP를 다시 협상한다(720).
협상이 완료되면, 발신 응용 서버(11)는 재생할 영상정보[예로서, 방송형 영상정보, 통화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등]의 ID 또는 VXML-URL 주소를 "INFO" 메시지에 실어 미디어 서버(13)로 전송한다(721), 이에 대해, 미디어 서버(13)는 "INFO"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전송한다(722). 그리고, 미디어 서버(13)는 ID를 받은 경우 컨텐츠 DB(14)에 쿼리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가져와 영상 RTP 채널(영상통화로)을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재생한다(725). 만약, VXML URL 정보를 받은 경우,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에 해당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가져와 영상 RTP 채널(영상통화로)을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재생한다(723~725).
여기서,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와 HTTP를 통해 요청 및 응답 형태로 대화를 형성하여, 영상정보를 가져와 영상채널을 통해 재생하게 된다.
이때, 영상만으로 이루어진 순수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자막정보를 순수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위치에 기반한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위치에 기반한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위치에 기반한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중 음성통화중에 착신측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8에서는 음성통화중에 착신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순수 영상정보[예로서, 방송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등]를 제공한다[순수 영상정보 제공시 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이때, 착신 서비스 가입자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와 음성통화하는 상대측의 전화기(발신 단말)(30,60,80)는 음성전용 전화기[즉, '영상을 지원하지 않고 음성만을 지원'(예로서, 2G 이동통신 단말기, PSTN 음성 전화기 등)하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전화기 사용자가 영상통화를 원하는 않아 음성 모드로 설정된'(예로서, SIP/H.323/H.324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 음성통화 전화기]이면 족하다.
또한, 통화형 영상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의 경우에는, 음성통화중에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순수 영상정보를 상대측의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로 제공한다[순수 영상정보 제공시 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도 8 참조]. 이때, 상대측의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와 음성통화하는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기(착신 단말)(30,60,80)는 음성전용 전화기이면 족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임의의 발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화를 시도하여 발신 단말(Caller A)(30)에서 교환기(50,7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oSSW)(20)로 발신 단말(Caller A)의 SDP를 설정해서[이 경우 발신 단말은 음성 모드로 설정 또는 영상을 지원하지 않은 단말이라 음성전용으로 설정함],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보내면, 교환기(50,7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수신된 INVITE 메시지 내의 서비스 코드[예로서, SIP 영상 단말 식별정보(전화번호, 장치번호, IP 주소, MAC 주소 등)]를 확인하여 착신자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하고, 착신 단말(Callee B)(30)이 있는 곳의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한다(801). 이에 대해,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착신 응용 서버(tAS)(11)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해준다(802). 이는 영상정보 서비스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방송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가입자가 통화형 영상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를 선택한 경우,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INVITE 메시지 내의 서비스 코드를 확인하여 발신자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한다.
물론, 지능망에 있어 착신 소프트 스위치(20)가 SIP 호 연결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착신 소프트 스위치(20)에서는 발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통한 음성통화로 연결 요구를 받은 경우에 INVITE 메시지를 착신 응용 서버(11)로 포워딩시켜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이 어떠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문의해서 해당 가입 서비스, 예컨대 영상정보 서비스의 호 처리 절차를 따르도록 그 호를 착신 응용 서버(11)에게 넘길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착신 응용 서버(11)는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다시 착신 소프트 스위치(20)으로 보내고,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한다(803). 그러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INVITE 메시지(offer SDP A)에 대한 응답으로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착신 응용 서버(11)로 전달하고(804), 착신 응용 서버(11)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로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전달하며(805),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다시 교환기(50,7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 전달하여 통화 대기를 알린다(806).
이후, 착신 벨이 울려 착신자가 응답(Hook-off)하는 경우,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영상을 지원하는 단말이라 영상전용으로 응답을 하며, 이때 200 OK 메시지를 이용한다(807). 즉, 착신 단말(Callee B)(30)은 착신 단말의 SDP를 설정해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통해 발신 착신 응용 서버(11)로 전달하고(807), 착신 응용 서버(11)는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로 전달하며(808),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다시 교환기(50,7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전달한다(809). 이에 대해, 발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은 메시지를 받았음을 확인하는 "ACK" 메시지를 교환기(50,7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경유하여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착신 응용 서버(11)로 전송하고(811), 착신 응용 서버(11)는 "ACK"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한 다(813). 이때, "ACK" 메시지는 음성통화로(음성채널)가 열림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착신 응용 서버(11)가 발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전달하여(808,809), 이에 대한 발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로부터의 "ACK" 메시지를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함에 있어서(811,813), 착신 응용 서버(11)는 위치기반형 영상정보 서비스를 위해 착신번호(또는 착신 단말의 IP 주소)를 기준으로 위치정보 관리 서버(15)로 지역코드를 문의하여(810), 위치정보 관리 서버(15)로부터 해당 지역코드(예로서, 동코드)를 받아둔다(812). 즉, 위치정보의 획득은 "ACK" 메시지가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되기 전에 획득해 두면 된다. 이 과정은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를 위한 것이다.
이후, 발신 단말(음성전용 전화기)(30,60,80)과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 간에 음성 RTP 채널(음성통화로)이 형성되어 발/착신자 간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진다(814).
한편, 음성통화중에 착신 응용 서버(11)는 영상 제공을 위해 SDP 정보가 없는 "RE-INVITE(no SDP)"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한다(815). 이에 대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착신 단말의 SDP를 설정해서 "200 OK(offer SDP B)"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착신 응용 서버(11)로 전달한다(816).
이후, 착신 응용 서버(11)는 미디어 서버(13)로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의 SDP 정보를 새로운 INVITE(offer SDP video B) 메시지에 실어 미디어 서버(13)로 전송하고(817), 미디어 서버(MS)(13)는 미디어 서버의 SDP 정보를 "200 OK(answer SDP video MS)" 메시지를 통해 착신 응용 서버(11)로 응답한다(818). 이에 대해, 착신 응용 서버(11)는 "ACK"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13)로 전송하고(819),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부터의 "200 OK"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하여 영상 SDP를 다시 협상한다(820).
협상이 완료되면, 착신 응용 서버(11)는 재생할 영상정보[예로서, 방송형 영상정보, 통화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등]의 ID 또는 VXML-URL 주소를 "INFO" 메시지에 실어 미디어 서버(13)로 전송한다(821), 이에 대해, 미디어 서버(13)는 "INFO"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착신 응용 서버(11)로 전송한다(822). 그리고, 미디어 서버(13)는 ID를 받은 경우 컨텐츠 DB(14)에 쿼리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가져와 영상 RTP 채널(영상통화로)을 통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재생한다(825). 만약, VXML URL 정보를 받은 경우,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에 해당 영상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영상정보를 가져와 영상 RTP 채널(영상통화로)을 통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재생한다(823~825).
여기서,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정보 관리 서버(12)와 HTTP를 통해 요청 및 응답 형태로 대화를 형성하여, 영상정보를 가져와 영상채널을 통해 재생하게 된다.
이때, 영상만으로 이루어진 순수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자막정보를 순수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위치에 기반한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위치에 기반한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 위치에 기반한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중 영상통화중에 발신측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9에서는 영상통화중에 발신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상대방 영상과 함께 자막정보[예로서, 방송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등]를 제공한다. 이때, 발신 서비스 가입자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와 영상통화하는 상대측의 전화기(착신 단말)(30,60)는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영상전화기(예로서,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다.
또한, 통화형 자막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의 경우에는, 영상통화중에 착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자막정보를 상대측의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로 제공한다. 이때, 상대측의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와 영상통화하는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기(착신 단말)(30,60)는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영상전화기(예로서,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이 임의의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 전화를 시도하여 발신 단말(Caller A)(30)에서 발신 소프트 스위치(oSSW)(20)로 발신 단말(Caller A)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설정해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보내면,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수신된 INVITE 메시지 내의 서비스 코드[예로서, SIP 영상 단말 식별정보(전화번호, 장치번호, IP 주소, MAC 주소 등)]를 확인하여 발신자가 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하고, 발신 응용 서버(oAS)(11)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해준다(901). 이는 자막정보 서비스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방송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가입자가 통화형 자막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를 선택한 경우,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INVITE 메시지 내의 서비스 코드를 확인하여 착신자가 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한다.
물론, 지능망에 있어 발신 소프트 스위치(20)가 SIP 호 연결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발신 소프트 스위치(20)에서는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통한 영상통화로 연결 요구를 받은 경우에 INVITE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포워딩시켜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이 어떠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문의해서 해당 가입 서비스, 예컨대 자막정보 서비스의 호 처리 절차를 따르도록 그 호를 발신 응용 서버(11)에게 넘길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발신 응용 서버(11)는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다시 발신 소프트 스위치(20)으로 보내고(902),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착신 단말(Callee B)(30,60)이 있는 곳으로 교환기(50) 또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한다(903). 그러면, 착신 단말(Callee B)(30,60)은 INVITE 메시지(offer SDP A)에 대한 응답으로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교환기(50) 또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로 전달하고(904),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릴레이하고(905), 발신 응용 서버(11)는 다시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전달하여 통화 대기를 알린다(906).
이후, 착신 벨이 울려 착신자가 응답(Hook-off)하는 경우,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60)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단말이라 영상전용으로 응답을 하며, 이때 200 OK 메시지를 이용한다(907). 즉, 착신 단말(Callee B)(30,60)은 착신 단말의 SDP를 설정해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교환기(50) 또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로 전달하고(907),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릴레이하고(908), 발신 응용 서버(11)는 다시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전달한다(909). 이에 대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메시지를 받았음을 확인하 는 "ACK" 메시지를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응용 서버(11)로 전송하고(911), 발신 응용 서버(11)는 "ACK" 메시지를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교환기(50) 또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 전송한다(913). 이때, "ACK" 메시지는 음성 및 영상 RTP 통화로(음성 및 영상채널)가 열림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발신 응용 서버(11)가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전달하여(909), 이에 대한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부터의 "ACK" 메시지를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 전송함에 있어서(911,913), 발신 응용 서버(11)는 위치기반형 자막정보 서비스를 위해 발신번호(또는 발신 단말의 IP 주소)를 기준으로 위치정보 관리 서버(15)로 지역코드를 문의하여(910), 위치정보 관리 서버(15)로부터 해당 지역코드(예로서, 동코드)를 받아둔다(912). 즉, 위치정보의 획득은 "ACK" 메시지가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 전송되기 전에 획득해 두면 된다. 이 과정은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를 위한 것이다.
이후,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과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60) 간에 음성 및 영상 RTP 채널(음성통화로 및 영상통화로)이 형성되어 발/착신자 간에 음성 및 영상통화가 이루어진다(914).
한편, 음성 및 영상통화중에 발신 응용 서버(11)는 자막정보 제공을 위해 자막정보 URL 주소를 "INFO" 메시지에 실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한 다(915). 이에 대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INFO"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전송한다(916). 그리고,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임)(12)와 HTTP를 통해 요청 및 응답 형태로 대화를 형성하여, 자막정보 URL 정보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가져와 상대방 영상에 믹싱하여 재생하게 된다.
이때, 자막정보는 영상통화중에 상대방 영상과 함께 방송형 자막정보,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위치에 기반한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에 기반한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에 기반한 맞춤형 자막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중 영상통화중에 착신측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0에서는 영상통화중에 착신 서비스 가입자의 영상전화기(30)로 상대방 영상과 함께 자막정보[예로서, 방송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등]를 제공한다. 이때, 착신 서비스 가입자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와 영상통화하는 상대측의 전화기(발신 단말)(30,60)는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영상전화기(예로서,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다.
또한, 통화형 자막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의 경우에는, 영상통화중에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설정한 자막정보를 상대측의 영상전화기(착신 단 말)(30)로 제공한다. 이때, 상대측의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와 영상통화하는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기(발신 단말)(30,60)는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영상전화기(예로서,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임의의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60)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화를 시도하여 발신 단말(Caller A)(30)에서 교환기(5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oSSW)(20)로 발신 단말(Caller A)의 SDP를 설정해서[이 경우 발신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한 단말이라 영상전용으로 설정함],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보내면, 교환기(5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수신된 INVITE 메시지 내의 서비스 코드[예로서, SIP 영상 단말 식별정보(전화번호, 장치번호, IP 주소, MAC 주소 등)]를 확인하여 착신자가 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하고, 착신 단말(Callee B)(30)이 있는 곳의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한다(1001). 이에 대해,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착신 응용 서버(tAS)(11)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해준다(1002). 이는 자막정보 서비스 발신 서비스 가입자가 방송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한다. 그러나, 가입자가 통화형 자막정보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를 선택한 경우,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INVITE 메시지 내의 서비스 코드를 확인하여 발신자가 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한다.
물론, 지능망에 있어 착신 소프트 스위치(20)가 SIP 호 연결 기능을 원활하 게 수행할 수 있도록, 착신 소프트 스위치(20)에서는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부터 INVITE 메시지를 통한 영상통화로 연결 요구를 받은 경우에 INVITE 메시지를 착신 응용 서버(11)로 포워딩시켜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이 어떠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문의해서 해당 가입 서비스, 예컨대 자막정보 서비스의 호 처리 절차를 따르도록 그 호를 착신 응용 서버(11)에게 넘길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착신 응용 서버(11)는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다시 착신 소프트 스위치(20)으로 보내고,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INVITE 메시지(offer SDP A)를 전달한다(1003). 그러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INVITE 메시지(offer SDP A)에 대한 응답으로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경유하여 착신 응용 서버(11)로 전달하고(1004), 착신 응용 서버(11)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로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전달하며(1005),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는 벨 응답(180 Ring) 메시지를 다시 교환기(5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 전달하여 통화 대기를 알린다(1006).
이후, 착신 벨이 울려 착신자가 응답(Hook-off)하는 경우,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영상을 지원하는 단말이라 영상전용으로 응답을 하며, 이때 200 OK 메시지를 이용한다(1007). 즉, 착신 단말(Callee B)(30)은 착신 단말의 SDP를 설정해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tSSW)(20)를 통해 발신 착신 응용 서버(11)로 전달하고(1007), 착신 응용 서버(11)는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로 전달하며(1008), 착신 소프트 스위치(20) 는 다시 교환기(5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경유하여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전달한다(1009). 이에 대해,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60)은 메시지를 받았음을 확인하는 "ACK" 메시지를 교환기(50) 또는 발신 소프트 스위치(20)를 경유하여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착신 응용 서버(11)로 전송하고(1011), 착신 응용 서버(11)는 "ACK" 메시지를 착신 소프트 스위치(20)를 통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한다(1013). 이때, "ACK" 메시지는 음성 및 영상 RTP 통화로(음성 및 영상채널)가 열림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착신 응용 서버(11)가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 "200 OK(answer SDP B)" 메시지를 전달하여(1008,1009), 이에 대한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60)로부터의 "ACK" 메시지를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함에 있어서(1011,1013), 착신 응용 서버(11)는 위치기반형 자막정보 서비스를 위해 착신번호(또는 착신 단말의 IP 주소)를 기준으로 위치정보 관리 서버(15)로 지역코드를 문의하여(1010), 위치정보 관리 서버(15)로부터 해당 지역코드(예로서, 동코드)를 받아둔다(1012). 즉, 위치정보의 획득은 "ACK" 메시지가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되기 전에 획득해 두면 된다. 이 과정은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를 위한 것이다.
이후, 발신 단말(영상전화기)(30,60)과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 간에 음성 및 영상 RTP 채널(음성통화로 및 영상통화로)이 형성되어 발/착신자 간에 음성 및 영상통화가 이루어진다(1014).
한편, 음성 및 영상통화중에 착신 응용 서버(11)는 자막정보 제공을 위해 자막정보 URL 주소를 "INFO" 메시지에 실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로 전송한다(1015). 이에 대해,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INFO"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발신 응용 서버(11)로 전송한다(1016). 그리고, 착신 단말(영상전화기)(30)은 영상정보 관리 서버(자막정보 관리 서버임)(12)와 HTTP를 통해 요청 및 응답 형태로 대화를 형성하여, 자막정보 URL 정보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가져와 상대방 영상에 믹싱하여 재생하게 된다.
이때, 자막정보는 방송형 자막정보,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고, 위치에 기반한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에 기반한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에 기반한 맞춤형 자막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영상정보(/자막정보) 제공시 네트워크 자원 효율화를 위해 음성채널 및 영상채널을 분리하여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예시로 들었으나, 미디어 서버(13) 등의 MCU 기능과 음성/영상 스위칭 기술/기능을 이용하면 영상/음성 채널을 분리하지 않고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발신자 및/또는 착신자에게 영상정보(자막정보 포함 가능함)를 제공함에 있어서, 그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사항, 예컨대, 방송형 영상정보, 맞춤형 영상정보, 통화형 영상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위치기반 의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 중 어떠한 영상정보를 서비스하기를 원하는지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정보 서비스는, 영상전화기(SIP 영상 단말)(30)와 음성전용 전화기[즉, '영상을 지원하지 않고 음성만을 지원'(예로서, 2G 이동통신 단말기, PSTN 음성 전화기 등)하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전화기 사용자가 영상통화를 원하는 않아 음성 모드로 설정된'(예로서, SIP/H.323/H.324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 음성통화 전화기](30,60,80) 간의 음성통화시에, 또는 영상전화기(SIP 영상 단말)(30)와 영상전화기(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영상전화기, 3G 이동통신 단말기 등)(30,60) 간의 영상통화시에, 가입자가 설정한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자막정보)[예로서,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를 가입자의 영상전화기 화면에 제공하거나[이 경우,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함], 상대측 영상전화기 화면에 제공한다[이 경우,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함].
따라서, 영상정보(/자막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경우는,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에서 음성전용 전화기(착신 단말)(30,60,80)로 호 연결 시도시, 또는 음성전용 전화기(발신 단말)(30,60,80)에서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로 호 연결 시도 시, 영상전화기(발신 단말)(30,60)에서 영상전화기(착신 단말)(30,60)로 호 연결 시도시의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호 연결을 시도하면(다이얼링 신호인 INVITE 메시지를 전달하면)(1101), 소프트 스위치(20)가 발/착신 단말의 이용자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1102)).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 스위치(20)는 음성통화 연결 요구 또는 영상통화 연결 요구를 받은 경우에 발신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INVITE 메시지를 지능망을 통해 응용 서버(11)에게 포워딩시켜 이 INVITE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 착신자 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가입 여부를 문의해 그 문의 결과에 따라 호 처리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판단 결과(1102), 발/착신 단말의 이용자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에, 소프트 스위치(20)는 일반적인 호 처리 절차에 따라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 절차를 수행한다(1103).
판단 결과(1102), 발/착신 단말의 이용자가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 소프트 스위치(20)는 영상정보 제공 장치(10)의 응용 서버(11)로 해당 정보를 전달하고, 응용 서버(11)는 발/착신 단말 이용자(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가입 형태에 따라 제공될 영상정보(/자막정보)를 구분한다.
만약, 발/착신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1104), 응용 서버(11)는 위치기반으로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1105),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가입자 또는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가입자로 설정한다(1106,1107).
한편, 발/착신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가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1108), 응용 서버(11)는 위치기반으로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1109),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가입자 또는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가입자로 설정한다(1110,1111).
다른 한편, 발/착신 영상정보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도 아니고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서비스 가입자도 아닌 경우에(1108), 응용 서버(11)는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가입자로 간주하게 된다. 이때, 위치기반으로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1112),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가입자 또는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가입자로 설정한다(1113,1114).
이후, 응용 서버(11)는 미디어 서버(13)로 발/착신 단말 가입자의 영상정보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전달하고, 미디어 서버(13)는 응용 서버(11)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를 바탕으로 발/착신 단말에 해당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한다(1115).
그리고, 응용 서버(11)는 발/착신 단말 간의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가 종료되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다가(1116), 발/착신 단말 간의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가 종료되면 응용 서버(11)는 미디어 서버(13)로 발/착신 단말로의 영상정 보(/자막정보) 제공을 중지하라는 신호를 전달하고(1117), 이에 따라 미디어 서버(13)는 영상정보(/자막정보)의 제공을 중지한다(1118).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영상전화기를 통한 음성 또는 영상 통화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발신측이 영상전화기이고 착신측이 음성전용 전화기인 경우의 통화연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발신측이 음성전용 전화기이고 착신측이 영상전화기인 경우의 통화연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발신측과 착신측이 모두 영상전화기인 경우의 영상통화 연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가 적용되는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영상통화로 및 음성통화로를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중 음성통화중에 발신측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중 음성통화중에 착신측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중 영상통화중에 발신측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중 영상통화중에 착신측 영상전화기로 영상정보(/자막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도 11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1 : 응용 서버
12 : 영상정보 관리 서버 13 : 미디어 서버
14 : 컨텐츠 DB 15 : 위치정보 관리 서버

Claims (59)

  1.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상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통화형 영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자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화형 영상정보에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4.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음성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상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맞춤형 영상정보,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자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맞춤형 영상정보, 상기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에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7.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상 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상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자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에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0.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영상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영상정보 관리 서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음성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응용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미디어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상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자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상기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에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은,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이며,
    상기 상대측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지 않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음성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전용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4. 제4항 내지 제6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이며,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기 상대측 단말은, 영상을 지원 하지 않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음성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전용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음성통화시 재생될 영상정보의 컨텐츠 ID 또는 VXML URL을 전달받아, 컨텐츠 ID를 바탕으로 상기 컨텐츠 DB에 질의 및 응답받아 해당 영상정보를 재생하거나, VXML URL을 바탕으로 상기 영상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영상정보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6.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자막정보 관리 서버; 및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영상통화시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상대측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은,
    상기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상기 자막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통화형 자막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19.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자막정보 관리 서버; 및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영상통화시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상기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상기 자막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2.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자막정보 관리 서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및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영상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상대측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은,
    상기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상기 자막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5.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컨텐츠 DB 및 자막정보 관리 서버;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위치정보 관리 서버; 및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며,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영상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한 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서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상기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상기 자막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8. 제16항 내지 제18항, 또는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은,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이며,
    상기 상대측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29. 제19항 내지 제21항, 또는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이며,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기 상대측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30. 제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채널 또는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스위칭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 또는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장치.
  31.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고,
    상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통화형 영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자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화형 영상정보에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34.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상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맞춤형 영상정보,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자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맞춤형 영상정보, 상기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에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37.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상대측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상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자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기반의 통화형 영상정보에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0.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미디어 서버의 영상채널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 간에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음성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음성통화중에, 상기 결정된 위치기반형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 및 컨텐츠 유형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기반형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소리가 없는 순수 영상정보이며,
    상기 순수 영상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 영상정보의 제공 형태는, 자막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기반의 맞춤형 영상정보, 상기 위치기반의 방송형 영상정보 중 어느 하나에 통화형 자막정보,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를 맵핑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3. 제31항 내지 제33항, 또는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은,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이며,
    상기 상대측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지 않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음성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전용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4. 제34항 내지 제36항, 또는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이며,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상기 상대측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지 않거나 영상을 지원하지만 음성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음성전용 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5.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영상통화시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 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형으로 결정된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상대측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이 상기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자막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통화형 자막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8.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영상통화시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형으로 결정된 해당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상기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자막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맞춤형 자막정보,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정보 서비스 방법.
  51.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대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영상통화시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형으로 결정된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상대측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상대측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은,
    상기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자막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통화형 자막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4.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영상통화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될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유형으로 결정된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을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의 영상통화중에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이 상기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URL에 대응되는 자막정보를 자막정보 관리 서버에 요청 및 응답받아, 해당 위치기반형 자막정보를 상대방 영상 정보에 맵핑시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기반형 자막정보의 컨텐츠 유형은,
    위치기반의 맞춤형 자막정보, 위치기반의 방송형 자막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7. 제45항 내지 제47항, 또는 제5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단말은,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이며,
    상기 상대측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8. 제48항 내지 제50항, 또는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은, 상기 발/착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이며,
    상기 서비스 가입자 단말과 영상통화중인 상기 상대측 단말은, 영상을 지원하고 영상 모드로 설정된 착/발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영상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59. 제31항 내지 제42항, 또는 제45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 또는 영상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은,
    발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발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착신 단말로 스위칭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통화 연결 요청 수락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의 채널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로 스위칭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 간에 음성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정보 서비스 방법.
KR1020070130586A 2007-12-14 2007-12-14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및 그 방법 KR10143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586A KR101435684B1 (ko) 2007-12-14 2007-12-14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586A KR101435684B1 (ko) 2007-12-14 2007-12-14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298A true KR20090063298A (ko) 2009-06-18
KR101435684B1 KR101435684B1 (ko) 2014-09-01

Family

ID=4099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586A KR101435684B1 (ko) 2007-12-14 2007-12-14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6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916B1 (ko) * 2008-08-18 2009-11-30 (주)티아이스퀘어 영상 단말과 음성 단말 간의 통화중에 영상 단말에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638B1 (ko) * 2017-08-30 2019-02-12 (주)다드림아이앤에스 영상호전환 서버 시스템, 영상호 전환을 통한 비대면인증 시스템 및 영상호전환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0547B2 (en) * 2001-12-10 2003-11-04 Power Systems Mfg, Llc Effusion cooled transition duct with shaped cooling ho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916B1 (ko) * 2008-08-18 2009-11-30 (주)티아이스퀘어 영상 단말과 음성 단말 간의 통화중에 영상 단말에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684B1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026B1 (ko) 가상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102242A (ko)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여 존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1277343A (zh) 在语音通信网络中实现视频捆绑的方法、终端及系统
CN101123647B (zh) 一种通信方法、系统和业务控制功能实体
CN101184194B (zh) 播放视频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127667B1 (ko) 음성통화중에 일측의 영상 지원 단말기로 영상 컨텐츠를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453524A (zh) 一种多媒体业务的实现方法
KR20060136199A (ko) 음성통화중에 일측의 영상 지원 단말기로 영상 컨텐츠를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466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losed circuit television
US89088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CN101009574A (zh) 一种多媒体信息传送的方法、终端和系统
US9712616B2 (en) Method for calling up a media file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calling up the media file
KR20050040605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101435684B1 (ko)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영상정보를 서비스하는 장치및 그 방법
US20090165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viewers of television to enter into contact with a source of an advertised product or service
KR100704828B1 (ko) 발신정보표시 방식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593788B1 (ko) 셋톱박스를 이용한 전화연결 방법 및 그 장치, 셋톱박스
KR20090087958A (ko) Poc 미디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093801B1 (ko) 인터넷전화에서 오디오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23801B1 (ko) 영상 전화망에 있어 음성 통화 시 영상 광고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802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lick-to-talk service for advertisements
CN100531153C (zh) 在ip多媒体通信网络上提供信息资源展示的系统和方法
KR20090062895A (ko) 통화중에 영상전화기 화면에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스크랩할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부가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1016B1 (ko) 방송매체를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방법에대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densamer Personalized VoLTE and Mobile Video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