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920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920A
KR20090062920A KR1020070130407A KR20070130407A KR20090062920A KR 20090062920 A KR20090062920 A KR 20090062920A KR 1020070130407 A KR1020070130407 A KR 1020070130407A KR 20070130407 A KR20070130407 A KR 20070130407A KR 20090062920 A KR20090062920 A KR 20090062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unting portion
terminal body
portable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3810B1 (ko
Inventor
신만수
윤양훈
김정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8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 및 단말기 본체에 배치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작부를 포함함으로써, 작고 한정된 크기를 갖는 단말기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외관을 개선시킨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팔이나 손목 등과 같이 인체에 착용하여 휴대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한꺼번에 탑재되어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이 제공되고 있다.
아울러,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기도 한다.
전통적인 휴대 단말기의 기구적인 형태는 기기를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를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 등에 넣고 휴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하는 과정에서 분실 또는 낙하 등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를 옷이나 장신구 또는 손목시계처럼 착용하는 예가 제시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성이 양호하게 구현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손목이나 팔 등과 같이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시하되, 작은 외관을 구현하면서도 양호한 사용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 및, 단말기 본체에 배치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에는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장착부에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제2장착부에는 조작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장착부는 제1장착부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편리한 입출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조작부는 단말기 본체의 폭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휠은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골이 형성된 원통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휠의 양측에 누름 입력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푸시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휠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한 쌍의 푸시키의 누름동작에 의해 입력 가능한 복수의 숫자 또는 문자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부는 디스플레이와 밴드가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는 두 연결부위들 중 어 느 한 연결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와 밴드가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는 두 연결부위들 중 다른 하나의 연결부위와의 사이에 스피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 본체에는 제3장착부가 구비되고, 제3장착부에 스피커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장착부는 제2장착부와 대칭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부는 배향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저해하지 않고 인체의 형상에 맞는 외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단말기 본체는, 인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제공하며, 양단에 밴드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와, 제1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2장착부 및 제3장착부를 형성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제2 및 제3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의 연결부는 상기 밴드의 양 끝단면(egde surface)에 맞대어져 스크루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가 연결되는 부위의 강성이 개선되고 밴드에 내장될 수 있는 부품의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기대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UIM/SIM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홀이 형성되고, 수납홀에 탈착가능한 덮개가 장착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내장형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내장형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기 본체에는 외부 이어셋과 무선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복수의 방향으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조작부가 디스플레이와 밴드가 연결되는 단말기 본체의 연결부위 사이에 배치되므로, 작고 한정된 크기를 갖는 단말기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외관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의 크기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120)가 외면에 배치된 단말기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본체(110)의 양단은 손목이나 팔 등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150)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단말기 본체(110)는 통신망 내에서 기지국, 서버장치,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110)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조작부(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1에 의하면, 디스플레이(120)와 밴드(150)가 단말기 본체(110)에 연결되는 두 연결부위들 중 다른 하나의 연결부위와의 사이에는 스피커(140)가 배치된다.
밴드(150)는 가죽(leather) 또는 고무(rubber)나 플라스틱(plastics)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단일층이 적층되어 다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150)의 내부에는 단말기 본체(110)와 기지국 사이 또는 단말기 본체(110)와 이어셋과 같은 외부의 독립 장치 또는 부가 장치와 무선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안테나 방사체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안테나 방사체(454,455)가 밴드(450)에 내장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밴드(150)에는 손목이나 팔 등에 단말기 본체(110)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패스너(fastener;151)가 구비될 수 있다. 패스너(151)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패스너(151)가 버클 형태로 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단말기 본체(110)의 외측에는 디스플레이(120)가 구비된 제1장착부(111), 제1장착부(111)에 연결되며 밴드(15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장착부(112) 및 제1장착부에 연결되며 밴드(150)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3장착부(113)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제1장착부(111) 내지 제3장착부(113)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수단들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장착부(112) 및 제3장착부(113)는 각각 제1장착부(111)에 대하여 대칭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착용시 외관을 떨어뜨리는 돌출 부위 등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도에 맞는 입출력수단의 배치가 용이하다. 일 예로, 제2장착부(112)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 조작부(130)가 구비되고, 제3장착부(113)에는 음향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140)가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한 입출력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제2장착부(112) 및 제3장착부(113)는 밴드(150)의 외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균등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밴드(150)와 제2장착부(112) 사이 및 밴드(150)와 제3장착부(113) 사이에 급격한 형상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조작부(130)는 밴드(150)의 폭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131)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휠(131)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회전축이 밴드(15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휠(131)의 양단에는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푸시키(132,133)가 구비된다. 나아가, 휠(131)은 자체로 누름 조작에 의하여 입력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휠(131)은 그 일부가 제2장착부(112)에 잠기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휠(131) 및 푸시키(132,133)의 형상과 배치는 휠(131)을 회전시키기 위해 손가락이 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100)를 소형화시키는데 유리하다. 푸시키(132,133)의 양단에는 비의도적인 누름에 의한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누름방지수단 또는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휠(131)은 손가락 등을 대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모드에서 포인터나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각종 조절 가능한 양, 예를 들어 음량, 화면의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골이 형성된 원통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휠(131)의 정회전 및 역회전과 한 쌍의 푸시키(132,133)의 누름동작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숫자 또는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20)에 숫자나 문자가 나열되면 사용자는 휠(131)과 푸시키(132,133)에 의하여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켜 해당 숫자나 문자를 선택하여 다이얼링을 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편집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120)는 휴대 단말기(100)가 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대기모드에서 현재의 시각이나 날짜 또는 제한된 몇 가지 항목이나 이미지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휠(131)의 정회전과 역회전 및 푸시키들은 커서나 포인터에 대한 4방향 지시를 의미할 수 있다. 휠(131)의 회전과 푸시키(132,133)의 클릭의 조합에 의하여 어느 한 항목에 대한 선택을 하는 경우, 그 항목으로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휠(131)을 눌러주면 해당 항목 또는 기능이 실행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200)의 전면 모습은 위에서 설명한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응되는 요소에 대하여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210)의 후면에는 단말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덮개(261)가 구비되어 있다.
단말기 본체(210)의 후면에는 UIM/SIM 카드(User Identity Module/Subscriber In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홀(263)이 형성되고 있으며, 덮개(261)는 수납홀(263)에 탈착되도록 형성되고 있 다. 이를 위해 덮개(261)는 수납홀(263)에 억지끼움이나, 나사식 체결 또는 스크루와 같은 체결부품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UIM/SIM 카드(265) 및 접속 상태는 외부로부터 충분히 보호될 수 있으며, 수분의 침투로부터도 보호될 수 있다.
UIM/SIM 카드(265)는 카드 소켓(264)에 끼워져 단말기 본체(210)와 접속된다. 카드 소켓(264)에 접속되는 카드는 이외에도 메모리 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카드 소켓(264)은 다른 형태의 카드가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카드 소켓(264)은 UIM/SIM 카드(265) 외에 다른 카드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을 때 접속단자를 공용시킬 수 있도록 다른 카드의 디텍터(detector)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텍터 수단은 UIM/SIM 카드(265) 및 다른 카드에 의하여 연동되는 핀(pin)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덮개(261)의 일측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단자(262)가 배치되고 있다. 충전 단자(262)는 휴대 단말기(100)를 충전하기 위한 다른 외부 충전장치 또는 플러그 수단과 접속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시예와 달리, 충전 단자(262)는 수납홀(263)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자주 사용되는 충전 단자(262)를 신속하게 노출시킬 수 있도록 덮개(261)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시키고 덮개(261)의 일측에 충전 단자(262)가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의 홈을 마련하여 덮개(261)가 특정 회전위치로 되었을 때 충전을 하도록 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도 있 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300)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휴대 단말기(100)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응되는 요소에 대하여는 유사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4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310)는 외관을 이루는 복수의 프레임들(301,302,303)을 포함한다. 즉, 단말기 본체(310)는 인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제공하며 양단에 상기 밴드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301a)가 형성된 제1프레임(301), 제1프레임(301)의 상부에 결합되며 위에서 설명한 제2장착부(도 1의 112번 참조) 및 제3장착부(도 1의 113번 참조)을 형성할 수 있게 경사면(302a,302b,303a,303b)을 갖는 제2 및 제3프레임(302,303)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프레임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프레임(302)과 제3프레임(303)이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프레임을 더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1프레임(301)의 연결부(301a)는 밴드(350)의 양 끝단면(egde surface)에 맞대어져 스크루(318)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게 맞댈 수 있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대응하여 밴드(350)의 양 끝단면에는 스크루(318)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35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방식은 밴드(350)와 단말기 본체(310) 사이의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움직이거나 변형되지 않게 하여, 밴드(350)에 장착될 수 있는 다른 부품의 성능 구현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 단말기 본체(310)와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그리고, 밴드(350)에 내장되는 부품의 전송선(352)이 연결부(301a)를 통과하여 단말기 본체(310)에 연결되는 경우, 연결 부(301a) 부근에서의 변형이나 상대 이동이 없으므로 전송선(352)은 안전하게 보호된다.
제2 및 제3프레임(302,303)은 단말기 본체(310)의 전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제2장착부(도 1의 112번 참조)과 제3장착부(도 1의 113번 참조)을 형성할 수 있도록 경사면(302a,302b,303a,303b)이 구비된다. 경사면(302a,302b,303a,303b)을 통하여 조작부(330) 및 스피커(340)가 노출된다.
프레임들(301,302,3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들(301,302,303)의 외부 및 내부 공간에는 윈도우(304), 디스플레이(320), 제1회로기판(316), 배터리(315), 제2회로기판(334), 조작부(330), 제3회로기판(341), 스피커(340) 등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320)는 대략 단말기 본체(310)의 제1장착부(도 1의 111번 참조)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20)는 투광성의 윈도우(304)의 내부에 배치되며,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320)와 윈도우(304) 사이에는 터치 인식수단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배터리(315)는 충전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310)의 내부에 내장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315)는 앞에서 설명한 충전단자(도 2의 262번 참조)를 통하여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각종 부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1회로기판(316)에는 이동통신과 입출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실장된다. 조작부(330)와 제2회로기판(334)은 결합되어 모듈 형태의 어셈블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스피커(340)는 제3회로기판(341)에 지지된다. 제2회로기판(334)과 제3회로기판(341)은 각각 제1회로기판(316)과 연결선 또는 에프피시비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조작부(330)의 테두리 부분은 제2 및 제3프레임(302,303)과의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방수 기능을 돕기 위한 실란트(sealant)를 포함할 수 있다. 실란트는 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밴드(350)가 제1프레임(301)과 만나는 부위에서 밴드(150)의 적어도 일부가 제1프레임(301)의 연결부(301a)에 끼워지며 체결됨으로써 연결부(301a) 부근으로 수분이나 먼지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40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휴대 단말기(100)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포함할 수 있으며, 대응되는 요소에 대하여는 유사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위에서 설명된 제1장착부(도 1의 111번 참조)을 이루는 윈도우(402)의 외면은 휴대 단말기(400)의 외관 형상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배향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난반사를 줄이기 위하여 윈도우(402)는 틈이 없는 열처리 유리(gapless tempered glass)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의하면, 밴드(450)는 단말기 본체(410)에 체결되기 위한 베이스부재(459), 베이스부재(459)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피층(456) 및 제1피층(456)의 양 표면에 부착되는 제2피층(457,458)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1피층(456)과 제2피층(457,458) 사이에 안테나 방사체(454,455)가 배치되고 있다.
안테나 방사체(454,455)는 가요성 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안테나 방사체(454,455)는 절연성 시트에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방사체(454,455)는 이동통신을 위한 제1안테나 방사체(454) 및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안테나 방사체(455)를 구비한 예를 보여 주고 있다. 제1안테나 방사체(454)와 제2안테나 방사체(455)는 단말기 본체(41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안테나 방사체(454)는 이동하면서 기지국이나 타 사용자와 송수신할 수 있는 대역(예를 들어, CDMA, GSM 등)을 갖도록 그에 상응하는 길이와 패턴으로 형성되며, 제2안테나 방사체(455)는 무선 이어폰이나 근거리에 있는 서버 장치 등과 교신할 수 있는 길이와 패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무선 이동통신을 위한 제1안테나 방사체(454)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안테나 방사체(455)를 구비함으로써, 안테나 방사체(454,455)가 단말기 본체(410)에 대하여 돌출되거나 노출된 종래의 예에 비하여 우수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방사체(454,455)의 용적이 줄어든 만큼 휴대 단말기(400)의 크기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는 이동통신 모듈(81), 조작부(30), 디스플레이(20), 음향 출력부(40), 메모리(82), 근거리 통신모듈(83), 전원공급부(15),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무선 이동통신 모듈(81)을 통하여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이외에도 제어부(80)는 근거리 통신모듈(83)을 통하여 이어셋과의 무선 교신 도는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등과 교신하도록 한다.
무선 이동통신 모듈(81)은 제1안테나(54)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근거리통신 모듈(83)은 제2안테나(55)를 통하여 이어셋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교신하도록 한다.
조작부(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80)에 제공한다. 조작부(30)를 이루는 휠과 푸시키는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휠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하여 원하는 메뉴나 기능 으로의 빠른 액세스가 가능하게 되며, 휠의 누름에 의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고, 푸시키를 통하여 휠에 의하여 지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20)에 숫자 또는 알파벳을 나열한다. 나열된 숫자 또는 알파벳은 사용자의 휠 또는 푸시키의 조작을 통하여 특정되어 디스플레이(20)를 통하여 전화번호나 문장으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20)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20)는 휴대 단말기가 갖는 다양한 모드에 따른 숫자, 문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출력한다. 일 예로 휴대 단말기가 전화걸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20)는 입력받은 숫자를, 메시지의 전송모드일 때 입력받는 문자나 숫자를, 기능을 탐색할 수 있도록 메뉴를 또는 대기모드일 때 시각을 각각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2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40)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모듈(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82)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40)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40)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2)는 제어부(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82)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는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40), 디스플레이(2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80)에 출력하는 방송수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82)에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는 외부에서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 인터페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5)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충전단자(도 3의 262번 참조)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분리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Claims (18)

  1.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양단에 연결되는 밴드; 및
    상기 단말기 본체에 배치되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장착부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제2장착부에 상기 조작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는 상기 제1장착부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폭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휠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인 골이 형성된 원통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의 양측에 누름 입력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푸시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휠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상기 한 쌍의 푸시키의 누름동작에 의해 입력 가능한 복수의 숫자 또는 문자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밴드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는 두 연결부위들 중 어느 한 연결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밴드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는 두 연결부위들 중 다른 하나의 연결부위와의 사이에 스피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제3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장착부에 상기 스피커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장착부는 상기 제2장착부와 대칭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는 배향된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는,
    인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제공하며, 양단에 상기 밴드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장착부 및 제3장착부를 형성할 수 있게 구성되는 제2 및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연결부는 상기 밴드의 양 끝단면에 맞대어져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UIM/SIM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홀에 탈착가능한 덮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내장형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외부 이어셋과 무선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30407A 2007-12-13 2007-12-13 휴대 단말기 KR101463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407A KR101463810B1 (ko) 2007-12-13 2007-12-13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407A KR101463810B1 (ko) 2007-12-13 2007-12-13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920A true KR20090062920A (ko) 2009-06-17
KR101463810B1 KR101463810B1 (ko) 2014-11-20

Family

ID=4099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407A KR101463810B1 (ko) 2007-12-13 2007-12-13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487A (ko) * 2014-05-07 201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장착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610Y1 (ko) * 2003-01-24 2003-04-14 주식회사 카서 손목착용형 착신신호 전기자극형 이동통신장치
KR20070028774A (ko) * 2005-09-07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휠 버튼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487A (ko) * 2014-05-07 201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장착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810B1 (ko)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0716B2 (en) Mobile terminal
US8170633B2 (en)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user's wrist or forearm
KR101427260B1 (ko) 밴드형 휴대 단말기
US9325817B2 (en) Customizable modular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EP2813907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101529921B1 (ko) 와치형 단말기
EP2044507B1 (en) Configurable modular multi-function communication device
US20080248838A1 (en) Watch-like cell phone
EP2071812A1 (en) Mobile terminal in a bangle.
KR10140987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02731A (ko) 이동 단말기
KR101427262B1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66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62920A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65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83247A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6109A (ko) 휴대 단말기
KR101484537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11060A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20100039741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