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730A -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730A
KR20090061730A KR1020070128643A KR20070128643A KR20090061730A KR 20090061730 A KR20090061730 A KR 20090061730A KR 1020070128643 A KR1020070128643 A KR 1020070128643A KR 20070128643 A KR20070128643 A KR 20070128643A KR 20090061730 A KR20090061730 A KR 20090061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ground
area
subject
main subjec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박창준
양광호
이만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730A/ko
Publication of KR2009006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는, 광원 발생부의 광원을 조사하여 배경 피사체의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영역 정보 획득부와, 주 피사체 및 배경 피사체가 담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촬영부와, 배경 피사체 영역 정보를 토대로 영상 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의 배경 피사체 영역에 흐림 처리 효과를 주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 주사 방법과 움직임 감지 방법을 통해 주 피사체 영역과 배경 피사체 영역을 구별하고, 이를 토대로 촬영된 영상에서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해 배경 흐림 효과를 줌으로서, 별도의 장치, 예컨대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배경 흐림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이미지 처리 과정 없이 배경 흐림 처리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배경 흐림, 효과, 피사체, 배경 피사체

Description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ACKGROUND BLURRING EFFECT}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 및 이미지 처리 과정 없이 배경 흐림 효과를 처리할 수 있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통신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6-S-044-02, 과제명: 멀티코아 CPU 및 MPU 기반 크롯 플랫폼 게임기술개발].
최근 들어, 통신 기술 및 카메라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개인이 휴대하면서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는 단말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여기서, 단말이란 웹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개인 휴대 멀티미디어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을 말하며, 무선 통신 단말기란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PCS), 스마트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내장형 카메라가 장착된 단말기를 말한다.
배경 흐름 효과 촬영 기법은 피사계심도권에서 벗어난 부분의 영상을 흐르게, 즉 초점이 맞지 않게 하고, 관심 영역의 주 피사체(예를 들면, 인물)만 초점이 맞도록 하여 주 피사체를 강조하고 배경을 흐르게 하여 인물의 특징을 강조할 때 주로 사용하는 촬영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배경 흐림 효과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의 경우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거나 조리개를 최대한 개방하여 피사계심도를 얕게 촬영하거나 소형 촬상 소자를 가진 고배율 줌 카메라를 사용하여 최대줌인하여 화각을 최대한 좁혀서 피사체를 촬영한다.
그러나, 조리개 조절기능과 고배율 광각줌을 채용하지 않는 내장 카메라(예를 들면, 카메라폰)와 외장 카메라(예를 들면, 웹 카메라) 등에서는 배경 흐름 효과 영상 획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획득한 영상을 개인용 컴퓨터로 옮겨서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부각할 주 피사체의 테두리를 지정하고 그 나머지를 배경흐림 효과를 주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나, 주 피사체를 선정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록특허 10-0504819호(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신호 아웃포커싱 장치 및 방법'에서는 획득괸 영상을 터치스크린에 출력하여 출력된 영상에서 주 피사체의 외곽선(테두리)을 사용자가 직접 그려주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등록특허 10-0617659(디지털카메라 기기 및 아웃포커싱 처리방법)'에서는 획득된 영상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차이를 계산하고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심 도를 반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등록특허 10-0645749(획득영상의 심도조절기능을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방법)'에서는 경계선 포착 알고리즘, 히스토그램 분석방법 등 많은 시간이 소요 이미지 처리방법을 제안하였다.
'등록특허 10-0652688(휴대단말기의 영역선택 초점장치 및 방법)'에서는 획득된 영상을 다수 영역으로 분할하여 출력하고, 분할된 영역에서 주 피사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공개특허 10-2006-0124176(아웃포커싱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카메라)에서는 촬영위치를 변경하여 획득된 2개 영상을 비교하여 변화가 적은 영역을 주 피사체로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등록특허 10-0716179(두 대의 카메라 폰을 이용한 아웃포커싱 영상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서는 스트레오 카메라 단점보완을 위해 2대의 카메라 폰을 연결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주 피사체를 지정을 위하여 사용자에게 피사체를 선택하는 수작업을 요구하거나 거리 센서를 부착시키거나 복잡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채택하거나, 2곳 이상에서 촬영을 요구하거나, 2대의 카메라폰을 연결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댄 단말기의 영상 획득 수단과 함께 장착된 광원 주사 수단을 이용하여 배경 피사체와 주 피사체간의 구별을 통해 배경 흐림 효과를 줌으로서, 별다른 장치의 추가 없이 배경 흐름 효과 처리된 영상을 획득한다.
본 발명은 촬영 시점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주피사체의 외곽을 지정하여 주피사체를 구별함으로서, 촬영 이후에 별다른 처리 과정 없이 배경 흐림 효과 처리된 영상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으로서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는, 주 피사체 및 배경 피사체가 담긴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광원 발생부와, 상기 광원 발생부의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배경 피사체의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영역 정보 획득부와, 상기 주 피사체 및 배경 피사체가 담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배경 피사체 영역 정보를 토대로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의 배경 피사체 영역에 흐림 처리 효과를 주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으로서 배경 흐림 효과 처리 방법은, (a)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광원 발생부를 구동시켜 광원을 피사체에 주사하는 단계와, (b) 상기 주사된 광원에 의해 상기 피사체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감세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산출된 감세율을 토대로 상기 피사체에서 배경 피사체의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d)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영상을 취득한 후 상기 취득한 영상에서 상기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해 흐림 효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으로서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는, 주 피사체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기준 패턴이 저장되어 있으며, 영상 촬영 시점에서 구동되어 상기 기준 패턴에 대응되는 물체의 움직임의 추적하여 상기 움직임에 따른 궤적 정보를 저장하는 움직임 검출부와, 상기 영상 촬영 후에 상기 궤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주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와, 상기 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주 피사체 영역 밖의 영역에 대해 흐림 효과를 처리하는 흐림 효과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으로서 배경 흐림 효과 처리 방법은, (a) 주 피사체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기준 패턴을 등록하는 단계와, (b) 영상 촬영 시 상기 기준 패턴에 대응되는 물체의 움직임의 추적하여 상기 움직임에 따른 궤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영상 촬영 후에 상기 궤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주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d) 상기 검출된 주 피사체 영역 밖의 영역에 대해 흐림 효과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원 주사 방법과 움직임 감지 방법을 이용하여 주 피사체 영 역과 배경 피사체 영역을 구별하고, 구별된 배경 피사체 영역에 흐림 처리 효과를 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광원 주사 방법과 움직임 감지 방법을 통해 주 피사체 영역과 배경 피사체 영역을 구별하고, 이를 토대로 촬영된 영상에서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해 배경 흐림 효과를 줌으로서, 별도의 장치, 예컨대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배경 흐림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이미지 처리 과정 없이 배경 흐림 처리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부착된 후레쉬와 같은 광원 발생 수단을 이용하여 피사체 내에서 주 피사체와 배경 피사체를 구분한 후 이를 토대로 촬영된 영상에 배경 흐림 처리 효과를 준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전에 주 피사체 영역을 임의의 패턴, 예를 들어 손가락을 이용하여 지정한 후 이를 토대로 촬영된 영상에 배경 흐림 처리 효과를 준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가 적용된 휴 대 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광원 발생부(100), 영역 정보 획득부(110), 영상 촬영부(120),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130), 영상 저장부(140), 입출력부(150) 및 무선 송수신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 단말기는 웹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개인 휴대 멀티미디어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을 말하며, 여기서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등을 말한다.
광원 발생부(100)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광원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예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주위에 부착된 후레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광원 발생부(100)는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에 구동되거나 촬영 전에 배경 흐림 처리 효과를 주기 위한 주 피사체 영역과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구동된다.
영역 정보 취득부(110)는 광원 발생부(100)의 제어를 통해 광원을 발생시켜 피사체 내에서 배경 피사체와 주 피사체(예를 들면, 인물)의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데, 즉 광원, 예를 들면 레이저 혹은 적외선을 방출하여 주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한 후 수광된 반사광의 감세율 측정을 통해 주 피사체와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즉, 주 피사체가 배경 피사체에 비해 카메라와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주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감세율이 배경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감세율에 비해 적은 값을 가지며, 영역 정보 취득부(110) 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주 피사체 영역과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20)는 광원 발생부(100)의 제어를 통해 레이저 혹은 적외선을 주 피사체에 주사한 후 레이저 혹은 적외선이 반사되어오는 시간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와 주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토대로 조리개 수치와 셔터 스피드 등을 자동을 조절한다.
영상 촬영부(120)는 자동 조절된 조리개 수치와 셔터 스피드를 이용하여 초점에 맞는 영상을 촬영한 후 이를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130)에 제공한다.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130)는 영역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주 피사체와 배경 피사체의 영역 정보를 토대로 배경 피사체의 영역에 흐림 효과를 적용시킨 후 흐림 효과가 적용된 영상을 영상 저장부(140)에 저장시킨다.
즉,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130)는 배경 피사체 영역의 픽셀 정보를 추출하여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 색상값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배경 피사체 영역을 처리해줌으로서, 배경 피사체 영역에 흐림 효과를 주어 주 피사체의 선명도를 높인다.
입출력부(150)는 액정 크리스탈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이 영상을 출력하거나 작업 진행 사항을 표시하는 영상 출력 수단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터치 패드, 키보드, 메뉴키, 기능키 등의 입력 수단과, 음성 명령을 입력하고 음성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 송수신부(160)는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예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 모듈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경 흐림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 후 배경 흐림 효과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광원 주사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에 배경 흐림 효과를 주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광원 주사 방식에 의한 배경 흐림 효과를 처리하는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내/외장 카메라에 부착된 광원 발생부(100), 예를 들면 후레쉬를 활용할 수 있는 상황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촬영 전에 영역 정보 획득부(110)는 광원 발생부(100)의 제어를 통해 광원을 피사체에 주사한 후(S200),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한다(S202).
그런 다음, 영역 정보 획득부(110)는 수광된 반사광의 감세율을 계산(S204)한 후 주 피사체와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한 구분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206).
S206의 판단 결과, 구분이 불가능한 경우 영역 정보 획득부(110)는 S200으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하며, 구분이 가능한 경우 영역 정보 획득부(110)는 주 피사체와 배경 피사체의 영역 정보를 획득하여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130)에 제공한다(S208).
그런 다음, 영상 촬영부(120)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함으로서, 영상을 획득하여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130)에 제공한 다(S210).
이후,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130)는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주 피사체를 제외한 배경 피사체 영역의 픽셀을 획득한 후 이를 토대로 배경 피사체 영역의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 색상값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배경 피사체 영역에 흐림 효과를 처리한다(S212, S214, S216). 이와 같이,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해 흐림 효과가 처리된 영상은 영상 저장부(140)에 저장된다(S218).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사체에 대한 광원 주사 방법을 통해 주 피사체 영역과 배경 피사체 영역을 구별하고, 이를 토대로 촬영된 영상에서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해 배경 흐림 효과를 줌으로서, 별도의 장치, 예컨대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배경 흐림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움직임 검출부(300), 영역 검출부(310), 영상 촬영부(320),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330), 영상 저장부(340), 입출력부(350) 및 무선 송수신부(3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광원 발생 수단, 예컨대 후레쉬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부착된 광원 발생 수단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 이용된다.
움직임 검출부(300)는 주 피사체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기준 패턴, 예를 들면 손가락 패턴이 내부 메모리(도시 생략됨)에 저장되어 있으며, 영상 촬영 시점에 구동되어 기준 패턴에 대응되는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한 후 움직임에 다른 궤적 정보를 영역 검출부(310)에 제공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주 피사체를 지정하는 경우에 기준 패턴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포함한 손 패턴이 되며, 이러한 기준 패턴은 사용자가 임의로 다른 패턴을 등록함으로서, 업데이트되어진다. 즉, 사용자가 펜을 기준 패턴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펜을 등록함으로서, 움직임 검출부(3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패턴을 업데이트시킨다.
이와 같이, 손 패턴을 기준 패턴으로 이용하는 경우 움직임 검출부(300)는 촬영 전에 손의 움직임을 추적한 후 움직임에 따른 궤적 정보를 영역 검출부(310)에 제공한다.
영역 검출부(310)는 궤적 정보를 토대로 폐곡선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폐곡선이 존재하고 폐곡선 내에 주 피사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폐곡선 내부를 주 피사체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서, 주 피사체의 영역 정보를 검출하여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330)에 제공한다.
영상 촬영부(320)는 조리개 수치와 셔터 스피드를 이용하여 초점에 맞는 영상을 촬영한 후 이를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330)에 제공한다.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330)는 촬영 영상을 주 피사체의 영역과 그 외 영역(배경 피사체 영역)으로 분할한 후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해 흐림 효과를 줌으로서, 흐림 효과 처리된 배경 피사체와 흐림 효과 처리되지 않은 주 피사체로 구성된 영상을 영상 저장부(340)에 저장한다.
즉,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330)는 촬영 영상에서 배경 피사체 영역의 픽셀 정보를 추출하여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 색상값에 대응되는 색상으 로 배경 피사체 영역을 처리해줌으로서, 배경 피사체 영역에 흐림 효과를 주어 주 피사체의 선명도를 높인다.
입출력부(350)는 액정 크리스탈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이 영상을 출력하거나 작업 진행 사항을 표시하는 영상 출력 수단과,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터치 패드, 키보드, 메뉴키, 기능키 등의 입력 수단과, 음성 명령을 입력하고 음성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 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 송수신부(360)는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예로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 모듈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배경 흐림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 후 배경 흐림 효과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움직임의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에 배경 흐림 효과를 주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광원 발생 수단(후레쉬)이 부착되어 있지 않거나 광원 발생 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촬영한 영상에 배경 흐림 효과를 주기 위해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기준 패턴, 예컨대 손가락을 포함한 손 패턴을 입력한다(S400). 즉,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조작에 따라 움직임 검출부(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포함한 손 패턴을 기준 패턴으로 설정하기 위해 내부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그런 다음, 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움직임 검출부(300)는 기준 패턴에 대응되는 물질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402), S402의 판단 결과 움직임이 있는 경우 움직임을 추적하여 움직임에 따른 궤적 정보를 검출하여 영역 검출부(310)에 제공한다(S404).
이후, 영역 검출부(310)는 움직임 검출부(300)로부터 제공받은 궤적 정보를 토대로 궤적이 폐곡선인지를 판단하며(S406), S406의 판단 결과 궤적이 폐곡선이 아닌 경우에 S402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기준 패턴에 대응되는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궤적 정보를 검출하고, 궤적이 폐곡선인 경우 폐곡선 영역에 주 피사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08).
S408의 판단 결과, 폐곡선 영역에 주 피사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영역 검출부(310)는 S402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하며, 폐곡선 영역에 주 피사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폐곡선 영역을 주 피사체 영역으로 설정하여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330)에 제공한다(S410).
이후,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330)는 영상 촬영부(3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고(S412), 제공받은 영상에서 주 피사체 영역을 제외한 영역(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한 픽셀 정보를 제공받아 평균 색상값을 산출한다(S414).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330)는 산출된 평균 색상값에 대응되는 색상으로 배경 피사체 영역을 처리함으로서, 배경 피사체 영역에 흐림 효과를 주어 영상 저장부(340)에 저장한다(S416).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 피사체를 지정하기 위한 기준 패턴을 입력한 후 이를 토대로 주 피사체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주 피사체 영역을 이용하여 그 외 영역인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해 배경 흐림 효과를 줌으로서, 별도의 장치, 예컨대 고배율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 배경 흐림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광원 주사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에 배경 흐림 효과를 주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움직임의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에 배경 흐림 효과를 주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원 발생부 110 : 영역 정보 획득부
120, 320 : 영상 촬영부 130, 330 :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
140, 340 : 영상 저장부 150. 350 : 입출력부
160, 360 : 무선 송수신부 300 : 움직임 검출부
310 : 영역 검출부

Claims (12)

  1. 주 피사체 및 배경 피사체가 담긴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광원 발생부와,
    상기 광원 발생부의 광원을 조사하여 상기 배경 피사체의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영역 정보 획득부와,
    상기 주 피사체 및 배경 피사체가 담긴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배경 피사체 영역 정보를 토대로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의 배경 피사체 영역에 흐림 처리 효과를 주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부
    를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 획득부는,
    상기 광원을 발생시킨 후 상기 배경 피사체 및 주 피사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단과,
    상기 수광된 반사광의 감세율을 측정하여 상기 주 피사체와 배경 피사체 영역을 구별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림 효과 처리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상기 배경 피사체 영역의 픽셀을 이용하여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평균 색상값을 토대로 배경 영역에 흐림 효과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4. 주 피사체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기준 패턴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 패턴에 대응되는 물체의 움직임의 추적하여 상기 움직임에 따른 궤적 정보를 저장하는 움직임 검출부와,
    영상 촬영 후에 상기 궤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주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와,
    상기 영역 검출부에서 검출된 주 피사체 영역 밖의 영역에 대해 흐림 효과를 처리하는 흐림 효과 처리부
    를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검출부는,
    상기 궤적 정보를 토대로 폐곡선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주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림 효과 처리부는,
    상기 주 피사체 영역 밖의 픽셀을 이용하여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평균 색상값을 토대로 상기 주 피사체 영역 밖에 해당되는 영역에 흐림 효과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7. (a)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광원 발생부를 구동시켜 광원을 피사체에 주사하는 단계와,
    (b) 상기 주사된 광원에 의해 상기 피사체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감세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산출된 감세율을 토대로 상기 피사체에서 배경 피사체의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d) 상기 피사체에 대응되는 영상을 취득한 후 상기 취득한 영상에서 상기 배경 피사체 영역에 대해 흐림 효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감세율을 토대로 상기 피사체에서 상기 주 피사체의 영역 정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주 피사체 영역 정보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a) 및 (b)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취득한 영상에서 상기 주 피사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픽셀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픽셀 정보를 토대로 상기 주 피사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평균 색상값을 이용하여 상기 주 피사체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흐림 효과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방법.
  10. (a) 주 피사체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기준 패턴을 등록하는 단계와,
    (b) 영상 촬영 시 상기 기준 패턴에 대응되는 물체의 움직임의 추적하여 상기 움직임에 따른 궤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영상 촬영 후에 상기 궤적 정보를 토대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주 피사체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d) 상기 검출된 주 피사체 영역 밖의 영역에 대해 흐림 효과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궤적 정보를 토대로 폐곡선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폐곡선 영역 내에 상기 주 피사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된 폐곡선 영역을 상기 주 피사체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주 피사체 영역 밖의 픽셀 정보를 이용하여 평균 색상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평균 색상값을 토대로 상기 주 피사체 영역 밖에 해당되는 영역을 흐림 효과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경 흐림 효과 처리 방법.
KR1020070128643A 2007-12-12 2007-12-12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61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643A KR20090061730A (ko) 2007-12-12 2007-12-12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643A KR20090061730A (ko) 2007-12-12 2007-12-12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730A true KR20090061730A (ko) 2009-06-17

Family

ID=4099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643A KR20090061730A (ko) 2007-12-12 2007-12-12 배경 흐림 효과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7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56B1 (ko) * 2010-10-18 2012-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056B1 (ko) * 2010-10-18 2012-02-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261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860382B2 (en) Selecting autofocus area in an image
EP2574041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907341B (zh) 图像生成装置和图像生成方法
JP5659305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5206095B2 (ja) 構図判定装置、構図判定方法、プログラム
JP4702418B2 (ja) 撮影装置、画像領域の存否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69813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5865388B2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EP25903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10242395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ing device
JP2004318823A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情報表示システムにおけるポインタマーク表示方法
TW20111425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medium
CN104580901B (zh) 确定拍摄参数的方法和终端
CN107787463B (zh) 优化对焦堆栈的捕获
KR20140011215A (ko) 촬영 장치, 그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안구 인식 장치
KR20110089655A (ko) 촬영 구도를 유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2015642A (ja) 撮像装置
CN112135034A (zh) 基于超声波的拍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763228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711123B (zh) 一种对焦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8299784A (ja) 被写体判定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1217202A (ja) 画像取得装置
CN106550226A (zh) 投影画面校正方法及装置
CN109068118B (zh) 双摄模组的基线距离调整方法、装置及双摄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