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802A -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 - Google Patents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802A
KR20090060802A KR1020070127739A KR20070127739A KR20090060802A KR 20090060802 A KR20090060802 A KR 20090060802A KR 1020070127739 A KR1020070127739 A KR 1020070127739A KR 20070127739 A KR20070127739 A KR 20070127739A KR 20090060802 A KR20090060802 A KR 20090060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frequency
dielectric layer
fss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056B1 (ko
Inventor
윤소현
염인복
이호진
고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7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056B1/ko
Priority to US12/747,134 priority patent/US8339330B2/en
Priority to PCT/KR2008/004225 priority patent/WO2009075449A1/en
Publication of KR2009006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13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said selective devices working as frequency-selective reflecting surfaces, e.g. FSS, dichroic plates, surfaces being partly transmissive and refle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셀을 이중 루프로 구성하고, 각 루프가 꼬불꼬불한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다중 주파수 대역에 대해 반사와 투과로 주파수를 필터링할 수 있고, 반사 주파수 간 이격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도 주파수를 분리할 있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FSS 구조에 관한 것으로, 루프를 포함하는 단위 셀들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유전체 층과, 일정 폭을 가지면서 상기 유전체 층에 형성된 상기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제1 루프와, 상기 제1 루프의 내측에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 제2 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적어도 일부분이 꼬불꼬불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파수, 선택, 반사기, FSS, 구조, 루프, 이중, 다중, 단위셀

Description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for multi frequency band}
본 발명은 다중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Frequency Selective Surface)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FSS의 단위셀을 이중 루프로 구성하고, 각 루프가 꼬불꼬불한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다중 주파수 대역에 대해 반사와 투과로 주파수를 필터링할 수 있고, 반사 주파수 간 이격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도 주파수를 분리할 있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FSS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20-02, 과제명: 고속 이동체 인터넷 위성 무선 연동 기술 개발].
일반적으로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는 일정 모양을 갖는 패턴을 주기적으로 배열하여 주파수 선택적인 특성을 가지도록 만든 평면 또는 표면을 의미한다.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는 일정한 모양을 갖는 패턴의 모양, 크기, 길이, 폭 등과 같 은 기하 구조 및 유전체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임의의 주파수 대역을 투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FSS에서 공간적으로 단일 주기에 해당하는 일정 모양의 구조를 일반적으로 단위셀(unit cell)이라 한다. FSS의 주파수 특성은 단위셀 내부 패턴의 모양, 기하 구조, 크기와 단위셀 사이의 간격 및 기타 유전재료들의 전기적 재질 등에 따라 크게 변화되는데,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얻고자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기존 FSS 구조는 중심이 연결된 막대구조(center connected structure)와, 루프 구조(loop structure) 등 다양한 구조들이 이용되어 왔다. 특히, 기하학적으로 단위셀을 구성하는 도형의 길이가 단위면적에 대하여 최대한 길어지도록 디자인하기 위해서, 루프의 모양이 복잡하게 구부러지면서도 서로 얽히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단위셀의 공간을 최대한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들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는 주파수 대역을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므로, 파라볼라 안테나에 적용되어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으로 다중 대역을 수용할 수 있다. FSS가 없는 기존 안테나 시스템은 피드 혼에 의해 주파수 f1과 f2만 수용할 수 있지만, FSS를 구비한 안테나 시스템은 주파수 f1과 f2뿐만 아니라 주파수 f3과 f4를 추가로 수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FSS 단위 셀의 형태는 사각형, 원형, 사각 루프, 원형 루프 등이 있으며, 각 단위셀의 모양에 따라 주파수 응답 특성은 다르게 나타난다. 그런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FSS는 높은 주파수 대역과 낮은 주파수 대역 간에 비율이 적어도 1.5이상 되어야 주파수를 분리할 수 있고, 이보다 적은 비율인 경우에는 주파수 대역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FSS의 단위셀을 이중 루프로 구성하고, 각 루프가 꼬불꼬불한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다중 주파수 대역에 대해 반사와 투과로 주파수를 필터링할 수 있고, 반사 주파수 간 이격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도 주파수 대역을 분리할 있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FSS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루프를 포함하는 단위 셀들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유전체 층과, 일정 폭을 가지면서 상기 유전체 층에 형성된 상기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제1 루프와, 상기 제1 루프의 내측에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 제2 루 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적어도 일부분이 꼬불꼬불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일정 폭의 도체 박막을 제거하여 슬롯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상기 유전체 층에 형성된 도체 박막 중 상기 루프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제외한 도체 박막을 제거하여 도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네 변의 일부가 꼬불꼬불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 층은 제1 유전체 층과, 상기 제1 유전체 층의 유전율과 다른 유전율을 갖는 제2 유전체 층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위셀의 크기는 기본파만 전파하고 산란 고조파를 생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주파수 중 가장 높은 주파수의 파장의 1/2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루프와 제2 루프 간의 간격과, 각 루프의 폭과 각 루프의 변 길이와 각 루프를 꼬불꼬불하게 만드는 값에 의해 주파수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이 조절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FSS의 단위셀을 이중 루프로 구성하고, 각 루프가 꼬불꼬불한 형태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중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필터링할 수 있고, 반사 주파수 간 이격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도 주파수 대역을 분리할 있으며, 전파가 입사되는 각도의 변화에도 민감하지 않으면서 주파수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대역을 위한 FSS 단위셀의 배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대역을 위한 FSS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주파수 대역을 위한 FSS 단위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FSS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갖는 단위셀(10)들의 배열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단위셀(10)은 사각형 형태의 외부 루프와 사각형 형태의 내부 루프로 구성되는 이중 루프로 구성되며, 외부 루프와 내부 루프는 일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외부 루프와 내부 루프는 모두 네 변이 꼬불꼬불한 형태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SS는 임의의 유전율을 갖는 제1 유전체 층(21)과, 상기 제1 유전체 층(21)과는 다른 유전율을 가지며, 도체 박막(23)을 지지하기 위해 하니콤(honeycomb)이나 폼과 같은 유전체 층으로 구성되는 제2 유전체 층(22)과, 상기 제2 유전체 층(22) 상부에 부착되는 도체 박막(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체 박막(23)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일정한 패턴을 갖는 루프가 형성된다. 즉, 루프에 해당되는 도체 박막만을 제거하여 루프가 슬롯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루프에 해당되는 도체 박막만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여 루프를 도체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루프가 슬롯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 대역은 전부 반사되고, 두 개의 높은 주파수 대역은 전부 투과된다. 반대로, 루프가 도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 대역은 모두 투과되고, 두 개의 높은 주파수 대역은 전부 반사된다.
유전체 층은 FSS 도체 박막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구조물이며, 가능한 두께를 작게 하여야 하고, 또한 손실이 적도록 유전체를 선택해야 한다. 이 유전체 층에 의해 공진 주파수가 이동될 수 있으며 유전체 층에 의해 공진 주파수는 낮아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셀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SS의 단위 셀은 외부 루프(31)와 내부 루프(32) 를 포함하는 이중 루프 형태로 구성되고, 외부 루프(31)와 내부 루프(32)는 사각형 형태로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내부 루프와 외부 루프의 네 변을 꼬불하게 만들어 루프의 전체 길이를 길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서 외부 루프 및 내부 루프는 도체 박막을 에칭에 의해 제거한 슬롯 형태이고, 루프를 제외한 부분이 도체 박막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 f1(11.725GHz)이 대역폭 2.05GHz를 갖고, 주파수 f2(14.125GHz)가 대역폭 750MHz를 가지며, 주파수 f3(20.755GHz)가 대역폭 800MHz를 갖고, 주파수 f4(30.485GHz)가 대역폭 800MHz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도 3에 도시된 FSS는 주파수 f1과 f2가 전부 반사되고 동시에 주파수 f3과 f4가 전부 투과된다. 이와 같이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기 위해 반사되는 주파수 f1과 f2를 보면, 주파수 f1과 f2는 서로 근접해 있고 대역폭도 매우 넓어 공진 현상에 의해 반사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파장에 비해 루프 슬롯의 크기를 작게 구현하여 도체 박막에 의해 전파가 전부 반사되도록 해야 한다. 즉 주파수 f2 보다 낮은 대역의 주파수는 전부 반사되도록 루프 슬롯의 크기를 구현한다.
다음 투과되는 주파수 f3와 f4는 사각 슬롯 루프에 의해 공진되는 현상을 이용해 전파를 전부 투과하도록 해야 한다. 도 3에서 외곽 루프(31)는 주파수 f3을 공진시키고, 내부 루프(32)는 주파수 f4를 공진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각각 루프 전체 길이는 공진 주파수의 파장과 관련된다.
이러한 슬롯 형태 루프의 특성을 이용하여 기존의 두 개의 정사각형 루프를 이용하는 경우 주파수 대역을 분리할 수 있지만, 정사각형 루프 구조는 반사 주파 수 f2와 투과 주파수 f3간에 비율이 1.5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주파수 비율이 1.5 이하인 경우에는 주파수 f2와 주파수 f3 간에 간격이 너무 작아 주파수 대역을 분리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각형 루프의 네 변을 꼬불꼬불한 형태로 구성하여, 루프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면서 단위 셀의 크기를 작게 하ㄱ고 원형 편파에서도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셀의 크기인 한 주기 길이 Px = Py는 주파수 f4의 파장의 1/2보다 작게 함으로서, 기본파만 전파하고 산란 고조파들이 생성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슬롯 형태 루프에서 외부 루프의 크기인 한 변의 길이 α1는 주파수 f1과 f2가 손실 없이 전부 반사하도록 적절히 조절하여야 하며, 동시에 외부 루프의 네 변에 있는 꼬불한 부분인 b1, g1은 주파수 f3에서 공진되도록 루프 길이를 미세 조절한다. 내부 루프는 주파수 f4에서 공진되도록 길이 α2를 먼저 조정하고, 꼬불한 부분인 b2, g2을 이용하여 미세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FSS 구조에서 도 3에 도시된 단위셀의 구체적인 설계 치수를 나타내면 표 1과 같다. 여기서 유전체 층은 폼을 사용하였고, 폼은 전파에 주는 영향이 적으므로 생략하였다.
파라미터 Px, Py α1 α2 λ1 λ2 w1 w2 g1 g2 b1 b2
길이(㎜) 5 3.6 2.6 0.7 0.4 0.1 0.1 0.6 1.2 0.4 0.4
표 1과 같이 설계된 FSS에 대해 계산된 성능 결과를 도 4 및 도 5에 제시하였다. 도 4는 주파수에 따른 반사 손실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주파수 f1과 f2는 약 0.8dB 이내로 입사되는 전파 거의 모두가 반사됨을 알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20GHz대인 주파수 f3와 30GHz대인 f4는 반사손실이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입사파가 반사되지 않고 전부 투과함을 의미한다.
도 5는 투과 손실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입사파가 FSS를 통과할 때 손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파수 f3와 f4는 거의 0dB로 손실 없이 전부 투과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반사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매우 넓고, 투과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이 2개이면서 반사 주파수와 투과 주파수간에 간격이 비교적 좁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FSS 구조는 반사와 투과로 주파수 대역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FSS 구조는 루프가 슬롯 형태인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반대로 루프가 도체인 구조에서 전파의 주파수 응답 특성은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반사와 투과 특성의 반대를 갖는다. 즉 20GHz대인 f3와 30GHz대인 f4는 전부 반사하고, 보다 낮은 주파수인 f1과 f2는 전부 투과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의 단위셀 상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의 반사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의 투과 손실을 나타낸 그프이다.

Claims (7)

  1. 루프를 포함하는 단위 셀들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유전체 층과, 일정 폭을 가지면서 상기 유전체 층에 형성된 상기 루프를 포함하며,
    상기 루프는 제1 루프와, 상기 제1 루프의 내측에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된 제2 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적어도 일부분이 꼬불꼬불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일정 폭의 도체 박막을 제거하여 슬롯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상기 유전체 층에 형성된 도체 박막 중 상기 루프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제외한 도체 박막을 제거하여 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네 변의 일부를 꼬불꼬불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층은 제1 유전체 층과, 상기 제1 유전체 층의 유전율과 다른 유전율을 갖는 제2 유전체 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기본파만 전파하고 산란 고조파를 생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위셀의 크기는 복수의 주파수 중 가장 높은 주파수의 파장의 1/2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와 제2 루프 간의 간격과, 각 루프의 폭과 각 루프의 변 길이와 각 루프를 꼬불꼬불하게 만드는 값에 의해 주파수의 반사 및 투과 특성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 구조.
KR1020070127739A 2007-12-10 2007-12-10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 KR10095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39A KR100959056B1 (ko) 2007-12-10 2007-12-10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
US12/747,134 US8339330B2 (en) 2007-12-10 2008-07-18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for multi frequency bands
PCT/KR2008/004225 WO2009075449A1 (en) 2007-12-10 2008-07-18 Frequency selective surface structure for multi frequency b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39A KR100959056B1 (ko) 2007-12-10 2007-12-10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802A true KR20090060802A (ko) 2009-06-15
KR100959056B1 KR100959056B1 (ko) 2010-05-20

Family

ID=4075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739A KR100959056B1 (ko) 2007-12-10 2007-12-10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39330B2 (ko)
KR (1) KR100959056B1 (ko)
WO (1) WO20090754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3804B2 (en) 2012-03-12 2016-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2099189B1 (ko) * 2019-02-12 2020-04-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파수 선택표면구조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주파수 대역 잡음 차폐가 가능한 주파수 선택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905A1 (en) * 2013-07-09 2015-01-1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Integrated computational elements with laterally-distributed spectral filters
WO2015005904A1 (en) * 2013-07-09 2015-01-1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Integrated computational elements with frequency selective surface
MX2016015788A (es) 2014-06-13 2017-04-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Elemento computacional integrado con multiples superficies selectivas de frecuencia.
CN104103877A (zh) * 2014-06-24 2014-10-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阻抗型频率选择表面
US10530036B2 (en) * 2016-05-06 2020-0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band flexible antenna with segmented surface treatment
CN107706538B (zh) * 2016-08-08 2019-11-22 航天特种材料及工艺技术研究所 一种耗散型宽频带吸波fss结构及制备方法
KR101880439B1 (ko) 2017-04-25 2018-07-2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소 퍼즐 개념을 도입한 주파수 선택구조
US10355721B2 (en) 2017-05-01 2019-07-1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ulti-band radio frequency transparency window in conductive film
CN109149099A (zh) * 2018-07-31 2019-01-04 电子科技大学 一种宽带频率可重构fss天线罩
CN110011067A (zh) * 2019-04-19 2019-07-12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频率选择表面的支节加载三波段吸波结构
KR102005512B1 (ko) * 2019-06-03 2019-07-30 국방과학연구소 초광대역 주파수 차단특성을 갖는 주파수 선택표면 구조
CN110401041A (zh) * 2019-06-11 2019-11-0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宽阻带频率选择副反射面
CN111370843A (zh) * 2020-03-19 2020-07-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透波壳体组件、天线组件及电子设备
CN111817025B (zh) * 2020-09-03 2022-04-29 浙江科技学院 一种可调的石墨烯太赫兹频率选择器
US11545758B2 (en) * 2021-03-10 2023-01-03 Synergy Microwave Corporation Planar multiband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with stable filter response
CN113506991A (zh) * 2021-05-25 2021-10-15 苏州锐心观远太赫兹科技有限公司 超低温毫米波窄带带通频率选择表面滤波器
CN113506992B (zh) * 2021-05-31 2022-07-22 中国人民解放军空军工程大学 一种凹凸曲形地毯隐身衣及其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4785A (en) * 1988-01-25 1989-03-21 Hughes Aircraft Company Wideband gridded squar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US5162809A (en) * 1990-10-23 1992-11-10 Hughes Aircraft Company Polarization independent frequency selective surface for diplexing two closely spaced frequency bands
US5959594A (en) * 1997-03-04 1999-09-28 Trw Inc. Dual polarization frequency selective medium for diplexing two close bands at an incident angle
KR100233837B1 (ko) * 1997-08-20 1999-12-01 정선종 삼중 사각 루프 슬롯 형태를 갖는 주파수 선택 반사기
US7071889B2 (en) * 2001-08-06 2006-07-04 Actiontec Electronics, Inc. Low frequency enhance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DE10222746A1 (de) * 2002-05-23 2003-12-04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Dielektrische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Bariumtitanat
US6822622B2 (en) * 2002-07-29 2004-11-23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Electronically reconfigurable microwave lens and shutter using cascaded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and polyimide macro-electro-mechanical systems
US7456803B1 (en) * 2003-05-12 2008-11-25 Hrl Laboratories, Llc Large aperture rectenna based on planar lens structures
US7215007B2 (en) * 2003-06-09 2007-05-08 Wemtec, Inc. Circuit and method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coupling and switching noise in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US7405698B2 (en) * 2004-10-01 2008-07-29 De Rochemont L Pierre Ceramic antenna module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100682996B1 (ko) * 2005-05-17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주파수 대역 필터링을 위한 fss 구조
US7304617B2 (en) * 2005-04-05 2007-12-04 Raytheon Company Millimeter-wave transreflector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llimated coherent wavefront
KR100753552B1 (ko) * 2006-07-07 2007-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주파수 대역 필터링 용 fss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3804B2 (en) 2012-03-12 2016-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2099189B1 (ko) * 2019-02-12 2020-04-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파수 선택표면구조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주파수 대역 잡음 차폐가 가능한 주파수 선택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1285A1 (en) 2010-10-28
WO2009075449A1 (en) 2009-06-18
KR100959056B1 (ko) 2010-05-20
US8339330B2 (en) 2012-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056B1 (ko)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fss) 구조
AU762267B2 (en) Multi-resonant, high-impedance surfaces containing loaded-loop frequency selective surfaces
US10879592B2 (en) Vertical antenna patch in cavity region
US8319698B2 (en) Reflector array and antenna comprising such a reflector array
US10270423B2 (en) Electromechanical frequency selective surface
EP2912721B1 (en) Multi-bandpass, dual-polarization radome with compressed grid
Qin et al. A triband low-profile high-gain planar antenna using Fabry–Perot cavity
CN112886272B (zh) 双频双极化Fabry-Perot谐振腔天线
CN108987905B (zh) 一种终端设备
CN109193167B (zh) 高谐振点对低谐振点的比值为低值的小型化频率选择表面
US6897820B2 (en) Electromagnetic window
KR101284757B1 (ko) 다중 주파수 대역용 주파수 선택 반사기
CN114421152A (zh) 一种具有高选择特性的小型化可重构频率选择表面及应用
JP3987494B2 (ja) 広帯域又は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
Ashvanth et al. Gain enhanced multipattern reconfigurable antenna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Sen et al. Design of a wide ban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FSS) for multiband operation of reflector antenna
KR101756816B1 (ko) 소형화된 단위구조의 반복 배열을 가지는 대역 저지 동작 주파수 선택 표면구조
WO1994000892A1 (en) A waveguide and an antenna including a frequency selective surface
KR100233837B1 (ko) 삼중 사각 루프 슬롯 형태를 갖는 주파수 선택 반사기
CN114039212A (zh) 一种低通宽阻的透波结构
CN113067162A (zh) 一种多频带滤波的频率选择性透波结构
Mahendran et al. Microstrip patch antenna enhancement techniques: a survey
Arshad et al. Optimum microstrip reflectarray unit cell design for wide-band operation
Bingzheng et al. A Low Pass and Wide Angl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with Miniaturized Elements
Guo et al. Dualband frequency selective surface with double-four-legged loaded slots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