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297A -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297A
KR20090058297A KR1020070125016A KR20070125016A KR20090058297A KR 20090058297 A KR20090058297 A KR 20090058297A KR 1020070125016 A KR1020070125016 A KR 1020070125016A KR 20070125016 A KR20070125016 A KR 20070125016A KR 20090058297 A KR20090058297 A KR 20090058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d service
portable terminal
region
control inform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911B1 (ko
Inventor
오승환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12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9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9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 설정된 지역 기반 서비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은 망으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한 후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 및 제한 서비스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경우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들 독출하고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설정된 지역 기반 서비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서비스 불가능 상태 또는 제한 서비스 상태에서 무조건 보안 관련 기능을 제한하는 지역 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 지역 기반 서비스, 프리존, 보안, 제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Method For Zone Based Service Of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 지역 및/또는 서비스 제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지역 기반 서비스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지역 기반 서비스(예를 들면, Free Zone 서비스)는 기업이나 대학과 같은 소정의 지역을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지역 내에서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휴대용 단말기에 통화 요금 할인 등과 같은 혜택을 제공하거나, 카메라, 영상통화 및/또는 전화 접속 네트워크(Dial Up Network) 등과 같은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상기와 같은 지역 기반 서비스는 설정된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 및 제한되는 서비스 종류가 다르게 설정된 다.
예를 들어,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이 학교의 캠퍼스로 설정된 경우 학교를 통해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캠코더 및 전화 접속 네트워크 기능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지만,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이 특정 회사가 위치한 지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회사를 통해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회사가 위치한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 내에서는 보안을 위해 카메라, 캠코더 및 전화 접속 네트워크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역 기반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어야 한다. 즉,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설정된 소정의 지역에서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소정 지역에 위치하여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설정된 지역 기반 서비스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제공되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소정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역 기반 서비스는 소정의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 또는 제한된 서비스 가능 상태(예를 들면, 비상호)에 있는 경우 설정된 지역 기반 서비스 기능에 상관없이 카메라 및 캠코더 등과 같은 보안 관련 기능들을 강제로 제한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및 캠코더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 지역에서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여 서비스 불가능 상태가 되면 카메라 및 캠코더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도록 지역 기반 서비스가 설정되었음 에도 불구하고 카메라 및 캠코더의 기능이 강제로 제한되기 때문에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 설정된 지역 기반 서비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 설정된 지역 기반 서비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은, 망으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제공 받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 및 제한 서비스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경우 상기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들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망으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망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제공받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기반 서비스 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망으로 위치 등록 제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 받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망으로부터 GMM(GPRS Mobility Management) Information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와, 제공받은 상기 GMM inforamtion 메시지에 포함된 LSA_id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 받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 및 영상호 발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망으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 및 제한 서비스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경우 상기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들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역 기반 제어 정보가 저장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망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기반 서비스 망을 인식하고, 상기 망으로 위치 등록 제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망으로부터 GMM(GPRS Mobility Management) Information 메시지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GMM inforamtion 메시지에 포함된 LSA_id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 및 영상호 발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망으로부터 GMM Information 메시지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GMM Information 메시지의 LSA_id에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하여 저장한 후,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 또는 제한 서비스 상태가 되면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들 독출하고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설정된 지역 기반 서비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서비스 불가능 상태 또는 제한 서비스 상태에서 무조건 보안 관련 기능을 제한하는 지역 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역 기반 서비스 과정에서 망으로부터 제공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소정의 지역에서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된 후 지역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파워 ON)되면(단계 101), 휴대용 단말기는 자신이 접속할 공중 육상 이동망(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이하 '망'으로 약칭함)을 선택한 후(단계 103), 망으로부터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는 Idle 상태에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망에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나, 연결(connected) 상태에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지원과 측정(measurement)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무선망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망으로부터 SIB(System Information Block) 3 메시지를 제공받는다(단계 105).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제공받은 SIB 3 메시지에 포함된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를 검출하여 상기 15번째 비트가 '1'인지를 판단한다(단계 107).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에 있는 경우에는 단계 105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망으로부터 활성 집합 갱신 메시지(Active Set Update Message)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활성 집합 갱신 메시지의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가 '1'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는 현재 휴대용 단말기가 속해 있는 망이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설정된 망인지 일반 공용망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가 '1'인 경우에는 현재 휴대용 단말기가 속한 망이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설정된 망임을 의미하고, '0'인 경우에는 현재 휴대용 단말기가 속한 망이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으로 설정된 망이 아닌 일반 공용망임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107에서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가 '1'인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자신이 소속된 망이 지역 기반 서비스 망인 것으로 인식한다(단계 109).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위치 등록 절차(Routing Area Update Procedure)를 수행한다(단계 111).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핵심망(core network)의 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또는 SGSN(Serving GPRS Supporting Node)으로 Attach Request 메시지 또는 Routing Area Updat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파워 온 상태에서는 Atta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기가 Idle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Routing Area Updat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113). 여기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는 망으로부터 제공되는 GMM(GPRS Mobility Management) Information 메시지 또는 MM(Mobility Management) information 메시지 내의 LSA(Localization Service Area)_id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SA_id는 24비트로 구성될 수 있고, 최상위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로부터 하위 5비트(즉, 24 내지 20번째 비트)가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LSA_id의 23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고, LSA_id의 21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전화 접속 네트워크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LSA_id의 20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호 발신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망으로부터 수신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115).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LSA_id 중 최상위 비트로부터 하위 5비트를 독출하여 UICC(Universal IC Card)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EEP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한다(단계 117). 예를 들어, 수신된 LSA_id 중 최상위 비트로부터 하위 5비트가 '11111'인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 전화 접속 네트워크 및 영상호 발신 기능을 제한하고, 상기 기능들에 대한 사용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기능들의 사용이 금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영상 통화 중 공용망에서 지역 기반 서비스 망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영상을 영상 통화 상대방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대신 미리 저장된 대체영상을 사용자의 영상 대신 전송할 수 있 다.
단계 107에서 SIB 3 메시지에 포함된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가 '1'이 아닌 것(즉, '0')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자신이 소속된 망이 공용망인 것으로 인식하고(단계 119), 일반적인 공용망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12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소정의 지역에서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서 서비스 불가능 상태 또는 제한 서비스 상태에 진입하게 되면(단계 301), 휴대용 단말기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한다(단계 303).
여기서, 상기 서비스 불가능 상태는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여 회선 교환 및/또는 패킷 교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한 서비스 상태는 휴대용 단말기가 자신이 가입한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이 아닌 다른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에 위치하여 비상호를 제외한 다른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단계 303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한 후,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05).
휴대용 단말기는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는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고(단계 307), 비휘발성 메모리에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안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예를 들면, 카메라, 영상호 발신)을 제한한다(단계 309).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독출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가 카메라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즉, LSA_id의 23번째 비트가 '0'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의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에서는 소정의 지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서 서비스 불가능 상태 또는 제한 서비스 상태로 상태가 전이된 경우, 서비스 가능 상태에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서비스 불가능 상태에서는 무조건 보안 관련 기능을 제한하는 종래의 지역 기반 서비스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부(401), 디스플레이부(403), 그래픽 처리부(405), 비디오 코덱(407), 마이크(409), 스피커(411), 오디오 코덱(413), 제어부(415), 저장부(150), UICC(419), 키입력부(421) 및 무선 송수신부(423)를 포함한 다.
카메라부(401)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렌즈, 이미지 센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고, 이미지 촬영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이 실행되면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광학적 신호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사된 광학적 신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통해 상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후 그래픽 처리부(405)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403)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전계발광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와 같은 표시 장치가 될 수 있고, 그래픽 처리부(405)로부터 제공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동작 상태, 응용프로그램 실행 화면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403)는 카메라 및/또는 영상호 등의 기능이 제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지역에서 이미지 촬영 또는 영상 통화를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제어부(415)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405) 카메라부(401)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제공받고, 디지털 영상의 컬러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영상의 크기를 축소시킨 후 비디오 코덱(407)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부(405)는 카메라부(401)로부터 RGB(Red, Green, Blue) 형태의 로(raw) 데이터를 제공받고 이를 인코딩하여 YCbCr 420 포맷으로 변 환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처리부(405)는 비디오 코덱(407)으로부터 디코딩된 영상(예를 들면,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부(403)의 소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해상도, 표시 위치,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은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403)에 제공한다.
비디오 코덱(407)은 그래픽 처리부(405) 또는 제어부(415)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제공받고 이를 소정의 영상 통화 포맷으로 인코딩한 후 제어부(415)에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 코덱(407)은 제어부(415)로부터 제공된 소정의 영상(예를 들면, 영상 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제공받고 이를 디코딩한 후 그래픽 처리부(405)에 제공한다.
비디오 코덱(407)은 예를 들어 H.261, H.263, H.264 및 MPEG-4 등과 같은 코덱을 이용하여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고, 영상 통화시에는 H.263, MPEG-4 simple profile level 0를 이용하여 영상을 인코딩 및 디코딩할 수 있다.
마이크(409)는 영상 통화 및 음성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코덱(413)에 제공한다
스피커(411)는 오디오 코덱(413)으로부터 디코딩 및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 음성 및/또는 음향 신호를 제공받고 이를 가청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오디오 코덱(413)은 마이크(409)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디지 털 신호를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전송 규격에 적합하도록 인코딩한 후 제어부(415)에 제공한다.
또한, 오디오 코덱(413)은 제어부(415)로부터 소정의 음성 및/또는 음향 신호 및 음량 제어 신호를 제공받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음성 및/또는 음향 신호를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411)에 제공한다.
오디오 코덱(135)은 예를 들어,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ve Coding),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G.711, G.723, G.723.1, G.728 등과 같은 코덱을 사용하여 음성의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15)는 예를 들어 모뎀(MSM: Mobile Station Modem)이 될 수 있고, 이동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기능인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를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15)는 비디오 코덱(407) 및 오디오 코덱(413)으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다중화 하고 다중화된 신호를 채널 코딩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 송수신부(423)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415)는 무선 송수신부(423)로부터 제공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채널 디코딩하고 역다중화한 후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각각 비디오 코덱(407) 및 오디오 코덱(413)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5)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무선 송수신부(423)을 통해 망으로부터 방송되는 SIB 3 메시지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SIB 3 메시지에 포함된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를 검출하여 상기 15번째 비트가 '1'인지를 판단한다.
또는,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 중에 있는 경우에는 망으로부터 활성 집합 갱신 메시지(Active Set Update Message)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활성 집합 갱신 메시지의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가 '1'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15)는 Cell_ID의 상위 15번째 비트가 '1'인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지역 기반 서비스 망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MSC 및/또는 SGSN으로 Attach Request 메시지 또는 Routing Area Updat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415)는 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15)는 망으로부터 GMM information 메시지 또는 MM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GMM information 메시지 또는 MM Information 메시지 내의 LSA_id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하위 5비트를 독출하여 UICC(419) 또는 저장부(417)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415)는 수신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15)는 서비스 가능 상태에서 서비스 불가능 상태 또는 제한 서비스 상태에 진입하게 되면 UICC(419) 또는 저장부(417)에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고, UICC(419) 또는 저장부(417)에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 보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보안과 관련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예를 들면, 카메라, 영상호 발신)을 제한한다.
저장부(417)는 플래쉬(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영체제) 및/또는 기타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17)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응용프로그램의 수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417)에는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UICC(419)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키입력부(421)는 복수의 숫자, 문자 입력 키 및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키조작(예를 들면, 다자간 영상 통화 실행)이 발생하면 이에 상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제어부(415)에 제공한다.
무선 송수신부(423)는 안테나(425)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를 베이스 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15)에 제공하고, 제어부(415)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425)를 통해 출력한다.
특히, 무선 송수신부(423)는 망으로부터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415)에 제공하고, 제어부(415)의 제어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 등록 절차에 필요한 메시지를 망으로 전송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역 기반 서비스 과정에서 망으로부터 제공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에 있는 경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 카메라부 403 : 디스플레이부
405 : 그래픽 처리부 407 : 비디어 코덱
415 : 제어부 419 : UICC
423 : 무선 송수신부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망으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제공 받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 및 제한 서비스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경우 상기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들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으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망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제공받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기반 서비스 망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망으로 위치 등록 제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받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망으로부터 GMM(GPRS Mobility Management) Information 메시지를 제공받는 단계;
    제공받은 상기 GMM inforamtion 메시지에 포함된 LSA_id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받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 및 영상호 발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6. 망으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서비스 불가능 상태 및 제한 서비스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경우 상기 저장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들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역 기반 제어 정보가 저장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망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 기반 서비스 망을 인식하고, 상기 망으로 위치 등록 제어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망으로부터 GMM(GPRS Mobility Management) Information 메시지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GMM inforamtion 메시지에 포함된 LSA_id의 최상위 비트로부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역 기반 서비스 제어 정보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 및 영상호 발신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125016A 2007-12-04 2007-12-04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91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016A KR100918911B1 (ko) 2007-12-04 2007-12-04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016A KR100918911B1 (ko) 2007-12-04 2007-12-04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297A true KR20090058297A (ko) 2009-06-09
KR100918911B1 KR100918911B1 (ko) 2009-09-23

Family

ID=4098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016A KR100918911B1 (ko) 2007-12-04 2007-12-04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019B1 (ko) * 2011-12-19 2014-02-2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892A (ko) * 2003-03-20 2004-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매너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548394B1 (ko) * 2003-07-26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KR101013614B1 (ko) * 2003-11-25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한 장치와 방법
KR20060074186A (ko) * 2004-12-27 2006-07-03 브이케이 주식회사 기지국(bs)의 위치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카메라폰의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mmi) 자동 규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019B1 (ko) * 2011-12-19 2014-02-2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911B1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0225B2 (en) Methods for integrating cell measurement procedures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KR101683301B1 (ko) 휴대단말기의 긴급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601058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160538A1 (en) Method for automatic frequency band selection in multi-band supported mobile station
KR1006514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지역 알림 방법
KR100315338B1 (ko) 복수의전화번호를사용하는무선전화시스템및무선전화기
US8874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ound volume of wireless connection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20111155A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65688A (ko) 화상 통화 중 sms 메시지의 출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189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9195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US20080139241A1 (en) Mobile radio terminal
EP4250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ging reason, and storage medium
KR101901717B1 (ko) 멀티심 모바일 단말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90078277A (ko)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KR100677480B1 (ko) 발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dmb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280647A1 (e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architecture for extended operability
US90948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portable terminal
KR101334015B1 (ko)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및 다자간 화상 통화시 화자 구분 방법
KR20120073047A (ko) 휴대단말기의 발신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659893B1 (ko) Wcdma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발신자 이름 정보표시 방법
KR1013892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 대기 중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90117A (ko) 위치 추적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텔레비전 시스템
KR100664176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신호 적외선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3405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영상 통화 방법 및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