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710A - Dish hold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h hold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7710A KR20090057710A KR1020070124411A KR20070124411A KR20090057710A KR 20090057710 A KR20090057710 A KR 20090057710A KR 1020070124411 A KR1020070124411 A KR 1020070124411A KR 20070124411 A KR20070124411 A KR 20070124411A KR 20090057710 A KR20090057710 A KR 200900577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tableware
- unit
- frame
- dis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 receiving body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store various kinds of dishes and a dishwasher using the same.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 내에 놓인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식기 표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떼어냄으로써 자동으로 식기를 세척해주는 장치이다.A general dishwash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washes dishes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dishes placed in the washing room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residues on the surface of the dishes.
통상적으로, 식기는 식기 세척기의 내부 공간상에서 세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기는 식기 수납체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식기 세척기의 터브에서 세척된다.Typically, the dishes are washed on the inner space of the dishwasher. Specifically, the dish is washed in the tub of the dish washing machine in a state stored in the dish storage body.
상기 식기 수납체에는 식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핀들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Support pins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tableware is accommodated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table housing at predetermined intervals.
그러나, 이러한 지지핀들의 간격들이 고정적으로 설치됨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핀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식기 수납폭보다 큰 폭을 가지는 식기를 수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accommodate a dish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dish storage width formed by the support pins because of the fixed intervals of the support pins.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간편하게 수납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in which a user can easily store various kinds of dishes.
본 발명은 수납체 프레임, 그리고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수납폭을 상기 식기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제1 지지체 유닛을 포함하는 식기 수납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bleware housing including a housing frame and a first support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frame and configured to vary the width of the tableware storing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tableware.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은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지지체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식기 수납폭을 분할할 수 있는 제2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first support to divide the dish storage width formed by the first support.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2 지지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may be folded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1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1 지지핀들과, 상기 제2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2 지지핀들은 적어도 일부가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제3항에 있어서,The first support pin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pin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t least in part.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이 함께 식기 수납폭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은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upport pins and the second support pins together form the dish storage width, the first support pins and the second support pins may b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
상기 지지체 유닛은 상기 제1 지지핀들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는 제1 지지모드와, 상기 제2 지지핀들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는 제2 지지모드와, 상기 제1 지지핀과 제2 지지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는 제3 지지모드와, 상기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핀들이 모두 접혀진 상태로 사용되는 제4 지지모드의 형태로 가변될 수 있다.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mode in which the intervals of the first support pins determine the dish storage width, a second support mode in which the intervals of the second support pins determine the dish storage width, and the first support mode. The distance between the pin and the second support pin may be varied in the form of a third support mode for determining the dish storage width and a fourth support mode in which both the first support pins and the second support pins are folded. have.
상기 제1 지지핀은 상기 제2 지지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핀은 상기 제1 지지체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in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pport is located, and a first vertical part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in is the first support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is located,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상기 제1 지지핀은 상기 제1 수직부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열을 따라 굽어지는 제1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핀은 상기 제2 수직부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열을 따라 굽어지는 제2 벤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in further includes a first bending part bent along a row in which the tableware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vertical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in is along a row in which the tablewar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vertical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ending portion to be bent.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를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device for hold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t the same time to limi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고정장치와,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x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nd a second fixing devic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상기 제1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지지체의 회전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토퍼와,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지지체유닛의 일단을 상기 수납체 프레임 또는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device includes a first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a first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nd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unit. It may include a first holder for coupling to the housing frame or the base frame forming the bottom of the first support unit.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상기 제2 지지체의 회전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 스토퍼와,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의 타단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의 타단을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수납체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device includes a second stopper for limi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a second holder for coupling to the base frame or the enclosure fra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그리고 식기가 수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식기 수납체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 수납체는 수납체 프레임,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식기의 수납을 위한 식기 수납폭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갖는 제1 지지체 유닛, 상기 제1 지지체 유닛과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식기의 수납을 위한 식기 수납폭의 조절이 가능한 제3 지지체 및 제4 지지체를 갖는 제2 지지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식기의 일측은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식기의 타측은 상기 제2 지지체 유닛에 의하여 지지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orming a washing space therein, and one or more tableware housings in which the dishes are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case, wherein the tableware housing is a storage body. A first support unit having a frame and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the first support unit having a first support and a second support for storing the tableware and storing the tablewar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unit; And a second support unit having a third support and a fourth support, the second support unit having a third support and a fourth support, the second support unit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unit. Provide a dishwasher supported by the.
제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식기세척기 내부에 편리하게 수납하여 세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conveniently store and wash various kinds of dishes in the dishwasher.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예를 들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를 개폐하는 도어(120), 사용자가 상기 식기 세척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 또는 도어(120)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30)이 구비된다.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식기가 수납되어 세척되는 공간인 세척실(150)이 터브(110)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터브(110)의 아래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00)가 배치된다.In the
상기 섬프(200)에는 상기 섬프(200)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210)와 오염된 세척수를 여과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200)에는 저수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섬프 히터(290)가 구비된다.The
상기 섬프(200)에는 신선한 물을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제1 급수관(250) 및 상기 섬프(200)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7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250)에는 상기 섬프(200)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제1 급수 밸브(255)가 설치된다.The
상기 터브(110)의 내부, 즉 상기 세척실(15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및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향해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암이 배치된다.In the
도 1에는 상기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식기 수납체(160)와 제2 식기 수납체(170)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식기 수납체(160)와 제2 식기 수납체(170)를 향해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각각 분사하는 제1 분사암(230)과 제2 분사암(220)이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In FIG. 1, a
이에 더해,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세척실(150)의 상부에 서 하부로 분사하는 탑 노즐(240)이 상기 세척실(15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상기 세척실(150)에는 상기 펌프(210)와 상기 분사암(230, 220)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될 뿐만 아니라, 스팀이 분사 또는 공급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상기 섬프(210)에 구비된 섬프 히터(290)와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스팀발생기(300)가 구비된다.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스팀발생기(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급수관(250)과 연통되며, 스팀 공급관(280)에 의해 상기 터브(110) 내의 세척실(150)과 연통된다. 상기 제2 급수관(260)에는 상기 스팀발생기(300) 내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제2 급수 밸브(265)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스팀발생기(300)는 상기 스팀발생기(300) 내로 급수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330), 상기 물탱크(300)의 물을 가열하는 스팀 히터(310) 및 상기 스팀발생기(300)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센서(320)가 구비된다.The
상기 수위 센서(320)는 예를 들어 저수위와 고수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저수위는 상기 스팀발생기(300) 내의 스팀 히터(310)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며, 상기 고수위는 상기 스팀발생기(300)의 작동시 상기 물탱크(330)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다.The
상기 세척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컨트롤 패널(130), 상기 펌프(210),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기(300)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식기 세척기의 운전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s such as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구비되는 식기 수 납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dish storage body provided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두 개의 식기 수납체, 즉 제1 식기 수납체와 제2 식기 수납체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식기 수납체와 제2 식기 수납체는 터브가 형성하는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에 설치된다.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dish holders, that is, a first dish holder and a second dish holder. The first dish holder and the second dish holder are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formed by the tub.
또한, 상기 제1 식기 수납체와 제2 식기 수납체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식기 수납체를 바탕으로 식기 수납체의 구조를 설명한다.In addition, the first dish holder and the second dish holder may have the same structure but may have different structures.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tableware housing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econd tableware housing.
상기 식기 수납체는 수납체 프레임(171),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에 설치되고 식기의 수납을 위한 수납폭의 조절이 가능한 제1 지지체(410) 및 제2 지지체(420)를 갖는 제1 지지체 유닛(400),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과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식기의 수납을 위한 수납폭의 조절이 가능한 제3 지지체(510) 및 제4 지지체(520)를 갖는 제2 지지체 유닛(500)을 포함한다. The dish holder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식기의 일측은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식기의 타측은 상기 제2 지지체 유닛(500)에 의하여 지지된다.Here, one side of the tableware is supported by the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은 식기 수납체의 외형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은 다수 개의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와이어는 격자모양을 이루면서 바스켓 형태를 형성한다.The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의 하면에는 식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지지체 유닛들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 유닛은 12개가 구비되며, 하나의 열에 두 개의 지지체 유닛이 배열되고, 상기 지지체 유닛들은 6개의 열을 이루고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이하에서는, 식기가 수납되는 공간인 식기 수납폭을 상기 식기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제1 지지체 유닛(4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410)와,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체(4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식기 수납폭을 분할할 수 있는 제2 지지체(4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는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45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의 양측단을 잡아줌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의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은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 상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장치(600)가 설치된다. The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유닛(400)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을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7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장치(600)와 대응되는 걸림바(71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상기 손잡이(720)와 걸림바(71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식기 수납체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장치(도 5의 900참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unit includes a connecting device (see 900 in FIG. 5)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ase frame while connecting the base frame and the dish holder.
물론, 제5 지지체 유닛(830) 또는 제6 지지체 유닛(840)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831, 841)은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하지 않고 상기 수납체 프레임(171)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장치(833, 84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자체를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단단하게 고정시 킬 수도 있다. Of course, as in the
물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수납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가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base fram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frame. In addition, the base frame is not provided separately,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housing frame.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지지체(410) 및 제2 지지체(4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고정장치(430)와, 상기 제1 지지체(410) 및 제2 지지체(42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고정장치(440)를 포함한다.The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장치는 제1 몸체(431), 상기 제1 몸체(43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미도시), 상기 제1 몸체(431)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1 수용부(미도시)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홀더(433), 상기 제1 몸체(43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435)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irst fixing device is formed in the
상기 제1 스토퍼(435)는 일측 방향, 즉 도면상 좌측방향이 개방되어 있고, 다른 방향으로는 닫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체(410)가 도면상 좌측으로만 회전가능하다. 즉, 상기 제1 스토퍼(435)는 상기 제1 지지체(410)가 우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The
상기 제1 수용부(미도시)는 상기 제1 몸체(431)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수용부(미도시)는 상기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일측 끝단과 대응되는 홀 또는 홈의 형상이 될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protrudes below the
상기 제1 홀더(433)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홀더(43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 지지체 유닛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수납체 프레임에 직접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홀더(433)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450) 또는 수납체 프레임(171)과 볼트-너트 결합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The
상기 제2 고정장치(440)는 제2 몸체(441), 상기 제2 몸체(44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미도시), 상기 제2 몸체(441)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2 수용부(미도시)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 홀더(443), 상기 제2 몸체(44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스토퍼(445)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2 스토퍼(445)는 일측 방향, 즉 도면상 우측방향이 개방되어 있고, 다른 방향으로 닫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체(420)가 도면상 우측으로만 회전가능하다. 즉, 상기 제2 스토퍼(445)는 상기 제2 지지체가 좌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지지체(410)와 제2 지지체(4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접혀진다.The
상기 제2 고정장치(440)에 구비되는 상기 제2 수용부(미도시) 및 상기 제2 홀더(443)는 상기 제1 고정장치(430)에 구비되는 제1 수용부(미도시) 및 제1 홀더(433)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not shown) and the
상기 제1 지지체(410)는 제1 지지바(411)와 상기 제1 지지바(411)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지지핀(413)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바(411)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장치(4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1 지지바(411)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장치(440)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핀(413)들은 식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어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게 된다.The
또한, 제2 지지체(420)는 제2 지지바(421)와 상기 제2 지지바(421)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핀(423)들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지바의 일측은 상기 제1 고정장치(4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2 지지바의 타측은 상기 제2 고정장치(440)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핀(423)들은 식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어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제1 지지핀(413)들과 상기 제2 지지핀(423)들은 적어도 일부가 번갈아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핀(423)들이 함께 식기 수납폭을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핀(423)들은 실질적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ins 413 and the second support pins 423 are alternately disposed. In addition, when the first support pins 413 and the second support pins 423 together form the dish storage width, the first support pins 413 and the second support pins 423 are substantially in line. It can be arranged as.
상기 제1 지지핀(413)은 상기 제1 지지핀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체(4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413a)와, 상기 제1 연장부(413a)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수직부(413b)와, 상기 제1 수직부(413b)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방향을 따라 굽혀지는 제1 벤딩부(413c)를 포함한다. The
또한, 상기 제2 지지핀(423)은 상기 제1 지지핀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지지핀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체(4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23a)와, 상기 제2 연장부(423a)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수직부(423b), 상기 제2 수직부(423b)에서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굽어지는 제2 벤딩부(423c)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도 2 ,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식기가 수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FIG. 3, FIG. 4, and FIG. 5, the state where a tableware is accommodated is demonstrated.
도 2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세 종류의 식기 즉, 제1 식기류(D1), 제2 식기류(D2), 및 제3 식기류(D3)가 식기 수납체()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모든 지지체 유닛들에 구비된 지지핀들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In FIG. 2, three kinds of tableware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apes, that is, the first tableware D1, the second tableware D2, and the third tableware D3, are stored in the tableware body. Here, the support pins provided in all the support units are kept upright.
상기 제1 식기류(D1)는 제3 지지체 유닛(810)과 제4 지지체 유닛(82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제2 식기류(D2)는 제1 지지체 유닛(400)과 제2 지지체 유닛(5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또한, 제3 식기류(D3)는 제5 지지체 유닛(830)과 제6 지지체 유닛(84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The first tableware D1 is supported by the
한편, 도 4에서는 제1 식기류(D1)가 2열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제1 지지체 유닛(400)과 제6 지지체 유닛(840)에 구비된 지지핀들은 모두 접혀진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제1 식기류의 좌측 열은 제3 지지체 유닛(810)과 제 4 지지체 유닛(82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고, 제1 식기류의 우측 열은 제2 지지체 유닛(500)과 제5 지지체 유닛(8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In FIG. 4, the first tableware D1 is arranged in two rows. Here, the support pins provided in the
상기 지지핀들이 상기 식기의 종류에 따라 접혀지거나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기가 수용되는 횡방향의 식기 수납폭을 조절한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식기가 사용장의 의도에 따라 수용될 수 있다.The support pin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ableware while adjusting the width of the tablewa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which the tableware is kept while being folded or upright. As a result, tableware having various sizes can be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 place.
한편, 도 5에서는 제1 식기류(D1)와 제4 식기류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4 식기류(D4)는 사발의 형태로써 다른 식기에 비하여 식기가 수납되는 방향을 따른 식기의 폭이 크다.Meanwhile, FIG.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tableware D1 and the fourth tableware are accommodated. The fourth tableware D4 has a larger width of the tableware in the form of a bowl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bleware is stored than other tableware.
상기 제4 식기류는 제1 지지에 유닛과 제2 지지체 유닛(5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특히, 상기 제4 식기류는 제1 지지체 유닛의 제1 지지체의 지지핀들과 상기 제2 지지체 유닛의 제1 지지체(4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The fourth dishes are supported by the unit and the
한편, 도 6에서는 제5 식기류(D5)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5 식기류는 프라이 팬을 비롯한 식기류 등과 같이 바닥이 넓은 식기에 해당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 유닛들에 구비된 모든 지지핀들은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fth tableware D5 is stored. The fifth tableware corresponds to tableware having a wide bottom, such as dishes, including a frying pan. All the support pins provided in the support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kept folded.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지지핀들을 세우거나 눕혀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수납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ser can store various kinds of dishes by raising or lowering the support pins to adjust the table storage width in which the dishes are stored.
이하에서는, 도 3,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하나의 지지체 유닛, 즉 제1 지지체에 구비된 제1 지지핀들과 제2 지지체에 구비된 제2 지지핀들이 식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모드를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7, 8, and 9, one support unit, that is, the first support pin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pin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support the tableware. Explain the support mo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410)에 구비된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체(420)에 구비된 제2 지지핀(423)들은 모두 직립한 상태에서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수납폭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핀(423)들이 직립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핀(413)과 제2 지지핀(423) 사이의 간격이 상기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는 지지모드가 제3 지지모드가 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support pins 413 provided on th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체(410)에 구비된 제1 지지핀(413)들에 의하여 상기 식기 수납폭이 결정되는 모드가 제1 지지모드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핀(413)들은 직립한 상태로 식기가 수용되는 식기 수납폭을 형성함에 반하여, 상기 제2 지지핀(423)들은 눕혀진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mode in which the dish storage width is determined by the first support pins 413 provided in th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체(420)에 구비된 제2 지지핀(423)들에 의하여 상기 식기 수납폭이 결정되는 모드가 제2 지지모드가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지지핀(423)들은 직립한 상태로 식기 수납폭을 형성함에 반하여, 상기 제1 지지핀(413)들은 눕혀진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mode in which the dish storage width is determined by the second support pins 423 provided in the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핀(413)들과 제2 지지핀(423)들이 모두 눕혀진 상태에서 식기가 수납되는 모드가 제4 지지모드가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mode in which the tableware is stor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ns 413 and 423 are all laid down becomes a fourth support mode.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는 식기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식기가 수용되는 식기 수납폭을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지지체 유닛에 구비된 상기 지지핀들을 4가지 모드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식기의 종류에 따라 식기를 식기 수납체에 수납하기가 훨씬 편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operate the support pins provided in one support unit in four modes to determine the dish storage width in which the dish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type or size of the dish. As a result, it is much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store the dishes in the tableware according to the type of tablewa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You can do it. Therefore, it should be seen that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지는 식기들은 식기 수납체에 편리하게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식기세척기의 생산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he dishwasher to allow the user to conveniently store the utensils having a variety of types and sizes in the dish stor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dish container provided in the dish washing machine of FIG. 1 is used.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지지체 유닛의 요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main parts of the support unit in which the dish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dish container provided in the dish washing machine of FIG. 1 is used. FIG.
도 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dish container provided in the dish washing machine of FIG. 1 is used. FIG.
도 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in which the dish storage body provided in the dish washing machine of FIG. 1 is used.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지지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mode in which the dish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지지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mode in which the dish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체가 사용되는 지지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mode in which the dish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케이스 170: 제2 식기 수납체100: case 170: second tableware
400: 제1 지지체 유닛 410: 제1 지지체400: first support unit 410: first support
411: 제1 지지바 413: 제1 지지핀411: first support bar 413: first support pin
420: 제2 지지체 421: 제2 지지바420: second support 421: second support bar
423: 제2 지지핀 430: 제1 고정장치423: second support pin 430: first fixing device
433: 제1 홀더 435: 제1 스토퍼433: first holder 435: first stopper
440: 제2 고정장치 450: 베이스 프레임440: second fixing device 450: base frame
500: 제2 지지체 유닛 600: 걸림장치500: second support unit 600: locking devic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4411A KR101397037B1 (en) | 2007-12-03 | 2007-12-03 | Basket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4411A KR101397037B1 (en) | 2007-12-03 | 2007-12-03 | Basket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7710A true KR20090057710A (en) | 2009-06-08 |
KR101397037B1 KR101397037B1 (en) | 2014-06-27 |
Family
ID=4098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4411A KR101397037B1 (en) | 2007-12-03 | 2007-12-03 | Basket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7037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TO20100639A1 (en) * | 2010-07-23 | 2012-01-24 | Indesit Co Spa | BASKET FOR DISHWASHER |
WO2012030180A3 (en) * | 2010-09-02 | 2012-04-26 | Lg Electronics Inc. | A dishwahser |
CN109199300A (en) * | 2018-10-11 | 2019-01-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Dish washing machine and dish basket thereof |
CN111671375A (en) * | 2020-06-23 | 2020-09-18 |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 Adjustable bowl basket of dish washing machine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
CN111743497A (en) * | 2020-08-18 | 2020-10-09 |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 Chopstick Rack and Dishwasher |
US11642002B1 (en) | 2022-04-13 | 2023-05-09 | Whirlpool Corporation | Dishwasher and adjustable tine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01324A (en) * | 1996-01-30 | 1997-08-05 | Sanyo Electric Co Ltd | Basket for tableware |
KR19990075791A (en) * | 1998-03-24 | 1999-10-15 | 윤종용 | Basket of dishwasher |
JP2005334552A (en) | 2004-05-31 | 2005-12-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Dishwasher |
DE102004035726A1 (en) * | 2004-07-23 | 2006-03-1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Crockery basket for variable reception of dishes |
-
2007
- 2007-12-03 KR KR1020070124411A patent/KR10139703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TO20100639A1 (en) * | 2010-07-23 | 2012-01-24 | Indesit Co Spa | BASKET FOR DISHWASHER |
WO2012030180A3 (en) * | 2010-09-02 | 2012-04-26 | Lg Electronics Inc. | A dishwahser |
CN103079449A (en) * | 2010-09-02 | 2013-05-01 | Lg电子株式会社 | A dishwahser |
KR101290375B1 (en) * | 2010-09-02 | 2013-07-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dishwasher |
CN109199300A (en) * | 2018-10-11 | 2019-01-1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Dish washing machine and dish basket thereof |
CN111671375A (en) * | 2020-06-23 | 2020-09-18 |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 Adjustable bowl basket of dish washing machine and adjusting method thereof |
CN111743497A (en) * | 2020-08-18 | 2020-10-09 |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 Chopstick Rack and Dishwasher |
US11642002B1 (en) | 2022-04-13 | 2023-05-09 | Whirlpool Corporation | Dishwasher and adjustable tine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97037B1 (en) | 2014-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36123B2 (en) | Spray arm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 |
KR101290375B1 (en) | A dishwasher | |
KR20090057710A (en) | Dish hold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 |
KR20050105712A (en) | A rack structure of a dish washer | |
US9265402B2 (en) | Dishwasher rack assembly with support for large and small bowls | |
KR101366287B1 (en) | Basket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using the same | |
US20160198926A1 (en) | Fluid circulation system for dishwasher appliances | |
US9138126B2 (en) | Height adjustable conduit for a dishwashing appliance | |
KR101159039B1 (en) | Dish washer | |
KR101330839B1 (en) | Rack of dish washer | |
KR20210062822A (en) | Dish Washer | |
KR101210124B1 (en) | A rack structure of a dish washer | |
KR20230031047A (en) | Dish washer | |
KR20210062823A (en) | Dish Washer | |
KR20100032202A (en) | Rack assembly of washing machine | |
JP4123367B2 (en) | Dishwasher tableware basket | |
KR102313446B1 (en) | Ultrasonic dishwasher with lifting racks for holding dishes | |
KR100934697B1 (en) | Rack for dishwashing with variable structure | |
KR20090062057A (en) | dish washer | |
US11589729B2 (en) | Article holder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 |
KR101414677B1 (en) | Mounting structure of a rack guide for dishwasher | |
KR20240110350A (en) | Dish washer | |
KR20050105717A (en) | A rack structure of a dish washer | |
KR101238147B1 (en) | Rack of dish washer | |
KR20060100607A (en) | dish wa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