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569A -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569A
KR20090057569A KR1020070124202A KR20070124202A KR20090057569A KR 20090057569 A KR20090057569 A KR 20090057569A KR 1020070124202 A KR1020070124202 A KR 1020070124202A KR 20070124202 A KR20070124202 A KR 20070124202A KR 20090057569 A KR20090057569 A KR 20090057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resolution
signal transmitted
video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7569A/ko
Publication of KR2009005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47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 G06F13/42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using an embedded synchronisation, e.g. Firewire bus, Fibre Channel bus, SSA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 장치는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기기 접속부와,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신호 처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명 정보와 해상도 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표시 장치, 해상도

Description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본 실시예는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 장치 및 영상표시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컴퓨터 산업을 시작으로 정보통신산업에까지 확산된 정보의 디지털화는 최근들어 TV 방송신호에까지 그 범위가 확산되고 있으며, 정보 처리 시스템의 발전과 보급 증가에 따라 표시장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그 종류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이전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가장 많이 이용되던 CRT(Cathode Ray Tube)는 사이즈가 크고, 동작전압이 높이며, 표시 일그러짐이 발생하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화면의 대형화, 평면화를 목표로 하는 최근의 추세에 적합하지 않아 최근에는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는 각종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트릭스 구조를 가짐으로써, 표시 일그러짐과 색번짐 현상이 없는 안정된 화상을표시함과 동시에 평면형 구조를 취하고, 두께가 얇으며, 동작 전압이 낮아 대화면 TV, 벽걸이형 TV, 휴대용 컴퓨터등 광범위한 분 양에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 장치는 TV 방송 신호 및 외부 기기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며, IEEE 1394단자, COMPONENT 단자, DVI 단자등을 통하여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VCR등의 외부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시청할 수 있는 외부입력모드에 진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기기중 어느 하나를 입력소스로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한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는, 외부기기가 TV와 연결되는 모든 경우마다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을 소요하게 되고,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외부기기를 동작시켰음에도 소정의 시간동안 TV화면을 통하여 아무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현상을 지켜보아야 했다.
본 실시예는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의 판별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가 TV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시간을 절감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를 증대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 장치는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기기 접속부와,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신호 처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명 정보와 해상도 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해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판별하기 위하여, 무조건적인 지연시간의 낭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 장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출력하는 튜너(10)와, 상기 튜너(10)를 통하여 선택된 채널을 복조하는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20)와, 복조된 신호를 오디오, 비디오, DVB-SI 및 PSIP 테이블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Demux)(30)와,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영상신호 처리부(40)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표시 장치와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기기가 접속되는 외부기기 접속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60)를 통하여 전달되는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영상표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요 구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는 OSD(On Screen Display)를 생성하기 위한 OSD 생성부(70)를 더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튜너(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TV 방송 신호를 상기 제어부(90)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로 튜닝하게 된다.
이렇게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는 디모듈레이터(20)에 의해 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부(30)에 의해 영상신호와 오디오 신호 및 각종 부가 데이터로 데이터가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역다중화부(30)를 통해 분리된 영상신호는 디코딩되어 영상신호 처리부(40)의 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 가능하며, 영상신호 처리부(40)는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50)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60)는 DVD 플레이어,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IEEE 1394 버스, COMPONENT 단자, DVI(Digital Video/Visual Interface) 커넥터와 같은 디지털 접속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단자, CVBS(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단자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60)를 통해 입력된 외부기기의 영상신호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의 처리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다.
예컨대, 외부기기와 상기 영상표시 장치가 IEEE 1394 단자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영상표시 장치는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60)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명과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여 둔다.
IEEE 1394 단자에 의한 외부기기와 TV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는, TV가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VSYNC(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소정시간동안 감시하여, 신호의 전송이 안정한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리고, 판단결과 영상신호의 전송이 안정한 경우에는, HSYNC 신호를 카운트하여 해상도를 알아내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TV 해상도 맞게 출력되도록 제어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해서는, IEEE 1394 단자를 통하여 외부기기의 모델명과 해상도 정보를 읽어들여 이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모델명을 갖는 외부기기가 다시 접속되는 경우에는 저장된 해상도에 따라 영상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게 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출력에 따른 지연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도면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IEEE 1394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IEEE 1394는 애플 컴퓨터사가 병렬 버스인 스카시(SCSI) 버스를 대체할 규격으로 개발한 파이어와이어(FireWire)를 IEEE가 표준 규격화한 것으로 정식 명칭은 IEEE HPSB(High Performance Serial Bus)이다.
컴퓨터 주변 장치뿐만 아니라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카세트 녹화가(VCR)등의 가전 기기를 개인용 컴퓨터(PC)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로 개발되었고, 데이터 전송속도는 초당 100Mb, 200Mb, 400Mb 또는 그 이상으로서 PC 동작중 그대로 접속할 수 있는 핫플러그인(hot plug-in)을 지원하며, 최대 63대까지 접속이 가능하다.
데이터 전송은 동시(isochronous)전송과 비동기(asynchronous) 전송의 2가지 방식이 가능하며, 동시 전송은 실시간 전송이기 때문에 동화나 음성등 동시성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로 적합하고, 비동기 전송은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PC와 하드 디스크나 인쇄기 등의 주변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고성능 직렬 버스는 PC와 가전 기기를 융합하는 인터페이스로서 또는 PC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60)는 외부기기의 접속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접속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결과 외부기기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연결감지신호를 제어부(90)에 제공하고, 외부기기가 분리되었을 경우 분리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90)로 제공하는 것으로, 센싱 IC, 스위치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택부(80)는 입력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하며, 리모 컨 또는 케이싱에 마련된 버튼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소스의 영상신호가 표시되도록 하고,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포함된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명과 해상도 정보를 독출하고, 이를 저장관리한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방법을 도 2 및 도 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 위한 외부입력모드에 진입하면(S1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부기기로부터 신호의 전송(S11)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모델명 정보와 해상도 정보를 검출하고(S12), 현재 연결되어 있는 외부기기의 모델명이 기 저장되어 있는 모델명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판단결과, 연결된 외부기기의 모델명이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해상도를 판별한다(S14). 예컨대, 상기 외부기기와 영상표시 장치간에 IEEE 1394를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HSYNC 신호를 카운트하여 해상도를 알아내는 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명과 검출된 해상도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두고(S15), 상기 영상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게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16). 즉, 상기 제어부(90)는 영상신호 처리부(40)에 포함되어 있는 스케일 러를 통하여 영상표시 장치의 화면비율에 맞게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연결된 외부기기의 모델명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두 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상기의 연결된 외부기기의 모델명이 메모리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모델명에 대한 해상도 정보도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검출된 외부기기의 모델명을 이용하여 해상도 정보를 검출하고(S17), 검출된 해상도 정보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영상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게 영상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된다(S16).
이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해상도를 검출하기 위한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해상도 검출에 따른 지연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단계 S17에서 단계 S16으로 제어과정이 이루이지는 도중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이 더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외부기기의 검출된 모델명이 기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해상도를 재판별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S181).
이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해상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메모리부에 기저장되어 있는 모델 정보와 해상도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변경된 해상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90)는 기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와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로부터 재판별되는 해상도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고(S182), 판단결과 동일한 경우에는 앞선 단계 S16과 같이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에 따라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외부기기로부터 실제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기저장되어 있는 해상도와 상이할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모델에 대한 해상도 정보를 변경하고, 새로이 판별된 해상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83).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해서,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판별하기 위하여, 무조건적인 지연시간의 낭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7)

  1.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기기 접속부와,
    상기 외부기기 접속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신호 처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명 정보와 해상도 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의 재 접속시에 저장된 상기 모델명 정보와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 변환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IEEE 1394를 지원하는 장치로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는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을 나타내는 정보와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판별되는 해상도와, 기저장된 모델명별 해상도가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저장되어 있는 해상도 정보를 판별되는 해상도 정보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 장치.
  5.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명 정보와 해상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의 검출된 외부기기의 모델명이 기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상기 외부기기의 모델명이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모델명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영상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영상표시 장치의 해상도에 맞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재판별하는 단계와,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와 재판별된 해상도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재판별된 해상도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재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HSYNC 신호를 카운트하여 해상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 방법.
KR1020070124202A 2007-12-03 2007-12-03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90057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02A KR20090057569A (ko) 2007-12-03 2007-12-03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202A KR20090057569A (ko) 2007-12-03 2007-12-03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569A true KR20090057569A (ko) 2009-06-08

Family

ID=4098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202A KR20090057569A (ko) 2007-12-03 2007-12-03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75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22B1 (ko) * 2013-06-26 2014-12-05 (주)티비스톰 영상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22B1 (ko) * 2013-06-26 2014-12-05 (주)티비스톰 영상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22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111041A1 (en) Audio processing device, audio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212827B2 (en) Mode conversion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40250172A1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nitiating control of an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CN1578433B (zh) 显示同屏显示用户指南信息的方法及设备
EP2003889A2 (en) 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n audio interface
US20120092558A1 (en) Television and displaying method for information source thereof
US7599609B2 (en) Method for recording service data depending on service type in digital TV complex machine
US8199259B2 (en) Video display device
US8599885B2 (en) Media pla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3957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57569A (ko) 영상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91177A (ko) 영상기기 및 그의 입력신호 안내 방법
KR10116676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92442B1 (ko)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외부 a/v 기기 전환 제어 방법
JP2011061402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KR2007003789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507659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ic format switching according to input aspect ratio
JP2008160240A (ja) 画像表示装置
KR2010007268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0200085A (ja) 映像機器
US20120086860A1 (en) Television and channel browsing method thereof
KR20070113474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 처리방법
KR20090074658A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 방법
KR20090119284A (ko) 외부입력모드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