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680A - 다운 라이트 - Google Patents

다운 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680A
KR20090056680A KR1020070123929A KR20070123929A KR20090056680A KR 20090056680 A KR20090056680 A KR 20090056680A KR 1020070123929 A KR1020070123929 A KR 1020070123929A KR 20070123929 A KR20070123929 A KR 20070123929A KR 20090056680 A KR20090056680 A KR 2009005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rib
finishing member
locking
fram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214B1 (ko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07012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2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4Bayonet-typ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천장에 매입 설치되는 다운 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운 라이트는, 환상의 림 상면에 한쌍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두 리브 중 외측리브에 다수의 걸림홈과 걸림편이 구비된 마감부재와; 마감부재의 내측리브 내경부 상면에 적층되는 광투과판과; 하부로 갈수록 확경되는 상·하향 개방형 몸체의 외주면 하단부에 결합플렌지가 구비되며, 결합플렌지가 광투과판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걸림편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반사갓과; 반사갓 삽입용 하향 개방형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하단부 내주면에 돌출되고, 두 리브 사이에 적층되는 적층플렌지가 하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운 라이트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감부재를 단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프레임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마감부재로부터 반사갓도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감부재에 표면녹이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운 라이트, 반사갓, 램프

Description

다운 라이트{The down light}
본 발명은 실내 천장 위의 공간에 매입 설치되는 다운 라이트(down light)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램프 결합용 소켓을 구비한 프레임이 천장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천장 위의 공간에 매입 설치되고, 프레임의 하단부를 통하여 그 내부로 반사갓이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삽입결합되며, 프레임과 반사갓의 하단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광투과판 상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천장의 저면에 접촉하는 환상의 마감부재가 프레임 및 반사갓의 하단부에 고정결합되는 다운 라이트에서, 램프의 교환이나 반사갓의 청소를 위하여 반사갓과 광투과판이 결합된 마감부재를 회전에 의해 프레임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마감부재와 광투과판 및 반사갓을 간단히 분리가능토록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다운 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에서 가장 큰 발견은 불이었으며, 불로서 생활공간을 밝힐 수 있게 되면서 활동시간과 활동범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게 되었고, 그와 함께 인간 의 문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즉, 생활공간을 밝혀 주기 위한 불에 의한 조명이 문명의 시작이라 할 수도 있을 만큼 오늘날의 일상생활에서도 가장 필요로 되는 공산품 중의 하나는 실내를 밝혀주는 조명구라 할 수 있으며, 전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밝혀주는 조명구가 없는 현대생활은 상상할 수가 없다.
상기와 같은 조명은 자연에서 우연히 발견된 자연의 불로부터 시작된 후 기름, 양초, 가스 등의 연소에 의한 인위적인 불이 조명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1870년경 백열전등이 발명되면서 전기를 이용한 현대의 조명이 시작되었고, 그 이후 나트륨방전등, 형광등 등의 각종 전기 조명구가 개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명은, 크게 실내·외 조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실내 조명을 위한 조명구는 벽이나 천장 등에 고정 부착하여 사용하는 부착형 조명구와,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스탠드형 조명구로 구분할 수 있다.
조명구 중 부착형 조명구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이나 천장 등에 고정되는 반사갓(11)의 저면측에 형관관(12)이 결합되는 조명구 즉, 초기의 형광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이러한 형광등은 근래에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즉,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아파트와 같은 대단위 공동주택이 건설되면서 실내 장식에 대한 욕구가 커짐에 따라 단순히 조명만을 위한 조명구로보다는, 샹들리에(chandelier) 등과 같이 조명은 물론 장식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비록 샹들리에는 아닌 일반 조명구이기는 하지만, 가능한 한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그 외관이 디자인되고 있다.
그 결과, 단순히 판상의 반사갓만이 구비되어 백열전구나 형관관 등의 광원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은 근래 일반 가정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광원이 노출되지 않으면서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새로운 디자인의 조명구가 만들어져 일반가정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대표적인 것이, 판상의 반사갓 대신 상자형 케이스 내부에 광원이 장착된 조명구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 케이스가 결합된 조명구는, 벽이나 천장에 부착되며 저면에 광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판(21)과; 상판(21)의 저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향 개방형의 하부케이스(22) 등으로 구성된 구조로서, 주로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의 상자형 케이스가 결합된 조명구는 천장에 고정되는 바, 조명구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와 비교하여 천장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느낌을 받을 수가 있다.
또한 평탄한 천장에 조명구가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장소에 따라서는 청전에 대한 미관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실내에서 높이가 높은 물건을 이동 시 천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조명구가 이동 중인 물건과의 접촉에 의하여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거실이나 공공장소 등의 천장에는 천장 위의 내부공간으로 매입되어 천장 아래로 돌출되지 않는 다운 라이트가 설치되기도 하는 바, 종래의 다운 라이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운 라이트는,
중앙부를 관통하는 조사공(H, 照射孔)과 인접한 상면에 다수의 절곡편(P)을 가진 링형 내측리브(31A)가 돌출되고, 상단면이 천장(C)의 저면에 접촉하는 링형 외측리브(31B)가 내측리브(31A) 바깥쪽 상면의 외측 테두리부에 돌출된 환상(環狀)의 마감부재(31)와;
상기 내측리브(31A)와 조사공(H) 사이의 마감부재(31) 상면에 적층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원판상의 광투과판(32)과;
축 방향을 따라 하부로 갈수록 확경되며 상·하 양 방향으로 개방되는 몸체(33A)와, 몸체(33A)의 하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환상의 결합플렌지(33B)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플렌지(33B)가 광투과판(32)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절곡되는 절곡편(P)에 걸리는 방법으로 마감부재(31)에 결합되는 반사갓(33)과;
천장(C) 위의 공간 내에 매입설치되고, 내부에 램프(L) 결합용 소켓(S)이 결합되며,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 반사갓(33)의 하단부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다수의 밀착편(34A)이 하단부 내주면에 구비되고, 내·외측리브(31A)(31B) 사이의 마감부재(31) 상면에 적층되는 적층플렌지(34B)가 외주면 하단부에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프레임(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다운 라이트에서, 보통, 유리로 만들어지는 광투과판(32)은, 램프(L)가 사람의 눈에 직접 보이지 않도록 하거나 별도의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광투과판(32)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반 사갓(33)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서, 반사갓의 내부공간에 손을 넣어 램프(L)를 교체하거나 반사갓(33)의 내면을 청소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러나 광투과판(32)이 사용된 다운 라이트의 경우에는, 반사갓(33)과 광투과판(32)이 결합된 마감부재(31)를 프레임(34)에서 1차 분리한 후, 프레임(34)에서 분리된 마감부재(31)로부터 반사갓(33)을 2차 분리하여야 하는데, 1·2차 분리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프레임(34) 내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 반사갓(33)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프레임(34) 하단부 내주면에 구비된 다수의 밀착편(34A)이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로서, 반사갓과 밀착편 사이의 탄성밀착력보다 더욱 큰 힘으로 마감부재(31)를 잡아당겨야만 프레임(34)으로부터 반사갓이 결합된 마감부재(31)를 분리해낼 수가 있다.
그러나 반사갓(33)이 결합된 마감부재(31)는, 마감부재(31)의 내측리브(31A)가 프레임(34)의 하단 내경부로 접촉 삽입되는 동시에 마감부재(31)의 외측 테두리부에 구비된 외측리브(31B)의 상단면이 천장의 저면(또는 천장면)에 접촉된 상태인데, 상기 외측리브의 높이는 대략 5mm 이하이다.
즉 천장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마감부재의 높이가 5mm 이하이기 때문에 돌출높이가 충분치 않은 외측리브(31B)의 외주면을 손으로 잡는 경우 충분한 힘을 줄 수 없는 바, 손만을 사용하여서는 마감부재(31)를 프레임(34)에서 분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일자 드라이버 등이 공구 끝단을 마감부재의 외측리브 상단면과 천장 저면 사이로 강제 삽입한 후 외측리브와 천장 사이에 적절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벌린 후 프레임으로부터 마감부재를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마감부재는, 일반적으로 강판을 드로잉 가공하여 만든 후 미관향상 및 녹발생 방지를 위하여 그 표면에 크롬 등의 도금이 실시된 상태로서, 마감부재에서 반사갓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반사갓의 결합을 위하여 절곡되었던 절곡편을 다시 펴야 하는데, 금속재질의 절곡편을 손으로 펼 수는 없는 바, 드라이버, 롱노즈플라이어(long nose plier)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2차에 걸친 분리작업 과정 중 공구 등과의 마찰이나 접촉에 의해 마감부재의 표면이 긁힐 수가 있으며, 이러한 긁힘자국에 의해 강판의 표면이 대기에 노출되어 녹이 발생함으로써, 마감부재 자체의 미관은 물론 천장 전체의 미관까지도 해칠 수 있다.
즉 광투과판이 사용된 종래의 다운 라이트는, 램프의 교환이나 반사갓의 청소를 위하여 반사갓과 광투과판이 결합된 마감부재를 프레임에서 분리하는 작업은 물론, 마감부재에서 반사갓을 다시 분리하는 작업도 매우 불편하다.
또한 도금된 강판이 마감부재의 소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도금박리 또는 긁힘자국 등에 의해 쉽게 표면녹이 발생하여 마감부재의 사용연한이 현저히 단축되며, 마감부재의 표면에 녹이 슨 경우, 표면녹의 경우 눈에 잘 띠기 때문에 전장의 미관을 위하여, 표면녹이 있는 마감부재를 신속히 교체해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광투과판이 사용된 종래의 다운 라이트가 가지고 있는 분리 측면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천장 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천장 위의 공간에 매입설치된 프레임에서 마감부재를 분리하고, 분리된 마감부재에서 반사갓을 다시 분리하는 2차의 분리작업 과정에서 어떠한 공구도 사용하지 않고 손만을 사용하여서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다운 라이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표면에 긁힘자국 등의 표면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표면녹이 발생하지 않는 마감부재가 결합된 다운 라이트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마감부재의 내측리브에 구비된 걸림홈과 걸림편 및 프레임 하단부 내주면에 구비된 걸림돌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마감부재의 합성수지화에 의하여서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운 라이트는, 프레임과 마감부재가 억지끼움식이 아닌 회전걸림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마감부재를 단순 회전시키 는 방법으로 프레임에서 마감부재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마감부재의 소재를 금속에서 합성수지로 변경하며, 마감부재의 내측리브에 탄력을 가진 걸림편을 구비하고, 이 걸림편이 반사갓 하단부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함으로써, 걸림편을 탄성적으로 밀기만 하면 반사갓을 마감부재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표면녹이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천장의 저면(천장면) 위로 매입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하단부에 결합된 후 천장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천장의 미관에 영향을 미치는 환상의 마감부재 등으로 구성된 다운 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운 라이트는, 특히 매입설치된 프레임으로부터 마감부재를 손쉽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한 다운 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천장의 저면에 접촉하는 환상의 마감부재와; 마감부재의 중앙부에 적층되는 광투과판과; 광투과판의 상면 테두리부에 적층된 상태로 마감부재에 결합되는 반사갓과; 천장 저면 위로 매입설치되며, 내부로 반사갓이 삽입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운 라이트는, 마감부재와 반사갓의 결합구조 및 마감부재와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종래의 다운 라이트와는 다른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감부재는, 천장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그 저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다운 라이트의 외관과 천장 전체의 미관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마감부재는, 수평한 직경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램프의 빛이 통과하는 구멍으로서의 조사공(照射孔)이 중앙부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림과; 림 상면의 서로 다른 가상원주를 따라, 평면도 상에서,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한쌍의 링형 내·외측리브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외측리브는 조사공에 인접한 림 상면 및 림 상면의 외측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리브의 높이는 외측리브의 높이보다 높으며, 내측리브는 프레임 하단의 내경부로 삽입되어 그 외주면이 프레임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고, 외측리브의 상단면은 천장의 저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내측리브에는, 힘이 부여되는 경우 고정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서의 상단부가 직경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다수의 걸림편과, 내측리브를 관통하는 동시에 내부 일측이 내측리브의 상단면을 통하여 개방되는 다수의 걸림홈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홈은 "ㄴ"자에 유사한 형상을 하는데, 상·하 폭에 비하여 좌·우 길이가 길며 내측리브를 관통하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내측리브를 관통하면서 내측리브의 상단면으로 개방되어 상·하 길이에 비하여 좌·우 폭이 짧은 인입부로 이루어진다.
반사갓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판재를 드로잉(drawing) 가공하여 만들어지는데, 축방향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고 상·하단부가 개방된 상·하향 개방형 구조로서, 외주면 하단부에는 수편한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환상 의 결합플렌지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반사갓의 결합플렌지는, 마감부재의 내측리브와 조사공 사이에 위치하는 마감부재 림의 상면, 즉 내측리브의 내경부 상면에 적층되는데, 반사갓을 마감부재의 내측리브 내경부에 내려 놓으면, 내측리브에 구비된 걸림편에 반사갓 결합플렌지의 저면이 걸리기 때문에 반사갓의 결합플렌지가 마감부재 림의 상면에 적층되지 못하고 림의 상면 위에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편에 반사갓의 결합플렌지가 걸려있는 상태에서 반사갓을 누르면, 내측리브의 걸림편 상부가 탄성적으로 밀려나면서 반사갓의 결합플렌지가 마감부재 림의 상면까지 완전히 내려가 적층될 수 있게 되고, 반사갓의 결합플렌지가 림의 상면까지 내려감에 따라 탄성적으로 밀려났던 걸림편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바, 반사갓을 들어 올리는 경우 결합플렌지의 상면이 걸림편에 걸리면서 반사갓을 마감부재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마감부재 내측리브의 걸림편에 힘을 가하여 외측으로 밀지 않을 경우 반사갓은 마감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프레임은, 반사갓이 상향 삽입될 수 있도록 하향 개방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단부 내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최하단부에는 수평한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환상의 적층플렌지가 연장 형성된 구조로서, 적층플렌지는 마감부재의 내·외측리브 사이에 위치한 림의 상면에 적층되는 형태가 된다.
이때 프레임과 마감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외측리브 사이에 위치한 림의 상면과 적층플렌지의 저면은 접촉할 수도 있고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될 수도 있 다.
그리고 프레임 하단부 내주면에 구비된 걸림돌기는 마감부재의 내측리브에 형성된 걸림홈 내부로 분리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데, 마감부재 내측리브의 걸림홈과 프레임 내주면의 걸림돌기는 다음과 같이 결합한다.
프레임은 고정설치되고 마감부재는 분리된 상태라 하면, 우선, 프레임 걸림돌기와 마감부재 걸림홈 인입부 사이의 상·하 위치가 일치되도록 마감부재를 회전시켜 그 위치를 조정한 후, 마감부재를 프레임 측으로 밀어넣어 마감부재의 내측리브가 프레임의 하단 내경부로 삽입하면서 프레임 하단부 내주면의 걸림돌기를 걸림홈의 인입부 내로 진입시켜 인입부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걸림돌기를 마감부재 걸림홈의 인입부 하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마감부재를 회전시키면, 프레임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의 상단개방형 인입부에서 상단폐쇄형 걸림부로 이동함으로써, 마감부재 걸림홈의 걸림부가 프레임의 걸림돌기에 걸리게 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에 본 발명 일실시예 다운 라이트의 분리 사시도를, 도 6에 결합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운 라이트는,
중앙부에 조사공(H)이 형성되며 직경방향의 폭을 가진 환상의 림(51A)과, 림(51A)의 상면에 서로 다른 가상의 원주를 따라 서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돌출형성되는 내·외측리브(51B)(51C)로 이루어지며, 내측리브(51B)에 다수의 걸림홈(G)과 걸림편(B)이 구비된 마감부재(51)와;
상기 마감부재(51)의 내측리브(51B)와 조사공(H) 사이의 림(51A) 상면에 적층되는 원판상의 광투과판(52)과;
축방향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확경되며 상·하단부가 개방되는 몸체(53A)와, 몸체(53A)의 하단부 외주면에서 수평한 직경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환상의 결합플렌지(53B)로 이루어지며, 결합플렌지(53B)가 광투과판(52)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에서 마감부재 내측리브(51B)의 걸림편(B)에 탄성적으로 걸려 마감부재(51)에 결합되는 반사갓(53)과;
상기 반사갓(53)이 상향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부가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마감부재 내측리브(51B)의 걸림홈(G)에 걸리는 다수의 걸림돌기(E)가 하단부 내주면에 돌출형성되고, 마감부재 내·외측리브(51B)(51C) 사이의 림(51A) 상면에 적층되는 환상의 적층플렌지(54A)가 하단부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며, 내부공간 내에 램프(L) 결합용 소켓(S)이 구비된 프레임(54);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51)의 외측리브(51C)는 림(51A)의 상면 중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며, 내·외측리브(51B)(51C)는 림(51A) 상면의 가상 원주 전체를 따라 돌출될 수도 있으나 단속적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감부재(51)의 내측리브(51B)에 구비된 각 걸림편(B)은, 내측리브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측으로 내측단부를 끊는 인접한 두 분리홈(G')사이에 형성되고, 걸림편(B)의 내면에는 걸림단턱(J)이 돌출됨으로써, 내측리브(51B)를 고정한 상태에서 반사갓(53)을 들어 올리는 경우 반사갓의 결합플렌지(53B) 상면이 걸림단턱(J)에 걸림으로써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다.
또한 마감부재(51)의 내측리브(51B)에 구비된 걸림홈(G)은, 내측리브의 원주방향을 따른 좌·우 길이가 내측리브의 폭방향을 따른 상·하 폭보다 길며 내측리브를 관통하는 걸림부(G1)와; 걸림부(G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내측리브를 관통하면서 내측리브의 상단부로 개방되고, 내측리브의 폭방향을 따른 상·하 길이에 비하여 내측리브의 원주방향을 따른 좌·우 폭이 짧은 인입부(G2); 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걸림부(G1)와 인입부(G2) 각각에 대한 길이와 폭 비교는, 절대적인 것이 아닌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돌기의 크기, 인입부의 위치 등에 따라 길이와 폭의 상대적 비율은 달라질 수 있는데, 중요한 점은 걸림부(G1)와 인입부(G2)가 "ㄴ"의 형상을 이루되 걸림부(G1)와 인입부(G2) 사이의 각도가 반드시 직각은 아니라는 점이다.
또한 프레임(54) 내주면의 걸림돌기(E)는, 상기 인입부(G2)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하여 하단부로 이동한 다음 걸림부(G1)로 다시 이동함으로써 걸림부(G1)에 걸림돌기(E)가 수직방향으로 걸리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G1)를, 인입부(G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걸림부(G1)가 경사지면 마감부재(51)를 회전시킴에 따라 프레임의 걸림돌기(E)가 마감부재(51)의 하단부 측으로 더욱 가깝게 마감부재(51)와 프레임(54)이 더욱 더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G1)의 천장면에 다수의 요철(T)을 구비함으로써 걸림돌기(E)가 경사진 걸림부(G1)의 천장면을 따라 저절로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걸림홈(G)이 "ㄴ"자형상을 하는 경우 마감부재(51)의 결합 및 분리는 항상 일정한 회전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는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G)을 "ㅗ"자형으로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인입부(G2)의 양 측에 걸림부(G1)가 형성되는 "ㅗ"자형 걸림홈(G)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프레임(54)의 걸림돌기(E)를 인입부(G2)의 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좌 또는 우 어떠한 방향으로 마감부재를 회전시켜도 프레임과 마감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그 외에, 천장에 접촉한 상태에서 외부로 드러나는 마감부재(51)는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그 표면에 도금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감부재(51)와 프레임(54)에 각각 구비된 외측리브(51B) 및 적층플렌지(54A)는 외관 향상을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형광등의 사시도.
도 2는 상자형 케이스가 구비된 종래 조명구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다운 라이트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종래 다운 라이트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 다운 라이트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 다운 라이트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운 라이트를 구성하는 일실시예 결합홈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 다운 라이트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 결합홈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마감부재 51A. 림 51B. 내측리브
51C. 외측리브 52. 광투과판 53. 반사갓
53A. 몸체 53B. 결합플렌지 54. 프레임
54A. 적층플렌지 B. 걸림편 C. 천장
E. 걸림돌기 H. 조사공 G. 걸림홈
G'. 분리홈 G1. 걸림부 G2. 인입부
J. 걸림단턱 L. 램프 S. 소켓
T. 요철

Claims (6)

  1. 천장면 위로 매입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하단부에 결합되는 반사갓 및 천장면에 접촉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운 라이트에 있어서,
    환상의 림(51A) 상면 원주를 따라 내측리브(51B)가 돌출되고, 내측리브(51B)에 걸림홈(G)과 걸림편(B)이 구비된 마감부재(51)와;
    상기 내측리브(51B) 내경부의 림(51A) 상면에 적층되는 광투과판(52)과;
    하부로 갈수록 확경되는 상·하 개방형 몸체(53A)의 하단부 외주면에 결합플렌지(53B)가 구비되고, 결합플렌지(53B)가 광투과판(52) 상면 테두리부에 적층된 상태에서 마감부재(51)의 걸림편(B)에 걸리는 반사갓(53)과;
    상기 반사갓(53)이 하단부를 통하여 상향 삽입되고, 마감부재의 걸림홈(G)에 걸리는 걸림돌기(E)가 하단부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프레임(5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리브(51B)의 걸림홈(G)은,
    내측리브(51B)를 관통하며 내측리브의 상단부로 개방되는 인입부(G2)와;
    상기 인입부(G2)의 하단부에서 좌·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연장되고 내측리브를 관통하는 걸림부(G1);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리브(51B)의 걸림홈(G)은,
    내측리브(51B)를 관통하며 내측리브의 상단부로 개방되는 인입부(G2)와;
    상기 인입부(G2)의 하단부에서 좌·우 양 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내측리브를 관통하는 한쌍의 걸림부(G1);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G1)는,
    인입부(G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형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5.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G1)의 천장면에는, 다수의 요철(T)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51)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도금층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라이트.
KR1020070123929A 2007-11-30 2007-11-30 다운 라이트 KR10097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929A KR100976214B1 (ko) 2007-11-30 2007-11-30 다운 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929A KR100976214B1 (ko) 2007-11-30 2007-11-30 다운 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680A true KR20090056680A (ko) 2009-06-03
KR100976214B1 KR100976214B1 (ko) 2010-08-17

Family

ID=4098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929A KR100976214B1 (ko) 2007-11-30 2007-11-30 다운 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807B1 (ko) * 2014-02-17 2014-06-24 보경산업(주) 원뿔대 형상의 반사갓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조명등기구
JP2017004730A (ja) * 2015-06-09 2017-01-0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516B1 (ko) * 2013-06-21 2014-12-22 유제자 등기구
KR200477488Y1 (ko) * 2014-08-27 2015-06-16 박일연 고정프레임의 테두리가 넓게 형성된 천장 매립형 led 조명 기구
WO2018150373A1 (en) * 2017-02-16 2018-08-23 Aurora Limited Improved downligh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012U (ko) * 1997-03-17 1998-11-05 강종효 천정매입등의 반사갓 고정장치
KR200236556Y1 (ko) * 2001-03-20 2001-10-08 대한전기산업(주) 조명기구의 반사갓 결합구조
KR20080097068A (ko) * 2007-04-30 2008-11-04 주식회사 한일조명 램프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조명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807B1 (ko) * 2014-02-17 2014-06-24 보경산업(주) 원뿔대 형상의 반사갓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조명등기구
JP2017004730A (ja) * 2015-06-09 2017-01-0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214B1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6752C (en) Lighting device and lens assembly
US7862215B2 (en) Light fixture assembly and method
US8827512B1 (en) Pathway light fixture with releasably sealed lamp enclosure
KR100976214B1 (ko) 다운 라이트
JP2007250231A (ja) 照明器具
US7465077B1 (en) Retention spring for luminaire reflector
CN209294961U (zh) 一种便于清理的led吊灯
US7175300B1 (en) Side-entry lamping fixture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KR200408793Y1 (ko) 매입등 기구의 본체와 유니트 하우징 연결구조
KR200424325Y1 (ko) 천장 매립등
KR200417464Y1 (ko) 조명기기의 결합구조
KR200391541Y1 (ko)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한 조명커버 착탈구조를 갖는조명등
CN220623821U (zh) 前置双向锁紧结构以及照明灯具
KR200334562Y1 (ko) 조명등기구의 반사갓 체결구조
KR20110113302A (ko) 다운라이트형 조명등의 반사갓장치
KR20120001918U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CN208967528U (zh) 模组化灯体及模组化灯具
KR200428653Y1 (ko) 미닫이 개폐식 커버를 갖는 천정등
CN209876692U (zh) 一种家用无极灯
KR20100009155U (ko) 분리형 커버를 구비한 조명기구
KR20110111974A (ko) 실내 조명등의 커버판 개폐장치
KR20200141733A (ko) 조명등
AU2011101089A4 (en) Downlight Fixture
KR200308100Y1 (ko) 조명등용 갓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