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281A -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281A
KR20090055281A KR1020070122128A KR20070122128A KR20090055281A KR 20090055281 A KR20090055281 A KR 20090055281A KR 1020070122128 A KR1020070122128 A KR 1020070122128A KR 20070122128 A KR20070122128 A KR 20070122128A KR 20090055281 A KR20090055281 A KR 20090055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omposition
productivity
growth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홍
나천수
오석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치투 바이오케미칼
김민홍
오석흥
나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치투 바이오케미칼, 김민홍, 오석흥, 나천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치투 바이오케미칼
Priority to KR102007012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5281A/ko
Publication of KR20090055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2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10Fertilisers containing plant vitamins or 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감마아미노부틸산(Gamma Amino Butyric Acid , GABA), 트레할로스(Trehalose),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식물 재배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식물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감마아미노부틸산(Gamma Amino Butyric Acid , GABA), 트레할로스(Trehalose), 쌀겨추출물

Description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Compositions for the growth of plants and for the increase in the productivity and the culture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감마아미노부틸산(Gamma Amino Butyric Acid , GABA), 트레할로스(Trehalose),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식물 재배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식물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식용으로 하는 식물들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비료의 개발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비료는 질소, 인산, 칼리가 함유된 비료를 기본으로 하여 퇴비, 아미노산 비료, 키토산비료 등 그 성분이 정확히 규명될 수 없는 복합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비료의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비료와 농약의 남용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한편으로 안전한 먹거리를 보증할 수 없게 되었다.
감마아미노부틸산(GABA)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하나로서 인간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낮춰주고 성장호르몬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BA는 신경전달물질로서 뇌속에 다량 들어 있고 음식으로서는 발아현미, 녹차, 김치등에 들어 있는 성분이다. GABA는 정신을 차분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초코렛, 두유 등에 첨가하거나 건강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GABA가 동물에서 뿐만 아니라 식물체내에서도 중요한 생리작용을 하는 것이 밝혀졌다. 즉 GABA는 식물체내에서 탄소와 질소의 균형, 세포질의 pH 조절,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작용, 곤충에 대한 방어, 삼투압조절 등의 역할이 알려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물에서와 마찬가지로 신호전달의 역할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Trends in Plant Science, 2004;l9(3);110∼115).
트레할로스는 비환원성 이당류로 전분으로 만들어진 식품의 보습이나 윤기를 위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미생물이나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체적으로 트레할로스를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lant Mol Biol. 2005 Aug;58(6):751-62). 트레할로스가 식물체내에서 신호전달에 관여한다는 보고도 있다(Annu Rev Plant Biol. 2006;57:675-709). 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키우기 위해 트레할로스를 생산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작물에 도입하는 시도도 행해지고 있다(KP 10-0468307-0000(2005.01.18), Plant Mol Biol. 2007 Jul;64(4):371- 86).
쌀겨는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물, 항산화물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사료로 이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식품소재로 사용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GABA,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의 식품에서의 응용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식물의 성장과 수확을 증대시키고 농약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결과는 극히 제한 적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WO 01/82698에 글루타민산과 글리옥살산등을 씨앗, 뿌리, 줄기, 잎 등에 처리함으로써 과일, 채소, 알곡 등의 생산성이 증가하는 내용이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과 대비시 기술적 구성이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식물 재배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식물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식물에 사용함으로써 식물이 병충해, 환경이나 기후조건의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를 덜 받게 하여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향상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감마아미노부틸 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나타낸다.
상기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은 식물의 살포에 용이하도록 수용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은 식물의 잎에 살포가 용이하도록 수용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감마아미노부틸산은 정제수에 용해하여 수용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농도가 100∼5,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0∼3,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트레할로스는 정제수에 용해하여 수용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100∼10,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0∼7,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5,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쌀겨추출물의 농도는 20∼3,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쌀겨추출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2,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쌀겨추출물의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잎줄기채소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열매채소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알곡작물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훼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잔디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잎줄기채소, 열매채소, 알곡작물, 화훼, 잔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잎줄기채소의 일예는 배추, 양배추, 시금치, 미나리, 셀러리, 파슬리, 상추, 양상추, 머위, 쑥갓, 양파, 마늘, 파, 갓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다.
상기 열매채소의 일예는 고추, 참깨, 들깨, 토마토, 가지, 딸기, 참외, 수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다.
상기 알곡작물의 일예는 벼, 보리, 밀, 옥수수, 귀리, 수수, 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화훼의 일예는 난, 구근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구근류의 일예로 백합, 수선화, 튤립, 칸나, 히아신스, 다알리아, 크로커스, 아마릴리스, 프리지아, 또는 글라디올러스 이다.
상기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중의 한 성분인 감마아미노부틸산은 글루타릴산을 원료로 하는 화학합성법, 글루타민산을 원료로 하는 효소법(엠에이치투바이오케미칼, 한국), 포도당을 원료로 하는 발효법(교와사, 일본)과 같은 공지된 선행기술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시중에서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중의 한 성분인 트레할로스는 공지된 선행기술로부터 제조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시중에서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는 것(하야시바라, 일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중의 한 성분인 쌀겨추출물은 정 미소에서 얻은 쌀겨를 열수추출 또는 유기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쌀겨추출물의 일예로 하기 (1) 또는 (2)의 방법으로 얻은 쌀겨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1)쌀겨를 5∼10중량%가 되도록 물에 현탁시킨 다음 알파아밀라제 100∼200유닛/g쌀겨가 되도록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온도를 90∼100℃까지 올려 1∼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규조토 1∼5중량%를 투입하고 30∼60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한다. 여과액을 농축한 농축액을 쌀겨추출물로 하였다. 이때 여과액의 농축 조건에 따라 10∼20브릭스의 쌀겨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2)쌀겨를 5∼10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수용액에 현탁시킨 다음 교반하면서 온도를 60∼70℃까지 올려 2∼5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규조토 1∼5중량%를 투입하고 30∼60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한다. 여과한 여과액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쌀겨추출물로 하였다. 이때 여과액의 농축 조건에 따라 5∼10 브릭스의 쌀겨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에탄올수용액은 50∼90% 에탄올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재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물 재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식물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물 재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 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수용액 상태로 식물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물 재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식물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물 재배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수용액 상태로 식물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을 식물의 잎에 살포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을 식물의 뿌리에 살포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을 식물의 뿌리 주변의 흙에 살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농도가 100∼5,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0∼3,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트레할로스는 정제수에 용해하여 수용액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100∼10,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0∼7,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5,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쌀겨추출물의 농도는 20∼3,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쌀겨추출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20∼2,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수용액 중의 쌀겨추출물의 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0pp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은 비료 또는 농약과 같이 식물에 살포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은 식물에 비료 또는 농약을 살포하기 전 식물에 살포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은 식물에 비료 또는 농약을 살포한 후 식물에 살포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을 식물에 살포시 사용량은 모종에서 수확까 지 1회∼30회 사용하되, 매회 사용량은 고형분 기준으로 10∼300g/330m2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을 식물에 살포시 사용량은 모종에서 수확까지 1회∼20회 사용하되, 매회 사용량은 고형분 기준으로 10∼200g/330m2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재배시 수용액 조성물을 식물에 살포시 사용량은 모종에서 수확까지 1회∼10회 사용하되, 매회 사용량은 고형분 기준으로 10∼100g/330m2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재배시 비료살포의 목적은 식물의 생장과 생산에 필요한 영양분을 토양이나 식물에 살포 또는 주입하는 것이다. 비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료성분은 질소성분(예, 요소), 인산성분(예, 오산화인), 칼륨성분(예, 산화칼륨)과 무기물(예, 칼슘, 마그네슘, 황, 철)과 미량원소(예, 철, 망간, 구리, 아연, 붕소, 몰리브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방법은 상기의 비료 성분이 충분히 공급됨을 전제로 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료 및/또는 농약과 같이 식물에 살포하거나 또는 비료 및/또는 농약의 사용 전후에 추가로 식물에 살포할 때 부가적인 생산성 증대를 얻을 수 있고 농약의 사용량 또는 살포회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료 및/또는 농약과 함께 식물에 살포하거나 또는 비료 및/또는 농약 사용 전후에 식물에 살포하여도 그 효과에 차이가 없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성물을 수용액 상태로 잎에 살포시 부가적이고 추가적인 생산성 증대와 농약사용량 또는 살포회수 감소의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수용액 상태로 함유하는 비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료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수용액 상태로 함유하는 비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는 종래 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1∼100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료는 종래 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1∼10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종래 비료는 식물 재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무기질 및/또는 유기질 비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종래 비료는 질소, 인산, 칼륨이 함유된 것으로 식물 재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종래 비료는 질소, 인산, 칼륨, 무기물이 함유된 것으로 식물 재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종래 비료는 질소, 인산, 칼륨, 무기물 및 미량원소가 함유된 것으로 식물 재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무기물은 칼슘, 마그네슘, 황, 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고, 미량원소는 철, 망간, 구리, 아연, 붕소, 몰리브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의 고추에 대한 효과
살수설비가 되어 있는 시설하우스 400m2 안에 시험구당 50m2를 할당하고 모종 이식전에 토양을 아래와 같이 처리하였다
10m2당 퇴비(돈분 퇴비사용) 60kg, 원예용 복합비료 0.9kg 처리.
10m2당 품종명이 신광인 고추 모종 12주를 심었다.
무처리구 및 각 시험구 공통으로 농약은 탄저병용 농약(다이센엠)과 진딧물방제(코니도액제)를 동시에 행하였고 비료로서 아미노산액비와 키토산액비를 함께 살포하였다.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로서 감마아미노부틸산(GABA)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GABA의 농도가 1,200ppm인 것을 제1시험구, 트레할로스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트레할로스의 농도가 1,500ppm인 것을 제2시험구, 쌀겨추출물의 농도가 100ppm인 것을 제3시험구, 제1시험구와 제2시험구를 혼합한 것을 제4시험구, 제2시험구와 제3시험구를 혼합한 것을 제5시험구, 제1시험구와 제2시험구 및 제3시험구를 혼합한 것을 제6시험구로 하였다.
상기 각각의 시험구를 7∼8월중에 매주 1회씩 8회 고추에 엽면시비하였으며, 매회 시비할 때마다 시험구당 9리터(ℓ)를 사용하였다. 대조구인 무처리구는 상기 농약 및 비료를 살포한 후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대조구(무처리구)의 경우 9월20일 이후에는 고추가 더 이상 착과하지 않거나 숙성이 되지 않아 수확이 곤란하였고,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고추의 엽면에 처리한 각각의 시험구의 경우 10월5일까지 수확하였다.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의 고추에 대한 효과를 아래의 표 1-1, 표 1-2에 나타내었다.
표 1-1. 고추에 대한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의 효과
항목 10m2당 건조고추 수확량 탄저병으로 죽은 묘목 비료회수
대조구 무처리구 2.0근 30% 4회
시험구 ①GABA 1,200ppm 2.8근 8% 4회
②트레할로스 1,500ppm 2.3근 6% 4회
③쌀겨추출물 100ppm 2.2근 10% 4회
①+② 3.3근 1% 4회
②+③ 3.0근 5% 4회
①+②+③ 3.5근 1% 4회
표 1-2. 고추에 대한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의 효과
항목 농약회수 생산성 [처리구/무처리구, %]
대조구 무처리구 5회 100
시험구 ①GABA 1,200ppm 4회 140
②트레할로스 1,500ppm 4회 115
③쌀겨추출물 100ppm 4회 110
①+② 4회 165
②+③ 4회 150
①+②+③ 4회 175
상기 표 1-1, 표 1-2의 결과에서처럼 대조구(무처리구)에서는 농약을 뿌렸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병으로 죽은 묘목이 있었으나,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죽은 묘목이 거의 없었다. 특히 GABA와 트레할로스를 살포한 시험구에서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수확기간이 늘어 났으며, 고추과육이 더 두툼하고 잘 썩지 않고 건조고추의 윤기가 더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의 참깨에 대한 효과
노지 400m2에 시험구당 50m2를 할당하고 밑거름으로 10m2당 요소 17kg, 용성인비 20kg, 염화가리 15kg을 토양과 함께 잘 섞어 멀칭하였다.
10m2당 대대로 자가채취한 참깨씨로부터 얻은 모종 54주를 심었다.
무처리구와 각 시험구 공통으로 잎마름병약제와 돌림병약제를 살포하였다.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처리한 각각의 시험구의 경우 조성물을 7월중에 매주 1회씩 4회 엽면시비하였으며, 대조구인 무처리구에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상기에서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로서 감마아미노부틸산(GABA)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GABA의 농도가 1,200ppm인 것을 제1시험구, 트레할로스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트레할로스의 농도가 1,500ppm인 것을 제2시험구, 쌀겨추출물의 농도가 100ppm인 것을 제3시험구, 제1시험구와 제2시험구를 혼합한 것을 제4시험구, 제2시험구와 제3시험구를 혼합한 것을 제5시험구, 제1시험구와 제2시험구 및 제3시험구를 혼합한 것을 제6시험구로 하였다.
조성물의 참깨에 대한 효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냈다.
표 2. 참깨에 대한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의 효과
항목 10 m2당 참깨수확량(kg) 생산성 [처리구/무처리구,%]
대조구 무처리구 0.75 100
시험구 ①GABA 1,200ppm 0.85 113
②트레할로스 1,500ppm 0.88 117
③쌀겨추출물 100ppm 0.92 123
①+② 1.05 140
②+③ 1.00 133
①+②+③ 1.10 147
대조구의 무처리구에 비해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며, 참깨 꼬투리가 크고 많이 달렸으며 참깨 꼬투리가 성숙하면서 꽃이 계속 위로 피어났다.
<실시예 3>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의 배추에 대한 효과
노지 200m2에 각각 100m2씩 대조구와 시험구를 할당하였다.
밑거름으로서 아주심기 2주전에 퇴비, 석회, 붕사를 밭 전면에 뿌린 후 경운기로 갈아 흙과 잘 혼합되도록 하고 요소, 인산, 칼리가 함유된 복합비료는 아주심을 이랑을 만들때 심겨질 이랑밑에 주고 이랑을 만들었다.
중생종 배추모를 75×40cm 간격으로 아주심기를 하였다. 아주심기 후 15일 간격으로 2회 웃거름을 주었다. 시험구의 경우 아주심기 한달 후 1주 간격으로 2회 트레할로스와 쌀겨추출물을 각각 1,500ppm, 100ppm의 농도가 되도록 물에 용해하여 매회 9리터를 배추잎에 분무살포하였다.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배추잎에 처리한 시험구 및 대조구로서 배추잎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않은 각각의 배추에 대한 효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배추에 대한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의 효과
항목 배추 포기당 무게(g) 증가율[(B-A)/A, %]
무처리구(A) 1,750 0
트레할로스+쌀겨추출물(B) 2,100 20
상기 표 3의 결과에서처럼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배추잎에 처리한 시험구는 대조구로서 배추잎에 아무런 처리를 하지않은 무처리구에 비해 배추 포기당 무게가 더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험구의 배추는 대조구의 배추에 비해 포기가 더 크고 윤기가 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감마아미노부틸산, 트레할로스, 쌀겨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은 잎줄기채소, 열매채소, 알곡작물, 화훼, 잔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3. 식물 재배에 있어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조성물을 수용액 상태로 식물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수용액 조성물을 식물의 잎에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수용액 조성물을 비료와 같이 식물에 살포하거나, 비료를 식물에 시비 전에 식물에 수용액 조성물을 살포하거나 또는 비료를 식물에 시비 후에 식물에 수용액 조성물을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수용액 조성물 중의 감마아미노부틸산의 농도는 100∼5,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수용액 조성물 중의 트레할로스의 농도는 100∼10,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수용액 조성물 중의 쌀겨추출물의 농도는 20∼3,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방법.
  9. 비료에 있어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10. 제9항에 있어서, 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1∼100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
KR1020070122128A 2007-11-28 2007-11-28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KR20090055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128A KR20090055281A (ko) 2007-11-28 2007-11-28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128A KR20090055281A (ko) 2007-11-28 2007-11-28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281A true KR20090055281A (ko) 2009-06-02

Family

ID=4098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128A KR20090055281A (ko) 2007-11-28 2007-11-28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52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6072A4 (en) * 2011-09-13 2015-05-06 Stoller Ets METHOD FOR IMPROVING CROP YIELD BY TREHALOSE APPLICATION
CN113061061A (zh) * 2021-02-19 2021-07-02 安徽丰乐农化有限责任公司 一种富含γ-氨基丁酸的化学肥料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6072A4 (en) * 2011-09-13 2015-05-06 Stoller Ets METHOD FOR IMPROVING CROP YIELD BY TREHALOSE APPLICATION
CN113061061A (zh) * 2021-02-19 2021-07-02 安徽丰乐农化有限责任公司 一种富含γ-氨基丁酸的化学肥料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0052B (zh) 一种果树专用肥料及其制备方法
AU732744C (en) Method for increasing fertilizer efficiency
JP5080184B2 (ja) 植物活力剤組成物
CN107922282B (zh) 提高果实品质及疏果用化肥组合物
CN104086320B (zh) 一种西红柿用叶面肥
ES2550098T3 (es) Utilización de ulvanos como inductores de mecanismos de absorción de nitrógeno y de la síntesis de proteínas
CN109022336A (zh) 农作物种植用生物活性液
CN105123759A (zh) 耐盐碱植物生长促进剂
CN105248213A (zh) 一种观赏槭树高效栽培技术
CN111138231A (zh) 一种含腐植酸高浓度液体水溶肥及其制备方法
KR100612641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CN103739391B (zh) 一种叶菜专用复合生物肥
KR101218221B1 (ko) 신규한 농작물 생육 증진용 비료 조성물
Shehata et al.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he cucumber crop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using some stimulants and spraying amino acids
CN112438148A (zh) 一种新型大姜土传病害绿色高效防控方法
Rijal et al. Effect of bio-manures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A review
KR101238338B1 (ko)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포도 및 그 시비방법
CN105061068A (zh) 一种辣木多糖富集生物液体肥料及其制备方法
KR20090055281A (ko) 식물의 성장 및 생산성 촉진용 조성물 및 동 조성물을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Singh et al. Effect of Nano-chitosan, Nano-micronutrients and Bio capsules on Vegetative growth, flowering and fruiting attributes of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cv
KR100939843B1 (ko) 작물의 양분이용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희토류 원소를 함유한 비료 조성물
KR101872494B1 (ko) 작물 생육 촉진용 영양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JP6324042B2 (ja) 菌糸体肥料及びその製法
Dobromilska et al. Influence of Bio-algeen S-90 on the yield and quality of small-sized tomato
KR101002570B1 (ko) 기능성 사과 재배를 위한 베타카로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