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756A -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756A
KR20090054756A KR1020070121598A KR20070121598A KR20090054756A KR 20090054756 A KR20090054756 A KR 20090054756A KR 1020070121598 A KR1020070121598 A KR 1020070121598A KR 20070121598 A KR20070121598 A KR 20070121598A KR 20090054756 A KR20090054756 A KR 2009005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high brightness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영
김윤태
박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756A/ko
Publication of KR2009005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부의 일부분을 개방하여 외부의 빛이 손실없이 그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전달되는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산광부를 형성하여 외부의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입사되는 외부의 빛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산광부로 전달되기 때문에 외부광의 손실량을 줄일 수 있어 고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주변 조도에 따라 내부광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액정표시장치, LCD, 반투과형, 산광기, 휘도, 백라이트

Description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High brightness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CD)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사형과 투과형이 혼합된 형태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와 관련된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란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적인 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를 말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자기발광성이 없기 때문에 후광이 필요하지만 소비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편리해 널리 쓰이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사용되는 후광의 소스(source)에 따라 반사형, 투과형 및 반투과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반사형은 외부광원을 반사시켜 이를 후광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소정의 반사판이 필요한 형태이고, 투과형은 후광으로써 내부광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백라이트유니트(BLU)의 자체 빛을 이용하는 형태이다. 반투과형은 반사형과 투과형이 혼합된 형태로 외부광원과 내부광원을 모두 이용한다. 즉,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판과 백라이트 유니트가 모두 구비되어 일부는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는 외부광을 이용(반사모드)하고 또 다른 일부는 백라이트 유니트(BLU)에서 방출되는 내부광을 이용(투과모드)하는 형태이다.
한편, 주변 조도에 비해 액정표시장치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밝지 못한 경우 명암비(contrast ratio)의 차이로 인해 표시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외부광을 일부 이용하는 방법과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자체 휘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밝은 환경하에서 외부광을 이용하여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사모드로 작동되는 반사형 셀(cell)이 전체 개구면적의 50%를 차지하고 있고 반사모드에서는 효율이 5% 미만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어두운 환경하에서는 휘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부광이 갖고 있는 빛의 성질과 내부광이 갖고 있는 빛의 성질(예컨대, 광스펙트럼)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이를 보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인 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자체 휘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의 경우, 높은 휘도를 위해 고휘도 백라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화이트 픽셀(white pixel)을 사용하여 내부광원의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화이트 픽셀 사용에 따라 해상도가 저하되고 추가적인 영상처리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상도 저하가 없으면서도 외부광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광을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내부광원의 전력소모를 절감시키고 휘도향상에 따른 고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편광판이 구비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충전된 액정표시부; 상기 액정표시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입사되는 빛을 임의의 각도로 산란시키는 산광부; 및 상기 액정표시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빛을 상기 산광부로 전달하되, 전달시 광손실을 줄이기 위해 상기 액정표시부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광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내장되어 색상을 표현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전달부는 상기 편광판 또는 상기 컬러필터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전달부 및 상기 산광부는 산광부로 전달되는 빛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서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광부는 홀로그래픽 산광기, 반사프리즘 또는 반사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액정표시부 및 상기 산광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산광부에서 산란된 빛을 상기 액정표시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필름;을 더 포 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광부 하부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및 상기 백라이트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액정표시부로 유도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산광부는 상기 도광판 위에 또는 상기 도광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 위에 편광판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편광판을 패터닝하여 외부의 빛이 그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광전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전달부의 하부에, 입사되는 빛을 임의의 각도로 산란시키는 산광부를 도광판 위에 또는 도광판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부(101), 산광부(102) 및 상기 액정표시부(101)에 형성된 광전달부(103)를 구비하며, 가이트필름(208), 백라이트(207) 및 도광판(2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부(101)는 상부기판(201), 하부기판(202), 상기 상부기판(201)과 하부기판(202) 사이에 충전된 액정층(203), 상기 기판(201)(202) 사이에 내장되어 색상을 표현하는 컬러필터(104), 상부기판(201)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편광판(204) 및 하부기판(202)의 하면에 형성된 하부편광판(205)을 구비한다.
상기 액정표시부(101)는 반사광 또는 내부의 자체광을 이용하여 각종 영상 및 화면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외부 전압에 의해 액정층(203)의 배열이 조절되고 액정층(203)을 통과하는 빛의 진동면은 상기 액정층(203)의 배열상태에 따라 변하는 성질을 이용한 표시장치이다. 즉,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는 편광판(204)(205)을 투명한 기판(201)(202)에 각각 접착하고 화소단위로 액정층(203)의 배열을 조절하면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정표시부(101)를 구동 및 제어하는 전극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액정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동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기판(201)(202)은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한 패널(panel)로써, 얇은 유리기판(glass substrate)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편광판(204)(205)은 자연광을 편광을 바꾸는 편광자(polarizer)로써, 편광프리즘, 편광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편광판(204)(205)은 특정 한 진동면을 가진 빛만 통과시키게 된다. 예컨대, 상부편광판(204)으로 수평 편광자를 사용하고 하부편광판(205)으로 수직 편광자를 사용하는 경우, 백라이트(207)에서 방출된 빛은 하부평관판(205)을 거치면서 수직 편광되기 때문에 액정층(203)의 배열에 따라 진동면이 수평으로 변한 경우에만 상부편광판(204)을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화소 단위로 흑/백만 표현 가능하므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컬러필터(104)를 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컬러필터(104)는 적(R), 녹(G), 청(B) 3개의 서브픽셀(sub-pixel)이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RGB 컬러필터 또는 적(R), 녹(G), 청(B), 백(W) 4개의 서브픽셀(sub-pixel)이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RGBW 컬러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광전달부(103)는 외부의 빛이 손실없이 또는 최소한의 손실로 산광부(102)에 도달되도록 상기 액정표시부(101)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의 의미는 액정표시부(101)의 일부분이 물리적으로 제거되거나 제거된 부분이 빛의 흡수량을 최소화하는 물질(예컨대, 유리 등)로 채워지는 것으로 이해하면 족할 것이다. 또한 상기 광전달부(103)는 빛의 손실량을 줄이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산광부(102)와 정렬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액정표시부(101)의 구성요소 중 빛을 가장 많이 흡수하는 부분은 상기 편광판(204)(205)과 상기 컬러필터(104)이다. 따라서 상기 광전달부(103)는 편광판(204)(205) 또는 컬러필터(104)의 일부분이 픽셀(pixel) 또는 서브픽셀(sub-pixel)마다 반복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정표시부(101)의 일부분을 개방 또는 제거시키는 방법은 일반적인 반도체 제조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유리기판 위에 도포된 편광필름에 희생층을 증착하고 여기에 소정의 패턴을 갖는 마스크를 놓고 리소그래피 과정을 통해 패턴을 형성한 후, 패턴을 따라 상기 편광필름을 식각하여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컬러필터(104)의 경우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RBG 컬러필터(104)의 경우 각 서브픽셀의 중앙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의 위아래로 정렬하여 상부편광판(204)의 일부 및 하부편광판(205)의 일부가 개방된다. 또한 컬러필터(104)의 경우 백색을 표시하는 화이트 서브픽셀(white sub-pixel)을 이용하여 상기 광전달부(103)의 개방된 부분을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산광부(102)는 상기 액정표시부(101)의 하부에 형성되며, 입사되는 빛을 임의의 각도로 산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홀로그래픽 산광기(holographic diffuser), 반사프리즘 또는 반사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홀로그래픽 산광기는 입사광을 180도가 아닌 다른 각도들로 산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산광부(102)의 형성 위치와 관련하여, 산광부(102)는 광전달부(103)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의 빛이 직접 도달하도록 상기 광전달부(103)와 서로 정렬된다. 또한 상기 광전달부(103)와 마찬가지로 액정표시부(101)의 픽셀 또는 서브픽셀마다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산광부(10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백라이트(207)에서 방출된 빛을 액정표시부(101)로 유도하는 도광판(206) 위에 형성되거나 상기 도광 판(206)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산광부(102)는 홀로그래픽 산광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유리 등을 가공하여 필름 형태의 산광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의 산광부(102)를 도광판(206)과 일체화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가이드필름(208)은 액정표시부(101) 및 산광부(10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산광부(102)에서 산란된 빛을 상기 액정표시부(101)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필름(208)은 산광부(102)에서 입사된 빛을 확산 및 굴절시키는 확산필름, 프리즘필름, 휘도향상필름 등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백라이트(207)는 산광부(102) 하부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부분으로 내부광원으로써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백라이트(207)로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를 사용할 수 있다.
백라이트(207)에서 방출된 빛은 도광판(206)에 의해 균일하게 액정표시부(101) 쪽으로 유도된다. 이때 백라이트(207)에서 방출되는 빛은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외부의 광량이 충분한 경우 조도감지센서(미도시)가 이를 검출하여 백라이트(207)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이 감소되도록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서, 외부의 빛(301)은 액정표시부(101)에 형성된 광전달부(103)를 통해 산광부(102)로 입사된다. 이때 광전달부(103)는 액정표시부(101)의 일부분이 물리적으로 제거되거나 빛의 흡수량을 최소화하는 유리 등으로 채워져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산광부(102)로 도달되는 입사광(301)은 편광판(204)(205) 및 컬러필터(104)를 거치지 않은 빛이다. 따라서 입사광(301)을 이용하는 경우 광손실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산광부(102)로 입사된 빛은 임의의 각도로 산란되며, 산란된 빛은 가이드필름(208)을 거치면서 일정 각도로 굴절되어 액정표시부(101)로 균일하게 유도된다. 유도된 빛은 액정층(203)의 상태에 따라 통과 유무가 결정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때 반사광(302)이 광전달부(103)를 따라 반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광전달부(103)를 따라 다시 반사된 빛은 일종의 화이트 서브픽셀(white sub-pixel)과 같이 전체 화면의 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백라이트(207)에서 방출된 빛은 도광판(206)에 의해 액정표시부(101)로 유도되며, 이 또한 액정층(203)의 상태에 따라 통과 유무가 결정되어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최종적인 영상은 산광부(102)로부터 산란된 반사광(302) 또는 백라이트(207)에서 방출된 내부광(303)에 의해 생성되는데, 반사광(302)의 경우 광손실을 최대한 줄인 외부의 빛(301)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고시인성을 보장한다. 이때 전체 휘도는 반사광(302)과 내부광(303)의 합으로 주어진다. 또한, 외부의 빛(301)이 충분한 경우 백라이트(207)에서 방출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 역시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컬러필터의 서브픽셀간 블랙 매트릭스를 활용한 일 예이다.
도 5에서,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도 1과 같으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전달부(103)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편광판(204)(205) 및 RGB 컬러필터(104)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다만, 도 1에서는 RGB 컬러필터(104)의 서브픽셀의 중앙부를 이용하였으나 도 5에서는 상기 컬러필터(104)의 서브픽셀 간의 경계면인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를 이용한 점이 다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RGBW 컬러픽셀을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기판 위에 편광판을 접착한다(S601). 기판은 액정표시장치의 전체적인 패널을 형성하는 유리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한 진동면을 가진 빛만 통과시키는 편광필름을 상기 유리기판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편광판을 접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편광판이 결합된 기판은 한 쌍을 준비하여 이후 상기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기판 위에 편광판이 접착되면, 상기 편광판을 패터닝하여 광전달부를 형성한다(S602). 여기서 패터닝(patterning)이란 상기 편광판 위에 포토레지스터(PR)를 도포하고 그 위에 어떤 패턴이 새겨져 있는 마스크(mask)를 접촉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 및 상기 형성된 패턴을 따라 또는 그 역상을 따라 편광판을 식각하여 일부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터닝은 일 반적인 반도체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 중 어느 하나에 컬러필터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컬러필터를 패터닝하여 광전달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입사되는 빛을 임의의 각도로 산란시키는 산광부를 상기 광전달부의 하부에 설치한다(S603). 이때 산광부는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도광판 위에 형성하거나 상기 도광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홀로그래픽 산광기(holographic diffuser), 반사프리즘 또는 반사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전달부와 산광부는 서로 정렬되어 외부의 빛이 광전달부를 지나 직접 산광부로 도달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표시부의 일부분이 개방 또는 제거되고 그 밑에 외부광을 산란시키는 산광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의 광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개방된 광전달부를 통해 반사광이 나오는 경우 휘도 향상의 효과도 크다. 또한, 외부광의 활용도가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좋기 때문에 자체 광원의 전력을 조절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산광부가 도광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1 : 액정표시부 102 : 산광부
103 : 광전달부 104 : 컬러필터
201 : 상부기판 202 : 하부기판
203 : 액정층 204 : 상부편광판
205 : 하부편광판 206 : 도광판
207 : 백라이트 208 : 가이드필름
301 : 입사광 302 : 반사광
303 : 내부광

Claims (24)

  1. 편광판이 구비된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충전된 액정표시부;
    상기 액정표시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입사되는 빛을 임의의 각도로 산란시키는 산광부; 및
    상기 액정표시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빛을 상기 산광부로 전달하되, 전달시 광손실을 줄이기 위해 상기 액정표시부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된 광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 및 상기 산광부는 상기 산광부로 전달되는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는 상기 편광판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부는 홀로그래픽 산광기, 반사프리즘 또는 반사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 및 상기 산광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산광부에서 산란된 빛을 상기 액정표시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부 하부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및
    상기 백라이트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액정표시부로 유도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부는 상기 도광판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부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는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 및 상기 산광부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픽셀(pixel) 또는 서브픽셀(sub-pixel)마다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내장되어 색상을 표현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RGB 컬러필터 또는 RGBW 컬러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는 상기 편광판 및 상기 컬러필터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는 상기 컬러필터의 서브픽셀 간의 블랙매트릭스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는 상기 컬러필터의 서브픽셀의 중앙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는 상기 컬러필터의 화이트 서브픽셀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 및 상기 산광부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서브픽셀(sub-pixel)마다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8.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충전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 사이에 내장되어 색상을 표현하는 컬러필터;
    상기 상부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상부편광판;
    상기 하부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부편광판; 및
    상기 하부편광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입사되는 빛을 임의의 각도로 산란시키는 산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편광판, 상기 컬러필터 또는 상기 하부편광판은 외부의 빛이 광손실없이 상기 산광부에 입사되도록 일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외부의 빛을 그대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편광판, 상기 컬러필터 또는 상기 하부편광판의 개방된 일부분과 상기 산광부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부는 홀로그래픽 산광기, 반사프리즘 또는 반사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편광판 및 상기 산광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산광부에서 산란된 빛을 상기 액정층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부 하부에 형성되어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및
    상기 백라이트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액정층으로 유도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23.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 위에 편광판을 접착하는 단계;
    상기 편광판을 패터닝하여 외부의 빛이 그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광전달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전달부의 하부에, 입사되는 빛을 임의의 각도로 산란시키는 산광부를 도광판 위에 또는 도광판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부와 상기 산광부는 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70121598A 2007-11-27 2007-11-27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4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98A KR20090054756A (ko) 2007-11-27 2007-11-27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598A KR20090054756A (ko) 2007-11-27 2007-11-27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756A true KR20090054756A (ko) 2009-06-01

Family

ID=4098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598A KR20090054756A (ko) 2007-11-27 2007-11-27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47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914A (ko) * 2009-12-02 201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US9368752B2 (en) 2013-11-11 2016-06-1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914A (ko) * 2009-12-02 201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US9368752B2 (en) 2013-11-11 2016-06-1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70713B2 (en) 2013-11-11 2017-02-14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963B1 (ko)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KR101338998B1 (ko) 반사투과형 액정표시소자
KR101291940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US722141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610845B2 (en) Display device having color filter and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layer
TWI278692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90008928A (ko) 액정표시장치
US2006012598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12222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Station Having the Same
US815450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to a mod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80001504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6255A (ko) 반사형 디스플레이장치
KR20090054756A (ko) 고휘도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011374A (ja) バックライト、液晶表示素子
JP2010134303A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組立体
JP2007004162A (ja) 表示パネ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US2010022585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434407B1 (ko) 반투과형 필드순차구동 액정표시소자
KR100637283B1 (ko) 반사투과 액정표시장치
JP4476620B2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KR101534850B1 (ko) 액정 표시 장치
TW200823554A (en) Dual mode display
TW202343104A (zh) 包含量子點層的反射式顯示器及半穿透半反射式顯示器
JP2000075292A (ja) 反射型表示装置
KR20040076921A (ko)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