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928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928A
KR20090008928A KR1020070072292A KR20070072292A KR20090008928A KR 20090008928 A KR20090008928 A KR 20090008928A KR 1020070072292 A KR1020070072292 A KR 1020070072292A KR 20070072292 A KR20070072292 A KR 20070072292A KR 20090008928 A KR20090008928 A KR 20090008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ight
crystal panel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영
정호영
유준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928A/ko
Publication of KR2009000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producing polarisation effects, e.g. by a surface with polarizing properties or by an additional polariz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광을 광원으로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를 창 등에 설치함으로써 영상구현시 그에 따른 소비전력을 감소하고, 평상시는 외부의 배경을 감상하려는 윈도우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광이 제공되는 액정패널; 및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前面)에 위치시키거나 액정패널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영상구현시 광을 편광시키고 외부 풍경 감상시 액정패널을 투과하여 외부 풍경이 보이도록 하는 롤 편광스크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윈도우 액정표시장치, 롤 편광스크린 장치, 스마트 유리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태양 광을 광원으로 이용하려는 액정표시장치를 창 등에 설치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외부의 배경을 감상할 수 있고, 또 영상구현시에는 태양 광을 이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윈도우 액정표시장치에 관련된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분야의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원하는 정보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요성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단연 주목받는 것은 아무래도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가 될 것이다. 물론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는 컴퓨터 모니터에서 항공기 및 우주선 등에 이르기까지 그 응용분야가 더욱 넓고 다양하다.
현재 생산 혹은 개발된 평판 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발광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t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이 있으며, 무엇보다 이상적인 평판디스플레이가 되기 위하여는 경중량, 고휘도, 고효율, 고해상도, 고속응답특성, 저구동전압, 저소비전력, 저비용(low cost) 및 천연색 등의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 가운데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자의 욕구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휴대가 간편하다는 특성 때문에 특히 각광받는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 특성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전압의 인가상태에 따라 분극 특성을 보이는 액정에 빛을 조사하게 되면 전압인가에 따른 액정의 배향상태에 따라 통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액정표시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주변에 구비되어 액정패널에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하는 구동회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소자가 아닌 이유로 인해, 액정패널의 하부에 별도의 백라이트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 결과 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와 관련해 개략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투과형 TN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상부기판(11)과 각 화소마다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하부기판(12) 및 상기 두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3)으로 이루어지는 액정패널(10),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10)의 상하에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편광판(14, 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별도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정패널(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백라이트는 형광램프와 같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투과하기 위한 도광 판, 반사판, 확산판 및 프리즘시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기판(12)은 어레이 기판이라고도 불리며,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소전극(미도시)이 매트릭스 형태(matrix type)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기판이라 지칭되는 상부기판(11)상에는 공통전극(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통전극은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된 빛을 투과하기 위해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 ITO)와 같은 투명도전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기판(11) 및 하부기판(12)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3)의 액정분자(18)들은 대향하는 두 기판의 표면상에 각각 형성된 배향막(미도시)에 의해 하부기판(12)으로부터 상부기판(11)에 이르기까지 그 방위각이 90도 정도 뒤틀려 배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편광판(14, 15)은 편광방향이 수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즉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된 백색의 빛은 제1편광판(14)에 의해 일방향으로 편광되고, 제1편광판(14)에 편광된 광은 하부기판(12) 및 액정층(13)에 의해 굴절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층(13)에 입사된 광은 액정분자(18)의 뒤틀림에 의해 방위각이 90도 회전하여 제1편광판(14)에 의해 편광된 방향에 직교하도록 굴절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액정층(13)에서 액정분자(18)의 방위각 또는 극각을 조절하여 투과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액정층(13)에 의해 굴절된 백색의 광은 적(R), 녹(G), 청(B)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컬러필터(미도시)가 형성된 상부기 판(11)을 투과하고, 상기 상부기판(11)에 의해 색상을 갖는 빛은 제2편광판(15)을 통과하여 화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된 빛을 평행광선으로 만들고, 상기 평행광선을 편광 및 굴절시킨 후 투과 광의 세기를 조절하고, 색상을 표현함으로써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에서 평행광선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장치는 형광램프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직하형은 액정패널의 평면에 형광램프를 배치하여 액정패널에 수직한 평행광선을 입사시키는 것이며, 에지형은 액정패널의 외곽에 형광램프를 배치하여 액정패널에 수직한 평행광선을 입사시키는 것이다. 물론 에지형은 액정패널의 외곽에 형광램프를 배치하여 도광판으로 광 경로를 바꾸어 액정패널에 수직한 평행광선을 입사시킨다. 이때, 상기 직하형 또는 에지형에 사용되는 형광램프는 유리관에서 전극의 위치에 따라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와,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EEFL)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광원의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장치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에 따른 상당한 규모의 전력소모가 뒤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낮시간 동안 태양 광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그 태양 광을 백라이트 광원으로 사용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광이 제공되는 액정패널; 및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前面)에 위치시키거나 액정패널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영상구현시 광을 편광시키고 외부 풍경 감상시 액정패널을 투과하여 외부 풍경이 보이도록 하는 롤 편광스크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창문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창과 같이 액정표시장치를 통하여 외부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고, 영상구현시에는 백라이트로 외부의 태양 광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상당한 양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과 관련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 타낸 스마트 유리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롤 편광스크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알루미늄 혹은 서스 스틸(SUS STEEL)을 재질로 하여 가운데 영역이 개방된 사각 테 형상을 이루는 하부 커버(110)상에 외부로부터의 태양 광을 제공받아 그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재(120)가 적재되어 있다. 이때, 광 확산부재(120)는 스마트 유리(smart glass)가 적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유리(smart glass) 그 자체는 투명하지만, 서로 용해되지 않고 굴절률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액체를 강제적으로 혼합할 경우 전체가 백색의 불투명한 크림 상이 되는 현상을 띠게 된다. 이는 혼합된 상태의 액체들이 불투명하게 되는 것뿐 아니라 두 액체의 굴절률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빛이 이들의 계면에서 산란되는 효과도 아울러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유리는 다양한 박막재료의 개발과 더불어 액정물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것으로서, 재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무엇보다 대형화에 가장 근접한 스마트 유리로는 폴리머분산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을 이용한 것이 적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 이와 같은 폴리머분산액정을 이용한 스마트 유리는 서로 대변하는 일면에 각각 전계생성전극이 형성된 두 장의 기판을 평행하게 배열한 후 그 사이로 폴리머와 액정의 혼합체인 폴리머분산액정층을 개재하여 구성된다. 즉, 스마트 유리는 일정한 갭(gap)을 갖고 대면하는 2장의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기판 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증착된 제1투명전극 및 제2투명전극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2투명전극 사이로는 액정입자와 감광성물질인 폴리머용액을 포함하는 폴리머분산액정이 개재되는데, 이는 2장의 투명기판 중 임의의 하나에 액정입자가 함유된 폴리머용액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유리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폴리머분산액정층 내에서 광중합반응이 일어나 액정입자와 감광성 물질인 폴리머와의 상분리(phase separation)가 발생하는데, 즉 폴리머가 경화되어 폴리머분산액정층 내부로 다수의 포어(pore)를 발생시키고, 그 포어 내에 액정입자가 포함된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턴-오프(trun-off) 상태에서는 액정입자를 둘러싼 폴리머분자와 액정입자의 랜덤(random)한 배열에 의해 빛이 통과되지 못한 채 산란되어 불투명상태가 되며, 반대로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턴-온(turn-on) 상태일 경우 폴리머 내부의 액정입자들이 분극하여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배열하게 되고, 이의 투과축과 동일하게 폴리머분자의 배열도 이루어져 빛이 통과됨에 따라 투명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마트 유리는 전압이 인가된 온 상태 및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오프 상태의 두 가지 톤(tone)의 그레이 레벨(gray level)만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를 더욱 개선하여 중간 계조의 색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2장의 유리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유리는 투명 기판(122)상에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의 제1전극(124)과, 상기 제1전극(124)과 서로 나란하게 엇갈려 각각 배열되는 다수의 제2전극(126)이 형성되고, 그 제1전극(124) 및 제2전극(126) 사이에 충진된 폴리머분산액정(128)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전극(124) 및 제2전극(126)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전도성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것이고, 제1전극(124) 및 제2전극(126)은 그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1전극(124) 및 제2전극(126)의 단면 형상이 투명기판(122)으로부터 상승할수록 그 폭이 각각 좁아 들어 최상의 지점에서 한 점으로 모이는 삼각형상을 이룬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1전극(124) 및 제2전극(126)으로 각각 전압이 가해질 경우 이들 사이로 형성되는 횡전계는 투명기판(122)에서 상승할수록 점차 약해지므로 액정입자의 배열방향이 점차로 변화되어 여러 가지 그레이 레벨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들 제1전극(124) 및 제2전극(126)이 갖는 삼각형상의 기울기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면 높이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를 보다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그레이 레벨을 구현할 수 있어 특히 중간 계조의 민감도를 조절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상기 광 확산부재(120)의 전면(前面)에는 구동부(미표기)를 포함하는 액정패널(130)이 적재되어 있다. 상기 액정패널(130)은 유리기판상에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여 단위화소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 매트릭스 형태로 분포하는 다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단위화소와 일대일 대응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제2기판, 그리고 상기 제1기판 및 제2기판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 액 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2기판상에는 상기 제1기판상의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TFT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대응하는 부위에 크롬/크롬옥사이드(Cr/CrOx)를 재질로 하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가 구비되고, 상기 블랙매트릭스 사이의 제2기판상에는 적(R), 녹(G), 청(B)의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랙매트릭스상에는 블랙매트릭스의 평탄화를 위한 오버코트층(Overcoat layer) 및 그 오버코트 층상에 공통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패널(130)상에는 롤 편광스크린 장치(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롤 편광스크린 장치(150)는 사각 형상을 이루어 외곽을 형성하고 그 양측 내벽에 편광스크린(15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혹은 레일)이 형성된 프레임(140)의 상측에 구비되는데, 편광 기능의 편광스크린(152)이 감기는 회전봉(151)과, 상기 회전봉(151)의 양측을 거치하기 위한 지지대(153)와, 상기 지지대(15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151)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54)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에서, 편광 기능을 갖는 상기 편광스크린(152)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편광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편광스크린 장치(150)가 구비된 프레임(140) 상측에는 그 가장자리영역을 감싸며 상부커버(16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 편광스크린 장치(150)가 구비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140)은 상부커버(160)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으므로 그 상부커버(160)가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2의 액정표시장치가 창틀에 설치되고, 하측의 벽 내부에 백라이트 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100)에 영상을 구현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스마트 유리와 같은 광 확산부재(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그 스마트 유리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롤 편광스크린 장치(150)의 편광스크린(152)이 상측의 회전봉(151)에 감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창과 같이 내부에서 외부의 풍경이 보이게 된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영상 구현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그와 동시에 광 확산부재(120)에 전압이 인가되고, 또한 롤 스크린 장치(150)의 구동부(154)에 구동신호가 전달되어 회전봉(151)의 회전력에 의해 편광스크린(152)이 가이드 홈을 따라 내려와 액정패널(130)의 전면을 덮게 된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 광은 영상구현시 광 확산부재(120)에 의해 확산되어 액정패널(130)에 제공되고, 그 광은 액정패널(130)에 인가된 외부로부터의 데이터신호에 따라 투과량이 제어되며, 그 제어된 광은 편광스크린(152)을 통해 편광되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액정표시장치(100)는 광원으로서 태양 광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영상 구현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 5에서 볼 때, 창문형 액정표시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일측 벽에 광원부를 이루는 백라이트장치(200)를 구비시켰다가 태양 광이 없는 주간이나 야간의 경우에는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절단선(I-I`)을 따라 본 절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절단 선(II-II`)을 따라 본 절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백라이트장치(200)는 그 백라이트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액정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하부 커버(혹은 제1커버)와 체결되어 일측에 구비되는 외부 프레임(혹은 제2커버; 201)과, 상기 외부 프레임(201)상에 부착되어 램프(251)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미도시)과, 상기 외부 프레임(201)의 양측에 구비되어 빛을 제공하는 램프장치(250)와, 상기 램프장치(250)를 양측에 체결하여 램프(251)부터의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210) 및 상기 외부 프레임(201)의 배면에 구비되어 외부 프레임(201)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201)은 알루미늄 혹은 전기아연도금강판(EGI) 등을 재질로 하여 액정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하부 커버의 양측 외벽에 형성된 가이드 홈 혹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201)상에 부착된 반사판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금속(Ag, Al) 등이 코팅된 필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반사판에서의 가시광의 광 반사율은 90~97%정도이며 코팅된 필름이 두꺼울수록 반사율이 높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프레임(201)의 양측에는 램프장치(250)가 구비되며 이때 램프장치(250)는 양측에서 빛을 제공하는 램프(251)와, 상기 램프(251)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램프 하우징(25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프레임(201)상에는 램프장치(250)를 양측에 체결하여 램 프(251)로부터 제공된 빛을 안내하고, 영상구현시 액정표시장치(100)의 배면으로 이동되어 그 안내된 빛을 액정패널에 제공하는 도광판(2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프레임(201)의 배면에는 롤러(roller) 등으로 이루어진 이동수단(240)이 구비되어 있다. 이를 통해 태양 광이 없는 환경에서 영상구현시 외부 프레임(201)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장치(200)를 액정표시장치(100)의 배면으로 이동시켜 액정표시장치(100)와 백라이트장치(200)가 서로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동수단(240)은 별도의 광센서 및 광센서 구동부를 설치하여 그 광센서가 외부로부터의 광량을 측정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겠지만,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에 따라 제어되는 제어장치를 통해 작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윈도우 액정표시장치(100)의 사용자가 태양 광이 없는 야간 환경에 놓여있다고 상상해 보자.
평상시에는 윈도우 액정표시장치(100)를 통하여 외부의 야경을 감상할 수 있겠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액정표시장치(100)에 영상을 구현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을 통해 이동수단(240)을 작동시켜 액정표시장치(100)의 배면에 백라이트장치(200)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롤 편광스크린 장치(150)가 작동되어 편광스크린(152)이 액정패널(130)의 전면을 덮게 한다.
이와 같이 백라이트장치(200)의 이동이 완료되고, 롤 편광스크린 장치(150)의 편광스크린(152)이 완전히 내려지면, 그 동작이 완료됨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송출 받아 광 확산부재(120)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후 백라이트장치(200)가 작동되어 램프(251)로부터 광이 제공되고, 그 광은 광 확산부재(120)를 통해 확산되어 액정패널(130)에 제공되며, 액정패널(130)은 외부로부터의 데이터신호에 따라 그 광의 투과량을 제어하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내용들을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고, 예컨대 위의 백라이트장치(200)는 직하형으로도 얼마든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에지형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투과형 TN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스마트 유리의 전극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롤 스크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액정표시장치가 창틀에 설치되고, 하측의 벽 내부에 백라이트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절단선(I-I`)을 따라 본 절단면도
도 7은 도 5의 절단선(II-II`)을 따라 본 절단면도

Claims (9)

  1. 외부로부터 광이 제공되는 액정패널; 및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액정패널의 전면(前面)에 위치시키거나 액정패널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영상구현시 광을 편광시키고 외부 풍경 감상시 액정패널을 투과하여 외부 풍경이 보이도록 하는 롤 편광스크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영상구현시 외부에서 전압이 인가될 때 투명상태에서 불투명상태로 변화되어 투과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재가 배면(背面)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재는 투명기판상에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형성된 다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의 사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충진된 액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편광스크린 장치는 편광스크린이 감기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양측을 거치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회전봉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스크린은 광을 편광시키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데이터신호는 롤 편광스크린 장치의 편광스크린이 완전히 내려진 완료 시점에 동기되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외부로부터 태양 광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액정패널의 배면으로 이동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장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상에 구비되어 빛을 제공하는 램프와; 상기 하부커버의 배면에 구비되어 하부커버를 액정패널의 배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70072292A 2007-07-19 2007-07-19 액정표시장치 KR20090008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292A KR20090008928A (ko) 2007-07-19 2007-07-19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292A KR20090008928A (ko) 2007-07-19 2007-07-19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928A true KR20090008928A (ko) 2009-01-22

Family

ID=4048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292A KR20090008928A (ko) 2007-07-19 2007-07-19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928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9351B2 (en) 2008-12-08 2012-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ive and hybrid daylight-coupled backlight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US8228463B2 (en) 2009-11-18 2012-07-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ive daylight-coupled backlight with turning film having prisms with chao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WO2014152730A1 (en) * 2013-03-14 2014-09-25 New Visual Media Group, L.L.C. Electronically controlled insulated glazing unit providing energy savings and privacy
US10794110B2 (en) 2018-07-06 2020-10-06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perforations,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01258B2 (en) 2018-07-06 2020-10-13 Guardian Glass, LLC Flexible dynamic shade with post-sputtering modified surface,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58884B2 (en) 2018-07-06 2020-12-08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coil strength,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71027B2 (en) 2018-07-06 2020-12-22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CIGS solar cell,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76349B2 (en) 2018-07-06 2020-12-29 Guardian Glass, LLC Electro-polymeric shade for use at elevated temperature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895102B2 (en) 2018-07-06 2021-01-19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internal shade and external power source,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914114B2 (en) 2018-07-06 2021-02-09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including shutter supporting surface-modified conductive coating,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927592B2 (en) 2018-07-06 2021-02-23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surface-modified polymer,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174676B2 (en) 2020-02-03 2021-11-16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shade extension control,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210972B1 (en) 2020-12-23 2021-12-28 New Visual Media Group, L.L.C. Optical shutter and display panel
US11421470B2 (en) 2020-02-17 2022-08-23 Guardian Glass, LLC Coil skew correction techniques for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428040B2 (en) 2020-02-03 2022-08-30 Guardian Glass, LLC Electrostatic latching stop bar for dynamic shade,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634942B2 (en) 2020-02-03 2023-04-25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electrostatic shade retraction,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714316B2 (en) 2017-09-20 2023-08-01 New Visual Media Group, L.L.C. Highly reflective electrostatic shutter display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9351B2 (en) 2008-12-08 2012-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ive and hybrid daylight-coupled backlight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US8228463B2 (en) 2009-11-18 2012-07-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ive daylight-coupled backlight with turning film having prisms with chao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WO2014152730A1 (en) * 2013-03-14 2014-09-25 New Visual Media Group, L.L.C. Electronically controlled insulated glazing unit providing energy savings and privacy
US8982441B2 (en) 2013-03-14 2015-03-17 New Visual Media Group, L.L.C. Insulated glazing unit and controller providing energy savings and privacy
EP3358120A1 (en) * 2013-03-14 2018-08-08 New Visual Media Group, L.L.C. Electronically controlled insulated glazing unit providing energy savings and privacy
US11714316B2 (en) 2017-09-20 2023-08-01 New Visual Media Group, L.L.C. Highly reflective electrostatic shutter display
US10895102B2 (en) 2018-07-06 2021-01-19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internal shade and external power source,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707919B2 (en) 2018-07-06 2023-07-25 Guardian Glass, LLC Electro-polymeric shade for use at elevated temperature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871027B2 (en) 2018-07-06 2020-12-22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CIGS solar cell,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76349B2 (en) 2018-07-06 2020-12-29 Guardian Glass, LLC Electro-polymeric shade for use at elevated temperature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801258B2 (en) 2018-07-06 2020-10-13 Guardian Glass, LLC Flexible dynamic shade with post-sputtering modified surface,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914114B2 (en) 2018-07-06 2021-02-09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including shutter supporting surface-modified conductive coating,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927592B2 (en) 2018-07-06 2021-02-23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surface-modified polymer,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858884B2 (en) 2018-07-06 2020-12-08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coil strength,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794110B2 (en) 2018-07-06 2020-10-06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perforations,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174676B2 (en) 2020-02-03 2021-11-16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improved shade extension control,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428040B2 (en) 2020-02-03 2022-08-30 Guardian Glass, LLC Electrostatic latching stop bar for dynamic shade,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634942B2 (en) 2020-02-03 2023-04-25 Guardian Glass, LLC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with electrostatic shade retraction,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421470B2 (en) 2020-02-17 2022-08-23 Guardian Glass, LLC Coil skew correction techniques for electric potentially-driven shade, and/or associated methods
US11210972B1 (en) 2020-12-23 2021-12-28 New Visual Media Group, L.L.C. Optical shutter and display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928A (ko) 액정표시장치
WO2018076948A1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0247982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switchable film structures
JP5304992B2 (ja) 表示装置
US8264660B2 (e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lateral light sour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TWI401501B (zh) 繞射型液晶顯示器
JP5093710B2 (ja) 表示装置、端末装置、光源装置及び光学部材
US8314902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7733437B2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255292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7065695A (ja) デュアルフロントライトユニットを利用したデュアル液晶表示装置
JP5299757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9012222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Station Having the Same
JPH10186361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80002242A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09015A (ko) 투명 액정표시장치
KR101715852B1 (ko) 액정표시장치
JPH11202784A (ja) 反射型表示装置
KR100783810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모드를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2295609B1 (ko) 도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KR20110032340A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JP4754846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104927A (ko) 액정표시장치
EP3432063A1 (en) Display apparatus
KR20040009462A (ko)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